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734Y1 - 세탁기의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734Y1
KR880002734Y1 KR2019880007171U KR880007171U KR880002734Y1 KR 880002734 Y1 KR880002734 Y1 KR 880002734Y1 KR 2019880007171 U KR2019880007171 U KR 2019880007171U KR 880007171 U KR880007171 U KR 880007171U KR 880002734 Y1 KR880002734 Y1 KR 880002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washing
rotation
center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오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an oscillatory rotary motion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탁기의 교반장치
도면은 본 고안을 탈수겸용 세탁기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도는 전체의 종단 측면도.
제 2 도는 회전조 부분의 횡단 평면도.
제 3 도는 작용 설명을 위한 회전조 부분의 횡단 평면도.
제 4 도는 편심율에 따른 세탁의 얼룩정도 및 모우터의 입력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함 2 : 탄성 현수 기구
3 : 물받이통 4 : 모우터
5 : 기구부 6 : 벨트 전달기구
7 : 회전조 8 : 교반체
9 : 회전축 10 : 감속기구
11 : 클러치기구 12 : 기반부
13 : 날개부 14 : 돌기부
본 고안은 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체에 대하여 개량을 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는 일반적으로 조의 내저부에 펄세이터를 설치하고, 이 펄세이터의 회전으로 조내에 와수류, 즉 소용돌이를 일으켜서 세탁물의 세탁을 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그 세탁방식이 와수류 만에 의한 수류세탁이기 때문에, 세탁물이 강하게 비틀려서 상하기 쉽고 또 세탁이 고루 안되는 등 세탁효과에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에 따라 연구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탁효과를 높일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조의 내부에 배설되는 교반체를 기반부와, 이 기반부에 돌설된 날개부와, 상기 기반부의 대략 중앙부위에 상기 날개부 보다 높게 돌설된 돌기부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 교반체를 정.역 회전시켜서 세탁을 행하도록 하고, 또 상기 돌기부를 그 평면형상이 상기 기반부의 회전중심으로 부터 편심되는 편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수류를 복잡화함과 동시에 수류세탁이외에 흔들어 빨기, 비벼빨기 및 눌러빨기 등도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탈수 겸용 세탁기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도에 있어서, (1)은 외함인데, 그 내부에는 탄성 현수기구(2)를 개재하여 물받이통(3)이 탄성적으로 현수되고, 이 물받이통(3)의 외저부에는 모우터(4), 기구부(5) 및 벨트전달기구(6)등이 설치된다. 또, 물받이통(3)의 내부에는 세탁조겸 탈수조인 회전조(7)가 설치되고, 이 회전조(7)의 저부에는 교반체(8)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조(7)는 기구부(5)의 회전축(9)에 연결되고, 또 교반체(8)는 회전조(7) 내저부에 설치된 갑속기구(10)를 개재하여 기구부(5)에 있어서의 도시를 생략한 교반축에 연결된다. 또, 상기 기구부(5)는 클러치기구(11)를 가지고 있는바, 이 클러치기구(11)에 의하여 모우터(4)의 회전동력을 상기 교반축 및 회전축(9)에 절환 전달함으로써 세탁시에는 교반체(8)를 회전시키고, 탈수시에는 회전조(7) 및 교반체(8)를 일체적으로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교반체(8)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어서, 예를 들면, 정방향으로 3회전한 후 반전되어 반대방향으로 3회전 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체(8)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1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12)는 기반부인바 이것은 회전조(7)의 내저부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치는 정도의 크기의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4개의 날개부(13)가 대략 방사상으로 연장하면서 돌설되어 있으며 그기반부(12)의 중앙부위에는 돌기부(14)가 상기 날개부(13)보다 높게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기부(14)의 상부에는 기반부(12)의 중심과 일치하여 축연결부(15)가 장착되고, 이 축연결부(15)에 감속기구(10)의 출력축(10a)(제 1 도)이 연결된다. 그런데 이 돌기부(14)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그 평면형상(상단형상)이 기반부(12)의 회전중심(축연결부(15)중심)에서 편심되는 편평형상, 예를 들면, 타원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경우 그 돌기부(14)는 그 길이방향(제 2 도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기반부(12)의 회전중심으로 부터의 최장거리(L1)를 최단거리(L2)의 1.5-2.5배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그러면, 상기 구성의 작용을 제 3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지금, 교반체(8)가 예를 들면 제 3 도의 화살표방향(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세탁시를 고려하는 경우, 회전조(7)내에 수용된 세탁수는 날개부(14)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와수류화 되지만, 즉 소용돌이를 일으키지만, 일부에서는 날개부(14)보다 높이 돌출된 돌기부(14)의 회전 방향측의 면(14a)에 의하여 그 와수류가 원심 방향으로 유동되어 난수류가 형성되고, 그 결과 세탁수에 대한 교반 효과가 높아진다. 한편, 이 세탁수와 함께 회전조(7)내에 수용된 세탁물(제 3 도 참조)는 상기한 와수류 및 난수류에 의한 복잡한 수류에 의하여 복잡하게 유동되고, 이로 인해 그 세탁물 A자체가 복잡하게 변화하여 비틀어 빨기와 비벼빨기 작용을 일으키게 되므로 수류세탁에 의한 세탁효과가 높아진다. 특히, 교반체(8)의 회전에 의하여 돌기부(14)가 제 3 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조(7)내를 회전함에 따라 이 돌기부(14)의 회전방향측의 면(14a)전체에 의해서 세탁물A를 원심방향으로 흔들도록 하는 외력을 작용시키고, 즉 흔들어 빨기 작용을 일으키고 또, 이때 면(14a)이 세탁물 A를 비비는 것과 같이 작용하며, 즉 비벼빨기 작용을 일으키며, 또한 돌기부(14)는 그 그최장측의 단부(14b)로 세탁물 A를 밀어내게 하는 작용도 한다.
즉 눌러빨기 작용도 일으킨다. 또, 세탁물A는 돌기부(14)에 의하여 원심방향으로 밀려난 후에는 이 돌기부(14)의 반대회전 방향의 면(14c)측으로 진입하여, 그 결과 세탁물 A회전조(7)내의 내측으로 부터 외측으로 또 외측에서 부터 다시 내측으로 요동하면서 이동되므로 세탁물 A에 대한 교반 효과가 커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세탁물 A에 대한 세탁효과를 크게 높일수 있음과 동시에 균일한 세정으로 얼룩이 없는 세탁이 가능하게 된다. 또, 교반체(8)가 정회전에서 역회전으로 또 역회전에서 정회전으로 반전할때에는 수류가 시간적으로 약간 지연되어 반전하게 되나, 그 과도기에 세탁물 A가 일시 대략적으로 정지 상태가 되고, 이미 반전해서 회전상태에 있는 교반체(8)의 돌기부(14)가 이러한 대략 정지상태의 세탁물 A를 그 유동시에 비해서 확실하고 또 강력하게 쥐어짜는 작용을 하며, 이로 인해 상술한 흔들어 빨기와 비벼빨기 작용이 극히 효과적으로 촉진되고 전체적으로 높은 세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최근의 세탁기에 있어서 원주상의 돌기부를 교반체 중심부에 고착한 것이 보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에서는 와수류만 형성되기 때문에 세탁물이 와수류에 의하여 항상 돌기부를 향해서 유동되는 결과, 이 돌기부에 세탁물이 휘감기는 등으로 인해 세탁물의 전체적인 뒤집기 작용이 적어져서 세탁효과가 빈약하게 됨과 동시에 얼룩이 생기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돌기부(14)의 평면 형상을 기반부(12)의 회전중심으로 부터 편심된 편평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세탁수에 기반부(12)의 중심에서 원심방향으로의 작용력을 부여할수 있고, 또한 세탁물을 원심방향으로 흔들어서 확산시킬 수도 있고, 또 세탁물을 회전조(7)에서 안쪽 및 바깥쪽으로 요동시킬수도 있어서 세탁효과를 높일수 있음과 동시에 세탁물의 뒤집기 작용도 잘 이루어져서 고른 세탁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돌기부(14)의 편심율, 즉 돌기부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반부(12)의 회전중심으로 부터의 최장거리(L1)와 최단거리(L2)와의 비 L1/L2를 크게 하면 교반률이 커지게 되므로 세탁얼룩은 줄어들게 되지만 세탁수로 부터 받은 저항이 커져서 모우터(4)의 입력도 커지게 된다. 이 관계를 제 4 도에 도시하였는데, 그 도면에 있어서 종축에는 세탁의 얼룩정도 및 모우터 입력을 표시하고 횡축에는 편심율(L1/L2)을 표시하였는바 선 P 는 세탁얼룩의 특성을 나타내고, 선 Q 는 모우터의 입력특성을 나타낸다. 이 제 4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L1/L2가 1.5-2.5일때 세탁얼룩은 작고 또 모우터의 입력도 작아진다. 따라서 돌기부(1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반부(12)의 회전 중심으로 부터의 최장거리 L1를 최단거리 L2의 1.5-2.5배로 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우터(4)의 입력을 억제하면서 세탁얼룩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부(14)의 평면 형상을 타원형상으로 했으나 그밖의 대략 장방형상으로 해도 되고 요컨대 편평 형상이면 된다.
본 고안은 이상의 설명과 같이 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체를 기반부와, 이 기만부에 돌설된 날개부와, 상기 기반부의 대략 중앙부위에 상기 날개부 보다 높게 돌설된 돌기부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 교반체를 정. 역회전시켜서 세탁을 행하도록 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그 평면평상이 상기 기반부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되는 편평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바, 이것으로 수류를 종래의 와수류에 비해서 복잡화 할 수 있어 수류세탁에 의한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특히 세탁물에 대하여 돌기부에 의한 외력을 가지고 흔들어 빨기, 비벼빨기 및 눌러빨기를 실행할수 있고, 또 교반효과를 현저히 높일수 있으며, 세탁물의 뒤집기작용도 양호하게 할수 있는등, 전체적으로 세탁효과를 현저히 높일수 있음과 동시에 세탁얼룩도 확실하게 없앨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조의 내부에 배설되는 교반체(8)를 기반부(12)와, 이 기반부에 돌설된 날개부(13)와, 상기 기반부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날개부 보다 높게 돌설된 돌기부(14)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 교반체를 정.역회전 시켜서 세탁을 행하도록 한 세탁이의 교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4)를 그 평면형상이 상기 기반부(12)의 회전중심으로 부터 편심되는 편평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교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4)는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반부(12)의 회전중심으로 부터의 최장거리를 최단거리의 1.5-2.5배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교반장치.
KR2019880007171U 1982-12-29 1988-05-13 세탁기의 교반장치 KR88000273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232594 1982-12-29
JP23259482 1982-12-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070A Division KR840007039A (ko) 1982-12-29 1983-12-21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734Y1 true KR880002734Y1 (ko) 1988-07-27

Family

ID=1694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171U KR880002734Y1 (ko) 1982-12-29 1988-05-13 세탁기의 교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94863A (ko)
KR (1) KR880002734Y1 (ko)
GB (1) GB21326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1863T2 (de) * 1990-12-04 1997-04-03 Lg Electronics Inc Druck- und Drehwaschmaschine sowie Waschverfahren unter Verwendung derselben
US5473916A (en) * 1993-06-25 1995-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ulsator for washing machine
JPH1033875A (ja) * 1996-04-29 1998-02-10 Daewoo Electron Co Ltd 洗濯機用パルセータ
KR200149201Y1 (ko) * 1996-04-29 1999-06-15 전주범 세탁기의 회전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1640A (en) * 1927-07-08 1932-06-07 Apex Electrical Mfg Co Washing machine
US1805107A (en) * 1927-12-15 1931-05-12 Rocke John Agitator mechanism for washing machines
US2091402A (en) * 1936-10-08 1937-08-31 Robert J Waterworth Agitator mechanism for washing machines
US2192758A (en) * 1936-10-24 1940-03-05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2255505A (en) * 1937-11-11 1941-09-09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2416611A (en) * 1946-02-14 1947-02-25 Altorfer Bros Co Clothes washing machine
US2674868A (en) * 1951-01-16 1954-04-13 Easy Washing Machine Corp Washing machine
BE533444A (ko) * 1953-11-23
FR70250E (fr) * 1956-06-11 1959-03-25 Jouma Machine à la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94863A (en) 1986-06-17
GB2132640B (en) 1986-07-30
GB2132640A (en) 1984-07-11
GB8333452D0 (en) 198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0750A (en) Clothes washer having a pulsator apparatus
KR19980085150A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KR880000660B1 (ko) 의류 세탁 방법
KR0146338B1 (ko) 세탁기의 교반기
KR880002734Y1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US4835994A (en) Washing machine
KR200176081Y1 (ko) 충격펄세이터를 갖는 세탁기
KR880002735Y1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JPS6290196A (ja) 遠心脱水洗濯機
KR100212375B1 (ko) 의사자전운동을 하는 펄세이터를 갖는 세탁기
JPH0245477B2 (ko)
JPH0310359B2 (ko)
KR890005373Y1 (ko) 세탁기
JPH0226460Y2 (ko)
JPS62109596A (ja) 遠心脱水洗濯機
US2292037A (en) Washer
JPS59111792A (ja) 洗濯機
KR100186733B1 (ko) 난수류 세탁기
JPH0527193Y2 (ko)
KR0118106Y1 (ko) 전자동세탁기의 세탁, 건조겸용 교반장치
KR200154939Y1 (ko) 세탁물 엉킴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익
KR0125471Y1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KR950003674Y1 (ko) 세탁기의 세탁봉
JPS6346718B2 (ko)
KR900000558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