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632B1 -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632B1
KR880002632B1 KR1019830000011A KR830000011A KR880002632B1 KR 880002632 B1 KR880002632 B1 KR 880002632B1 KR 1019830000011 A KR1019830000011 A KR 1019830000011A KR 830000011 A KR830000011 A KR 830000011A KR 880002632 B1 KR880002632 B1 KR 880002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er
generating
circuit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나리 모리다
슈지 오오쯔까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3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보장치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I, 1N : 센서 2 : 센서용 로컬콘트롤러
3 : 메인콘트롤러 3A : 송수신자동절환회로
3B, 3D : 마이크로컴퓨터 3F : 변조기
4 : 서브콘트롤러 5 : 생활기기
7A, 7B : T.V수신기 8 : 고주파신호절환기
10 : T.V수신기 조작신호발생송출기
본 발명은 화재, 가스누출등을 검지하는 센서 및 센서의 출력을 판별하여 출력의 종류에 따라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그 검출신호에 의하여 화재등의 발생장소 및 경보내용을 T.V수신기에 표시시키는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경보장치로서는 전용의 모니터 수신기를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새롭게 수신기를 구입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므로, 가격이 높아지고 또 이 T.V수신기를 주로 생활하는 거실에 배치하면 그 만큼 주거공간이 좁아지게 될뿐만 아니라 실내장식상 바람직하지 않으며 기타의 거실에 배치하면 경보발생시에 발생위치의 확인등에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장치의 결함을 해소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화재, 가스누출등을 검지하는 복수개의 센서와 그 센서의 출력신호를 판별하여 출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미리 직열코드화한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신호 발생회로를 가지고, 그 검출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에 기억시키도록한 경보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에 의하여 그 신호의 종류에 따라 화상표시신호를 발생하는 화상표시신호발생회로와 화상표시신호로 빈채널에 대응하는 T.V전파를 변조하는 변조회로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로 부터의 신호를 채널맞춤의 인터페이스를 거쳐 T.V수신기의 전원투입신호 및 빈 채널로의 절환신호를 발생 송출하는 T.V수신기 조작신호발생 송출기로 구성되고, T.V수신기는 상기 전원투입신호 및 절환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이 투입되고 T.V수신기의 채널 제어회로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빈 채널로 절환되며, 마이크로컴퓨터로 부터의 신호의 변조신호를 화상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1A, 1I, 1N은 화재, 가스누출등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이것들은 센서용 로컬콘트롤러(2)를 거쳐 메인콘트롤러(3) 및 서브콘트롤러(4)에 접속된다.
5는 에어콘, 급탕기등의 생활기기이고, 이들은 기기제어용 로컬콘트롤러(6)를 거쳐 메인콘트롤러(3) 및 서브콘트롤러(4)에 접속된다. 7A, 7B는 고주파신호절환기(8)를 거쳐 안테나(9)로 부터 T.V전파를 수신하는 원격조작식 T.V수신기이고, 10은 T.V수신기의 전원투입신호 및 소정의 빈 채널에 전환하고 채널절환신호를 포함하여 적외선을 발생송출하는 원격조작신호 발생송출기이다. 메인콘트롤로(3)는 서브콘트롤러(4)와 동일한 구성이고, 각각의 T.V수신기(7A), (7B)와 함께 전자(前者)는 주로 생활하는 거실에, 후자는 다른 거실등에 배치한다. 이들은 송수자동절환회로(3A)와, 그것으로 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마이크로컴퓨터(3B)와 텔레비젼 수신기의 채널에 맞추기위한 인터페이스(3C)와, 음성합성용마이크로컴퓨터(3D)와 그에 접속된 스피커(3E)와, 변조기(3F)와, 생활기기(5)를 조작하기 위한 치수(置藪)키이, 시동, 정지스위치, 경보정지스위치, 전원스위치등을 배치한 패널(3G)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송수신 자동절환회로(3A)는 센서용 로컬콘트롤러(2)의 송수신자동절환회로(2A)와 조를 이루고, 엔코더, 디코더(예를들면, 스퍼택스사의 프로그램가능 엔코더, 디코더, ED-11), 에널로그스위치, 플립플롭등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1A) (1I) (1N)의 설치장소 및 경보내용을 미리 직렬코드화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신호 발생회로이다. 마이크로컴퓨터(3B)는 상기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이것을 직렬코드 변환하고, 그 검출신호의 종류에 따른 화상표시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로 부터의 신호를 채널에 맞춘 인터페이스(3C)를 거쳐 원력조작신호 발생송출기(10)에 공급하는 작동제어신호 및 고주파신호 절환기(8)에 공급하는 절환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또 음성합성용 마이크로컴퓨터(3D)를 작동시켜, 스피커(3E)로부터 센서(1A) (1I) (1N)에 대응한 합성음을 발생시키기위한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변조기(3F)는 마이크로컴퓨터(3B)로부터 출력되는 화상표시신호로 T.V수신기(7A) (7B)의 채널제어회로로부터 미리 설정된 빈 채널에 대응하는 반송파(搬送波)를 변조하고 그 출력은 동축케이블(11)을 통해 고주파신호절환기(8)를 거쳐서 T.V수신기(7A) (7B)에 입력하도록 한다. 기기제어용 로컬콘트롤(6)는, 기기제어용 인터페이스(6A) 및 송수신 자동절환히로(6B)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콘트롤러(3)의 송수신 자동절환회로(3A)를 시동시키면, 그 엔코더와 디코더는 송신모드로 변하고, 어드레스 카운터로 부터 어드레스"0"의 데어터가 전송선(12)을 거쳐 송신된다. 여기서 수신상태에 있는 어드레스"0"의 센서용 로컬콘트롤러(2)의 송수신자동절환회로(2A)가 이 데이터를 받어 송신모드로 절환되고, 그대의 센서(1A) (1I) (1N)의 상태를 어드레스와 함께 엔코드하여 송신한다.
이때 이미 송신모드로 절환되어 있는 메인콘트롤러(3)의 송수신자동절환회로(3A)는 이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레스"0"의 센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직렬코드화한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 검출신호에 의하여 마이크로컴퓨터(3B)는 그 검출신호를 기억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화상표시신호, 절환제어신호 및 작동제어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이 화상표시신호는 변조기(3F)에 있어서 반송파를 변조하고, 이 변조파는 동축케이블(11)을 거쳐 고주파신호절환기(8)에 가해진다. 이때 이 신호 절환기(8)는 절환제어신호에 의하여 안테나(9)측으로 부터 동축케이블(11)측으로 절환되고, 또 T.V수신기(7A)는 작동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한 원격조작신호 발생송출기(10)가 발하는 적외선의 전원투입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이 ON되어있지 않을때는 전원을 ON하고, 적외선의 채널절환신호를 수신하여 T.V수신기의 채널제어회로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빈 채널로 절환하게 되므로, 변조신호를 화상표시하고, T.V화면에는 예를들면, "가스누출"이 화면에 표시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3B)는 그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신호로 음성합성용 마이크로컴퓨터(3D)를 작동시켜, 스피거(3E)로 부터 센서(1A) (1I) (1N)에 대응하는 합성음이 화면의 표시와 동시에 방출된다. 서브콘트롤러(4)와 센서용 로컬콘트롤러(2)와의 사이에서도 이상과 마찬가지로 센서의 상태가 T.V화면에 표시되고, 스피커로부터 합성음이 방출된다. 메인콘트롤러(3) 및 서브콘트롤러(4)에 있어서, 패널(3G)면의 치수키이를 생활기기의 번호에 따라 누르고 시동스위치를 압압하면, 마이크로컴퓨터(3B)및 송수신자동전환회로(3A)로부터 기기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전송선(12)을 거쳐 기기제어용 로컬콘트롤러(6)에 도달하면 치수키이로 압압한 번호, 즉 예를들면 에어콘을 시동시킨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원격조작신호 발생송출기(10)를 사용하였으나, T.V수신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신호의 종류에 따른 화상표시 신호를 발생하는 화상표시신호 발생회로와, 화상표시신호로 T.V전파를 변조하는 변조회로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T.V수신기의 전원투입신호 및 빈채널에의 절환신호를 발생송출하는 조작신호 발생송출기와 상기 전원투입신호 및 절환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이 투입되고 빈 채널로 절환되는 T.V수신기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기본의 T.V수신기를 사용할 수가 있게 되어 값이 저렴하게 되고 전용의 모니터T.V를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실의 공간이 좁아질 염려가 없으며 또한 경보내용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화재, 가스누출등을 검지하는 복수개의 센서와, 그 센서의 출력신호를 판별하여 출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미리 직렬코드화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신호 발생회로를 가지고, 그 검출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에 기억시키도록한 경보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에 의하여 그 신호의 종류에 따라 화상표시신호를 발생하는 화상표시신호 발생회로와, 화상표시신호로 빈 채널에 대응하는 T.V전파를 변조하는 변조회로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로 부터의 신호를 채널맞춤의 인터페이스를 거쳐 T.V수신기의 전원투입신호 및 빈채널로의 절환신호를 발생송출하는 T.V수신기 조작신호발생송출기로 구성되고, 상기 T.V수신기는 상기 전원 투입신호 및 절환회로를 수신하여 전원이 투입되고 T.V수신기의 채널제어회로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빈 채널에 절환되며,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의 상기 화상표시 신호의 변조신호를 화상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장치.
KR1019830000011A 1982-01-09 1983-01-04 경보장치 KR880002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65 1982-01-09
JP136582A JPS58119091A (ja) 1982-01-09 1982-01-09 警報報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32B1 true KR880002632B1 (ko) 1988-12-07

Family

ID=1149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011A KR880002632B1 (ko) 1982-01-09 1983-01-04 경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19091A (ko)
KR (1) KR880002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553B2 (ja) * 1985-08-19 1994-07-06 アイホン株式会社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5398A (en) * 1977-10-13 1979-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Alarm system
JPS5619193A (en) * 1979-07-25 1981-02-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larm annunci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19091A (ja) 198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169B1 (ko) 사용자 제어 정의 기능을 가지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
FI100288B (fi) Televisiovastaanotin
KR920003288A (ko) 오디오-비쥬얼 시스템
JPS63290098A (ja) 学習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JP2011120294A (ja) 汎用遠隔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880002632B1 (ko) 경보장치
KR950020684A (ko) 브이씨알(vcr)의 티브이 작동제어장치 및 방법
KR940023079A (ko) 카 오디오 시스템 연결장치
EP0113533B1 (en) Television receiver
GB2183377A (en) Remote control of electrical appliances
JPH05500139A (ja) 遠隔操作装置
KR940002473B1 (ko) 다기능 홈오토메이션 확장보드
KR20090076627A (ko) 가상의 ir/rf리모콘을 통해 학습된 rf리모콘을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00033707A (ko) 가전제품 통합 제어장치
KR960006671A (ko) 리모콘 송신기의 송신 범위 표시 장치
KR960012913B1 (ko) 리모콘을 이용한 텔레콘트롤 시스템
KR19990013212U (ko) 리모콘의 위치 표시 장치
KR960006854A (ko)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전기밥솥 제어장치
JPH06133375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960006676A (ko)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전원 개폐 제어 장치
KR970004638A (ko) 홈오토메이션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KR960030749A (ko) 리모콘 점멸기 및 그의 작동방법
KR19990011712A (ko) 가전기기의 리모콘 호출 장치 및 방법
KR19990030971A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호출장치
KR19980064674U (ko) 무선 리모콘 위치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