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630B1 - Chain and cable connector - Google Patents

Chain and cabl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630B1
KR880002630B1 KR8201867A KR820001867A KR880002630B1 KR 880002630 B1 KR880002630 B1 KR 880002630B1 KR 8201867 A KR8201867 A KR 8201867A KR 820001867 A KR820001867 A KR 820001867A KR 880002630 B1 KR880002630 B1 KR 880002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ulley
chain
ba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9978A (en
Inventor
씨.멜더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앨버트 엘 바틀레이 주니어
엘티브이 에너지 프로덕츠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앨버트 엘 바틀레이 주니어, 엘티브이 에너지 프로덕츠 캄파니 filed Critical 앨버트 엘 바틀레이 주니어
Publication of KR83000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9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07Semi-submersibles; Small waterline area multiple hull vessels and the like, e.g. SW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Abstract

In an anchoring system for a floating structure, a fair-lead sheave (16) and a connector (17) of a wire rope (14) and a chain (18) are provided for use in hauling in and paying out the anchor. The sheave has a V-shaped groove whose max. effective width is almost same with the width of the chain. The connector is formed into a truncated cone shape to be matched with the V-shape groove over its whole length and has a vale (30) at the end portion of the large diam. of the truncated cone. Both surfaces normal to the vale are cut out from the brim of the large diam. of the truncated cone to form concave surfaces, such that the chain link is well fitted with the vale and extend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to the sheave.

Description

활차 연결기 조립체Pulley coupler assembly

제1도는 본 발명의 페어 리이드(fair-lead) 활차 및 연결기를 사용하여 고정된 반잠수식 시추 장비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semi-submersible drilling equipment secured using the fair-lead pulley an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페어 리이드 활차 및 그 지지 구조물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irlead pulley and its supporting structure.

제3도는 케이블 및 체인이 페어리이드 활차 위을 지날 때에 그 피치(pitch)직경을 나타내는 페어리이드 활자 및 지지 구조물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a fairlead type and support structure that exhibits a pitch diameter as the cable and chain pass over the fairlead pulley.

제4도는 활차 정면과 연결기의 일측벽을 정면도로 나타내고 활차내에 지지된 케이블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활차를 따라 취한 부분도.4 is a partial view taken along the pulley showing the front side of the pulley and one side wall of the connector in front view, and showing the cable supported in the pulley in cross section.

제5도는 제4도의 선 5-5에 따른 도면.5 is a view along line 5-5 of FIG.

제6도는 제4도의 선 6-6에 따른 도면.FIG. 6 is a view along line 6-6 of FIG.

제7도는 제4도의 선 7-7에 따른 본 발명의 연결기 및 활차의 부분 확대 단면도.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nd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line 7-7 of FIG.

제8도는 활차홈의 일측면, 상기 요구부내에 지지되는 케이블 및 연결기를 도시하고, 활차의 외측 주연부에서 체인이 활차에 의해 지지되어 활차를 따라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FIG. 8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pulley groove, a cable and a connector supported in the request portion, and showing how the chain is supported by the pulley and moved along the pulley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제9도는 본 발명의 연결기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홈의 바닥으로 부터 외측으로 연결기의 일측벽을 도시하고, 홈 내에 지지되는 연결기 및 와이어로우프를 활차의 정상에 중복시켜 선 5-5 및 선6-6을 따른 정단면으로 도시하고, 연결기의 임의의 단면에서 취한 홈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와 같이 결정된 단면에서의 연결기의 직경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는, 활차 및 연결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제4도와 유사한 설계용 도면.10 shows one side wall of the connector from the bottom of the groove to the outside, and the connector and the wire rope supported in the groove are overlapped at the top of the pulley and shown in a cross section along lines 5-5 and 6-6, For design similar to FIG. 4, which shows an enlarged pulley and coupler,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grooves taken in any cross section of the connector an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iameter of the connector in the cross section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drawin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시추선 11 : 활차 브래킷10: drilling line 11: pulley bracket

13 : 기둥 14 : 와이어 로우트13: pillar 14: wire float

16 : 활차 17 : 연결기16: pulley 17: connector

18 : 체인 19, 21 : 플랜지18: chain 19, 21: flange

22, 23 : 벽 24 : 홈22, 23: wall 24: home

25 : 구명 26 : 절두원추형표면25: Lifesaving 26: frustoconical surface

30 : 베일30: veil

본 발명은 페어리이드 활차 상에서 연결기에 고정된 와이어 로우프 및 케이블을 반송하는 페어리이드 활차 및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irlead pulley and connector for carrying wire ropes and cables secured to the connector on the fairlead pulley.

특수한 페어리이드 활차 및 연결기들은 와이어 루우프를 체인에 연결하여, 와이어 루우플 감거나 풀때 페어리이드 활차 상에서 이들 와이어 로우프 및 체인을 반송하는데, 만족스럽게 사용되어 왔다. 활차 및 연결기의 일 형태는 1974년 10월 22일자 공고된 우드크(wudtke)의 특허 제3,842,776호에 기재 되어 있다. 이 장치는 워싱톤, 세드로 울리의 사기트 코포레이숀에서 발행된 "사기트 계류 시스템"이라는 제목의 소책자에 설명된 형태로 만족스럽게 사용되어 왔다. 미합중국 특허 제3,977,181호 에는 케이블 및 체인사이에 사용되는 만능이음 연결기가 기재되어 있다. 위 구조에서는 활차와 계합되고 와이어 로우프의 꼬임 손상을 방지하는 볼록한 볼형태 단면을 갖는 연결기를 사용한다.Special fairlead pulleys and couplers have been satisfactorily used to connect wire loops to the chain and to carry these wire ropes and chains on the fairlead pulley when the wire loops are wound or unwound. One form of pulleys and couplers is described in Wudtke Patent No. 3,842,776, issued October 22, 1974. The device has been used satisfactorily in the form described in a booklet titled "Sagit Mooring System," published by Szaud Woolley, Washington, MD. U.S. Patent No. 3,977,181 describes universal joint connectors for use between cables and chains. The above construction uses a connector with a convex ball-shaped cross section that engages the pulley and prevents twisting damage of the wire rope.

상기 구조물을 크기가 너므 크고 체인과 케이블을 다루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활차를 사용한다. 긴 길이의 무거운 체인을 페어리이드 활차로 다툴 경우에는 큰 힘이필요하므로 상기 우드크의 특허에 기재된 형태가 필요하다. 특정 경우에는 배를 계류시키는데 적절한 고정 중량을 지탱할 수 있는 비교적 큰 직경의 짧은 길이의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가 있다. 짧은 길이의 체인을 사용할 경우에는 우드크의 특허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힘이 강하지 않아, 이러한 상황에서 와이어 로우프 및 체인을 다루기 위해서는 소형의 간단한 구조의 페어리이드 활차 및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ucture is large in size and uses pulleys designed specifically for handling chains and cables. The heavy chains of long lengths require a large force in the fairlead pulleys and therefore require the shape described in the Woodk patent. In certain cases it may be desirable to use short chains of relatively large diameter capable of supporting a fixed weight suitable for mooring the vessel. The use of shorter chains is less powerful than using Wood's patent, and in this situa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compact, simple pair of fairlead pulleys and connectors for handling wire ropes and chains.

본 발명의 목적은 활차상에서 반송되는 와이어 로우프 및 체인을 연결 시키는 연결기 및 페어리이드 활차를 비교적 소형으로 하여 페레이리드 활차에 필요한 중량과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weight and space required for a ferreid pulley by making the connector and the fairlead pulley for connecting the wire rope and the chain conveyed on the pulley relatively sm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차 홈이 대체로 V-형 구조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와이어 로우프 연결기 및 체인을 지지하도록 하여 따라서 우드크의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체인을 지지하도록 하여 활차홈의 바닥 형태가 감소된, 활차 상에서 체인 및 와이어 로우프가 통과할 수 있는 페어이드 활차 및 연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invention is that the pulley grooves extend radially in a generally V-shaped structure to support the wire rope connectors and the chain and thus to support the chain in the manner as described in Woodk's patent. To provide a paired pulley and a connector through which the chain and wire rope can pass on the pulley, which is reduc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기가 활차와 거의 전길이를 따라 지지되고 적합하게는 활차의 전길이를 따라 지지되는 체인 및 와이어 로우프용의 페어리이드 활차 및 연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irlead pulley and connector for chain and wire ropes in which the connector is supported along the full length of the pulley and suitably along the full length of the pulle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체의 구조로 되어 있는 연결기를 제공하고, 활차는 체인, 와이어 로우프 및 연결기를 로우프에 손상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권취각도와는 관계 없이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having a unitary structure, and the pulley is to allow the chain, the wire rope and the connector to pass through irrespective of the winding angle without damaging the rop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 로우프, 체인 연결기 및 체인을 다루는데 와이어 로프 활차를 사용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wire rope pulleys for handling wire ropes, chain connectors and chai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차가 경부하 하에 체인을 통과시키고 와이어 로우프의 사용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상태에서 와이어 로우프를 그 파괴강도까지로 하여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임의의 권취각에서 활차 상을 통과할 수 있는 체인 및 와이어 로우흐의 연결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lley at any winding angle while allowing the pulley to pass through the chain under light load and to pass the wire rope up to its breaking strength without exhibiting an effect on the service life of the wire rope. It is to provide a connection of chain and wire ropes that can pass through the pha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차 및 연결기의 형태가 일치하도록 되어 있고 짧은 베일(bail)에 결합된 연결기의 소켓상에 고하중을 인가하여 소켓이 활차내에 있을때 와이어 로우프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베일이 측하중을 지지하도록 되어진 페어리이드 활차 및 연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tch the shape of the pulley and the connector and to apply a high load on the socket of the coupler coupled to the short bale so that the bale has a side load so as not to damage the wire rope when the socket is in the pulley. To provide fairlead pulleys and connectors that are intended to be suppor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기가 단일체의 구조로 되어 있고 활차내를 통과 할때 그 종축 방향에 대한 소켓의 방위가 한정되지 않는 와이어 로우프 및 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 및 페어리이드 활차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nd a fairlead pulley for connecting a wire rope and a chain in which the connector has a unitary structure and the orientation of the socket with respect to its longitudinal axis is not limited when passing through the pulley.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차내의 체인의 방위가 체인이 활차내를 통과할 때 한정되지 않는 와이어 로우프 및 체인을 연결하는 연결기 및 페어리이드 활차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nd a fairlead pulley for connecting the wire rope and the chain, the orientation of the chain in the pulley is not limited when the chain passes through the pulle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기의 크기가 연관되는 체인에 비해 통로용 간격을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페어리이드 활차 및 연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irlead pulley and a connector that no longer requires a gap for passage as compared to the chain with which the size of the connector is associa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같은 크기의 와이어 로우프 및 체인을 다룰때 종전 시스템에 비해 크기가 감소된 페어리이드 활차 및 연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irlead pulley and a connector which are reduced in size compared to conventional systems when dealing with wire ropes and chains of the same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동일 번호는 동일 부분을 표시한다.The drawings illustrate exemplary forms of the invention, wherein like numerals indicate like parts.

제1도에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반잠수식 시추선(10)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예컨대 페어리이드 활차와 같은 활차 위로 와이어 로우프 및 체인을 다같이 반송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도 또는 제3도에 도시된 활차 및 이에 연관된 지지 구조는 반잠수식시추선(10)에 사용될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11)로 표시한 브래킷(bracket)은 시추선의 기둥 또는 다리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브래킷들 및 활차들은 제2도 및 제3도에 수평 상태로 도시하여 사람의 형상과 비교하였다. 그러나 사용시에 브래킷(11)은 반잠수식 시추선(10)의 기둥(13)과 같은 기둥의 수직 부분에 부착된다. 당해 기술에 숙달된 자는 쉽게 알 수 있 듯이 각각의 앵커 선에는 별도의 페어리이드 활차를 마련하여 시추선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앵커선이 사용된다. 활차 브랫킷 및 이를 시추선의 활차에 부착 시키는 방법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며 통상적인 형태로 한다.1 shows a semi-submersible drilling vessel 10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en the wire rope and the chain are conveyed together onto a pulley, for example, a fairlead pulley. For example, the pulley shown in FIG. 2 or FIG. 3 and its associated support structure can be used for the semi-submersible drill line 10. Brackets indicated by 11 in FIGS. 2 and 3 are supported by pillars or legs of the drilling vessel. These brackets and pulleys are shown horizontally in FIGS. 2 and 3 to compare with human shape. In use, however, the bracket 11 is attached to the vertical part of the column, such as the column 13 of the semi-submersible drill line 10. As will be readily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large number of anchor lines are used to provide a separate fairlead pulley at each anchor line to secure the drilling line. The pulley bracket and the method of attaching the pulley bracket to the pulley of the drilling vessel do not constitu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 a conventional form.

제3도에는 와이어 로우프(14)가 활차 홈의 바닥 상에서 반송될때의 와이어 로우프의 관계를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며, 이후에 상술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로우프 또는 체인이 활차에 대해 권취되는 각도는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하면 180°로 권취할 수도 있다. 제3도에는 또한 활차에 대한 체인의 중심선을 선 (15)로 도시 하였으며, 체인의 중심선은 체인의 활차 주위에 권취될때 활차의 대략 주연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3 shows the relationship of the wire rope when the wire rope 14 is conveyed on the bottom of the pulley groove, and as described later, the angle at which the wire rope or chain is wound relative to the pulley is not limited. If necessary, it may be wound up to 180 °. FIG. 3 also shows the centerline of the chain with respect to the pulley as line 15, which shows the state where the chain is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periphery of the pulley as it is wound around the pulley of the chain.

(16)으로 표시된 활차는 본질적으로 와이어 로우프활차로서 활차내의 홈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17)로 표시된 연결기 및(18)로 표시된 체인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한다.The pulley indicated by (16) is essentially a wire rope pulley wherein the grooves in the pulley extend radially to provide a support for the connector indicated by (17) and the chain indicated by (18).

활차내의 홈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플랜지(19) 및(21)이 마련되어, 홈의 대향 측벽(22) 및 (23)은 서로 대칭으로 되어 있다. 홈의 바닥은 원형 또는 곡면으로 되어 있는 저부(24)로 되어 있고 이는 와이어 로우프(14)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A groove in the pulley is provided with a pair of radially extending flanges 19 and 21, and opposing sidewalls 22 and 23 of the groove are symmetric with each other. The bottom of the groove has a bottom 24 that is circular or curved, and is sized to accommodate the wire rope 14.

대향 되어 있는 벽(22) 및 (13)으로 제공되는 홈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V-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10도에는 대향 벽들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바닥(24)에 인접한 홈의 기부에서, 벽은(22a) 및 (23a)로 외측으로 확개된다. 점(22a) 및 (23a)의 상부에서 홈벽의 주 부분은 각각(22b) 및 (23b)의 상부에서 홈벽의 주요 부분은 각각(22b) 및 (23b)에서 약간 내측으로 경사진다. 다시 말하면, 홈의 기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플랜지(19) 및 (21)은 측벽에 부가적인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두께가 약간 두껍게 되어 있다. 측벽(22b) 및 (23b)의단면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개된 평면을 따라 활차의 단부들 근처까지 연장되며, 활차의 단부들은 유연한 진입면을 제공하기 위해 표면(22c)및 (23c)에서 곡면으로 되어 있다. 표면(22c) 및 (23c)를 제공하는 점의 내측에서 홈(24)에 근접되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측벽(22) 및(23)은 연결기(17)에 효율적인 지지면을 제공한다. 홈은 외측으로 연장되나, 연결기에 계합되는 상기 부분의 하부인 흠의 부분은 연결기를 지지하기 않는다. 따라서, 연결기의 최대 직경에서 연결기를 지지하는 활차의 부분은 활차의 초대 유효 폭이라 칭한다.The grooves provided by the opposing walls 22 and 13 have a generally V-shaped structure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opposing walls are enlarged in FIG. At the base of the groove adjacent to the bottom 24, the wall extends outwardly to 22a and 23a. At the top of points 22a and 23a the main part of the groove wall at the top of 22b and 23b respectively is inclined slightly inward at 22b and 23b, respectively. In other words,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base of the groove, the flanges 19 and 21 are slightly thicker in order to provide additional strength to the side walls. The cross-sections of the side walls 22b and 23b extend near the ends of the pulley along the enlarged plane as shown in FIG. 10, the ends of the pulley having surfaces 22c and ( 23c) is curved. Sidewalls 22 and 23 extending inwardly close to the grooves 24 at the interior of the points providing surfaces 22c and 23c provide the connector 17 with an efficient support surface. The groove extends outward, but the portion of the flaw that is below the portion that engages the connector does not support the connector. Thus, the portion of the pulley that supports the connector at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nector is referred to as the super effective width of the pulley.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기(17)의 상당 부분이 활차의 최대 유효폭으로부터 홈의 저부로 내측을 향하여 활차와 게합된다. 이 계합상태는 연결기(17)의 전길이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향된 벽(22) 및(23)은 부분(22a)및 (23a)에서 일정 각으로 확개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부분(22b) 및(23b)에서 일정 각으로 확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connector 17 engages the pulley inward from the maximum effective width of the pulley toward the bottom of the groove. This engaged state is preferably mad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onnector 17. To facilitate fabrication, opposing walls 22 and 23 are allowed to extend at constant angles in portions 22a and 23a and likewise extend at constant angles in portions 22b and 23b. It is good.

연결기(17)의 구조는 대략 절두원추형이며 그 대구경 단부는 호형 베일(30)으로 되어 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결기에 구멍(25)를 마련하는데, 이 구멍은 소구경 단에서 대구경 단으로 대체로 확개된 상태로 되어 있어 연결기가 로우프 소켓 역할을 하도록 하고 와이어 로우프(14)가 연결기 구멍(25)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일면으로부터 90°인 평면상에 마련되는 측벽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5)에서 확개된다. 구멍의 벽의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베일과 접촉되는 부분(25a)는 제10도의(25a)에서 실선 및 점선으로 표시한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된다.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17 is approximately truncated conical and its large diameter end is formed into an arc-shaped bale 30. A hole 25 is provided in the connector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hole being generally expanded from the small diameter end to the large diameter end so that the connector serves as a rope socket and the wire rope 14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le 25. To be fixed in a conventional manner. Sidewalls provided on a plane 90 ° from the bale surface are enlarged in the holes 25 as shown in FIG. In order to provide the strength of the wall of the hole, the portion 25a in contact with the bale extends parallel to the centerline indicated by solid and dashed lines in FIG.

연결기의 절두 원추형 표면(26)은 전 길이에 걸쳐 약간 오목하게 되어 있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17)의 전길이가 활차의 측벽(22)및 (23)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The truncated conical surface 26 of the connector is slightly concave over its entire length, such that the full length of the connector 17 is supported by the sidewalls 22 and 23 of the pulley as shown in FIG. .

본 발명에 따르면, 제7도의(26a)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기는 연결기의 대구경 단부에서 홈의 측벽과 접촉하게 되어 있고, 이 접촉상태는 연결기의 최단 대구경부로 부터 상당한 거리로 연장된다. 제7도에 도시한 점(26a)는 연결기의 최3대직경부이다(제10도 참조). 베일 상에서 작용하는 체인이 짧은 모멘트 아암을 통해 작용 할때, 연결기는 그 대구경 단부 주위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는 대구경 단부가 활차내에서 연결기의 방위에 따라 점(26b)주위에 점(26a)로 표시되는 열결기의 벽을 포함하게 됨을 의미한다. 연결기가 그 대구경 단부에 대하여 회전을 하려는 경향은 이점에서의 마모를 유발하고 마모표면을 크게하므로, 연결기가 그 대구경 단부로 부터 그 소구경 단부를 향해 연장된 상당한 거리를 따라 활차의 벽에 접촉되게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마모지역의 범위는 마모된 부분이 적으면 많은 마모가 발생하고 마모 지역이 크면 마모가 적게 발생하므로 위험하지는 않다. 연결기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의 전 길이에 걸쳐 활차홈의 측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연결기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연결기의 직격은 연결기의 길이를 따른 여러 점에서 결정되고, 연결기는 상기 정확한 치수로 가공되거나 또는 정확한 치수로 나타내지는 유연한 곡선으로부터의 미세한 편차를 갖도록 하여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일정한 곡률을 따르지 않도록 연결기의 외부면을 가공한 오목한 곡선 표면에 의해 유연한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체인을 통하여 힘을 작용 시킴으로써 연결기가 그 대구경 단부에 대해 회전 이동을 하게 되면 연결기의 소구경 단에는 홈(24)로부터 이탈되려는 영향이 발생된다. 와이어 로우프(14)에 의해 작용되는 반동력은 연결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정상 작동 상태에서는 와이어 로우프(14)가 꼬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연결기의 회전을 방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wall of the groove at the large diameter end of the connector, as shown by 26a in FIG. 7, and this contact state extends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shortest large diameter part of the connector. The point 26a shown in FIG. 7 is the largest diameter portion of the connector (see FIG. 10). When the chain acting on the bale acts through the short moment arm, the coupler rotates around its large diameter end, which causes the large diameter end to point 26a around point 26b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of the coupler in the pulley. It means to include the wall of the cracker that is displayed. The tendency of the connector to rotate about its large diameter end causes wear at this advantage and increases the wear surface, thus allowing the connector to contact the pulley wall along a significant distance extending from its large diameter end toward its small diameter end. Good to do. The range of these wear zones is not dangerous because there is a lot of wear when the worn part is small and less wear when the wear area is big.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onnector such that the connector can contact the sidewall of the pulle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onnector as shown in FIG. The straightness of the coupler is determined at several points along the length of the coupler, and the coupler can provide flexibility by having a slight deviation from the flexible curve that is machined or represented by the exact dimensions, and also provides a constant curvatur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lexible surface by the concave curved surface which has machine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so as not to follow. When the connector is rotated about its large diameter end by applying a force through the chain, the small diameter end of the connector may be separated from the groove 24. The reaction force exerted by the wire rope 14 prevents the coupler from falling off and prevents the connector from rotating enough to prevent the wire rope 14 from being twisted and damaged in normal operation.

베일(30)은 가능한한 연결기의 대구경 단(26b)에 인접되도록 위치하여 그를 통해 체인으로부터의 힘이 연결기에 작용되는 모멘트 아암을 감소시킨다. 베일(30)으로 제공되는 구멍(30a)의 중심은 연결기의 대구 경부, 즉 점(26b)를 통해 연장되는 평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좋다.The bale 30 is positioned as close to the large diameter end 26b of the connector as possible to reduce the moment arm through which force from the chain acts on the connector. The center of the hole 30a provided to the bale 30 is preferably located adjacent to the large diameter of the connector, ie the plane extending through the point 26b.

점 (26b)가 되는 연결기의 절두원형추형 표면의 대구경부로부터, 연결기를 베일에 수직인 부분(27)에서 그 대구경부를 절췌하여 체인 링크와 연결기 사이의 어떠한 비교 방위에도 연결기에 대해 체인 링크가 일정한 각도로 굴절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연결기가 베일로부터의 90°각으로 위치하는 점으로부터 두개의점(2b)를 통해 연장되는 평면으로 연장될 경우에는, 링크는 베일에 수직인 평면에서 굴절되는 것보다 더 큰 각도로 베일면상에서 굴절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방향으로나 동일한 굴절을 허용하기 위해, 연결기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점(27)에서 베일로부터의 경사면 상의점(27)에서 베일로부터 90°의 각도로 절췌하여, 체인 링크의 상기 필요한 굴절을 허용하도록 한다.From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connector, which is point 26b, the large diameter portion is excised at the portion 27 perpendicular to the veil so that the chain link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at any comparative orientation between the chain link and the connector. Provides a space that can be refracted at a constant angle. When the connector extends from a point at 90 ° angle from the bale to a plane extending through two points 2b, the link bends on the bale plane at an angle greater than that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bale. Can be. Thus, in order to allow the same deflection in any direction, the connector is excised at an angle of 90 ° from the bale at point 27 on the inclined plane from the bale at points 27 shown in FIGS. To allow for the necessary refraction of the link.

점(26b)로 표시한 연결기의 최대 직경은 곡률(22c) 및 (23c)가 시작되는 지점 부근에서의 활차의 측벽(22) 및 (23)사이의 최대 유효거리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활차는 연결기를 점(26b)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앞서 지적한바와 같이 활차의 측벽은 큰 치수로 연장될 수 있으나, 부가적인 활차의 벽은 연결기를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치 않다. 체인을 지지하는 부가적인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러한 지지부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nector, indicated by point 26b, is preferably equal to the maximum effective distance between the sidewalls 22 and 23 of the pulley near the point where curvature 22c and 23c begins. Thus, the pulley can support the connector outside point 26b. As noted above, the sidewalls of the pulley may extend in large dimensions, but the additional pulley walls are not necessary because they do not support the connectors. Additional support for supporting the chain may be provided but such support is not necessary.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기의 최대 직경부, 및 베일 구멍(30a)의 중심은 활차의 최대 유효 폭상에 있게된다. 제10도에서 연결기가 90°회전하면 연결기의 최대 직경점(26b)는 곡률(23c)가 시작되는 곳으로부터 내측에서 홈과 접촉하게 된다. 연결기는 와이어 로우프(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으나, 이러한 연장의 결과는 베일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차의 최대 유효 폭으로부터 좌측으로 더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체인이 그를 통해 힘을 인가하는 모멘트 아암을 증가시키는데, 이 불필요한 것이므로 따라서 연결기의 최대 구경부는 활차의 최대 유효폴라 동일하여, 베일이 가능한한 상기 부분에 최대로 접근되도록 하고 그를 통해 연결기에 힘을 작용시키게 되는 모멘트 아암을 최소로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nector and the center of the bale hole 30a are on the maximum effective width of the pulley. In FIG. 10, when the connector rotates by 90 °, the maximum diameter point 26b of the connect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ove inward from where the curvature 23c begins. The connector may extend further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wire rope 14, but the result of this extension is that the bale moves further to the left from the maximum effective width of the pulley, as shown in FIG. This also increases the moment arm at which the chain applies force through it, so that the maximum aperture of the coupler is therefore equal to the maximum effective polar of the pulley so that the bale is as close to the part as possible and forces the connector through it. Minimize the moment arm that acts.

활차 및 연결기의 크기는 사용할 체인과 연결기의 크기에 따라 결정한다. 활차 기부의 홈(24)는 통상적인 상태로 와이 로우프를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연결기의 최대 직경은 체인(18)의 링크의 폭과 겅의 동일하게 한다. 이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차 주위로 반송되는 체인의 중심선이 대략 활차의 주연부와 일치되게 한다. 이러한 치수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므로, 체인보다 적을 경우에는 홈 내에 깊이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체인의 폭은 홈의 폭보다 넓지 않게 하여, 체인이 홈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체인의 폭은 홈의 최대 유효폭 보다는 작게하나, 홈의 폭 보다 넓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능한한 크게 하는 것이 놓다. 체인 및 연결기(17)사이에 연결 링크를 사용하고 이 링크를 홈의 폭보다 더 크게할 수 있으나, 이 링크는 홈보다 클 경우에도 체인에 의해 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size of the pulley and the coupler depends on the size of the chain and the coupler to be used. The groove 24 of the pulley base has a form that can accommodate the wire rope in a normal state.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nector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link of the chain 18. This allows the centerline of the chain conveyed around the pulley to approximately coincide with the periphery of the pulley as shown in FIG. This dimension is not limiting, so that if less than the chain, it can be deeply located in the groove. The width of the chain is no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so that the chain can be located in the groove. The width of the chain is smaller than the maximum effective width of the groove, but as large as possible within the range no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A connecting link can be used between the chain and the connector 17 and this link can be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but this link is held in place by the chain even when larger than the groove.

제8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링크는 활차의 최대 유효폭에서 활차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결기의 면(27)들은 절췌하여 링크가 연결기(17)의 어떠한 방위에서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을 권취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As can be seen in FIG. 8 the connecting link extends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ulley at the maximum effective width of the pulley, and the sides 27 of the coupler are cut out so that the link can extend in this way in any orientation of the connector 17. To be able. Therefore, the winding angle of the system is not limited.

제10도는 임의의 점에서 연결기의 직경이 연결기의 절두 원추형 표면(26)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제10도를 참조하여 보면, 활차의 중심에 그 중심이 있는 호(28)은 중심선(29)에 대해 도시하였다. 수평선(32)는 중심선(29)로부터 선5-5사의 점(31) 까지의 곡선으로 되어 있다. 제10도의 선6-6에 따라 취한 활차 훔의 내벽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29)로부터 호(28)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점(33)에서 활차 측벽(22)와 만난다. 수평선(33)는 호(28)상의 점(31)에서 중심선(29)를 향하여 연장된다. 수직선(35)는 점 (33)에서 항향으로 연장되어 선(34)와 만나, 중심선(29)에 평행한 활차 벽을 통과하는 평면상에서 활차 벽상에 점(36)을 형성한다. 상기 평면은 제10도에 도시된 단면 5-5로 된다. 다수의 점들을 설정함으로써, 제10도에 (37)로 표시한 바와 같이 활차 벽의 형태를 단면선 5-5로 표시되는 면상에서 연결기의 중심선(38)에 직각인 상태로 나타낼 수가 있다. 다음에 선(37)과 접촉되고 와이 로우프(14)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39)를 작도하여 연결기의 중심선에서 원(39)를 가로지르는 거리, 즉 점(41)에서 점(42)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연결기의 필요한 직경을 결정하게 된다.10 shows that at some point the diameter of the connector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truncated conical surface 26 of the connector. Referring to FIG. 10, an arc 28 with its center at the center of the pulley is show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29. The horizontal line 32 is a curve from the centerline 29 to the point 31 of line 5-5 yarn. The inner walls of the pulley humb taken along line 6-6 of FIG. 10 exten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arc 28 from the centerline 29 as shown and meet with the pulley sidewall 22 at point 33. Horizontal line 33 extends toward centerline 29 at point 31 on arc 28. Vertical line 35 extends in direction at point 33 and meets line 34 to form point 36 on the trochlear wall in a plane passing through the trochlear wall parallel to centerline 29. The plane has a cross section 5-5 shown in FIG. By setting a plurality of points, as shown by (37) in FIG. 10, the shape of the pulley wall can be represent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38 of the connector on the plane indicated by the section line 5-5. Next, construct a circle 39 in contact with the line 37 and having a center coincident with the center of the wire rope 14 to cross the circle 39 at the centerline of the connector, i. By measuring the distance to 42), the required diameter of the connector can be determined.

상기 방법에서 연결기의 직경은 연결기의 전길이를 따른 격설된 위치에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격설된 점들은 연결기의 외측 표면(26)의 필요한 형상을 제공하도록 연결 된다. 전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점들은 일정한 곡률을 따라 위치하지 않으며, 필요하면 상기 점들은 유연한 곡선의 오목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전개될 수도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 연결기의 중심선은 상기 홈의 기부에 접선인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대한 접선이 되고 연결기에 부착되는 와이어 로우프의 반지름 만큼 그로부터 격설된다.In this method the diameter of the connector can be determined at an accumulated position along the full length of the connector and the stacked points are connected to provide the required shape of the outer surface 26 of the connector. As noted above, the points are not located along a constant curvature and, if desired, the points may be developed to provide a smooth curved concave surface. By this process the centerline of the connector is tangent to a plane parallel to the plane tangential to the base of the groove and spaced therefrom by the radius of the wire rope attached to the connector.

전기한 본 발명의 설명과 기재 사항은 본 발명을 예로서 설명한 것이며, 크기와 형 및 재료, 구조의 상세한 부분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서 가변적으로 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and the size, shape,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details thereof may be var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an be.

Claims (9)

사용할 체인의 폭과 홈의 최대 유효폭이 대략 동일한 V-형 홈을 갖는 활차, 및 연결기의 중심선이 상기 홈의 저부에 접선인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상에 있고 상기 연결기에 부착되는 와이어 로우프의 반경만큼 그로부터 격설되는, 상기 홈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진 체인 및 와이어 로우프 연결기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기는 그 대구경 단부에 베일을 갖고 있고 절두 원추형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기는 연결기의 거의 전길이에 걸쳐 상기 홈에 계합되고, 상기 연결기의 최대 직경은 상기 홈의 최대 유효폭과 대략 동일하고, 상기 베일에 직각인 그 측면들에서의 상기 연결기의 대구경 단부를 대항면들에서 절췌하여 체인 링크가 상기 베일에 부착되도록 하고 연결기 및 체인의 어떠한 비교 회전에서도 대략 그 최대 유효폭에서 활차에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 pulley having a V-shaped groove with approximately the width of the chain to be used and the maximum effective width of the groove, and the radius of the wire rope attached to the connector and in a plane parallel to the plane tangential to the bottom of the groove Consisting of a chain and wire rope connector adapted to be located in the groove, which is spaced therefrom, the connector having a veil at its large diameter end and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e, the connector having the groove over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connector. And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nector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maximum effective width of the groove and the large diameter end of the connector at its sides perpendicular to the bale is cut away from the opposite sides so that the chain link is attached to the bale. Any comparative rotation of the coupler and the chain in tangential direction to the pulley at approximately its maximum effective width And extend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이 호형이고, 그 중심이 연결기의 최대 직경에서 연결기를 통과하 평면상에 위치하는 체인 링크 수납 구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2. A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le is arc-shaped, the center of which forms a chain link receiving hole positioned on a plane below the connector at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nec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기의 소구경단에 고정된 와이어 로우프 및 상기 베일에 고정되고 그 중심선은 활차의 최대 유효 폭과 대략 일치하는 상태에서 활차에 의해 반송 및 지지되고 그 폭은 상기 베일에 고정된 연결기의 최대 직경과 대략 일치하는 체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 The wire rop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ire rope fixed to the small diameter end of the connector and the center line are conveyed and supported by the pulley in a state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maximum effective width of the pulley and the width thereof is And a chain combination approximately coincident with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nector secured to the bale. V-형 홈을 갖는 활차, 및 연결기의 중심선이 상기 홈의 저부에 접선인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 있고 그로부터 상기 연결기에 부착되어지는 와이어 로우프의 반경만큼 격설되는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체인 및 와이어 로우프 연결기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기는 그 대구경 단부에서 베일을 갖고 있고 그 대구경 단부에 인접한 표면이 오목한 곡면으로된 대략 절두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오목한 곡선 표면을 따라 그 대구경 단부에서 상당한 거리에서 상기 오목한 표면에 계합되어 마모 표면을 제공하고, 베일에 직각인 그 측면들에서 상기 연결기의 대구경 단부의 대향면들을 절췌하여 체인 링크가 상기 베일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활차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 pulley having a V-shaped groove, and a chain and a wire rope located in the groove where the centerline of the connector is in a plane parallel to the plane tangential to the bottom of the groov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radius of the wire rope attached to the connector therefrom. Consisting of a connector, the connector having a veil at its large diameter end and having a concave curved surface with a concave surface adjacent to the large diameter end, the groove being substantially at a distance from its large diameter end along the concave curved surface. Engages the concave surface to provide a wear surface, cuts opposing surfaces of the large diameter end of the connector at its sides perpendicular to the bale to allow the chain link to attach to the bale and extend tangentially to the pulle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 체의 전체 절두 원추형 외부벽이 오목한 곡선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5.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entire truncated conical outer wall of the body is a concave curved surface.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의 형태가 호형으로 되어 있고 그 중심이 대략 연결기의 최대 직경을 통과흔 평면상에 위치하는 체인 링크를 수납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 The device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bale is shaped like an arc and forms a hole for receiving a chain link whose center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plane of the passage through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nector.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연결기의 소구경단에 고정된 와이어 로우프, 및 활차상으로 반송되고 활차에 의해 지지되며 그 폭이 상기베일에 고정된 연결기의 최대 직경과 대략 비슷한 체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 A combination according to claim 4 or 5, comprising a wire rope fixed to the small diameter end of the connector, and a chain that is carried on the pulley and supported by the pulley and whose width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nector fixed to the bal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체인 및 케이블 연결기에 있어서, 관통된 구멍이 있고 그 대구경 단에 베일을 갖는 대체로 절두 원추형인 보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대체로 오목한 외부벽은 오목한 곡면으로 제공되고, 상기 베일은 호형으로 되어 있고 그 중심이 본체의 최대 직경부를 통과흔 평면 내에 위치하는 체인 링크 수납공을 형성하고, 상기 베일에 직각인 그 측면들에서 상기 연결기의 대구경단을 대항면에서 절췌하여 체인 링크가 상기 베일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체인 링크가 연결및 체닌 링크의 어떠한 비교 방위에서도 연결기에 대해 대략 비슷한 각도로 굴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및 케이블 연결기.In a chain and cable connector, it consists of a generally truncated conical complement with a perforated hole and a bale at its large diameter end, the generally concave outer wall of the body being provided with a concave curved surface, the bale being arcuate and The center forms a chain link receiving hole located in the plane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main body, and at its sides perpendicular to the bale, the large diameter end of the connector is cut from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chain link can be attached to the bale. And cause the chain link to be deflected at approximately a similar angle to the connector in any comparative orientation of the linkage and the Chenin link. 제6항에 있어서, 연결기의 소구 경단에 고정된 와이어로우프, 및 활차상으로 반송되고 활차에 의해 지지되며 그 폭이 상기 베일에 고정된 연결기의 최대 직경과 대략 비슷한 체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 A wire rope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wire ropes fixed to the globule end of the coupler, and a chain conveyed onto the trolley and supported by the pulley, the width of which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upler fixed to the bale. Device.
KR8201867A 1981-04-30 1982-04-28 Chain and cable connector KR8800026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916881A 1981-04-30 1981-04-30
US259168 2002-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978A KR830009978A (en) 1983-12-24
KR880002630B1 true KR880002630B1 (en) 1988-12-07

Family

ID=2298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867A KR880002630B1 (en) 1981-04-30 1982-04-28 Chain and cable connector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S57194179A (en)
KR (1) KR880002630B1 (en)
CA (1) CA1275164C (en)
DE (1) DE3216228A1 (en)
FR (1) FR2505005B1 (en)
GB (1) GB2097886B (en)
NO (1) NO155256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9980A1 (en) * 1994-09-29 1996-04-04 Maxwell Winches Limited A winch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63422A (en) * 1930-09-24 1931-12-24 Stothert & Pit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nections for wire ropes
FR752531A (en) * 1932-03-16 1933-09-25 Demag Ag Cable seal
FR794363A (en) * 1934-11-23 1936-02-14 Ball joint connection device for lifting device cables and other applications
BE786448A (en) * 1971-07-20 1972-11-16 Nemag Nv TERMINAL CONNECTION FOR A STEEL CABLE OR THE LIKE
JPS5549993Y2 (en) * 1976-09-01 1980-11-20
JPS5445678U (en) * 1977-09-02 1979-03-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05005A1 (en) 1982-11-05
GB2097886B (en) 1984-11-14
GB2097886A (en) 1982-11-10
DE3216228A1 (en) 1982-11-18
NO821034L (en) 1982-11-01
KR830009978A (en) 1983-12-24
NO155256C (en) 1987-03-04
JPS57194179A (en) 1982-11-29
CA1275164C (en) 1990-10-16
FR2505005B1 (en) 1989-06-23
NO155256B (en) 198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5093A (en) Chain-wire rope anchoring systems and anchoring systems and connectors therefor
JP3418397B2 (en) Rope end coupler for synthetic ropes
US5779226A (en) Anchoring system
US4497471A (en) Assembly on a chain sheave/chain-rope system
US4841898A (en) Anchoring system for floating structure
US4248549A (en) Apparatus for anchoring a platform at an offshore location
US20140026797A1 (en) Self-aligning socket for mooring cable
KR880002630B1 (en) Chain and cable connector
EP0153007A2 (en) Wire rope to chain connector to anchoring systems
US2238398A (en) Line spooler
US4411132A (en) Wire rope to chain connector for anchoring systems
US4683834A (en) Wire chain connector
EP0079631A1 (en) Single-point ship mooring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s
TW202147728A (en) Spatially displaceable line guiding device and rolling unit and guide body for same
CA2124103A1 (en) Marine Hoisting Device and Method
KR920007732B1 (en) Fairlead
US4836125A (en) Anchoring system for floating structure
BR0301976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t least two transfer ducts connected between at least two work platforms, beam of transfer ducts for work platform and method of installing transfer ducts between a pair of work platforms.
US5863029A (en) Swivelably mounted rope guide for guiding a rope onto and off of a winding drum
CA2137867A1 (en) Aerial storage unit for fiber optic cable
US6297453B1 (en) Cable protector
JPS60223794A (en) Guide apparatus for cable
EP0152975B1 (en) Mooring device
SU1219848A1 (en) Rope transmission
US3978677A (en) Method of starting and laying submergible elongate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