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914Y1 - 증기 다리미 - Google Patents

증기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914Y1
KR880001914Y1 KR2019830000202U KR830000202U KR880001914Y1 KR 880001914 Y1 KR880001914 Y1 KR 880001914Y1 KR 2019830000202 U KR2019830000202 U KR 2019830000202U KR 830000202 U KR830000202 U KR 830000202U KR 880001914 Y1 KR880001914 Y1 KR 880001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iser
reservoir
evaporation chamber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0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974U (ko
Inventor
프란시스쿠스 피터 마리아 그로넨 안토니우스
포케 빌렘드 브라이스 헨드리쿠스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싹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싹커스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40003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4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 D06F75/16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the reservoir being heated to produce the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4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 D06F75/1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the water being fed slowly, e.g. drop by drop, from the reservoir to a steam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기 다리미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다리미 일예의 일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다리미를 바로 건식으로 전활시킬 수 있게끔 변형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바닥판 4 : 증발실
8 : 저수통 12 : 증기상승관
11 : 증기수집공간 13 : 증기공급관
7 : 증기출구 28 : 밸브부재
18 : 제어꼭지 15 : 슬리이브
29 : 증기 유입구
본 고안은 저부에 전열기소와 증발실(steam chamer)과 증기출구로 구성한 바닥판을 덮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속의 저수통과, 이 저수통과 증발실 간의 수로(水路)와, 저수통 상부의 반구형 증기수집공간(steam dome)과, 증기수집공간과 증발실을 연결하는 증기 상승관(steam riser pipe)과, 증기 수집공간과 증기출구를 연결하는 증기 공급관으로 구성한 증기 다리미(steam iron)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3,896,572호에 의한 증기 다리미를 볼것 같으면 저수통과 증발실간의 수로구멍에 밸브를 장치하여 단위시간당 증발실로 떨어지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데, 증발실로 들어가는 물의양이 증발시킬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게되면 증기 방출량이 바닥판의 온도에 의존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한 온도에서 증기방출량을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리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다리미는 저부에 전열기소와 증발실과 증기출구로 구성한 바닥판을 엎은 하우징과, 하우징속의 저수통과, 저수통과 증발실간의 수로와, 하우징 상부의 반구형 증기 수집공간과, 증기수집공간과 증발시을 연결하는 증기상승관과, 증기 수집공간과 증기출구를 연결하는 증기 공급관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증기 상승관을 통과하는 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를 하여 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꼭지를 하우징에 설치한다.
이 장치는 밸브부재로 하여금 증기상승관의 일단과 협동하여 그 상승관을 통과하는 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다리미에서는, 증발실속으로 들어가는 물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증기의 방출량을 조절하지 않는다. 그 결과 수로 구멍의 앞에 밸브를 장치한 공지의 증기 다리미에서 보다 증발실과 저수통간의 수로가 크다. 따라서, 증발실에서 벗겨져서 떨어지는 부스러기 입자들로 수로가 막혀서 증기방출이 억제된 염려가 줄어든다. 또한, 증기상승관을 완전히 차단시키면 증발실속의 증기가 수로를 통해서 저수통속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므로 수로가 씻겨진다는 잇점도 존재한다.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다리미의 바람직한 일예를 들것 같으면, 증기 공급관은 증기 상승관의 중심을 통해서 그 증기 상승관의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시켜 중기 공급관과 증기 상승관 사이에 환상의 증기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상술한 바 밸브 부재는점차로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단은 폐쇄시키고 가운데 부분에는 증기 유입구를 형성시켜 놓은 슬리이브를 저수통벽에 구멍을 형성시켜 그 구멍과 증기 공급관의 상단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시킬 수 있게끔 장치하여 그 슬리이브 하단에 부착시켜 그 슬리이브에 의해서 상술한 바 환상의 증기 통로속으로 움직여서 그 통로 단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그 통로를 지나는 증기의 흐름을 여러가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는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해서 첨부한 도면을 예로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다리미는 하우징(1)과 바닥판(2)로 구성한다. 바닥판에는 전열기소(3)와 증발실(4)을 장치한다. 증발실에는 검사뚜겅(5)을 덮어서 나사로 고정시켜둔다. 검사 뚜껑(5)밑으로는 증기 출구판(6)을 바닥판과 같은 면상에 존재하도록 설치한다. 증기 출구판에는 증기 출구(7)를 형성시켜 둔다. 하우징(1)에는 저수통(8)을 장치한다. 바닥판(2)과 저수통(8)사시에는 단열판(9)을 설치하여 저수통이 너무 가열되지 않도록 한다. 저수통(8)과 증발실간에는 수로(10)을 설치한다. 이 수로을 통하여 증발실로 물이 방울방울 떨어지게 된다. 저수통 상부에는 증기 수집공간(11)을 형성시킨다. 증발실(4)과 증기 수직공간(11)사이는 증기 상승관(12)으로 연결한다. 증기 상승관(12)중심으로는 증기 공급관(13)을 통과시켜 증기 상승관의 상단을 지나도록 하여 증기 상승관과 증기 공급관 사이에 환상의 증기통로(14)를 형성시킨다. 증기 공급관(13)의 하단은 검사뚜껑(5)과 연결한다. 저수통(8)의 상부벽(17)에 구멍(16)을 형성시켜 그 구멍속에 슬리이브(15)를 미끄럼 운동시킬 수 있게끔 장치한다.
하우징의 상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손가락 지지부(20)를 형성시켜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설치하는 부시(19)와 이 부시속에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끔 장치하는 플런저(21)로 구성한 제어꼭지(18)를 장치한다. 플런저(21)에는 반경향으로 돌기(22)를 형성시켜 하우징(1)에 형성시켜논 수직홈(23)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끔 한다. 부시(19)의 하단은 그 자신의 축선에 대하여 나선상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형성시켜 플런저(21)의 돌기(22)와 협동하는 캠면(24)을 형성토록 한다. 따라서, 손가락 지지부(20)에 의해서 부시(19)를 회전시키면 플런저(21)는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환상의 밸브부재(28)를 슬리이브(15)의 개방된 하단에 부착시킨다. 밸브부재(28)는 탄성물직을 가지고서 외경이 증기상승관(12)쪽으로 가면서 감소되게끔 외형을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점차로 가늘어지게끔 하여 형성한 환상체로서 한다. 슬리이브(15)는 증기 공급관(13)의 상단부를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게끔 하여 밸브부재(28)로 하여글 증기상승관(12)의 상단속으로 움직여서 그와함께 협동하여 상술한바 환상의 증기 통로를 통과하는 증기의 양을 여러가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슬리이브(15)의 가운데 부분에는 증기 유입구(29)를 형성시켜 놓는다.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다리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수로(10)를 거쳐서 증발실로 방울방울 떨어지는 물은 가열 증발되어 환상의 증기통로(14)를 거쳐서 증기수집공간(11)으로 가서 다시 저수통(8)의 벽의 구멍(30)과 슬리이브(15)의 구멍(29)을 통해서 증기 공급관(13)을 거쳐서 증기출구(7)로 가서 다림질하는 천(fabric)으로 방출된다. 이 증기 방출량은 밸브부재(28)에 의해서 환상의 증거통로(14)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여러가지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손가락 지지부(20)를 돌려서 슬리이브(15)를 하강시키면 밸브부재(28)가 증기 상승관(12)의 상단속으로 들어가서 환상의 증기통로(14)의 단면적이 줄어듦므로써 단위 시간당 증기 수집공간으로 모이는 증기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다리미 밖으로 방출되는 증기의 양도 줄어든다. 환상의 증기통로(14)를 밸브부재(28)로 더욱 제한시키면 증기 상승관(12)과 증발실(4)속의 압력이 더욱 증가히기 때문에 증발실속으로 떨어지는 물의 양도 줄어든다. 증기통로(14)를 밸브부재(28)로 완전히 차단시키면 증발실속의 증기는 수로(10)를 통해서 저수통(8)속으로 밀려들어가서 즉시 응축된다. 따라서, 수로(10)가 증발실에서 벗겨져서 떨어지는 부스러기 입자들로 막혀있을 경우에는 그곳을 지나가는 증기에 의해서 씻겨지게 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핀(pin)으로 수로(10)를 닦아낼 수도 있다. 이렇게 하려면 증기출구판(6)과 검사뚜껑(5)을 떼어내야만 한다.
제1도에 도시한 다리미를 건식으로 즉, 증기없이 사용하려면 우선 저수통(8)을 비워야 한다. 제2도의 변형예에서는 밸브대(32)를 거쳐서 동작버튼(33)에 연결시킨 밸브부재(31)로 수로(10)를 폐쇄시킨다. 즉, 버튼(33)을 눌러놓으면 밸브부재(31)가 수로(10)의 상단을 완전히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저수통(8)속에 물이 들어있을 지라도 건식 다림질(dry-ironing)을 할 수 있게 된다. 버튼(33)을 눌러놓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은 어떠한 식으로 해도 좋다.

Claims (4)

  1. 저부에 전열기소와 증발실과 증기출구로 구성한 바닥판을 덮은 하우징, 하우징속의 저수통, 저수통과 증발실간의 수로, 저수통 상부의 반구형 증기수집공간, 증기수집공간과 증발실을 연결하는 증기상승관, 및 증기 수집공간과 증기 출구를 연결하는 증기 공급관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증기 상승관을 통과하는 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를 하여 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꼭지를 하우징에 설치한 증기 다리미.
  2. 제1항에 있어서, 증기 상승관을 통과하는 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는 밸브부재로 하여금 증기 상승관의 일단과 협동하여 그 상승관을 통과하는 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한 증기다리미.
  3. 제2항에 있어서, 증기 공급관은 증기 상승관의 중심을 통해서 그 증기 상승관의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시켜 증기 공급관과 증기 상승관 사이에 환상의 증기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밸브부재는 점차로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단은 폐쇄시키고 가운데 부분에는 증기 유입구를 형성시켜 놓은 슬리이브를 저수통 벽에 구멍을 형성시켜 그 구멍과 증기 공급관의 상단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시킬 수 있게끔 장치하여 그 슬리이브 하단에 부착시켜 그 슬리이브에 의해서 상기 환상의 증기 통로속으로 움직여서 그 통로 단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그 통로를 지나는 증기의 흐름을 여러가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증기 다리미.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저수통과 증발실간의 수로를 폐쇄시키기 위한 밸브부재를 장치한 증기 다리미.
KR2019830000202U 1982-01-15 1983-01-12 증기 다리미 KR88000191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200146 1982-01-15
NL8200146A NL8200146A (nl) 1982-01-15 1982-01-15 Stoomstrijkij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974U KR840003974U (ko) 1984-08-25
KR880001914Y1 true KR880001914Y1 (ko) 1988-05-28

Family

ID=1983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0202U KR880001914Y1 (ko) 1982-01-15 1983-01-12 증기 다리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S58117300U (ko)
KR (1) KR880001914Y1 (ko)
DE (1) DE3300294A1 (ko)
FR (1) FR2520019A1 (ko)
GB (1) GB2113723B (ko)
NL (1) NL82001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01B1 (ko) * 2006-01-25 2010-10-06 유, 투밍 보일러식 증기 발생 장치를 갖춘 다리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8407016V0 (it) * 1984-07-17 1984-07-17 Dmd Srl Ferro da stiro a vapore con piastra munita di sottile lastra d'acciaio inossidabile forellata e amovibile.
US5279054A (en) * 1991-11-21 1994-01-18 Black & Decker Inc. Steam iron including double boiler portions, heaters, and thermostat
US5829175A (en) 1996-09-20 1998-11-03 Black & Decker Inc. Steam iron with all temperature steam production
GB0901855D0 (en) 2009-02-05 2009-03-11 Strix Ltd Electric steam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3225A (en) * 1940-09-03 1943-06-29 James C Ledbetter Steam pressing iron
US2425598A (en) * 1944-05-30 1947-08-12 Philco Corp Steam electric iron
US2483580A (en) * 1945-06-14 1949-10-04 Engineering Lab Inc Steaming and pressing iron
JPS4429757Y1 (ko) * 1966-03-09 1969-12-08
US3703043A (en) * 1970-07-21 1972-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eam iron
US3896572A (en) * 1973-05-07 1975-07-29 Gen Electric Flash/flooded boiler steam iron
NL7908965A (nl) * 1979-12-13 1981-07-16 Philips Nv Stoomstrijkijz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01B1 (ko) * 2006-01-25 2010-10-06 유, 투밍 보일러식 증기 발생 장치를 갖춘 다리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8200146A (nl) 1983-08-01
DE3300294A1 (de) 1983-07-28
GB2113723B (en) 1985-02-27
GB2113723A (en) 1983-08-10
FR2520019A1 (fr) 1983-07-22
JPS58117300U (ja) 1983-08-10
FR2520019B1 (ko) 1985-02-08
GB8300697D0 (en) 1983-02-16
KR840003974U (ko) 198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6685C2 (ru) Утюг, содержащий клапан, регулируемый посредством изменяемого под воздействием температуры элемента
US3656503A (en) Fluid control valve
US6105286A (en) Device for ironing with bypass for selfcleaning
KR880001914Y1 (ko) 증기 다리미
KR200405821Y1 (ko) 비데 물탱크의 세정수 유입장치
CN109972375B (zh) 包括蒸汽分流分支的熨烫设备
US6343389B1 (en) Water outlets for an ablutionary device or appliance
US2903009A (en) Valves for mixing fluids at different temperatures
US2883778A (en) Steam iron
KR940009069B1 (ko) 순간온수 가열장치
US2973781A (en) Automatic hydraulic timer valve
US3626615A (en) Electric iron with steam emission under pressure transformable into a room humidifier
US4207916A (en) Tap
US2955611A (en) Steam traps
US2884944A (en) Steam traps
JPH0230525Y2 (ko)
US3433412A (en) Steam trap with relief valve
JPH0366334A (ja) 温水器付き手洗器
US4300719A (en) Steam traps
JPS5848520Y2 (ja) シャワ−装置の湯温調節機構
US3359972A (en) Low liquid level shut-off apparatus for gas burner
US1453574A (en) Electric water heater
KR920006798Y1 (ko) 온수 세정장치의 급수조절밸브
KR900001836Y1 (ko) 씽크대 샤워기
KR200162132Y1 (ko) 자동수도전 개폐밸브의 피스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