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17B1 -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과 박피용 공구 - Google Patents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과 박피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17B1
KR880002117B1 KR8201263A KR820001263A KR880002117B1 KR 880002117 B1 KR880002117 B1 KR 880002117B1 KR 8201263 A KR8201263 A KR 8201263A KR 820001263 A KR820001263 A KR 820001263A KR 880002117 B1 KR880002117 B1 KR 880002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eeling
coated optical
tool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669A (ko
Inventor
아리오 사라자까
겐이찌 후세
하루오 우메쯔
Original Assignee
후나바시 마사오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043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59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61813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59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6181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5923B2/ja
Application filed by 후나바시 마사오,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나바시 마사오
Publication of KR83000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6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 G02B6/566Devices for opening or removing the mantl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과 박피용 공구
제1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에 관한 박피용 공구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16도 내지 제22도는 제2도의 공구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박피방법을 실시한 경우의 공정도와 이 박피후의 광파이버의 접속예를 나타낸 공정도.
제23도 내지 제25도는 각각 제5도의 공구, 제6도 및 제7도의 공구, 제11도의 공구에 의한 박피방법을 실시한 경우의 피복제거공정을 나타낸 도면.
제26도 내지 제29도는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나타낸 공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박피방법을 실시한 경우의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파이버 2 : 피복층
4,4,4 : 섬유재 5 : 피복 광파이버
5',5' : 피복분열 스트립 조각 6 : 박피용 공구
61: 기체 62: 전측부(前側部)
63: 후측부 7 : 유도통로공간
19 : 협지면 20 : 안내공간
21a,21b : 안내면 32 : 누름피이스
본 발명은 강화피복 광파이버와 같이 광파이버 외주의 피복층에 세로로 첨부된 상태의 섬유재가 개재되어 있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과 박피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보통 광파이버는 두개의 다른 굴절율을 갖는 유리질로 구성되고, 한쪽이 중심부를 구성하는 코어이고, 다른쪽이 코어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클래드(clad)로서 코어의 굴절율이 클래드의 굴절율보다 크게되어 있다.
이 광파이버는 외경이 100내지 200μ 정도의 것으로서 이대로는 외력에 대하여 약하기 때문에 보통 광파이버는 이 외주에 실리콘 고무등의 1차피복아 가해지고 다시 이 외주에 나일론등의 2차 피복이 가해져서 피복 광파이버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피복 광파이버를 길이방향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접속할 한쌍의 피복광파이버 단부의 피복을 소정길이를 제거하여 단면끼리를 서로 대향시켜 맞대고 이 맞댐부를 아아크등의 방전열에 의하여 융착 접속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피복 광파이버를 예컨데 복수개를 집합하여 케이블화한 경우에 케이블로서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부재를 피복 광파이버와 함께 세로로 설치하여 케이블화 하는등의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강화피복 광파이버는 이러한 때에도 보강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은 것으로서 일반적인 강화피복 광파이버는 제1도에 예시하는 단면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 강화피복 광파이버(이하 단순히 피복 광파이버라 한다)는 다음과 같이해서 제조된다.
즉 1차피복층(2)이 형성되어 있는 광파이버(1)의 외주에 열경화성수지(3)가 함침된 유리섬유, 탄소섬유등이 섬유재((4)(4)(4)…)가 그 광파이버 길이방향으로 따라가도록 세로로 첩부되고, 또한 그 열경화성 수지(3)가 가열경화되어서 소정의 피복층(5)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렇게해서 제조된 광파이버는 섬유재제의 피복층(5)을 가지므로써 뛰어난 기계적 특성, 온도특성을 발휘한다.
그러나 상기 피복 광파이버로서는 그 피복층(5)의 기계적 특성이 너무 높기때문에 광파이버 접속시의 박피작업이 원활히 행하여지지않아, 잘못해서 광파이버(1)를 불위에 손상시키거나 박피용 절단구조를 조기에 닳케하는등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상기 피복층의 박피작업이 간이하게 게다가 실패없이 행할 수 있는 방법과 공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다음에 그 박피방법과 박피용구를 도시의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 박피대상이 되는 피복광파이버는 앞에 표시한 제1도와 같이 피복층(5)에 섬유재(4)(4)(4)…가 개재된 것이며 그 구체적인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광파이버(1)는 석영유리, 바아코르(Vycor)유리, 파이렉스(Pyrex)유리, 다성분유리, 플라스틱등으로 구성되고 1차 피복층(2)은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등으로 구성되고 또한 섬유재(4)(4)(4)...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기타 아라미드섬유, 세라믹섬유, 용융실리카섬유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박피용공구(6)는 제2도 내지 제15도와 같은 각종의 것을 들 수 있다.
먼저 제2도의 경우, 박피용공구(6)는 슬리이브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피복 광파이버용의 유도통로공간(7)을 가지는 이 공구(6)의 기체(61)는 그 일단 내주 및 타단외주에 각각 테이퍼부(8a,8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양단에 나이프에지(9a,9b)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제3도, 제4도의 경우도 박피용공구(6)는 슬리이브상으로 되어 있고, 그리고 제3도에서는 기체(61)의 양단에 내주에 테이퍼부(8a,8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4도에서는 기체(61)의 양단 외주에 테이퍼부(8a,8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박피용공구(6)는 물론이고 다음에 설명하는 각종 공구도 그 기체가 되는 부분은 금속, 유리, 세라믹, 엔지니어링플라스틱, FRP등으로 구성되고 그 중간부 내경은 상기 피복층(5)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또한 제2도의 박피용 공구(6)에 있어서 양단의 테이퍼부(8a,8b)는 어느것이나 하나만으로 하거나 또는 이들 테이퍼부(8a.8b)가 전연 없는 것을 하는 것도 있다.
다음에 제5도의 박피용 공구(6)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공구(6)는 전술한 바와같은 재료에 의하여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8a,8b)가 없는 상태에서 유도통로공간(7), 나이프에지(9a,9b)를 갖추고 잇다.
한편 제6도, 제7도에 나타낸것은 박피용공구(6)의 기체가 되는 부분이 한쌍의 분할형 피이스(piece)(6',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분활형 피이스(6',6")의 대향면에는 그 대향접촉상태에서 유도통로공간(7)이 되는 요(凹) 홈(7',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분한형 피이스(6罕,6")으로 된 박피용공구(6)는 테이퍼부, 나이프에지등이 부호(8b罕,8b",9a',9a",9b,9b")로 표시한 바와같이 반분할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분할피이스(6',6")을 된 상기 공구(6)이 경우는 핀(10)을 통하여 X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11',11")의 각 선단에 분할형 피이스(6',6")가 각각 부착되고, 이들 손잡이(11',11")를 통하여 이 각 분할형 피이스(6',6")은 상대적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8도, 제9도, 제10도의 것은 제6도, 제7도와 같이 한쌍의 분할형 피이스(6',6")에 의하여 박피용공구(6)를 구성하여 이들을 상기한 바와같이 손잡이(11',11")에 부착하도록 한 것이다.
이중 제8도의 것은 양 분할형 피이스(6',6")으로 된 박피용 공구(6)의 일단 내주에 곡면으로 된 테이퍼부(8a',8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곡면테이퍼부가 특징으로 되어 있다.
또 제9도의 것을 양분할형 피이스(6',6")으로 된 박피용 공구(6)의 일단 외주에 형성된 테이퍼부(8b',8b")의 선단에 외형만이 작은 반분할상의 통부(12',12")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외에 요홈(7',7")의 내주에 마찰계수가 높은 반원형의 부재(고무, 플라스틱등)를 매몰상태로 한 미끄럼 방지구조(13',13")가 형성되고, 이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또 제10도의 것은 양분할형피이스(6',6")으로 된 박피용 공구(6)의 일단 내주에 상기 미끄럼 방지구조(13',13")도 겸하는 예각상의 나이프에지(9a',9a")와 이의 내방에 위치하는 홈(14',14")이 형성되어 있어 이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11도의 것은 제6도 내지 제10도등에서 표시한 각종 박피용공구(6)에 있어, 상기 손잡이(11',11")에 대신 하는 힌지(15)에 의하여 양분할형 피이스(6',6")를 상대 개폐자재로 연결해 있고, 그 힌지에는 양분할형 피이스(6',6")를 항상 서로 폐쇄하기 위한 코일스프링(16) 또는 판스프링이 장착되고 각 분할형피이스(6',6")에는 각각 손잡이(17',17")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12도의 것은 상술한 제6도 내지 제11도의 것에 있어서 분할형 피이스(6')의 요홈(7')의 양측에 탈출방지용핀(18',18')이 돌출 설치되고 분할형 피이스(6")의 요홈(7")의 양측에는 상기 양 핀(18',18')이 끼워 삽입하는 핀 호올(18",18")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각종 박피용 공구(6)에 있어서 이들 공구외형은 단면원형, 단면각형등 임의형상을 채용할 수 있으나, 유도통로공간(7)의 단면형상은 피복 광파이버(5)의 단면의 형에 닮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좋고, 따라서 그 단면외형이 원형이면 그 공간(7)의 단면형상은 원형으로 하고, 또한 피복 광파이버(5)의 단면외형이 각형이면 그 유도통로 공간(7)의 단면형상도 각형으로 한다.
또한 박피용 공구(6)가 한쌍의 분할형 피이스(6',6")으로 구성될때 미끄럼 방지구조(13',13")가 없는 제6도, 제7도 및 제8도의 분할형 피이스(6',6한)에도 동 구조(13',13")를 설치해도 좋고, 또 그 미끄럼방지구조를 나이프에지(9a',9a")가 겸하고 있는 제10도의 경우에는 이들 2개의 구조기능을 독립시켜서 설치해도 좋다.
물론 상기 미끄럼 방지구조(13',13")의 내경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피복 광파이버(5)의 외경보다도 작아야 된다.
다음에 제13도 및 제14도의 박피용 공구(6)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도면표시의 공구의 기체(61)(body)는 상호 인접한 전측부(62)와 후측부(6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서의 전측부(62)는 그 내부에 피복 광파이버용의 유도통로공간(7)이 있고, 또한 그 전측부(62)는 그 후단에서 중간에 걸친 외경이 테이퍼상을 되어 있는 동시에 그 중간에서 전단에 이르는 외경이 작은 원형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이 전측부(62)는 테이퍼부(8a)와 작은 통상부(64)가 일체로 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전측부(62)의 전단면과 상기 유도통로공간(7)을 형성해 있는 내주면과의 교차부분이 나이프에지(9a)로 되어 있다.
한편 후측부(63)는 앞서 설명한 전측부(62)의 테이퍼부(8a)보다도 얇은 판상을 나타내 있고, 그 상면이 피복광파이버(5)용의 협지면(挾持面)(19)으로 되어 있다.
다시 그 협지면(19)에는 상기 유도통로공간(7)으로 향하여 안내공간(20)이 점차 작아지는 안내면(21a,21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경우 상기한 안내면(21a,21b)은 협지면(19)의 일부를 부채꼴 사다리형상으로 융기시켜서 이루어진 융기부(22a,22b)의 호상(弧狀)내주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양 안내면(21a,21b)의 대향부 사이가 안내공간(20)으로 되어 있다.
물론 유도통로공간(7)의 후단에 연속하는 이 안내공간(12)의 최소폭은 단면 원형으로 한 그 유도통로 공간(7)의 직경과 거의 같게 되어 있고, 또 유도통로공간(7)의 외경은 피복 광파이버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되어 있다. 또한 피복광파이버의 단명형상이 각형인때에는 유도통로공간(7)도 단면각형으로 한다.
상술한 기체(61)의 소정 장소에는 가요성의 누름피이스(2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이 누름피이스(23)는 일단이 고정단(23'), 타단이 자유단(23")으로 되어 있다.
이 누름피이스(23)는 그 고정단(23')을 상기 융기부(22a,22b)상에 포갠상태로 하여 동단(23')을 나사(24,24)로 고정하므로써 기체(61)에 부착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누름피이스(23)의 자유단(23")은 협지면(19)상에 연장되고 또한 이 자유단(23")과 협지면(19)과의 사이에 보유되어 있다.
또 상기 기체(64), 누름피이스(23)의 재질, 기타의 실시상태등에 관하여는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먼저 기체(61)에 관하여, 이것은 금속, FRP, 세라믹등 적당한 경도를 가지면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는 것이 좋지만 이 기체(61)가 단일재료에 의한 일체가공물인 이외에는 그 전측부(62)에 있어서의 통형부(64)에만 이러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게하면 좋다.
예를들면, 통형부(64)가 없는 기체(6)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유도통로공간(7)을 가지며 통형부(64)를 겸하는 금속통을 테이퍼부(8a)로부터 그 전측부(62)내에 삽착하도록해도 좋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통상부(64)그 자체를 생략하는 일이 있다.
또 안내공간(20)을 형성하는 안내면(21a,21b)은 원호상 이외에 직선적인 테이퍼면이라도 좋고 다시 유도통로공간(7)의 후단 내주를 테이퍼상으로 확장개방하여 여기를 상기 안내면, 안내공간으로 하는 일도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가요성의 누름피이스(23)를 테이퍼부(8a)의 상면에 부착한다.
다시 누름피이스(23)에 관하여, 이것은 스프링성이 있는 금속단일체, 혹은 가요성이 있는 고무, 플라스틱의 단일체라도 좋으나, 도시한 바와같이 2매의 적층플레이트(23a,23b)로 이 누름피이스(23)를 구성하고, 그 한쪽의 플레이트(23a)를 판상으로 한 금속재의 스프링재로, 그 다른쪽의 플레이트(23b)를 고무, 플라스틱제의 시이트재료로 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 제2도의 박피용 공구(6)를 사용하여 행하는 본 발명의 박피방법을 제16도 내지 제19도에 의하여 설명하고, 다시 그후의 광파이버의 접속예를 제20도 내지 제22도에 의하여 설명하겠으나, 이때 상기 피복광파이버는 부호(A,A')로 표시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먼저 제16도와 같이 슬리이브상으로한 박피용 공구(6)를 피복 광파이버(A)의 외주에 끼워서 동도 실선의 위치근방에 이 공구(6)를 갖다 대 둔다.
다음에 제17도와 같이 피복 광파이버(A)의 단부를 동도 화살표방향으로 구부려서 그 피복층(5)을 파괴한다.
이렇게하면 이 피복층(5)에서 세로로 첨부한 평형상태의 각 섬유재(4,4,4…)사이가 확장개방되게 되고 이로서 피복층(5)에는 제18도와 같이 광파이버 길이방향의 균열(25)이 생기고 이 파괴상태의 피복층(5)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피복분열스트립조각(이하"스트립조각"이라 함)(5',5'…)으로 된다. 다음에 제19도와 같이 각 피복 스트립조각(5',5'…)을 광파이버(1)의 외주에서 박리시키면서 상기 균열을 길이방향으로 성장시키고 다시 각 스트립조각(5',5' …)등도 화살표방향으로 구부리면서 그 절곡부(26,26)를 박피용 공구(6)의 나이프에지(9a',9a")에 강하게 눌러대고, 이로서 각 피복 스트립조각(5',5'...)을 그 절곡부(26,26)로부터 절단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해 소정의 박피작업은 완료하나 이 작업 완료후 광파이버 접속까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상기한 바와같이 박피된 피복 광파이버(A)의 단부에서는 광파이버(1)가 노출되어 있고, 이것이 피복제거부(27)로 되어 있으나, 이 피복제거부(27)는 제20도와 같이 동도 X-X선에 따라 수직으로 절단되고 절단단면이 거울면 모양으로 연마된다.
한편 이 피복광파이버(A)에 대응하는 다른 피복광파이버(A')도 상기한 제공정을 거쳐서 단부 가공되어 있으며 이들 양 피복 광파이버(A,A')의 피복제거부(27,27)는 통상 방법에 따라 제21도와 같이 맞대어지는 동시에 그 맞댐부가 방전가열, 레이저가열등에 의해 융착 접속된다.
그후 한쪽의 피복광파이버(A 또는 A')에게만 남아있던 상기 박피용공구(6)는 제22도와 같이 양 광파이버 상호간의 접속부에 걸쳐서 덮어씌워지고, 이 박피용 공구(6)의 안에는 그 양단에서 접착제가 충전되어서 소정의 접속작업이 완료한다.
이렇게해서 접속작업을 행할 경우, 상기 박피용 공구(6)는 그 접속부의 보강슬리이브로서도 활용되게 된다. 또한 앞서 말한 박피작업시에 제18도의 시점에서 박피용 공구(6)를 피복광파이버(A)의 외주에 끼우도록해도 좋다. 또 이 박피용 공구(6)를 접속부의 보강슬리이브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동 공구(6)는 박피후의 피복 광파이버 끝으로부터 빼내지고 다음 박피작업에 대비된다.
제3도, 제4도의 슬리이브상 박피용 공구(6)에 의한 박피방법도 제2도의 것과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고 보강슬리이브로 될 수 있다.
또 제5도의 링상으로 한 박피용 공구(6)를 사용하여 박피를 실시하는 경우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피복파괴공정, 공구 장착공정을 거친 후에 제23도에 표시하는 소정의 피복제거공정에 의하여 피복스트립조각(5',5')을 절단한다.
또 제6도 내지 제11도에 표시하는 개폐형 박피용 공구(6)도, 임의의 순서로 피복 파괴공정, 공구 장착공정을 거친 후 제24도 및 제25도에 표시한 피복 제거공정에 의하여 피복스트립조각(5',5")을 절단하는데, 그 공구 장착공정에 있어서는 각각 손잡이(11',11") 및 손잡이(17',17")에 의하여 분할형 피이스(6',6")를 개폐조작하고, 요홈(7',7")에 의한 유도통로공간(7)내에 피복 광파이버(A)의 단부를 끼워 삽입한다.
이때 피복 광파이버단을 전술한 곡면테이퍼부(8a',8a")등에 따라서 구부리면, 균열(25)을 발생시키는 조작이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요홈(7')의 양측에 제12도와 같은 탈출방지용의 핀(18',18')이 있으면 동 요홈(7')내에 끼워 삽입된 피복 광파이버(A)의 단부가 홈밖으로 본의 아니게 탈출하는 일은 없어지고 따라서 그 요홈(7')내에 피복 광파이버단을 끼워넣어서 양 분할형 피이스(6',6")를 닫으므로써 이 피복 광파이버단은 실수없이 유도통로공간(7)내에 보유된다.
또 요홈(7',7")내에 제9도와 같은 미끄럼방지구조(13',13")가 설치되어 있거나, 또한 제10도와 같이 나이프에지(9b',9b")가 그 미끄럼방지구조를 겸하고 있을때, 유도통로공간(7)에 있어서의 피복 광파이버단의 미끄럼짐이 저지되고, 피복스트립조각(5',5')을 절단하는 작업이 미끄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히 행해진다.
또 제2도에 표시하는 슬리이브상의 박피용 공구(6)에 있어서 그 일단내주에 테이퍼부(8a)가 있으면 유도통로공간(7)에 피복 광파이버단을 유통통과시키는 조작이 쉽게 된다.
다음에 제13도 내지 제15도에서 표시한 박피용 공구(6)에 의한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예를 제26도 내지 제29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이 박피예에서도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로 처음 제26도와 같이 동도 화살표방향에 따라서 피복광파이버(A)의 단부를 유도통로 공간(7)내에 유도통과시키는 것이며, 이때 이 공간(7)내에 대한 파이버 유도는 안내공간(20)을 형성해 있는 안내면(21a,21b)에 의하여 행한다.
다음에 제27도와 같이 피복 광파이버(A)의 단부를 동도 화살표 방향으로 구부려서 그 피복층(5)을 눌러서 부순다. 이렇게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피복층(5)에는 제28도와 같이 광파이버 긴쪽방향의 균열(25)이 생기고 이 피복층(5)은 적어도 2개이상의 피복스트립조각(5',5'…)으로 된다.
다음에 누름피이스(23)를 제29도 화살표(Y)방향으로 휘어지게하면서 이 누름피이스(23)와 후측부(63)의 협지면(19)으로 피복 광파이버(A)가 움직여 어긋남을 저지한 후에 각 피복스트립조각(5',5'...)을 광파이버(1)의 외주에서 박리시키면서 상기 균열(25)을 성장시키고 다시 각 피복스트립조각(5',5'…)을 제29도 화살표(Y)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그 절곡부(26,26)를 통형부(64)의 전단에 있는 나이프에지(9a)에 강하게 갖다대고 이렇게해서 각 피복 스트립조각(5',5")을 절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박피작업시에 제26도의 조작과 제27도의 조작은 전후 편성을 바꾸어서도 행할 수 있다. 또 피복 광파이버단에 균열(25)을 발생시키는 조작은 그 단부를 안내면(21a,21b)에 따라서 구부리므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종 피복제거공정에 있어서 피복 스트립조각(5',5')이 절단되는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면, 피복스트립조각(5',5')의 절곡부(26,26)를 나이프에지(9b,9b',9b" 또는 9a,9a',9a")에 갖다대고, 다시 이 상태에서 피복 스트립조각(5',5')을 구부리면 이들 피복 스트립조각(5',5')은 경질이기 때문에 그 절곡부(26,26)에서 초기에 파단이 발생하게 되고 절곡부(26,26)의 절곡각도가 크게됨에 따라 그 파단상태가 진행하여 결국 피복스트립조각(5',5')은 소정 개소에서 완전히 파단된다.
이때 나이프에지(9b,9b',9b" 또는 9a,9a',9a")가 절곡부(26)에 상처를 내는 일은 거의 없고 따라서 상기 피복제거공정에서의 절단은 절곡에 의한 파단현상으로서 포착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해서 피복 스트립조각(5',5')을 제거할때 이 제거에 의한 절곡각도는 피복층(5)의 두께, 경도등에 의하여 약간 변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제14도의 광파이버(1)와 피복 스트립조각(5')과의 협각이 약 90°로 되기 이전에 상술한 완전한 파단이 일어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는 소정의 피복층에 절곡수단으로 균열이 일어나게 하고, 이것을 길이방향으로 성장시키면서 복수의 피복 스트립조각을 만든 후 피복광파이버의 소정의 위치에 끼워져 있는 소정의 박피용 공구를 통하여 상기 각 피복 스트립조각을 절단하도록 하였으므로 각 공정마다의 어려움이 전연 없고, 또 광파이버손상등의 사태를 야기시키지 않고 능률좋게 박피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박피용 공구에 의하면 피복 광파이버에 대응한 공구의 세트작업, 피복층의 파괴작업과 이의 제거작업등이 간이한 조작으로 모두 행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광파이버 손상등의 작업실수를 회피하면서 소정의 박피작업을 능률좋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피복층을 제거할때 커팅이라기 보다도 동층의 물성을 이용한 절곡파괴에 의하여 이 피복층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므로 공구의 조기닳음등은 일어나지 않는다.

Claims (19)

  1. 광파이버의 외주의 피복층중에 광파이버 길이 방향에 따른 섬유제가 개재되어 있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에 있어서, 박피할 피복광파이버 단부의 피복층에 광파이버 길이방향의 균열을 일으키는 동시에 이 균열을 성장시키면서 그 균열되어 부서진 피복층을 복수의 피복 분열스트립조각으로 분할하고 피복층을 제거할 위치에 설치할 에지를 기점으로하여 상기 분열스트립조각을 외방으로 절곡하여 에지부에서 상기 피복분열스트립조각을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광파이버 길이방향의 균열은 피복 광파이버 단부를 절곡하므로써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에지는 박피용 공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박피용 공구는 피복 광파이버 단부의 피복층에 광파이버 길이방향의 균열을 생기에 하기전에, 또는 균열을 생기게한 후에 상기 피복 광파이버의 단부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에지는 피복 광파이버 유도통로용의 구멍을 형성한 슬리이브상 또는 링상의 기체를 가지는 박피용 공구에 설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기체는 적어도 그 일단내주 또는 일단외주에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기체는 그 외형이 단면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유도통로의 구멍은 피복 광파이버의 외형과 상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기체는 한쌍의 분할형 피이스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기체를 구성하고 있는 한쌍의 분할형 피이스는 X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손잡이와 각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기체를 구성하고 있는 한쌍의 분할형 피이스는 힌지를 통하여 서로 대향 개폐가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기체의 유도통로용 구멍은 이 구멍의 내주에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구조는 첨예(尖銳)한 돌기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구조는 마찰계수가 높은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15. 제3항 내지 제6항, 제8항내지 제10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기체는 금속, 유리, 세라믹,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FRP등 중의 어느것의 재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
  16. 광파이버 외주의 피복층중에 광파이버 길이방향으로 따른 섬유재가 개재되어 있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용 공구에 있어서 이 공구용의 기체는 내부에 피복 광파이버용의 유도통로 공간을 가지는 전측부와 상면에 피복 광파이버용의 협지면이 있는 후측부를 서로 인접해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협지면에는 유도통로 공간에 향하여 안내공간이 점차 작아지는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에는 협지면과 서로 대향하는 누름 피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용 공구.
  17. 제16항에 있어서, 기체의 전측부는 그 후단으로부터 중간에 걸친 외형이 테이퍼상으로 되어 있고, 이 중간으로부터 전단에 걸친 외형이 작은 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용 공구.
  18. 제16항에 있어서, 기체는 금속, FRP, 세라믹등 중에 어느것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용 공구.
  19. 제16항에 있어서, 누름피이스는 2매의 적층플레이트로 되고 그 한쪽의 플레이트가 스프링재제, 그 다른쪽의 플레이트가 고분자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용 공구.
KR8201263A 1981-03-25 1982-03-24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과 박피용 공구 KR880002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43495 1981-03-25
JP56043495A JPS6015921B2 (ja) 1981-03-25 1981-03-25 被覆光フアイバの皮剥ぎ方法
JP???56-43495 1981-03-25
JP56-181328 1981-11-12
JP56-181329 1981-11-12
JP56181328A JPS6015922B2 (ja) 1981-11-12 1981-11-12 被覆光フアイバの皮剥ぎ工具
JP56181329A JPS6015923B2 (ja) 1981-11-12 1981-11-12 被覆光ファイバの皮剥ぎ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669A KR830009669A (ko) 1983-12-22
KR880002117B1 true KR880002117B1 (ko) 1988-10-15

Family

ID=2729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263A KR880002117B1 (ko) 1981-03-25 1982-03-24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과 박피용 공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KR (1) KR880002117B1 (ko)
AU (1) AU556520B2 (ko)
CA (1) CA1197080A (ko)
DE (1) DE3210210A1 (ko)
FR (1) FR2502799B1 (ko)
GB (1) GB2097551B (ko)
IT (1) IT1148538B (ko)
SE (1) SE8201861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5964A1 (de) * 1984-12-17 1986-06-2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Mit einer huelle aus kunststoff eng umhuellte glasfaser fuer eine optische leitung der nachrichtentechnik
CA1303338C (en) * 1987-09-11 1992-06-16 Helmut H. Lukas Optical fiber stripping and breaking apparatus
US6852169B2 (en) 2001-05-16 2005-02-08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ptical fibers with a plasm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7768A (en) * 1950-10-19 1953-02-10 Jr Robert F Cook Wire stripper
US2929285A (en) * 1956-11-26 1960-03-22 Sperry Rand Corp Method and machine for stripping metal braid from the end of shielded wire or cable
US4046298A (en) * 1975-12-29 1977-09-06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ipping optical fiber ribbons
DE2629208C3 (de) * 1976-06-29 1979-11-0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Werkzeug zum radialen Einschneiden der Isolierhülle eines Lichtwellenlei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178682A (en) 1982-09-30
IT8248075A0 (it) 1982-03-24
CA1197080A (en) 1985-11-26
DE3210210A1 (de) 1982-11-18
AU556520B2 (en) 1986-11-06
DE3210210C2 (ko) 1993-01-28
KR830009669A (ko) 1983-12-22
SE8201861L (sv) 1982-09-26
IT1148538B (it) 1986-12-03
GB2097551B (en) 1984-11-28
FR2502799A1 (fr) 1982-10-01
FR2502799B1 (fr) 1986-08-14
GB2097551A (en) 198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6373B2 (en) Strain relief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295421A (en) Blade for fiber ribbon stripping
US7398599B2 (en) Device for removing coating on optical fiber
GB2087585A (en) Replacing optical fibre sheathing after fusion splicing
WO2010105657A1 (en) Optical cable with improved strippability
EP1146357A3 (en) Optical fiber gratings with index matched polymer coatings for cladding mode suppression
KR880002117B1 (ko) 피복 광파이버의 박피방법과 박피용 공구
EP1233290A3 (en) Optical transmission line including a connected part of optical fibers and connecting method
US20120125166A1 (en) Cleavers for cleaving optical fibers, and related blades, components, and methods
US4432807A (en) Method of exfoliating coating of coated optical fiber
US20110204117A1 (en) Bladeless cleavers having a flexible tongue and related methods for cleaving an optical fiber using an abrasive medium
US20100127034A1 (en) Optical Fiber Cleave Tool
EP3201930B1 (en) Disposabl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tool
KR100958773B1 (ko) 광케이블 피복 탈피용 스트리퍼
JP3714423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岐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岐工具ならびに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JP4835618B2 (ja) 光コネクタ
JPS6015923B2 (ja) 被覆光ファイバの皮剥ぎ方法
JPS60185907A (ja) 光フアイバ保護部材
JP2005010310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岐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岐工具ならびに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EP1946166B1 (en) Cleaving apparatus
KR100730833B1 (ko) 플라스틱 광섬유용 기계식 광접속자
GB2175410A (en) Optical fibre fusion splicing
KR200326737Y1 (ko) 광섬유 스트리퍼
JP4360632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KR100653360B1 (ko) 광섬유절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