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820Y1 -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 - Google Patents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820Y1
KR880001820Y1 KR2019830011130U KR830011130U KR880001820Y1 KR 880001820 Y1 KR880001820 Y1 KR 880001820Y1 KR 2019830011130 U KR2019830011130 U KR 2019830011130U KR 830011130 U KR830011130 U KR 830011130U KR 880001820 Y1 KR880001820 Y1 KR 880001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ole
outlet
voltag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1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409U (ko
Inventor
이장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11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820Y1/ko
Publication of KR850005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 확대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a)도는 본 고안의 전압선택 플러그 정면도. 제4(b)도는 B-B선 단면도.
제5(a)도는 본 고안에 의한 회로 구성도. 제5(b)도는 종래 제품의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 6 : 퓨우즈 삽착구
9.9' : 예비퓨우즈 보관구 10 : 관통구
11 : 단자판 13 : 전압선택 플러그
14 : 탄발스프링 15 : 퓨우즈 호울더
본 고안은 퓨우즈호울더와 전압선택 스위치 및 예비퓨우즈 보관통 역활을 겸할 수 있도록 한 퓨우즈호을 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전압선택 스위치는 전압 절환시 호울더를 분해한 다음 원하는 전압의 퓨우즈를 교환해야 되는 관계로 절환시 필요한 퓨우즈를 별도로 보관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예비퓨우즈를 별도로 보관하여야 되기 때문에 필요시 즉시 찾을 수가 없어 퓨우즈 교환이 매우 불편하고, 부주의로 분실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100V와 220V용 플러그핀 삽착구를 각기 따로 형성한 통상의 콘센트에 예비퓨우즈 보관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콘센트에 플러그핀들의 상단부를 매입되게 착설한 전압선택 플러그를 결합한 후 퓨우즈 호울더를 나사식으로 착설시켜 상호 결착되도록 하여, 전압 선택스위치를 구성하므로 퓨우즈 호울더와 예비퓨우즈의 보관 역활도 겸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단자(3)들이 각기 하부로 노출된 각기 3개의 100V용 플러그핀 삽착구(2)와 220V용 플러그핀 삽착구(2')를 양측으로 격리되게 형성한 콘센트(1)의 중앙에는 단자(4)가 하부로 노출된 퓨우즈(5) 삽착구(6)를 비교적 길게 형성하고 그 내면 상측에는 나선부(7)를 형성하며, 삽착구(6)의 양측에는 예비퓨우즈(8)(8') 보관구(9)(9')를 적정 깊이로 형성하고, 중앙의 관통구(1)에는 관통공이 뚫어진 내면부가 노출되게 매설한 단자판(11)에는 상단을 접속판으로 연결시킨 플러그핀(12)과, "┌┐ "형으로 절곡형성한 프러그핀(12')의 양단이 하부로 노출되게 상단부를 각기 매입 성형한 전압선택플러그(13)를 상기 콘센트(1)의 상부에 결합한 후, 외면에는 나선부(7')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탄발스프링 (14)이 착설된 퓨우즈 호울더(15)를 상부에서 관통구(10)를 통해 삽착구(6)에 나사식으로 착설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퓨우즈(5)를 중앙의 삽착구(6)에 내입하고 예비퓨우즈(8)(8')는 양측에 형성한 보관구(9)(9')에 각기 내입한 다음, 100V용 전압 스위치로 사용할 때에는 플러그핀(12)(12')들이 콘센트(1)에 형성된 100V용 삽착구(2)에 끼워지게 전압선택 플러그(13)를 콘센트(1)에 결합한 다음, 퓨우즈 호울더(15)를 관통구(10)가 통과되게 삽착구(6)에 나사식으로 착설하면 제 2도에서와 같이 퓨우즈(5)가 호울더(15)에 내설된 스프링(14)에 의해 눌러지게 되어 단자(4)와 호울더(15) 사이에 확실하게 밀착 접속되는 것이며, 이때의 전원회로 구성은 제5(a)도에 실선과 같이 전원이 퓨우즈(5)를 통해 호울더(15)를 거쳐 플러그핀을 통과하여 부하로 흐르게 된다.
한편, 220V용 전압스위치로 사용할 때에는 호울더(15)를 나사식으로 착설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의 전원회로 구성은 제5(a)도에 점선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압을 선택하는 본 고안은 사용중 퓨우즈(5)를 교체해야 될 경우에는 호울더(15)와 플러그(13)를 분리한 다음 보관구(9)(9')에 내입된 예비퓨우즈(8)(8') 중 하나를 꺼내 교체하면 되는 것으로, 전압선택스위치로는 물론 퓨우즈 호울더와 퓨우즈 보판통을 겸할 수 있으며, 예비퓨우즈를 항상 스위치내에 보관하므로 즉시 교체가 가능하고 분실의 염려가 없음은 물론 절환시 퓨우즈의 선택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배선관계 및 품질향상과 원가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00V용 플러그핀 삽착구와 220V용 플러그핀 삽착구(2)(2')를 각기 양측으로 구분되게 격리 형성한 콘센트(1)에 있어서, 이 콘센트(1)의 중앙에는 나선부(7)가 형성된 퓨우즈 삽착구(6)를 비교적 깊게, 그 양측에는 예비퓨우즈 보관구(9)(9')를 적정 깊이로 각기 형성하고, 중앙의 관통구(10)로는 관통공이 뚫어진 내면부가 노출되개 단자판(11)을 배설한 전압 선택 플러그(13)를 상기 콘센트(1)의 상부에 결합한 후 내면에 탄발스프링(14)이 착설된 퓨우즈 호울더(15)를 상기 관통구(10)를 통해 퓨우즈 삽착구(6)에 나사식으로 착설토록 하여서 된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 선택 스위치.
KR2019830011130U 1983-12-26 1983-12-26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 KR880001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130U KR880001820Y1 (ko) 1983-12-26 1983-12-26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130U KR880001820Y1 (ko) 1983-12-26 1983-12-26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409U KR850005409U (ko) 1985-08-10
KR880001820Y1 true KR880001820Y1 (ko) 1988-05-13

Family

ID=1923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1130U KR880001820Y1 (ko) 1983-12-26 1983-12-26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8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409U (ko) 198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0347A (en) Universal electric socket
US3938068A (en) Electrical plug and outlet unit
MXPA00000178A (es) Gen y metodo novedosos para producir l-aminoacidos.
US4684914A (en) Combination plug
KR880001820Y1 (ko)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
US6994564B1 (en) Connector having dual functions
US3516046A (en) Edg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US20010026447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light-emitting diode to a lampholder provided with resilient contacts
EP0180008A3 (en) Fuse element fuse element
US2454024A (en) Combination electric receptacle and fuse
KR200145584Y1 (ko) 플러그
KR200141350Y1 (ko) 신호전달용 콘넥터 하우징
KR19990039614U (ko) 온·오프 기능을 보유한 콘센트
KR930000802Y1 (ko) 콘센트 겸용 플러그
KR920004508Y1 (ko) 전기 접속구
KR900004067A (ko) 100v/220v 겸용 코넥터, 콘센트 및 전압선택 플러그
KR0135574Y1 (ko) 전기 접속 장치
KR200296139Y1 (ko) 멀티콘센트
US1751442A (en) Three-way current tap socket
JP3067506U (ja) 多受口ソケット構造
KR890001674Y1 (ko) 플럭(plug)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KR930003620Y1 (ko) 3선용 110v 및 220v 겸용 콘센트
KR200379816Y1 (ko) 분리형 콘센트
KR880001060Y1 (ko) 직류 및 교류 겸용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2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