KR880003049Y1 - 운동화 - Google Patents

운동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049Y1
KR880003049Y1 KR2019830001690U KR830001690U KR880003049Y1 KR 880003049 Y1 KR880003049 Y1 KR 880003049Y1 KR 2019830001690 U KR2019830001690 U KR 2019830001690U KR 830001690 U KR830001690 U KR 830001690U KR 880003049 Y1 KR880003049 Y1 KR 880003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opening
gusset
shoe
p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640U (ko
Inventor
제이 겜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캥거루즈 유.에스.에이 사
제이 겜 로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캥거루즈 유.에스.에이 사, 제이 겜 로버트 filed Critical 캥거루즈 유.에스.에이 사
Publication of KR840004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provided with a pocket, e.g. for keys or a c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운동화
제1도는 신발의 거시트 내부에 포켓이 형성된것을 나타낸 본고안의 측면도.
제2도는 본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 도시한 본고안 설편 또는 거시트(gusset)를 편상태의 평면도.
제5도는 본고안 거시트를 접은 상태의 평면도.
제6도는 거시트의 내부에 포켓을 형성시킨 본고안의 한 변형을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정면도.
제9도는 형성된 포켓. 개방그(access opening) 및 그 폐쇄수단을 표시한 본고안 거시트의 도면.
제10도는 변형된 내부포켓을 형성시킨 거시트로된 본 고안의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정면도.
제13도는 내부에 포켓을 형성시킨 본고안 거시트의 개방구와 그 폐쇄수단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동화 2 : 뱀프부위
3 : 아이스테이 4 : 신발끈
5 : 몸통부위 6 : 뒷굽
7 : 스페이싱 8 : 거시트 부위
9 : 포켓부위 11 : 톰
12 : 지퍼 13 : 상부덧감
14 : 하부덧감 21 : 벨크로
본고안은 한국실용신한등록 제19,835호 및 제27,536호의 개량고안이다.
본고안은 신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동화에 관한것이고 신발의 거시트(gusset) 또는 설편(Tongue)에 덮붙이거나 그 내부에 형성시킨 포켓에 관한것이고, 그 포켓은 신발을 신고 조깅이나 그 이외의 운동을 할때 개인용품을 그안에 잠시 유용하게 보관할수 있도록 하여준다. 운동경기자는 경기후에 꼭 필요로하지만 보통 운동경기장의 한귀퉁이에 방치시켜야만하였던 열쇠, 동전과 같은 개인 용품을 보관하는 어려움을 겪어왔다. 더나아가서 운동선수는 티(Tee), 또는 잔돈등과 같은 개인 용품을 필요로하는 사냥, 낚시, 골프와 같은 다른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자기의 개인용품을 보관할 필요성을 가진다.
개인용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위한 여러가지 수단들이 채용되었으며, 특히 그것들은 돈을 보관하기위하여 고안된 것이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디이머의 특허 제654,388호에서는 신발의 장딴지부분 내부에 귀붕품을 보관하도록 하였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리의 장딴지부분과 맞닿는 부분의 내측에 보관토록하는 시도가 기도되었다. 즉 알려진 구체화된 기술은 돈과 같은 귀중품을 안전하게 하는데 있었으며, 더나아가서 도둑을 만났을때 그 귀중품을 숨기기 위한 수단이였다.
초기 미합중국의 워싱의 특허 제1,289,341호, 맥슬린의 특허 제1,100,758호, 에비스의 특허 제1,342,149호에 나타난 바와같이 유사한 형태의 다른 포켓구조가 특히 장화에 채용되었다.
더욱 최근의 발명가들은 코오리의 미합중국 특허 제2,908,082호에 나타난바와 같이 신발이나 장화 내부에 여러가지 형태의 포켓을 형성시키고저하는 시도를 하였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신발의 갑피 전방이나 뱀프(Vamp)부분에 지갑과 같은 것을 신발에 부착시켜서 신발의 미관을 증대시키려는 생각이 브리즈의 미합중국 특허 제3,018,570호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는 지갑이 신발의 뱀프에 일체로 구성 되었기 때문에 열쇠, 돈 및 그와 같은 것을 넣기가 힘들었으며, 더욱이 신발의 그 부분에 딱딱한 것이 놓여지고, 그것이 보행중 발의 빠른운동때문에 마음대로 움직여서 발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합중국의 솔로몬의 특허 제2,712,700호는 지갑이나 그와같은 것을 신발에 부착시켜서 신발의 장식성을 증대시키고져하는 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더나아가서 신발에 보관수단을 다는것처럼 신발에 실용성을 주는 보관수단을 불이는 것이 미합중국 특허 제2,662,677호의 폐리에 의해서 고안된 골프 티 흩더(Golf tee holder)에 나타나 있다.
유사한 형태의 고안들이 근래 시장에 나와있다.
신발에 관한 여러가지 의장이 바로우의 미합중국 의장특허 제143,301호에 나타나있고 이것은 뱀프에 포켓부분을 형성시킨것이다.
마찬가지로 신발 또는 신체개발용 신발에 까지도 포켓을 사용시킨것이 고돈의 미합중국 특허 제1,637,565호에 나타나 있다.
전술한 모든것들은 돈과같은 개인용품을 일반적으로 소지자에게 은폐된 형태로 보관시키는데 실용성이 있으나, 반대로 본고안은 포켓부분을 은폐여부에 관계없이 신발의 설편(Tongue)이나 거시트에 접혀질수 있게끔 그리고 구조적으로 제조할수 있게하는데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서 열쇠, 동전등과 같은 적은 개인용품을 보관케하는 한편 신발끈이 위치하는 신발구조중에, 즉 신발 갑피에 인접하거나 신발갑피위에 포켓부분을 확실하게 부착시킬수 있게하며, 또 그렇게 함으로서 개인용품이나 그위의 소유물의 분실을 막게할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안의 주목적은 신발, 특히 테니스신발, 조깅신발, 골프신발, 사냥신발, 작업화와 같은 운동화나 편상화의 거시트나 설편에 구조적으로 제조된 포켓부분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그리고 그것은 포켓의 폐쇄수단을 함께 하여서 그 속에 있는 개인용픔의 불의의 손실을 막게하는데 있다.
본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발의 거시트의 설편부위에 접혀질수 있게 연결되어 일체적인 구조로된 포켓부분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그것은 그안에 수용된 물건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신발의 매력을 증진시킨다.
또다른 본고안의 목적은 포켓부분을 포근하게 서로 밀착시키는 폐쇄수단과 안전수단을 마련하여 그 접근된 틈을 매우 안전하게하고 그안에 있는 개인용품의 보관을 확실하게하는데 있다.
본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신발의 거시트나 설편위에 편리하게 제조된 신발포켓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또 신발 포켓은 개인용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신속하게 넣을수 있는 틈을 갖추되, 신발착용중 그 물품이 착용자의 발을 억압하거나 압력을 가하지 않게하는데 있다.
또다른 본고안의 목적은 신발의 거시트나 설편안에 포켓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그 포켓은 거시트나 설편의 내부에 은폐시키거나 아니면 신속하게 열수있도록 그 외부에 배열하는등 여러가지 위치에서 개방구를 가질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고안의 목적은 그 개방구가 단부 가까이에 배치되고 폐쇄수단에 의하여 서로 닫혀지는 신발포켓을 거시트나 설편에 마련하는데 있으며, 그렇게하므로서 개방구는 눈에 띄우지 않을뿐 아니라 착용자의 단순한 수동조작에 의하여 쉽게 열려지게 할수있게 하는데 있다.
이 모든 목적들은 첨부도면과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외거 이 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자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것이다.
본고안은 상술한바와같은 적은 개인용품을 보관하기위한 포켓의 구조에 관한것이고, 이 포켓은 보통으로는 신발끈을 매는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고있는 설편이나 거시트에 달려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포켓부분은 한쌍의 덧감으로 형성되어있고 이 덧감은 신발의 설편으로부터 일체적이며 접을수있게끔 연장되어서 외부로 배치된 거시트 포켓을 형성한것이다.
포켓이 신발의 설편부분에서 접을수있게 연장된 거시트에 형성된 상기 포켓부분은 신할 상부표면과 마주 보는쪽에서 중첩밀착되게 접혀져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끈과 아이스테이(Eyestay)위에 놓여 있다.
이렇게되면 포켓부분 내부에 있는 어떤 딱딱한 물품들 일지라도 상기부위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지지되고, 신발부품들을 속박하지 않으며 그리고 선행기술의 신발들에서 야기되었던 것처럼 발을 속박하는 일이없게 된다.
상술한바와 같이 한쌍의 덧감으로 형성된 포켓구조는 그 개방구가 노출되었거나 은폐되었는가에 의하여 상부덧감쪽이나 하부덧감쪽에 그 개방구가 형성되며, 그 개방구는 물품들을 넣기 위하여 개방하고 수용하기 위하여 개폐시켜주는 지퍼, 벨크로등의 폐쇄수단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폐쇄수단은 형성된 개방구의 입구를 닫아주는 지퍼일수도 있고, 상부와 하부 덧감의 다양한 직선단부에 연하여 마련된 벨크로의 소편들로 구성될수도 있으며, 그리고 그 벨크로는 교차되어서 포켓을 폐쇄할수 있도록 결합된다.
공지된바와 같이 상기 벨크로는 혹크와 파일 묶음수단을 이용함으로서 서로 연결된다.
본고안의 부분계속 출원인 본인의 선출원에서 밝힌바와 같이 벨크로의 소편들은 형성된 포켓이나 거시트의 여러모서리에 마련될수있고 아이스테이에 연하여 포켓의 직선단부를 따라서 마련된 벨크로의 유사한 소편들로써 신발끈부분의 양쪽을 묶어준다.
이와 같이 되어서 포켓부분이 사용중 중첩되게 접혀져서 눌려지면 벨크로는 신발갑퍼의 포켓부분에 아늑함과 밀착성을 유지시킬수 있도록 교차되고, 그렇게해서 사용중 포켓 부분의 펄럭임을 방지시켜준다.
또 혹크나 이와 유사한 폐쇄수단이 포켓의 하단부가까이에 마련될수 있고 이것은 하부의 천에 달려진다.
그리고 이 후크는 신발끈에 걸수있게하여서 신발사용중 포켓부분을 밀착되게 한다.
특히 거시트 구조의 접는형식이 체용되어지는 포켓의 여러가지 개방구는 거시트 포켓의 하부에 배치시킨 지퍼수단을 포함할수 있으며, 그것은 상기 포켓의 개방구를 은폐시키는 하나의 방법을 마련해준다.
또 개방구는 형성된 거시트 포켓의 여러 가장자리가까이나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게 할수있고 그렇게해서 각 위치의 포켓에 편리한 입구를 제공한다.
포켓부분이 형성된 거시트의 설편부위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설편부위를 형성시키는 상,하 덧감으로 이루워지는바 이때 개방구는 포켓의 상부 가장자리 가까이에 마련될수 있으며, 그것은 지퍼나 벨크로 또는 이와 유사한 폐쇄수단에 의하여 잠겨진다.
형성된 설편포켓에 틈을 마련할수 있도록 개방구가 상부 덧감을 통해서 설편부위 상부끝 가까이에 위치되는 곳이나 또는 그 개방구가 상부끝 가까이에서 하부덧감을 통하여 위치되는곳에 지퍼와같은 폐쇄수단이 개방구의 입구를 연결하게끔 마련되어서 신발사용중 포켓에 수용된 개인용품의 안전과 폐쇄수단을 제공하게된다.
본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조깅목적에 사용되는 운동화(1)가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뱀프(Vamp) 부위(2), 아이스테이(3), 신발끈(4)과 같은 일반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더나아가서 그 신발은 통상의 몸통부분(5)과 스폐이싱(Spacing)(7)을 포함하는 뒤꿈치(6)를 가지고 있다.
또 그 신발은 신발끈(4) 하부에 놓인 통상의 설편 또는 거시트 부위(8)를 포함하며 그 거시트의 윗부분(10)은 접혀질수있도록 되어있고, 상기 거시트나 설편(8) 내에 하나의 포켓부위(9)와 일체로 연길되어 있다.
도시된바와 같이 이 포켓부위는 틈(11)과 지퍼(12)와 같은 폐쇄수단을 포함하며, 지퍼(12)는 포켓부위(9)를 폐쇄시키기위해서 손으로 조작된다.
이 포켓은 전술한바와 같이 조깅, 하이킹 중 열쇠와 같은 물건을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고안되었으며, 그리고 이러한 독특한 형태가 다른 신발에 만들어진다고 하드라도 사냥이나 작업증을 하는 동안에 유사한 물품의 안전 보관용으로 사용될수 있다.
이러한 특별한 예에서 틈(11)을 갖는 개방구는 지퍼(12)와 같은 폐쇄수단을 가지며 제4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형성된 포켓의 안쪽에 있게되어서 제1도, 제2도와 제3도 밌 제5도에 독립적으로 도시된바와 같은 위치에서 거시트가 접혀질때, 지퍼수단은 은폐되어지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9)에 포켓이 형성되었다 는 증거를 보이지 않게된다.
이를 도면을 참고하면 포켓부위는 한쌍의 덧감, 즉 상부덧감(13)과 하부덧감(14)로 형성되었음을 알수 있고 이들 덧감은 그들의 가장자리(15)를 따라서 함께봉착되고, 아울러 필요하다면 이와 같은 봉착은 접혀지는 선(10)을 따라서 이루워져서 형성된 포켓의 거시트 또는 설편(8) 밑으로 물품이 미끌어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된다.
본고안의 실발거시트에 형성된 내부 포켓의 한 변형이 제6도 내지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더욱구체적으로 이러한 특수형태에서는 포켓(9)은 하나의 상부덧감(16)과 하나의 하부덧감(17)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덧감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개인 용품을 넣을수 있는 포켓(9)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덧감(16), (17)은 서로 그 주면(18)에서 봉착되어 있으며 전면부(19)는 개방되어서 개방구의 입구를 마련해준다.
더나아가서 포켓의 맨안족끝은 봉착수단이나 그 이외의 수단(20)에 의해서 폐쇄되어서 포켓부분(9)은 거시트의 상부에 형성되어지고, 거시트는 운동화의 끈과 아이스테이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져 있게된다.
개방구(19)를 폐쇄시키기위하여 상부와 하부덧감(16), (17)의 양쪽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벨크로(21) 또는 지퍼와 같은 폐쇄수단이 이용되며, 덧감의 이들 단부가 눌려질때 벨크로는 형성된 포켓의 더욱 지속적인 폐쇄를 확실하게하고 그안에 들어있는 개인용품의 보관을 안전하게 해준다.
거시트에 형성시킨 내부포켓의 다른 구조적 변경이 도면 제10도 내지는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신발끈과 아이스테이의 상부를 덮고있는 포켓부분(9)은 각각 상부와 하부덧감으로 이루원진 한쌍의 덧감(22), (23)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켓부분(9)은 그 주면부가 봉착선(24)이나 기타 부착수단에 의하여 형성될수있고, 상기 포켓의 내부깊이를 한정시켜 주도록 봉착선(25)과 같은 부착수단으로 형성될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포켓(9)에 입구를 마련해주는 개방구(26)는 거시트의 한쪽끝 가까이에 마련되고, 이 위치에 있는 포켓의 폐쇄수단은 상기 덧감의 내면에 접착될수있는 지퍼와 같으 여하한 형태의 채음수단을 포함할수 있으며, 또는 벨크로(28)와 같은 채음수단이 상기 덧감들의 내면 가장자리 가까이에 적용되어서 포켓부분(9)의 압착으로 신속한 폐쇄를 할수 있게하며. 또는 힘을 가하면 이 단부들이 쉽게 분리될수 있게하므로서 형성된 포켓을 신속하게 벌어질수 있게하여준다.
상술한것 이외에 본고안의 여러가지 변형과 변화가 가능하드라도 본고안과 그 기술적요지를 같이하는한 본고안의 기술적범위를 벗어날수는 없으며, 본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만 극한될수는 없을 것이다.

Claims (7)

  1. 포켓을 가진 신발용 거시트(gusset)로써 다음과 같이된것, 상기 신발은 신발끈 하부에 위치한 거시트를 형성시키는 설편포켓부분을 가지며, 상길 거시크는 상기 신발끈의 상부를 덮으며, 포켓부분은 상기 거시의 상반부와 연결되어 접을수 있으며, 상기 포켓부분은 그안에 포켓을 형성하도록 특정단부를 폐쇄시킨 한쌍의 덧감으로 되어있고, 상기 덧감들의 하나는 신발끈 부분과 접근되어있고, 다른 하나는 포켓의 상부를 이루며, 개방구가 덧감의 한쪽에 형성되어서 포켓에 입구를 만들며, 상기 개방구에 폐쇄수단이 마련되어 있는것.
  2. 제1항에 있어서, 개방구는 내측덧감을 통하여 거시트의 하면에 형성시킨 하나의 틈과 포켓의 입구를 제공하며 동시에 폐쇄수단과 포켓을 은폐되도륵 하여서된것.
  3. 제2항에 있어서, 폐쇄수단을 지퍼로하여 포켓틈을 폐쇄되도록 하여서된것.
  4. 제1항에 있어서 개방구가 형성된 거시트 포켓의 한쪽옆에 연하여 배치되어있고 폐쇄수단을 포함하는것.
  5. 제4항에 있어서 폐쇄수단은 포켓덧감의 표면에 밀착시킨 벨크로를 포함하는것.
  6. 제4항에 있어서 개방구가 형성된 포켓의 하단부를 따라서 형성되어있고, 포켓덧감의 내측단부에 폐쇄수단을 가진것.
  7. 제6항에 있어서 폐쇄수단은 형성된 포켓의 개방구의 위치에서 덧감의 내측에 각각 부착되어있는 것.
KR2019830001690U 1982-10-13 1983-02-25 운동화 KR88000304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3411982A 1982-10-13 1982-10-13
US434.119 1982-10-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390U Division KR880003051Y1 (ko) 1982-10-13 1985-05-09 운동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640U KR840004640U (ko) 1984-09-22
KR880003049Y1 true KR880003049Y1 (ko) 1988-08-31

Family

ID=237228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690U KR880003049Y1 (ko) 1982-10-13 1983-02-25 운동화
KR2019850005390U KR880003051Y1 (ko) 1982-10-13 1985-05-09 운동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390U KR880003051Y1 (ko) 1982-10-13 1985-05-09 운동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2) KR880003049Y1 (ko)
CA (1) CA1217631A (ko)
DE (2) DE8329610U1 (ko)
IT (1) IT1170509B (ko)
NL (1) NL8303485A (ko)
NO (1) NO832988L (ko)
SE (1) SE4585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81925S (en) 1983-06-01 1985-12-31 Kanagroos U.S.A., Inc. Boot with tongue pocket
US4805321A (en) * 1987-10-14 1989-02-21 Kangapoos U.S.A., Inc. Reversible shoe tongue
DE8810872U1 (ko) * 1988-08-29 1989-02-23 Adidas Sportschuhfabriken Adi Dassler Stiftung & Co Kg, 8522 Herzogenaurach, De
US4955150A (en) * 1989-08-18 1990-09-11 Fagan Nancy L Identification system for footwear
US5421106A (en) * 1994-02-15 1995-06-06 Emrick; Steven C. Shoe sole wiping pad
US20230263262A1 (en) * 2022-02-23 2023-08-24 Robert Grundman Electricity Generating Sho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301A (en) * 1873-09-30 Improvement in puddling-furnaces
US654388A (en) * 1900-05-04 1900-07-24 Frank Diemer Shoe.
US1100758A (en) * 1913-01-02 1914-06-23 David Mcauslin Boot and the like.
US1289341A (en) * 1918-10-10 1918-12-31 August F Wirsching Shoe.
US1342149A (en) * 1920-01-07 1920-06-01 William H Avis Pull-strap for laced shoes
US1637565A (en) * 1926-11-13 1927-08-02 Abraham L Gordon Physical-development shoe
US2662677A (en) * 1950-05-15 1953-12-15 Harold O Perry Golf tee holder
US2712700A (en) * 1953-01-16 1955-07-12 Solomon Frank Shoe with a purse or pocket
US2908082A (en) * 1953-08-28 1959-10-13 Gregory S Dolgorukov Drafting instrument
US3018570A (en) * 1960-12-27 1962-01-30 Dolores B Bliese Combined shoe and purse
GB1347424A (en) * 1972-05-04 1974-02-27 Coggins Sons Ltd R Footwear
US4254566A (en) * 1979-04-19 1981-03-10 Haskell Sylvan K Jogger and runner shoe identification
IT1224093B (it) * 1980-09-25 1990-09-26 Envoys Usa Inc Calzatura con tasca a mascherino
US4372060A (en) * 1980-10-06 1983-02-08 Mcf Footwear Corporation Construction of tongue for shoe or the like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70509B (it) 1987-06-03
KR880003051Y1 (ko) 1988-08-31
KR840004640U (ko) 1984-09-22
DE3337319A1 (de) 1984-05-24
NL8303485A (nl) 1984-05-01
DE8329610U1 (de) 1984-06-28
KR860015586U (ko) 1986-12-30
NO832988L (no) 1984-04-16
SE8305298D0 (sv) 1983-09-29
SE458578B (sv) 1989-04-17
IT8349146A0 (it) 1983-10-12
DE3337319C2 (de) 1995-03-09
SE8305298L (sv) 1984-04-14
CA1217631A (en) 198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704Y1 (ko) 포켓(Pocket)이 달린 운동화
US5778564A (en) Changeable shoe cover
US4384414A (en) Athletic shoe pocket
US4697363A (en) Athletic shoe pocket
US4516336A (en) Protective overshoe
US2712700A (en) Shoe with a purse or pocket
US4630383A (en) Shoe with gusset pocket
US3192651A (en) Shoe having a rear opening
CA1188094A (en) Inner lining for sports footwear having a rigid or semi-rigid shell structure
US20090106879A1 (en) Sock for reducing footwear instep creasing
US2924029A (en) Rosen
KR100719159B1 (ko) 슬리퍼 겸용 샌들
JP2007507323A (ja) モージュール式靴システム
US4726128A (en) Zippered athletic shoe pocket
US3052046A (en) Slipper
US4471539A (en) Footwear having an auxiliary pocket
KR880003049Y1 (ko) 운동화
US4376344A (en) Insulated boot blanket
US2742715A (en) Article of footwear provided with removable counter
US20070113429A1 (en) Shoe
KR100989358B1 (ko) 샌들 겸용 운동화
US1556167A (en) Footwear
KR850000935Y1 (ko) 포켓이 달린 운동화
GB2067385A (en) Shoe with gusset pocket
US5544433A (en) Innerboot for sports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01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