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70B1 - 정보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70B1
KR880002170B1 KR8204597A KR820004597A KR880002170B1 KR 880002170 B1 KR880002170 B1 KR 880002170B1 KR 8204597 A KR8204597 A KR 8204597A KR 820004597 A KR820004597 A KR 820004597A KR 880002170 B1 KR880002170 B1 KR 880002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ignal
address
preambl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183A (ko
Inventor
드웨인 펜넬 로버트
제이 위들러 알렌
프랭클린 발레이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빈센트 죠셉 로너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센트 죠셉 로너,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빈센트 죠셉 로너
Publication of KR84000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5Selective call encoders for paging networks, e.g. paging centre devices
    • H04W88/187Selective call encoders for paging networks, e.g. paging centre devices using digital or pulse address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인코드된 메세지 시스템에 대한 타이밍 다이어그램.
제 2 도는 본 발명의 하드웨어 실시예의 기능적 블럭 다이어그램.
제 3 도는 제 2 도의 다이어그램에 대한 기능을 나타내는 상태 다이어그램.
제 4 도는 본 발명의 휨(firm)웨어 실시예의 기능적 블럭 다이어그램.
제 5 도는 제 4 도 일부의 전기적 개략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훰웨어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어 논리 회로 107 : 키보드
109 : 키보드 디코더 115 : 선택기
117 : 보이스 저장 유니트 123 : 토크 라이트
129 :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
종래 기술의 메시지 시스템은 개별 수신기의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코드화된 신호 검출에 따르는 일반적인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일부 종래 기술의 디지탈 코딩 시스템은 복수개의 수신기들이 시적절한 근거에 입각하게 하는 것에 의해 동작하여 디지탈워드의 존재를 찾아 수신기가 가능한 메시지의 검출을 위한 온 상태를 유지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밧데리 절약형의 수신기군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 따른 제한은 송신기가 위치하는 장소 또는 페이징 터미날(paging terminal)에 그룹 호출을 마련하여 임의의 복수개 페이저들이 동시에 활성화 될 수 있게 하는 편리한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는 또 다른 제한은 페이징 수신기가 경보 시간을 제공하고 있어, 이 시각은 이후에 보이스 메시지가 검출될 수 있는 톤(tone) 및 보이스(voice) 시스템에 대해 발생한다. 개별 페이징 수신기는 보이스 메시지로서 페이지될때마다, 페이저 사용자가 경보되어 그가 차후의 오디오 메시지에 응답하게 되는 경보 시간은 이 기간중에 어떠한 다른 정보도 전송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에 있어 손실이다. 예로, 또다른 톤 및 보이스 페이저가 제 2 어드레스된 톤 및 보이스 페이저들이 경보 시간 결정시에 제 1 어드레스된 음질 및 음성 페이저에 대해 경보 시간중에 어드레스 된다면, 그것의 오디오 채널은 인에이블 되어 제 1 어드레스된 톤 및 보이스 페이저에 대한 보이스 메시지의 실질적인 부분을 채택하도록 인에이블되어 이에 의해 페이저 사용자가 수신한 메시지에 대해 십중팔구 혼란을 받게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은, 정확하게 어드레스된 모든 수신기가 조작 과정의 동시 활성화를 야기하게 된 활성 코드 신호의 검출시까지 준비 상태를 유지하도록 방송 메시지 시스템내의 활성화 코드 신호의 위치 설정을 포함한다. 비록 특정 발명이 페이징 시스템에서 실시 되었지만,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많은 다른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명백하다. 더우기, 이러한 활성 제어 신호를 사용하므로써, 특히 어드레스된 톤 및 보이스 페이저에 대해서 메시지 경보 시간 중 메시지를 인터리빙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 2 어드레스된 톤 및 보이스 페이저가 그것의 어드레스에 이어 활성 코드 신호를 수신할때 까지 활성화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 1페이지가 가변 길이의 보이스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간중에 제 2 어드레스 톤 및 보이스 페이저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또 다른 장점은 톤만을 포함하거나, 데이타와 톤 및 보이스를 포함하는 각종 메시지를 신호 시스템에 인터리브하여, 이에 의해서 전송된 메시지 시스템의 융통성이 실제로 증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된 코드화된 메시지에 대한 개선된 인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드레스된 수신기의 활성화 시간을 지정할 수 있는 인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신기 군중에서 선택된 수신기에 전자 방사에 의해 전송될 정보를 포함하는 순차 코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인코딩 장치는 상기 수신기 군중에서 최소한 한 수신기를 어드레스하도록 코드화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과, 최소한 한 어드레스된 수신기로 하여금 전송된 정보에 응답하게 하도록 어드레스 신호 다음에 활성 코드 신호를 발생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제 1(a)도는 수신기를 어드레싱하는 것과 관련하여 활성 코드 신호 사용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보통 수신기는 그들의 어드레스를 검출하여, 검출된 설정된 어드레스에 상당하는 어떤 기능에 의해서 즉시 응답한다. 이같은 것은 종래 기술에 있어 흔한 일이기는 하지만, 수신기가 수신기의 어드레스 검출에 응답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부가적인 활성 코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현저한 장점이다. 따라서 이같은 활성 제어 신호의 포함은 어떤 어드레스 수신기가 활성화되게 되는 시기를 송신기가 결정할 수 있게끔 한다.
제 1(b)도를 참조하면 더욱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수신기는 한 묶음으로 선택될 수 있는 어떤 임의의 어드레스 수의 결정에서 활성 코드 신호에 의해 수반된 순차 형식으로 일련의 어드레스를 포함함으로서 군을 이룰 수 있다. 장점은 활성 코드의 수신에 따라 수신기의 임의로 설계된 한 묶음의 수신기 중 모든 부재는 동시에 응답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로 부터, 송신기가 위치하는 곳에 있는 터미날 오퍼레이터는 수신기를 임의적으로 군을 이루게 하여 수신기가 순차적으로 동시에 활성화 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메시지 시스템에서는 물론, 복수의 동작을 동시에 원격 제어함에 있어서도 현저한 장점이 될 수 있는 많은 형태 및 형식의 신호 코드화가 본 발명에 활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나, 특정 실시예에서는 고레이(Golay) 순차 코드로서 설계된 디지탈 신호 시스템을 활용한다. 고레이 순차 코드(GSC)는 현재의 고레이 2진 페이징 형식을 기초로한 선택적 호출 페이징 원안이다. 고레이 코드에 대해서는 미합중국 콜로라도주 덴버시에 주재하는 28번 IEEE 차량협회에서 1978년 3월 22일 내지 24일 사이에 공표한 레오나드 이. 넬슨의 “휴대용 용융을 위한 선택적 신호 표시”란 명칭의 논문으로 부터 알 수 있다. 고레인 순차 코드는 혼합된 톤과, 톤 및 데이타와, 그리고 톤 및 보에스 페이징에 적응할 수 있게끔 이전의 형식으로 부터 크게 수정되어 밧데리 절약이 개선된 NRZ 2진 신호 표시 형식이다.
GSC는 페이지가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한 묶음씩 전송될 수 있게 하는 비동기성의 페이징 형식이다. 톤과, 톤 및 데이타 페이지에 대한 최대의 메시지 처리량은 묶음 전송 모드로 성취되는 반면에, 개별 호출 모드는 톤 및 보이스 페이징에 유용하다.
단일 호출 어드레스 형식은 프리엠블, 제어 워드, 어드레스 및 보이스 페이징, 활성 코드(AC)로 이루어진다. 프리엠블은 시스템의 페이저들을 군으로 분할하여, 밧데리 수명을 개선시키며, 또한 GSC 전송기를 다른 코딩 시스템으로 부터 독특하게 식별하여 채널 할당을 밧데리 수명에 저해 또는 거짓 호출 보전없이 행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워드는 프리엠블의 종료를 결정하며, 묶음 모드 디코딩용 타이밍 정보를 공급한다. 어드레스 각각의 페이저를 독특하게 식별하며 AC는 보이스 페이징에서 페이저 오디오 회로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묶음 모드 작동은 전송될 일련의 어드레스가 제어 워드를 수반하게끔 한다.
데이타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블록이 수반된 어드레스로 이루어진다. 데이타 메시지는 단일 호출 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전송되거나 묶음 전송 모드에서는 어드레스만이 레이지와 혼합된다. 어드레스 및 데이타 블록은 정확하게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어드레스 정보는 고레이(23,12) 순환 코드로 부터 선택된 워드로 구성되는 반면에 데이타 정보는(15,7) BCH 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드 된다. 어드레스 정보는 300비트/초로 전송되는 반면에 데이타 정보는 600비트/초로 전송된다.
페이저들이 밧데리 절약형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이외에, 프리엠블의 극성은 단일 호출 또는 묶음 전송 모드를 식별한다. 예로, 프리엠블 워드가 하나의 설정된 비트 극성을 지니고 전송될때, 단일 호출 모드가 식별되며, 만일 프리엠블 비트가 반전된다면, 묶음 모드가 식별된다.
제어 워드 활성 코드 및 어드레스 코드는 모두 두개의(23,12) 코드 워드가 수반된 코머(comma)의 28비트로 이루어진 두개의 워드 형식을 사용한다. 코머는 600비트/초로 전송된 1,0의 비트 역전 패턴이다. 두개의 고레이 코드 워드(워드 1 및 워드 2)는 1/2 비트 간격으로 분리된다. 1/2비트 간격의 극성은 제 2 워드의 제 1 비트와 반대일 것이며, 출발 코머 비트는 제 1 워드의 제 1 비트와 동일한 극성임에 들림없다. 제어 워드 및 할성 코드는 특정 시스템에 대해 설정된다. 제어 워드의 워드 2 및 활성 코드는 고정 워드의 역이다.
어드레스 형식은 비트수, 코머에 대한 규정 및 1/2비트 간격에 관한 제어 워드 및 활성 코드 형식과 동일하다. 어드레스 워드 2는 모드
Figure kpo00002
의 조합 및 1의 조합을 제외한(23,12) 코드 세트의 어떤 워드로 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12개의 정보 비트와 11개의 패리티 비트로 구성된 4094개의 위치를 갖는 제 2 워드가 존재한다. 제 1 워드는 고레이 코드의 100워드 부세트로 부터 선택된다. (23,12) 고레이 코드에 대한 2진 비트 패턴를 발생시키기 위해, 10진 표시 코드 워드로 변환된다. 상기 2진 표시 코드 워드는 왼쪽에 LSB로 제작성된다.
톤만의 페이지는 보이스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는 페이저 어드레스이다. 단일 호출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고 하지만, 묶음 동작 모드는 톤과, 톤 및 데이타 페이지에 대해 양호한 어드레스 전송 방법이다. 활성 코드는 일반적으로 톤만의 페이지에 사용되지는 않지만, 이것은 고 트랙픽(traffic) 기간중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확장된 묶음 모드가 고 트랙픽 기간중에 유용하다.
묶음 전송 형식은 제어 워드가 수반된 변환된 프리엠블 부터 시작하여 16개의 페이저 어드레스 또는 데이타 블록들에 까지 이른다. 도달 페이지 요청은 프리엠블 함수로서 군을 이루어 터미날 제작자 및 소비자의 임의 생각대로 어떤 시간 또는 트랙픽 토대에 맞추어 전송되어야만 한다.
단일 프리엠블 묶음내에는 16개 이상의 어드레스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된 묶음 모드는 이들 상황에 대해 예정된 것이다. 확장된 묶음 시스템은 프리엠블의 재전송을 요하지 않고 묶음 모드를 16개 어드레스의 배수들로 확장된다. 이같은 확장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터미날은 단지 제어 워드를 보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론적으로, 묶음은 무한히 확장된다. 그러나, 이때 제작기의 확장에 따라 페이지 감도에 있어 극히 미세한 저하가 초래된다.
GSC 형식은 데이타 페이지들이 톤 또는 톤 및 보이스 페이지들과 혼합될 수 있게 한다. 데이타 페이지는 한개 이상의 데이타 블록이 수반된 페이지 어드레스로 이루어진다. 데이타 블록은 어드레스 블록과 길이가 동일하며, 묶음 동작 모드에 있어서 어드레스에 자유롭게 대응될 수 있다. 단일 호출 모드는 또한 데이타 메시지에 페이저 어드레스가 수반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데이타 정보는 어드레스와 테이타 교차 부실 가능성이 최소화되게끔 600BPS로 전송된다.
제 1(c)도는 정상 보이스 페이지 형식에 대한 정상 메시지 신호 표시 과정을 타이밍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도는 프리엠블 코드 신호가 제어 워드 및 개별 페이저의 어드레스에 의해 수반된 것을 도시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페이저의 동작에 대해 정상적인 한예는, 어드레스 활성 코드를 수반하는데 활성 코드의 수신 및 검출시에 개별적으로 어드레스된 페이저가 두개의 제2경보 모드를 개시하여 페이저 사용자에게 순차 보이스 메시지의 존재를 경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변 길이의 보이스 메시지의 결정시에, 특정 실시예는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제 2 검출된 활성 제어 워드의 발생으로서 오디오 채널을 동작시키지 않는 비활성 제어 워드를 포함한다.
제 1(d)도는 묶음 형식 군 호출의 터미날 제어에 대하여 활성 제어 신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지는 몇가지 장점을 도시한 신호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제 1(d)도는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프리엠블의 변환 신호가 제어 워드 및 각종 페이저에 대해 10개의 뚜렷한 일련의 어드레스에 의해 수반된 방송 신호임을 도시한다. 프리엠블 역은 한개 이상의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지시기로서 사용되어 페이저의 수신 동작을 한개 이상의 어드레스를 찾게끔 유지하는 것이다.
페이저들이 제각기 정확하게 검출된 어드레스를 갖는 한, 그들 중 어떤 것도 아직 수신되지 않은 바와 같은 활성 코드 때문에 어떤 경보 모드를 개시하지 않게 된다. 11번째 어드레스의 결정시에, 모든 10개의 어드레스된 페이저들의 동시 활성을 야기하는 활성 코드 신호가 보내진다. 톤 및 보이스 시스템의 페이징, 메시지 호출에 대해, 모든 열개의 페이저들은 모든 열명의 사용자들에게 뒤따르게 될 보이스 메시지가 있음을 경보하는 두개의 근접한 제 2 경보 시간에 종사한다. 경보 시간의 결정시에, 방송 보이스 메시지는 모든 열개의 어드레스 페이지들에 의해 동시에 수신된다. 가변길이의 보이스 메시지 결정시에, 모든 열개의 어드레스 지정된 페이저들에 대한 오디오 채널의 불동작을 야기하고 시스템이 부가의 어드레스 및 다른 페이징 정보들을 즉시 방송할 수 있게 하는 비활성 제어 신호로서 양호한 실시예에서 표명된다. 따라서 활성 제어 신호의 사용은 임의의 한 묶음 페이저의 터미날 제어가 동시 기능을 성취할 수 있게끔 함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메시지는 터미날의 위치에 있어 동시에 한 묶음으로 임의로 선택된 복수의 페이저들에 보내질 수 있다.
제 1(e)도는 어드레스되고 활성화된 페이저에 대해 정상이 아닌 경보 시간을 활용하여, 부가적인 페이저를 활성화 하지 않고 부가적으로 어드레스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시스템에 대한 정보 전송율을 증대하는 활성 코드의 사용 장점을 도시하는 메시지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제 1(e)도는 프리엠블 신호가 제어 워드, 어드레스 1 및 제 1 페이저용 활성 코드를 수반하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활성 코드의 수신시에 어드레스 1 페이저는 근접한 두개의 제 2 경보 시간에 종사하여 페이저 사용자에게 보이스 메시지가 뒤따르게 될 것임을 경보한다. 이러한 톤 및 보이스 시스템 또는 다른 동종의 시스템에 대해 순리적으로는, 어떠한 경보 시간 지연도 이용될 수 없다. 따라서, 부가적인 정보가 전송되는 동안에 다른 상태로 가치있는 방송 시간의 두개의 제 2 손실이 존재한다. 두개의 제 2 경보 시간 동안에 제 1(e)도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리엠블 제어 워드 및 제 2 페이저에 대한 제 2 어드레스는 제 1 페이저의 동작 또는 제 2 페이저의 동작의 어떤 것에도 악영향 끼침 없이 전송될 수 있다. 제 2 어드레스의 결정시에, 송신기는 어드레스되고 활성화된 페이저 번호 1에 의해서 수신된 제 1 의 페이저에 대해 가변 길이의 보이스 메시지를 제공한다.
페이저 번호 1에 대한 가변 길이의 보이스 메시지의 결정시에, 활성 코드의 제 2 검출은 어드레스되고 구동된 페이저 1에 대한 비활성 코드로서 동작한다. 이것은 또한 제 2 어드레스 되었으나 아직 활성화된 페이저에 대한 활성 코드에 상응하며, 이에 따른 활성 코드의 제 2 전송은 제 1 어드레스되어 활성화된 페이저의 동작은 확실하게 종료하며 제 2 어드레스되고 활성화된 페이저에 대한 동작을 위한 정상의 순서를 설정한다.
정상 동작에서, 제 3 프리엠블 제어 워드의 시기를 맞추는 두개의 페이저 경보 시간 동안 두개의 제 2 어드레스가 존재하며 제 3 어드레스가 정확하게 지정되나 제 3페이저가 활성화되게끔 전송된다. 제 3 어드레스 결정 이전과 같이, 제 2 어드레스 페이저에 대한 보이스 메시지가 개시되고, 제 1 페이저에 대한 보이스 메시지와 같은 방식으로 이것은 어드레스 되고 활성화된 페이저 2로 대하여 비활성 제어로서 표명됨과 동시에 경보 순서를 개시하는 정확한 활성 코드로서 번지는 지정되었으나 아직은 활성화 되지는 않는 페이저 3에 의해 표명될 활성 모드의 제 2 발생에 의해서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전체의 메시지 정보 시스템은 송신기 시스템 오퍼레이터가 보통은 느낄 수 없는 정상적인 두개의 제 2 경보 시간을 완전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제 1(e)도로 부터 볼 수 있다.
제 1(f)도는 형식화된 터미날 군 호출로서 언급될 수도 있는 활성 코드 사용의 부가적인 변화 형태에 대한 메시지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코드 신호 군의 구성 때문에 제 1(d)도가 10개 이상의 일련의 페이저를 어드레스하는 동작을 보이는 한, 프리엠블 바아(bar) 지시를 사용하여 이같은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가 디코드될 수 있는 모드 상태로 되게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드시, 이것은 그들의 어드레스된 페이저들이 모두 동일한 비례 상태에 있어 그들이 동일한 프리엠블에 응답할 수 있게끔 됨을 나타낸다. 활성 제어 워드를 활용하는 크게 증가된 정보의 융통성을 증명하기 위해, 제 1(f)도는 군을 이루지 않은 개별 페이저가 공통의 프리엠블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상관 관계를 갖지 못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제 1(f)도는 송신기가 순차적으로 연속하는 프리엠블 1, 제어 워드 및 어드레스 1, 프리엠블 2, 제어 워드 및 어드레스 2, 프리엠블 3, 제어 워드 및 어드레스 3을 발생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순서는 순전히 임의적이며 길이는 시스템이 어느 정도의 시간을 갖고서 구동되어 활성 코드를 찾게끔 하는 것에 의존한다. 이때 송신기는 세개가 어드레스되나 아직 활성화 되지 않은 모든 페이저의 동시 활성이 실행가능한 수신기군의 완전한 임의의 군으로 되는 것에 의해 야기되게끔 하는 활성 코드를 제공한다. 활성 코드의 전송 결정시에, 세개의 모든 어드레스 페이징 수신기는 동시에 세개의 경보 모드 상태로 되며, 경보 모드의 결정시에, 세개의 모든 페이저는 세개가 어드레스되어 작동된 페이저에 대해 비활성 제어 신호를 구성하는 활성 코드의 제2발생으로 종료되는 전송된 보이스 메시지에 동시에 응답한다.
활성 제어 신호와 메시지 정보 시스템의 사용의 조합에 대해 다른 많은 변화 형태가 있다. 제 1(g)도는 세개의 톤만의 페이저, 하나의 데이타 페이저 및 보이스 페이저가 정확하게 어드레스되지는 않으나 활성화되게끔 하는 제어 워드, 세개의 정상적인 어드레스, 데이타 어드레스, 데이타 정보, 제 5 수신기에 대한 보이스 어드레스가 프리엠블 바아 신호에 수반되는 실제적으로 혼합된 시스템 동작에 대한 메시지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보통, 활성 코드는 톤만의 동작에 대해 이용되나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제 5 페이저용의 보이스 어드레스는 보이스 페이저를 경보 모드 상태로 되게끔하는 활성 코드를 수반하여 페이저 사용자가 보이스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끔 한다. 활성 코드의 수신시에 하나의 페이지를 수신하였으며, 데이타 페이지 정보 및 또한 부호화될 수 있는 차후의 데이타 정보를 이미 수신한 수신 신호를 제 1 세개의 톤만의 페이지 캐리어가 가짐을 알게될 것이다.
보이스 어드레스된 페이저에 대한 경보 시간 동안에, 9개의 부가적인 톤만의 어드레스는 하나의 등가 워드 길이보다 짧은 특정 실시예의 시스템에 대한 시간 간격을 수반하여 방송될 수 있다. 이후, 이것은 가변길이의 보이스 메시지를 수반한다. 가변 길이의 보이스 메시지는 이후 활성 코드의 제 1 수신기에 의해 활성화되어 버린 제 5 어드레스된 보이스 페이저에만 공급된다. 가변 길이의 보이스 메시지의 결정시에, 제 2 활성코드는 제 5 활성화된 보이스 페이저에 대한 보이스 채널의 동작을 종료하며, 9개의 부가적인 어드레스 톤만의 페이저를 활성화시켜 시스템에서의 어떤 시간 손실도 없게 한다.
정상적으로 톤만의 동작에 의해서 경보 신호가 일정의 기간 동안에 페이저 사용자에게 대비되어, 수신기 자체가 짧은 일정 길이의 시간 동안 경보를 발생하는 이유로 톤만의 페이지의 경우에 비활성 코드를 송신하여 메시지를 종료할 필요가 없게되는 데이타 정보 시스템에 시스템 사용자가 친밀감을 갖게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게다가, 데이타 페이저를 어드레스하고, 이에 데이타 정보 및 차례로 활성 코드가 실제로 수반되는 것에 의해 우선적으로 데이타 메시지가 어드레스되고 검출되며, 잇따라 페이저가 활성화되어 검출된 메시지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숙달된 사람들은 특히 혼합된 형태의 메시지의 중간 개입 및 이전에 어드레스된 수신기의 동시 활성에 대해 정보 전송 시스템의 정보 처리량을 증대시키는 많은 다른 변화 형태의 활성 코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동기 활성은 선택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된 페이저들에 대해 사용된 활성 코드와 상호작용하여 원거리의 위치들에 시간 순차화된 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바와 같은 기능들을 각종의 원거리 위치들에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인코더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 논리 회로(101)는 인코더를 위한 연속 논리 제어인 PLA(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어레이)를 포함한다. PLA에 대한 타이밍은 타이머(103)에 의해 제공된다. 특정 페이저의 디지탈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또한 활성 코드용 디지탈 워드를 저장하는 워드 파일은 워드 파일(105)에 의해 제공된다. 키보드(107)는 오퍼레이터가 그 페이저를 어드레스 하기를 원하는 인코더 회로를 나타내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키보드 디코더(109)는 오퍼페이터에 의해 입력된 키보드 넘버를 디코드하고, 또한 워드 파일(105)에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한다. 동시에, 키보드 디코더(109) 또한 키보드 넘버가 입력된 제어 논리 회로(101)를 통지한다. 워드 파일(105)로 부터의 2진 어드레스는 병렬 데이타 입력을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111)에 로드된다. 시프트 레지스터(111)는 워드 파일(105)로 부터 들어오는 데이타를 직렬로 클록 아웃 시킨다. 직렬로 출력된 데이타는 선택기 회로(115)를 통하여 송신기 (113)로 보내진다.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는 적당한 시간에 송신기(113)로 선택기 회로(115)를 통하여 재생시키기 위해서 마이크로폰(119) 및 증폭기(121)를 통하여 말하여진 보이스를 기록한다. 적당한 시간은 제 3 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순차 논리 제어 회로(101)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토크 라이트(talk light)(123)는 보이스 기록 유니트(117)가 기록 모드에 있을때 스피커에 지시한다. 엑스클러시브 OR 게이트(125)는 순차 제어 논리 회로(101)가 적당한 입력을 가진 엑스클러시브 OR 게이트(125)를 제공할때 시프트 레지스터(11)로 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반전시킨다. 페이지 버턴(127)은 사용자가 키보드(107)상의 특정 키의 어드레스를 보낼 준비가 된것을 순차 논리 제어 회로(101)에 신호로 알린다.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129)는 제 3 도로서 언급되어질 것으로서 어떤 순차적인 동작에 대해 최대시간 지속 기간을 제공하도록 작용하는 적당한 시간의 지속기간으로 로드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인크더는 작동의 밧데리 절약 모드 이용하는 페이저에 대해 쓰여질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이요된다. 페이저에 대한 작동의 밧데리 절약 모드는 밧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공지의 방법이다. 작동의 밧데리 절약 모드에 있어서, 시스템에서 페이저의 총숫자는 부분 군으로 분할되어진다. 각 부분 군은 프리엠블(preamble)로서 언급되는 그것 자체의 특정 어드레스를 갖는다.
제 2 도에 도시된 키보드(107)는 두개의 밧데리 절약 부분 군으로 분할된 4개의 페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총 페이저 및 부분 군의 수는 더 커질 수 있지만 여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페이저 1 및 2는 제 1 부분 군에 속하며, 프리엠블 1을 통하여 하나의 군으로서 어드레스 가능하다. 그리고 페이저 3 및 4는 제 2 밧데리 절약 부분 군에 속하여, 프리엠블 2를 통하여 어드레스 가능하다.
제 3 도는 제 2 도의 인코드 회로에 대한 상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상태는 짧은 설명 귀절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확인된다. 각각의 상태는 0 부터 25까지 연대순으로 번호가 붙어진다. 제 2 도의 검사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인코더의 작동은 제어 논리 회로 (101)의 시각으로 부터 시간 순차 방식으로 잘 묘사된다. 제 3 도는 3개의 동작 브랜치로 나누어진다.
제 1 동작 브랜치는 군 호출 동작이다. 만일 송신기에서 오퍼레이터가 페이저의 한군에 대하여 동시에 단일 보이스 메시지를 보내기를 바란다면, 페이저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키보드(107)상의 다수의 캐패드가 정보의 전송을 위해서 페이저 키(127)를 누르기 전에 먼저 눌리워진다. 제 2 동작 브램치는 단일 보이스 페이지 동작이다. 단일 페이저 키를 누르므로서 부수되는 페이저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단일 키 패드 누름을 단지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인코드에 대한 간단한 동작이다. 인터리빙 동작으로 표시되는 제 3 동작 브랜치는 어드레스 되는 특정 페이저가 어떤 전송된 신호에 대해 더 이상 작동할 수 없는 “부동 시간(dead time)”또는 경보 시간인 단일 보이스 페이지 전송에서의 전송 시간을 이용한다. 이러한 특정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부동 시간”은 페이저가 인코더로 부터 전송된 어드레스를 받아들인 후 페이저가 오퍼레이터에 대해 가청 경보 톤을 발하는 기간 동안을 말한다. 경보 톤은 보이스 메시지가 뒤따른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경보는 약 2초간 지속된다. 따라서, 인코더가 페이저의 어드레스를 전송한 후, 인코더가 보이스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대기해야하는 동안 2초 주기가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있어서 이러한 2초의 기간중에 인코더는 프리엠블, 제어 워드 및 어드레스를 그 페이지 키가 눌리워지는 제 2 페이저로 전송시키기 위해 “부동 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 제 3 도의 상태 다이어그램은 제 2 도의 인코더의 회로 다이어그램과 연합하여 설명되어져야 하며 인코더의 동작 설명에 대한 기초로서 제공된다. 상태 0은 인코더를 턴온시킴으로써 입력되며, 인코더는 제 1 키누름 신호를 수신하도록 준비된다. 제어 논리 회로(101)는 키보드(107)상의 키가 눌러지는 것을 지시하는 키보드 디코더(109)로 부터의 신호에 대한 입력에 응답한다.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는 기록 또는 재생 상태로 되지 않고 토크라이프(123)는 오프된다. 선택기(115)는 송신기(113)가 턴오프되어 있으므로 임의의 상태로 있게 된다. 제어 논리회로(101)로 부터의 인버터 신호 Ⅰ도 또한 송신기(113)가 턴오프되어 있으므로 임의의 상태에 있게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어 논리 회로(101)의 내부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103)로 부터의 클록 CLC은 4.35헤르쯔의 클럭이고, 제어 논리 회로(101)를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111)의 부하 입력에 연속적으로 입력된다. 워드 파일(105)의 어드레스 입력은 상태 0에서 임의적이다. 페이지 키(127)도 또한 제어논리 회로(101)가 그 B 입력을 차단하기 때문에 임의의 상태로 있게 된다. 타이머(103)으로 부터의 시프트 레지스터 클럭 CK는 600헤르쯔로 셋트된다. 키보드(107)의 각각의 페이지 키가 눌러질때 키보드 디코더(109)는 키번호를 랫치하고, 키가 눌러졌다는 신호를 제어 논리 회로(101)에 보낸다. 제어 논리 회로(10)는 상태 번호 1 로서 제 3 도에 도시된 제 2 상태로 이동한다.
상태 1에서 제어 논리 회로(101)은 눌러질 제 2키에 응답한다. 그 키는 키보드(107)로 부터의 단일키로 되든가 아니면 페이지 키(127)로 될 수 있다. 제어 논리 회로(101) 및 잔여 인코더의 상태는 키보드(107)에 부가하여, 제어 논리 회로(101)가 제어 논리 회로의 B 입력에서 페이지 키(127)의 검출에 응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것이 상태 0인 것과 같다. 상태 1로 부터 인코더를 이동시킬 수 있는 두 경우는 이미 언급된 것이다. 그것은 페이지 키의 누름이든가 도는 키보드(107) 상의 캐패드의 제 2누름이다.
제 1 인 경우는 키보드(107)상의 키패드의 제 2 동작이다. 이 경우 제 3 도의 상태 1로 부터 상태 2로의 전송을 야기한다. 제 2 키패드를 누름때, 키보드(107)로 부터의 키번호가 키보드 디크더(109)로 랫치된다. 키보드 디크도(109)는 제 2 키 숫자가 눌러졌다는 신호를 입력 H에서 제어 논리 회로(101)에 전송한다. 키보드(107)상의 키패드의 제 2 누름의 발생은 키보드 디코더(109)가 워드 파일(105)의 어드레스 라인 상의 제 1 키패드 출력 코드의 출력을 토글 및 설정하는 원인이 된다. 이것으로 전이는 종결되고 인코더는 제 3 도에 도신된 바와 같이 상태 2에 있게 된다.
상태 2에 있는 인코더의 회로 상태는 제어 논리 회로가 단지 페이지 키 1로 부터 페이지 신호를 찾는 것을 제외하고는 변하지 않는다. 인코더는 이 페이저로 부터 신호를 받아들일때 상태 2로 부터 상태 3으로 이동된다. 패드키를 누름에 따라, 제어 논리 회로(101)는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129)로 보이스 지속기간을 로드하게 된다.
상태 3에서, 제어 논리 회로(101) 및 인코더 회로의 나머지는 앞에서와 같은 상태로 계속된다. 제어 논리회로(101)의 T출력은 토그 라이트(123)에 작동하며 (123) 및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에 대한 기록 입력(REC)에 작용한다. 토크 라이트(123)가 켜지면 오퍼레이터는 아미트로폰(119)에 말을 할 수 있으며, 그 보이스는 증폭기(121)를 통하여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에 기록된다. 오퍼레이터가 그의 메시지를 완결한 후에 프로그램 가능한 카운터(129)는 보이스 지속 시간을 끝낼 것이고 인코더가 상태 4로 변환되는 원인이 된다.
인코더가 상태 4로 들어갈때, 프로그램 가능한 카운터(129)가 다시, 로드되지만 이 시간을 프리엠블 전송에 대응하는 지속기간을 갖는다.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129)의 로딩과 동시에, 제어 논리 회로는 프리엠블 어드레스를 보내기 전에 워드 파일(105)을 어드레스시키는 A0및 A1출력을 0으로 셋트시킨다. 프리엠블 2진 코드는 워드 파일(105)의 출려기상에 나타난다. 상태 4에서, 제어 논리 회로(101)는 토크 라이트(123)를 끄며,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에 대한 기록 입력을 차단시킨다. 제어 논리 회로(101)는 선택기(115)의 B입력을 인에이블 시킨다. 제어논리 회로(101)는 선택기(115)의 B 입력을 인에이블시킨다. 제어논리 회로(101)의 반전 데이타출력 Ⅰ는 엑스크럴비스 -OR 회로(125)를 활성화시킨다. 한 반전된 포맷에서 프리엠블의 전송은 전송된 군 호출에 뒤따르는 프리엠블을 인식하는 페이저 군을 말한다. 로드 입력 클럭동작이 프리엠블에 대한 2진 워드를 시프트 레지스터(111)로 로드한다. 상태 4에서의 논리 제어 회로(101)는 키보드 디코더(109)와 페이지 키(127)로 부터의 입력의 수신을 억제한다. 상태 4에서 제어 논리 회로(101)는 키보드(107)의 키 패드의 누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상태 4에서, 제어 논리 회로는 송신기(113)을 턴온시킨다. 시프트 레지스터(111)는 엑스클러시브 -OR 게이트(125)를 통하여 직결 방식으로 2진 코드를 시프트한다. 데이타는 타이머(103)로 부터 시프트 레지스터(111)에 입력된 600헤르쯔 클럭으로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600헤르쯔 비율로 시프트된다.
데이타가 엑스클러시브 -OR 회로(125)를 통하여 통과할때 이 데이타는 반전되어, 선택기(115)의 B 입력에 공급된다. 제어 논리 회로(101)는 선택기(115)의 출력으로 통과될 B 입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를 말한다. 송신기(113)과 온되므로서, 프리엠블 2진 코드는 변조되며 송신된다. 프로그램 가능한 카운터(129)가 카운트 종료 후, 시프트 레지스터(111)는 프리엠블 코드의 직렬 출력을 완료하게 된다. 시간 종료가 일어나면, 논리 제어 회로(101) 및 디코더의 잔여분은 제 3 도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4에서 상태 5로 이동한다.
인코더가 상태 5로 되면, 제어 논리 회로(101)의 A0및 A 출력은 1 레벨로 둘다 셋트된다. 상태 5에서 이미 보내진 프리엠블 아래에서 페이저 군에 경보를 주도록 제공되는 제어 워드는 인코더에 의해서 보내진다. 상태 5에서, 엑스클러시브 -OR 게이트(125)에 대한 입력인 논리 제어 회로(101)의 반전 출력은 비활성 상태로 된다. 제어 워드에 대한 2진 코드는 워드 파일(105)에 의해 출력된다. 이것은 제어 논리 회로(101)로 부터의 로드 신호에 의해 시프트 레지스터로 로드되며, 시프트 레지스터(111)로 부터 직렬로 클럭되고 선택기(115)를 경유해 송신기로 로드된다. 상태 4에서와 같이 상태 5에서도, 제어 논리 회로(101)는 여전히 셀렉터(115)의 B입력에 작용하고 있다. 제어 논리 회로(101) 또한 턴온 상태인 송신기(113)를 갖는다. 상태 4에 있는 것과 같이, 상태 5에서 논리 제어 회로는 키보드 디코더(109)로 부터의 입력 및 페이지저 키(127)로 부터의 입력을 비활성화 한다. 제어 논리 회로(101)는 제어 워드의 전송 시간을 정하며, 시간 주기가 종결된 후 상태 6으로 이동된다. 상태 6으로의 이동에 있어, 논리 제어 회로(101)의 출력 A0, A1은 A0에 대해서는 0로 그리고 A1에 대해서는 1로 변화한다.
제 3 도에 도시된 상태 6에서, 제 1페이저 어드레스가 전송되어진다. 페이저 어드레스는 선택된 프리엠블 그룹내에서 특별 페이저로 동일시된다. 그것의 입격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워드 파일(105)은 시프트 레지스터(111)에 2진 코드를 공급한다. 시프트 레지스터(111)가 2진 코드를 로드하기 전에 엑스클러시브 -OR 회로(125) 선택기(115)의 B 입력을 통하여 클럭을 방출하고 송신기(113)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제공한다.
시프트 레지스터(111)가 제 1 어드레스에 대한 2진 코드로서 로드되고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시작한 후, 제어 논리 회로(101)는 키보드 디코더(109)에 대해서 랫치 토글라인, LA1을 토글해야 한다. 이것은 키보드 디코더(109)가 두번째로 눌려진 키패드 숫자 코드로서 출력으로 나타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제어회로(101)의 내부 제어 논리가 결정될때 제 1 어드레스가 보내지는 것으로서, 인코더는 제어 논리 회로(101)의 내부 타이밍 설계에 따라서 상태 6으로 부터 상태 7로 변환된다.
이 상태 7의 초기에서, 키보드 디코더(109)는 눌러지는 제 2키패드에 대응하여 어드레스를 제공한다. 워드 파일(105)의 출력은 특정 키패드와 동일한 페이저 어드레스에 대한 2진 코드이다. 시프트 레지스터(111)는 다시 로드되고, 이 로드된 데이타에 대한 이 시간은 눌러지는 제 2 키패드의 페이저 어드레스의 2진 코드이다. 다시 데이타는 선택기를 통하여 일률적으로 편이되고 송신기로 들어간다. 시프트 레지스터(111)가 로드된 후, 제어 논리 회로(101)는 1에 대한 A0출력 레벨을 변화시킨다. 제어 논리 회로(101)는 제 2어드레스가 직렬로 전송되어질때 내부 타이밍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시간의 끝에서 인코더는 상태 7로 부터 상태 8로 변환된다.
1에 대한 A0출력 레벨을 가진 상태 8에서, 워드 파일(105) 2진 어드레스는 다시 제어 워드를 필요로 한다. 워드 파일(105)은 제어 워드에 대한 2진 코드를 공급하며 시프트 레지스터(111)는 2진 코드를 로드하며 직렬로 송신기(113)에 데이타를 시프트시킨다.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129)는 제어 워드를 수신할 때 페이저에서 일어나게 될 톤 경보 또는 비트 시간 지속간을 내부적으로 정하도록 셋트된다.
비프(beep) 지속기간의 이러한 타이밍은 상태 8에서 제어 워드가 보내진 후 상태 9에 있게 되며, 인코더는 상태 9로 이동되며 여기서 내부 카운터(129)는 비프 지속기간을 중지시킨다. 경보 시간 지속은 음성 메시지가 즉각적으로 따르는 것으로서 페이저 유니트가 사용자에 경보 신호를 발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페이저가 비핑하는 시간동안 송신을 피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129)는 제 2 제어 워드의 전송 시간으로부터 측정된 것으로서 피핑 주기를 카운트하며, 그 시간동안(보통 2초간) 송신되지 않도록 한다. 비프 지속의 끝날 즈음해서, 타이머(129)는 종결되고 인코더는 제 3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태 10으로 이동된다.
인코더가 상태 10으로 이동될 때, 제어 회로(101)는 다시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129)로드 시킨다. 이것은 송신되어지는 보이스의 지속기간에 대한 2진 코드로 시간을 맞춘다. 이러한 시간 지속은 바람직하게 일정하며 최대로 기록된 메시지 길이에 대하여도 허용된다. 시간 지속은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의 한 완전한 루프의 운행 시간으로서 결정된다.
상태 10에서, 제어 논리 회로(101)는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의 재생 입력 동작을 활성화시키고 선택기(115)의 A입력으로 작동되게 한다. 송신기(113)는 작동 상태로 된다. 기록된 보이스는 송신기(113)를 거쳐서 송신되고, 인코더는 타이머(129)의 보이스 지속기간이 종결될 때까지 대기한다. 종결의 끝날무렵 인코더는 제 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태 0으로 다시 돌아온다.
단일 페이저에 대하여 언급하겠다. 상태 1에서 제 2 상태 전이 옵션을 참조하면, 페이지 키는 제 2 어드레스 키 대신에 상태 1에서 눌려질 수 있다. 페이지 키가 눌려지면 인코더는 상태 1에서 부터 상태 11로 변환된다. 상태 1에서부터 상태 11로 변환하는데 있어서, 타이머(129)는 보이스 지속 시간 주기로 로드된다. 상태 11에서 인코더의 모든 것은 상태 1에서 초기 설정된 바와 같다. 토크 라이트가 턴온되고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에 대한 기록 입력은 또한 턴온되어 기록하기 시작한다. 만일 상태 11에서 키보드(107)상의 키 패드가 다시 눌러진다면, 그것의 어드레스는 키보드 디코더(109)로 랫치될 것이다. 상태 11에서 인코더가 제어 논리 회로(101)의 입력 B에서의 페이저 키 검출 및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129)로 부터의 종결 메시지를 찾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상태 11은 이전에 논의된 상태 3과 동일하다.
두개의 가능한 변환은 상태 11로부터 존재하며, 인코더는 상태 12 또는 상태 16으로 변환된다. 상태 11로부터 상태 16으로의 변환은 인터리빙이 설명되는 뒷부분에서 언급된다. 만일 부가적인 키 어드레스가 눌러지지 않는다면, 그때 인코더는 타이머(129)가 작동이 중지될 때 상태 12로 이동하게 된다. 변환되는 동안 타이머(129)는 프리엠블의 송신에 요구되는 시간 주기로 맞추어진다.
상태 12에서 인코더 출력은 제어 논리 회로(101)의 변환 출력이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인코더 출력은 상태 4에 있는 것과 같다. 또한 상태 11에 있는 것으로서 제어 논리는 B입력의 페이저 신호에 대하여 민감하게 된다. 상태 12로부터 변환은 두개의 다른 상태 즉 상태 18 또는 상태 12로부터 상태 13으로 될 수 있다. 만일 새로운 키 어드레스가 키보드(107)에서 눌려진다면, 변환은 상태 12로부터 상태 18로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환은 후에 언급된다. 상태 12로부터 상태 13으로의 변환은 상태 4에서부터 상태 5로 변환되는 것과 동일하다. 상태 11 및 상태 12에 있는 것으로서, 제어 회로(101)가 페이지 키로부터 입력을 찾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태 13은 사실상 상태 5와 동일하다. 상태 13으로부터 만일 페이지 키가 검출된다면 변환은 상태 19로 된다. 이러한 변환은 인터리빙과 접속되어 나중에 언급할 것이다. 제어 논리 회로(101)의 B입력에서 페이저 키 검출없이, 상태 13으로부터의 변환은 상태 14로 된다. 이러한 변환은 상태 5로부터 상태 6으로 변환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상태 11, 12, 13에 있는 것으로서, 제어 논리 회로(101)가 페이지 키 신호를 아직도 찾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태 14는 사실상 상태 7과 동일하다. 만일 제어 논리 회로(101)이 B입력에 페이지 키 신호를 받아들인다면, 인코더는 상태 14로부터 상태 21로 변환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환은 후에 언급된다. 페이지 키신호 검출없이, 인코더는 상태 14로부터 상태 15로 변환된다. 이러한 변환은 상태 7로부터 상태 8로 변환되는 것과 동일하다.
상태 11 내지 14에 있는 것으로서 제어 논리 회로(101)가 B입력에 페이지 키 신호에 응답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태 15는 사실상 상태 8과 동일하다. 만일 페이지 키 신호가 제어 논리 회로(101)로서 검출된다면 인코드에 대한 변환은 인터리빙과 연결하여 후에 언급하겠지만 상태 15로부터 상태 21로 된다. 페이지 키 검출없이, 인코더는 제 3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태 15로부터 상태 9로 변환된다. 이러한 변화는 상태 8로부터 상태 9로 변환되는 것과 같다.
인터리빙에 대하여 언급하면, 상태 11로 되돌아와서, 만일 페이지 키가 엔코더가 상태 11에 있는 동안 눌러진다면 변환은 상태 11로부터 상태 16으로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환에서 타이머(129)는 상태 11로부터 상태 16을 향하여 카운트를 계속한다. 상태 16은 상태 3과 비슷하며 변환은 타이머(129)의 정지로서 야기된다. 상태 16으로부터 변환은 상태 17로 된다. 제어 논리 회로(101)로 부터 엑스클러시브 -OR회로(125)로의 반전 신호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는 이러한 변환은 상태 3으로 부터 상태 4로 변화되는 것과 같다. 상태 17은 상태 4와 사실상 비슷하다. 상태 17로부터의 변환은 상태 18로 되며 이것은 상태 4로부터 상태 5로 변환되는 것과 동일하다. 상태 18은 사실상 상태 5와 비슷하다. 상태 18로부터 상태 19로의 변환은 상태 5에서 상태 6으로 변화되는 것과 동일하다. 상태 9는 사실상 상태 7과 동일하다. 상태 19에서 상태 20으로의 변환은 상태 7에서 상태 8로 변환되는 것과 동일하다.
상태 20은 상태 8과 비슷하다. 제어 논리 회로(101)는 0으로 A0및 A1을 셋트한다. 타이머(129)는 상태 21에서 프리앰블의 송신을 위해 충분한 저속 시간으로 맞추어진다. 상태 20으로부터 상태 21로의 변환은 제어 논리 회로(101)에서 자동적으로 맞추어진다.
상태 21에서 인코더는 상태 4에 대하여 동일한 상태로 있게 된다. 상태 21에서 상태 22로의 변환은 상태4에서 상태 5로 변환되는 것과 동일하다. 상태 22은 상태 5와 동일하다. 상태 22로부터 상태 23으로의 변환은 상태 5에서 상태 6으로의 변환과 동일하다. 상태 23은 사실상 상태 7과 비슷하다. 상태 23에서 상태 24로의 변환은 상태 9로부터 상태 10으로의 변환과 동일하다.
상태 24에서, 제어 논리회로(101)가 페이지 키 누름에 민감해지고 토크 라이트(123) 및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가 작동 상태로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인코더가 상태 10과 비슷한 상태로 있게 된다. 제 2 키드 페이저에 대한 방향으로 오퍼레이터의 메시지는 보이스 저장 유니트(117)에 기록된다. 제 2 보이스 메시지는 키패드 및 눌려진 페이지 키와 연합되며, 상태 11에서 감지된다. 상태 24에서 상태 15로의 변환은 페이지 키가 눌러지지 않더라도 제어 타이머(129)의 정지로서 야기된다. 상태 15로부터, 시퀀스는 상태 9 또는 상태 21로 정상 패턴을 반복한다. 만일 페이지 키의 누름이 상태 24에서 감지된다면, 인코더는 상태 24에서 상태 25로 변환될 것이다. 이러한 변환은 상태 11에서 상태 16으로의 변환과 동일하다. 상태 25는 제어 논리회로(101)가 토크 라이트(123)를 켜고 또한 다음 보이스 메시지를 계속 기록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태 10과 사실상 유사하다. 제 2 보이스 메시지의 완결 후에 인코더는 상태 25로부터 상태 21로 이동된다. 상태 21로부터, 인코더는 상태 24를 통하여 상태 21로 부터 과정을 반복한다. 상태 24에서 인코더는 다시 페이지 키의 누름을 찾는다. 페이지 키 히트(hit)의 검출은 페이저의 다음 상태가 상태 15인지 전술한 상태 25인지를 결정한다. 단일 페이지 동작으로부터 인터리빙 동작으로의 상태 변환은 상태 12,13,14 또는 15에 있는 동안에 페이저 키 누름을 검출하는 인코더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검출되는 페이지 키 누름은 인터리빙 상태로 변환되는 인코더를 초래한다. 상태 12, 13, 14 그리고 15는 각각 상태 18, 19, 20, 21로 변환된다. 만일 인코더가 상태 21에 인터리빙하면 엔코더는 상태 21에서의 정상 동작 이외에도 키보드(109)에 대한 LA 입력을 토글시켜야 한다.
만일 스켈치 기구가 보이스 음성을 차단시키는데 사용된다면 두개의 보이스 저장 유니트가 필요하게 된다. 스켈치 기루로서 보이스 저장 유니트에 기록되는 두 음성이 같은 시간 길이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필요성이 대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코더는 공지의 방법으로 전화 교환 시스템에 연합될 수 있다.
[표 1]
용 논리표
Figure kpo00003
제 4 도는 마이크로폰(200)이 저주파 증폭기(202)를 통하여 프리엠파시스 회로(204)에 결합되어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인코더의 기능적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이 저주파 신호는 송신기 (208)의 변조 입력에 전달되는 저주파 신호 또는 데이타 정보를 위한 한쌍의 송신 게이트(206)에 인가된다. 안테나(209)는 송신기(208)에 결합된다. 송신 게이트(206)는 모토로라제의 MC14551이 바람직하다. 키보드(210)는 CRT에 결합된다. 이러한 조합은 레이 지글러 모델 ADM-3A가 바람직하다. CRT의 RS232출력은 6800베이스 컴퓨터(214)에 결합되며 이 컴퓨터(214)는 ME×6820 I/D 모듈, 68MM19 6809 단일기판, 마이크로 컴퓨터, ME×6812-1 2K 스테틱 RAM, 그리고 마이크로 모듈을 위한 M68MMCC 05 카드 케이지를 포함한다.
컴퓨터(214)의 PBO 출력은 송신 게이트(206)의 데이타 입력 및 오디오 및 데이타 검출 회로(218)의 입력에 오디오 데이타 선택 회로(216)를 결합시킨다. 오디오 및 데이타 선택 회로(216)의 출력은 송신 게이트(206)의 선택 입력에 연결된다. 이러한 선택 입력 단자에 0 논리 레벨은 데이타 송신 게이트가 활성화되어지는 것을 지시하고 1레벨은 오디오 정보 게이트가 송신기(208)의 변조 입력에 대응 정보를 공급하기 위해서 활성화 되어진다.
오디오 데이타 검출 회로(218)의 출력은 송신기를 조정하여 오디오 데이타 검출회로의 동작이 기능과 비슷하게 된다. 그래서 만일 그것의 입력이 존재하는 것으로서 신호가 검출된다면 입력이 캐리어로서 변조되어 질 수 있도록 송신기는 조정된다. 결합된 신호는 방송을 위해서 안테나(209)에 공급된다.
제 5 도는 오디오 및 데이타 검출 회로(218), 그리고 오디오 데이타 선택 회로(216)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컴퓨터(214)의 PBO 출력은 재트리거 기능한 모노스테이블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타 검출기(218)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회로는 각 100밀리초의 소정의 시간 주기내에서 신호 단이 검출되는 한 일정한 신호를 유지하도록 동작된다. 그 시간 기간동안 검출된 신호단의 부재는 데이타 정보든지 오디오 신호든지 둘다 나타나지 않는 것을 지시한다.
오디오 및 데이타 검출 회로(218)의 동작중에 컴퓨터(214)의 PBO 출력 단자는 OR게이트(230)의 세 1 입력에 직접 결합되며 제 2 입력에 인버터(230)를 통하여 또한 결합된다. OR게이트와 출력은 IC 지정 MC14538의 절반을 이용하는 모노스테이블(234)의 트리거 입력에 결합된다. 타이밍 회로망은 모노스테이블 및 VDD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며, 전압원인 VDD는 모노스테이블(234)의 클리어 입력 단자에 인가된다. VDD는 모노스테이블의 타이밍 입력에 저항(236)을 통하여 또한 공급되며 콘덴서(238)을 통하여 또한 접지된다. 저항(236) 및 콘덴서(238)의 조합은 모노스테이블 소자(234)를 위한 타이밍 회로를 제공한다. 모노스테이블(234)의 Q1출력은 제 4 도에 도시된 송신기에 직접 결합되며 송신 키잉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오디오 데이타 검출기(218)의 기능은 데이타 또는 오디오 신호가 라인상에 나타나는 것을 지시하는 연부를 매번 100밀리초 간격이내에 수신하는 것이다. 각 연부가 OR게이트에서 검출되면, 이것은 소정 시간동안 모노스테이블(234)을 재트리거시킨다. 모노스테이블 대한 정상 정지 시간보다 다소 적은 시간 간격으로 펄스가 수신되는 한 오디오 데이타 검출기(218)에서 모노스테이블(234)의 Q1출력은 한 논리 레벨에서 유지되며, 송신기를 키잉하게 된다.
컴퓨터(214)의 PBO 출력은 OR게이트(240)의 제 1 입력에 직접 연결되며 또한 OR게이트(240)의 제 2 입력에 인버터(242)를 통하여 결합된다. OR게이트(240)의 출력은 제 2 재 트리거 가능한 모노스테이블(244)의 트리거 입력에 연결된다. 모노스테이블(244)은 오디오 및 데이타 검출 회로(218)에 이용된 같은 IC 패키지의 남은 절반을 사용한다. 모노스테이블(244) 을 위해서 VDD는 다소 동작상 약간 차이가 나는 타이밍 특성을 줄 수 있도록 같은 방식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새시간은 모노스테이블(244)의 타이밍 입력에 결합되는 저항(246) 및 콘덴서(248)의 값에 의해 선택된다. 공급 전원은 또한 모노스테이블(244)의 클리어 입력 단자에 인가된다. 모노스테이블 Q2단자는 데이타 플립플롭(250)의 D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컴퓨터(214)의 PBO 출력은 또한 D플립플롭(250)의 클럭 입력에 또한 결합된다. 데이타 플립플롭(250)의 셋트 입력은 접지된다. 플립플롭(250)은 MC14013의 절반을 사용한다. 플립플롭(250)의 Q출력은 송신 게이트(206)에 공급되는 오디오 및 데이타 선택 회로(216)의 제어신호 출력을 제공하며, 오디오 또는 데이타 정보가 송신기의 변조 입력에 공급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한 게이트의 선택적 활성화를 야기한다.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고자 할때, 외부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보이스 저장 및 발송 장치의 활성화가 구동이 적당한 시간에서의 송신으로 보이스 메시지 삽입이 실현될 수도 있도록 600 헤르쯔 신호의 존재에 응답하도록 본 발명 실시예의 인코더가 설계된다. 소정 주파수의 수배의 신호를 사용하기 위한 여러 다른 이유가 있으나 본 발명에 대해서는 본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단지 600헤르쯔 신호만 사용된다.
OR 게이트(240)가 모노스테이블(244)의 출력 단자에서 비교적 긴 지속기간 출력 펄스를 발생하도록 구형파 신호 연부를 검출로 트리거되는 톤 검출기로서 오디오 데이타 선택 회로(216)가 동작한다. 이 신호는 클럭 단자를 통하여 컴퓨터(214)의 PBO출력에 직접 결합되는 플립플롭의 D입력에 공급된다.
만일 모노스테이블로부터 긴 지속기간 펄스가 연속 구형 신호 여부가 컴류터의 PBO 출력으로부터 검출되는 시간동안 지속된다면, 데이타 플립플롭(250)은 그 Q 단자에서 1논리 레벨로 유지되거나 토글된다. 이것은 600 헤르쯔 신호의 검출을 지시한다. 연부가 데이타 플립플롭의 클럭 단자에서 발생하기 전에 모노스테이블로부터의 긴 지속기간 펄스의 종단은 600 헤르쯔 오디오 신호가 선택되지 않았고, 그래서 오디오 신호가 송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0으로 토글시키거나 유지되는 원인이 된다.
제 6 도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인코더의 동작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인코더가 활성화될 때 프로그램이 설정되고 수행되어 질 수 있도록 모든 레지스터가 셋트되는 초기치 설정 루틴을 통하여 진행한다. 초기치 설정후에, 제어는 오퍼레이터가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시간에서 결정 블럭으로 이동된다. 디중 큐우(queue) 송신의 선택이 첫째이고 단일 큐우송신의 선택이 두째이며, 가장 중요한 것으로 세째는 블럭 번호및 송신되는 정보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다.
블럭 번호는 오퍼레이터로 하여금 정보가 삽입되는 곳에 정확하게 주어진 메시지 시퀀스로 선택되도록 허용한다. 정보의 형태는 코딩 시스템으로 직접 참조되며 오퍼레이터로 하여금 프리엠블 번호 및 프리엠블 신호의 지속 기간을 선택하도록 하며, 본 발명 실시예의 에코 코딩 시스템에 대한 제1 및 제 2 어드레스 워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의 완결은 페이지 될 수 있는 페이저의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정상적인 작동에서, 가입자 어드레스는 개개의 페이저가 정확하게 어드레스 지정되도록 메모리 파일 상태에서 유지되게 된다.
다음 오퍼레이터의 선택은 수치 또는 데이타 페이저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수치 데이터 블럭을 발생하는 수치 데이타 정보를 지정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다. 마지막 오퍼레이터 선택은 바람직한 GSC 코딩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저에 대한 톤 및 보이스 신호 동작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이다. 이것은 이미 상세하게 기술되었다.
네가지형 정보 선택의 결과에서, 제어는 모든 선택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결정 블럭으로 전달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작동의 제어는 정보의 블럭에 대한 시간 추가 배치가 선택될 수도 있고 추가 형태가 지정될 수도 있는 숫자 및 형태 작동의 선택 블륵으로 다시 되돌려진다. 정보의 블럭수 및 형태의 선택과 메시지가 데이타 톤으로만 되는지 또는 톤 및 보이스로 되는지의 선택이 정보의 각 블럭에 대해 이루어지게 된다. 모든 결정이 이루어지고 오퍼레이터가 블럭 선택을 끝마친후에, 동작의 제어는 선택모드 결정 플럭으로 되돌려지는데 그 시간에서 오퍼레이터는 정보 및 블럭의 조합에 대한 추가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가지 가능한 모드 동작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나중 큐우 송신 또는 단일 큐우 송신의 선택은 지정된 블럭의 정보가 정보의 순차로 하나씩 보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즉 한 송신으로 또는 수번 반복 되도록 한다. 보통, 단일 큐우 송신이 사용되게 되지만, 매우 긴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는, 길고 복잡한 메시지 반복의 신뢰도를 보장하도록 리던던시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에 대한 선택 큐우 동작의 결과로 제어는 송신 결정 블럭으로 전달된다. 만일 이때 송신을 선택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의 동작은 다시 선택 제어 모드로 되돌려진다. 만일 오퍼레이터가 송신을 선택하면 제어는 시작 타이머 동작으로 전달된다.
시작 타이머의 작동은 정보 블럭을 가지며, 그것을 다양한 송신 패턴으로 포맷한다. 매초당 1200번의 정규 간격에서, 정보가 포맷된 정보 저장 버퍼는 타이머 차단 루틴에 의해 억세스되는데, 이것은 주어진 버퍼의 출력을 취하고 송신 패턴이 한번에 한 비트로 보내지도록 순차 제어 동작에 정보의 한 비트를 제공한다. 각 차단의 끝에서, 프로그램의 제어는 추가 정보가 버퍼로 로드될 수도 있는 포맷팅 작동으로 되돌아간다.
작동중에, 포맷 제어는 지정되고 선택된 정보 블럭을 취하고 그것을 임시 저장 버퍼로 로드하여, 비트 베이스에 의해 시간 차단 비트에 대해 비워질 수도 있도록 하며 송신기로 전달되도록 한다. 송신기로부터의 출력은 매초당 1200비트의 비율로 캐리어에 첨가된 디지탈 논리 신호이다.
다양한 정보 저장 버퍼가 비트 베이스에 대해 한 비트로 비워질때, 포맷팅 루틴은 추가 선택 정보를 로드하는 것을 계속한다. 버퍼는 메시지 순차를 발생하도록 직렬로 드레인될 수 있다. 최종 저장 버퍼에서의 정보의 끝에서, 송신을 끝내기 위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일 송신의 끝이 아니면, 제어는 포맷팅 블럭으로 되돌려져 추가 송신 패턴이 정보 저장 버퍼로 로드될 수도 있으며, 그래서 송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억세스될 수도 있다. 만일 송신 결정 블럭의 끝으로 부터의 결정이 정지 되면, 정지 타이머 루틴은 제어가 선택 제어 모드 동작으로 되돌려 전달되는 시간에 활성화된다.
매초당 정규 1200번은 근거로 하여, 저장 버퍼에 저장된 정보 순차를 심문하고 출력을 송신기에 제공하는 타이머 차단 루틴에 대한 분리 12차 흐름도가 상기 1차 흐름도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정보의 각 비트의 전달의 결과로 작동의 제어가 1차 흐름도에서의 포맷팅 작동으로 되돌려 전달된다.
표 2에 제 4 도에 도시된 컴퓨터에 적당한 언어와 일치하는 전체 훰웨어 코딩 프로그램의 16진법 코어덤프를 나타낸다. 상기 코드를 ROM내로 로드하는 것을 제 6 도의 흐름도로 설명되는 작동을 제공한다.
[표 2]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Claims (7)

  1. 복수 군의 수신기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수신기 어드레스(ADR)와 활성 코드(AC)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단일 호출 또는 묶음 호출을 나타내는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단일 호출을 나타내는 프리엠블 후에 단일 수신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단계와, 묶음 호출을 나타내는 프리엠블 후에 다수의 수신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일 어드레스 또는 다수의 어드레스 이후에 활성 코드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신호 인코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블은 발생하는 단계가 프리엠블 신호 및 반전된 프리엠블 신호중 하나를 발생하고 그것에 의해 상단 단일 호출 및 군 호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신호 인코딩 방법.
  3. 복수 군의 수신기에 송신하기 위해 정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인코딩 장치에 있어서, 단일 호출 또는 군 호출을 지정하기 위한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프리엠블 신호 발생부와, 상기 복수의 수신기군중 최소한 하나의 선택된 수신기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 발생부및 상기 최소한 하나의 선택된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 코드를 발생하기 위한 활성 코드 발생부를 포함하는 제어 논리 회로(10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블 신호 발생부가 상기 단일 호출 또는 상기 군 호출을 선택하기 위해 프리엠블 신호 및 반전 프리엠블 신호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송신될 정보 신호를 저장 및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접속되어 상기 선택된 정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113)와, 상기 선택부 및 상기 송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프리엠블 신호와 상기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활성 코드를 발생하도록 상기 선택부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제어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접속되어 보이스 메시지를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한 보이스 수신장치(119,117)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보이스 메시지 및 상기 정보 신호의 전송 순차를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가 전송될 정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정보 신호의 선정된 부분의 지속기간과 상기 보이스 메시지 전송의 지속기간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접속되어 상기 보이스 메시지와 상기 정보 신호중 하나가 송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타 선택부와, 상기 처리부와 상기 송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보이스 신호와 상기 정보 신호중 하나가 송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타 검출부 및, 상기 처리부, 상기 오디오 데이타 선택부, 상기 보이스 수신장치 및 상기 송신기에 접속되어, 상기 정보신호의 상기 송신기에 의한 송신으로부터 상기 보이스 메시지로 스위칭하고, 그 역으로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장치.
KR8204597A 1981-10-13 1982-10-13 정보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 KR880002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0.591 1981-10-13
US06/310,591 US4427980A (en) 1981-10-13 1981-10-13 Encoder for transmitted message activation code
US310,591 1981-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83A KR840002183A (ko) 1984-06-11
KR880002170B1 true KR880002170B1 (ko) 1988-10-17

Family

ID=2320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597A KR880002170B1 (ko) 1981-10-13 1982-10-13 정보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4427980A (ko)
EP (1) EP0090045B1 (ko)
JP (1) JPS58501701A (ko)
KR (1) KR880002170B1 (ko)
AR (1) AR231363A1 (ko)
AU (1) AU559075B2 (ko)
BR (1) BR8207925A (ko)
CA (1) CA1179735A (ko)
DE (1) DE3279019D1 (ko)
DK (1) DK265483D0 (ko)
FI (1) FI75244C (ko)
HK (1) HK108190A (ko)
IT (1) IT1149388B (ko)
MX (1) MX153191A (ko)
SG (1) SG96990G (ko)
WO (1) WO1983001548A1 (ko)
ZA (1) ZA8273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28201B1 (fr) * 1982-06-04 1985-12-27 Jacques Lewiner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telecommande a code
US4591851A (en) * 1982-07-28 1986-05-27 Motorola, Inc. General purpose data control system
US4590473A (en) * 1982-07-28 1986-05-20 Motorola, Inc. Data signalling system
US4636791A (en) * 1982-07-28 1987-01-13 Motorola, Inc. Data signalling system
US4701758A (en) * 1983-08-05 1987-10-20 Motorola, Inc. Individual simulcast transmitter remote control system encoder
JPS60169245A (ja) * 1984-02-14 1985-09-02 Nec Corp 選択呼出通信方式
JPS60191531A (ja) * 1984-03-13 1985-09-30 Nec Corp 表示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FR2574948B1 (fr) * 1984-12-14 1987-01-16 Thomson Csf Procede d'interrogation ami-ennemi et systeme utilisant ce procede
US4817190A (en) * 1985-08-27 1989-03-28 Motorola, Inc. Method for dynamically regrouping subscribers on a communications system
US4897835A (en) * 1985-11-27 1990-01-30 At&E Corporation High capacity protocol with multistation capability
US5682148A (en) * 1985-11-27 1997-10-28 Seiko Corporation Paging system with message numbering prior to transmission
DK96686D0 (da) * 1986-03-03 1986-03-03 Storno As Fremgangsmaade til drift af mobiltelefonanlaeg, mobiltelefonanlaeg og mobiltelefon
JPH0815351B2 (ja) * 1986-05-31 1996-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ドレス電話方式
US5237320A (en) * 1986-09-30 1993-08-17 Nec Corporation Radio paging system with different transmission speeds and receiver therefor
WO1988003349A1 (en) * 1986-10-21 1988-05-05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 receiver with apparatus for altering bit rate of the receiver
US4750198A (en) * 1986-12-12 1988-06-07 Astronet Corporation/Plessey U.K.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providing diverse separately-accessible groups of channels
DE3856495D1 (de) * 1987-07-24 2001-11-22 Richard J Helferich Kommunikationssystem mit Sprachspeicherungsvorrichtung, Empfangsanlage dafür, und Methode für den Empfang von Kommunikationspaketen
USRE37618E1 (en) 1987-07-24 2002-04-02 Richard J. Helferich Analog/digital data storage system
US4885577A (en) * 1988-03-02 1989-12-05 Motorola, Inc. Paging system for providing a data message and a voice message to a unique address of a paging receiver
WO1989010044A1 (en) * 1988-04-14 1989-10-19 Motorola, Inc. Paging system with interleaved acknowledge back capability
US4860003A (en) * 1988-05-27 1989-08-22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packet structure field
KR910005615B1 (ko) * 1988-07-18 1991-07-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래머블 순차코오드 인식회로
US5117501A (en) * 1988-08-08 1992-05-26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ic regrouping in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5077828A (en) * 1988-09-01 1991-12-31 General Electric Company RF channel expansion in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5136719A (en) * 1988-12-05 1992-08-04 Seiko Corp. Automatic antenna tubing method and apparatus
US5150361A (en) * 1989-01-23 1992-09-22 Motorola, Inc. Energy saving protocol for a TDM radio
US5128938A (en) * 1989-03-03 1992-07-07 Motorola, Inc. Energy saving protocol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4967366A (en) * 1989-03-06 1990-10-30 Gilbarco Inc. Integrated gasoline dispenser and POS authorization system with unattached pin pad
US5089813A (en) * 1989-07-19 1992-02-18 Motorola, Inc. Method of super battery saving in a selective call receiver
JPH0334352U (ko) * 1989-08-11 1991-04-04
US5128665A (en) * 1989-08-21 1992-07-07 Motorola, Inc. Selective call signalling system
US5450071A (en) * 1989-08-21 1995-09-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a single message to multiple addresses
EP0489034B1 (en) * 1989-08-21 1998-01-28 Motorola, Inc. Selective call signalling system
NL9000603A (nl) * 1990-03-16 1991-10-16 Philips Nv Afstandsbedieningssysteem, alsmede een zender en een ontvanger voor een afstandsbedieningssysteem.
US5355126A (en) * 1990-08-06 1994-10-11 Motorola, Inc. Selective call system interactive with a wide area selective call system
JP3085731B2 (ja) * 1991-05-31 2000-09-11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合成回路
US5635914A (en) * 1992-05-29 1997-06-0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group calling in a selective call system
US7426264B1 (en) 1994-01-05 2008-09-16 Henderson Daniel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s and systems
US6278862B1 (en) 1994-01-05 2001-08-21 Daniel A. Henders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efficient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in an alphanumeric paging network
US6427064B1 (en) 1994-01-05 2002-07-30 Daniel A. Henders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atabase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266186B1 (en) 1994-01-05 2007-09-04 Intellect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aging receiver and system
GB9421552D0 (en) * 1994-10-26 1994-12-14 Philips Electronics Uk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ata communication
US5644568A (en) * 1995-03-15 1997-07-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nd recovering information communicate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550829A (en) * 1995-10-24 1996-08-27 Motorola, Inc. Method for reallocation frame assignments of receive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102325C (zh) * 1995-12-04 2003-02-26 摩托罗拉公司 混合系统环境中动态改变选择呼叫接收设备控制帧的方法
JP3233012B2 (ja) * 1996-04-11 2001-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レイヤとセルの選択方法
US6560461B1 (en) * 1997-08-04 2003-05-06 Mundi Fomukong Authorized location reporting paging system
US10389761B2 (en) * 2009-11-17 2019-08-2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voice-video mail service over a home network
WO2013134783A1 (en) * 2012-03-09 2013-09-12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Embedding supplemental consumer data
DE102012205010A1 (de) * 2012-03-28 2013-10-02 Robert Bosch Gmbh Programmierverfahren, Batterie mit einer Anordnung zur Ausführung des Programmierverfahrens sowie ein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Batteri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7243A (en) * 1975-05-12 1977-05-31 General Electric Company Message generator for a controlled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US4001772A (en) * 1975-07-30 1977-01-04 Truman W. Powell Coded signaling and control system
US4178476A (en) * 1978-05-26 1979-12-11 Frost Edward G Automatic nationwide p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53191A (es) 1986-08-20
IT8249257A0 (it) 1982-10-12
FI832117A0 (fi) 1983-06-13
KR840002183A (ko) 1984-06-11
US4427980A (en) 1984-01-24
EP0090045B1 (en) 1988-09-07
EP0090045A1 (en) 1983-10-05
AU9126082A (en) 1983-05-05
BR8207925A (pt) 1983-09-20
HK108190A (en) 1990-12-28
CA1179735A (en) 1984-12-18
DE3279019D1 (en) 1988-10-13
ZA827308B (en) 1983-08-31
JPS58501701A (ja) 1983-10-06
EP0090045A4 (en) 1985-06-06
FI75244B (fi) 1988-01-29
SG96990G (en) 1991-01-18
DK265483A (da) 1983-06-10
AU559075B2 (en) 1987-02-19
IT1149388B (it) 1986-12-03
WO1983001548A1 (en) 1983-04-28
DK265483D0 (da) 1983-06-10
AR231363A1 (es) 1984-10-31
FI832117L (fi) 1983-06-13
FI75244C (fi) 198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170B1 (ko) 정보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
US4431991A (en) Encoder for transmitted message deactivation code
KR880002163B1 (ko) 수신기용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US4873520A (en) Paging receiver for storing digitized voice messages
US5455579A (en) Digitized stored voice paging receiver
US4811376A (en) Paging system using LPC speech encoding with an adaptive bit rate
EP0090042B1 (en) Decoder for transmitted message deactivation code
US4145684A (en) Alerting system with dual-address memory
US4720710A (en) Paging receiver having a plurality of test modes
JPS643413B2 (ko)
EP0423200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cknowledging and partially answering a paging signal
EP0297368B1 (en) Digitized stored voice paging receiver
JPH0150147B2 (ko)
GB2100486A (en) Radio receiver (pager) decoding system
CA1340004C (en) Digitized stored voice paging receiver
JPS59101543U (ja) デジタル式個別選択呼出受信機
WO1993022882A1 (en) Receiver and method for presenting type of message
KR910013956A (ko) 전자 교환기용 범용 신호 송수신 회로 팩의 신호 서비스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