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815Y1 - 턴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턴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815Y1
KR880001815Y1 KR2019850006208U KR850006208U KR880001815Y1 KR 880001815 Y1 KR880001815 Y1 KR 880001815Y1 KR 2019850006208 U KR2019850006208 U KR 2019850006208U KR 850006208 U KR850006208 U KR 850006208U KR 880001815 Y1 KR880001815 Y1 KR 880001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oove
tentable
guide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321U (ko
Inventor
이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6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815Y1/ko
Publication of KR860015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32Maintaining desired spacing between record carrier and head, e.g. by fluid-dynamic spa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턴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오디오 기기의 동작된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단면도.
제4도 제4(a)도,제4(b)도는 턴테이블의 인출상태에 따라서 개폐되는 도어의 상태도.
제5도는 개폐된 도어가 기기 내부로 인입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지지축
3 : 안내판 4 : 가이드판
5 : 만곡면 6 : 이동홈
8 : 연동레바 9 : 장공
11 : 턴테이블 12 : 가이드홈
본 고안은 오디오 또는 비데오 기기에 장치하는 턴테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착시킨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한 턴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를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턴테이블의 도어를 개폐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서 이젝트구동에 의해 턴테이블이 인출될때 통상적으로 이젝트 노브를 누르기 전에 인위적인 방법으로 도어를 개폐시켜야만 했으며 인출된 턴테이블에 신호가 기록된 디스크를 안착시킨 후 기기의 내부로 턴테이블을 밀어 넣은 상태에서도 도어를 인위적으로 닫아야만 했던 것으로 도어 개폐동작상에 번거로움이 수반되었고 인위적으로 도어를 개폐시켜야하기 때문에 인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정확한 도어의 개폐작용을 제공할 수 없었던 폐단이 있었던 것으로 이젝트 구동에 의해 인출 삽입되는 턴테이블 상태에 따라서 도어의 개폐상태가 안정되고 구동상의 안정성이 요구되었던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이를 만족시켜 주기 위해 이잭트 구동시 인출 삽입되는 텐테이블의 상태에 따라서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게 하므로서 기기의 부품과 기능의 보호는 물론 사용 및 취급상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오디오기기의 텐테이블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오디오기기(13)에서 텐테이블(11)을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되게 하기 위하여는 텐테이블(11) 전방에 이젝트 보턴(16)과 파워 보턴(17)을 형성시켜 파워는 텐테이블(11)에 전원을 공급케하고 이젝트는 기기(13)에서 텐테이블(11) 인출되도록 한다.
기기(13) 내부에서 턴테이블(11)의 구동을 확인 할수 있도록 하는 투명체의 도어(10를 기기(13)에 형성하되 턴테이블(11)의 상부에서 회동되게 구성하였고 이젝트 보턴(16)에 의해 유동되는 턴테이블(11)의 인출과 삽입작용에 유연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이드홈(12)을 횡으로 요설시켰고 그 선단에 형성시킨 만곡면(12a)은 투명체의 도어(1)가 테이블(11)의 구동상태에 따라서 개폐되도록 한다.
제2도는 텐테이블(11)상부에 위치한 투명체 도어(1)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의 사시도인데 오디오기기(13)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샤시중 측면에 부착시키는 측면사시(14)로형 회동홈(6)과형 이동홈(7)을 형성시킨 가이드판(4)이 결합되게 구성하고 이에 괘지핀(10)과 장공(9)형성된 연동레바(8)가 연결되게 구성한다.
연동레바(8)를형상으로 형성하여 가이드판(4)에 고정시키기 위한 통공(8a)을 뚫어 설치하여서 통상의 나사(15)가 나사식으로 결합되게 하면 연동레바(8)는 가이드판(4)에서 회동할 수 있다.
연동레바(8)의 괘지핀(10)은 텐테이블(11)의 가이드홈(12)으로 끼워지며 장공(9)으로는 투명체 도어(1)의 안내핀(3)이 끼워져 가이드판(4)의 회동홈(6)으로 결합되게 하며 이동홈(7)으로는 도어(1)를 지지하는 지지축(2)이 결합되게 한다.
텐테이블(11)측면에 형성시킨 가이드홈(12)의 선단을 만곡되게 구성하여 이에 결합되는 괘지핀(10)이 유연하게 미끄러지게 하고 회동홈(6)선단에 만곡면(5)을 구성시켜 도어(1)가 회동될때 안내핀(3)의 회동범위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동홈(7)을형상으로 구성한 것은 회동된 도어(1)가 기기(13)의 내부로 유입되는 거리를 제공케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3도와 같은 상태로 텐테이블(11) 상부에 도어(1)를 형성할때 도어(1)의 지지축(2)은형 이동홈(7)으로 끼우고 상측의 안내핀(3)은 연동레바(8)의 장공(9)를 통하여 회동홈(6)으로 끼워지게 하고 연동레바(8)의 괘지핀(10)은 텐테이블(11)의 가이드홈(12)에 결합되게 하여 나사(15)로서 연동레바(8)가 가이드판(4)에 고정되게 하면 이젝트 구동으로 텐테이블(11)이 인출될때 도어(1)는 개방되고 삽입될때 폐쇄되는 것으로서 이젝트 구동에 의해서 텐테이블(11)이 전진하게 될때 도어는 제4도와 같이 가이드홈(12)의 만곡부(12a)에서 미끄러지면서 괘지핀(10)의 회전범위 궤도를 따라 회동한다.
연동레바(8)가 회동하면 상측의 장공(9)에 끼워진 도어(1)의 안내핀(3)은 따라서 회동할때 안내핀(3)의 회전범위 궤도는 가이드판(4)의 만곡홈(5)과 유동레바(8)의 장공(9)에서 흡수하게 된다.
계속적인 텐테이블(11)의 회동으로 연동레바(8)는 가이드홈(12)에 의해 회전 궤도알에서 회동되고 이 작용에 도어(1)의 안내핀(3)역시 만곡홈(5)내에서 계속 회동하여 도어(1)는 제4(b)도와 같은 상태로 된다.
상기 상태는 가이드홈(12)과 가이드판(4)의 만곡부(12a)와 만곡홈(5)에 의해서 도어(1)가 텐테이블(11)의 도어(1)가 개방되는 과정이며 이 과정 이후에서 부터는 도어(1)가 기기(13)안으로 유입되는데 이는 계속적으로 전진되는 텐테이블(11)의 가이드홈(12)을 따라서 괘지핀(10)이 회동하기 때문이다.
즉, 제5도에서 처럼 가이드홈(12)의 만곡부(12a)에서 완전히 벗어난 괘지핀(10)이 이점 쇄선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러므로서 도어(1)의 지지축(2)은 이동홈(7)을 타고 상승하며 안내핀(3)은 회동홈(6)과 장공(9)을 따라 진입하게 되어 결국 도어는 기기(13)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도의 상태와 같은 개방상태와 내장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며 텐테이블(11)의 삽입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도어(1)의 개방과정의 역순으로 도어(1)가 회동하여 폐쇄작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텐테이블의 구동상태에 따라서 도어의 개폐가 연동작용으로 이루어져 텐테이블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구동장치나 인위적인 작용이 여구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도어의 개폐상태는 유연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또한 도어의 자동적인 개폐작용을 기기의 기능과 부품들의 보호 효과를 제공하게 되므로서 기기의 안전성과 텐데이블의 구동상태에 따라서 도어가 개폐되는 기능이 추가되는 기능의 향상성을 제공할 수 있고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한 링크의 결합구조로서 이루어져 조립과 수리 및 보수에도 편리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텐테이블을 이젝팅 시킬때에 투명체의 도어가 개방되며 삽입시에 폐쇄되게 하므로서 디스크 삽입작용과 기기의 사용면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고 기존의 제품에 별다른 공정의 수정이나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전자기기에서 이젝트 구동에 의해 도어(1)가 형성된 텐테이블(11)이 인출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턴테이블(11)의 상측면에 만곡면(5)을 구성한 회동홈(6)과형 이동홈(7)이 형성된 가이드판(4)을 고정시켜 텐테이블(11)과 연결되는 연동레바(8)와 도어(1)가 가이드판(4)에서 고정회동되게 구성하되 도어(1)의 지지축(2)은 가이드판(4)의 이동홈(7)으로 끼워지고 상측의 안내핀(3)은 연동레바(8)의 장공(9)을 통화여 가이드판(4)의 회동홈(6)으로 끼워지게 구성하여 텐테이블(11)의 가이드홈(12) 상태에 따라서 도어(1)가 오디오기기에서 개폐되도록한 텐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
KR2019850006208U 1985-05-23 1985-05-23 턴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 KR880001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208U KR880001815Y1 (ko) 1985-05-23 1985-05-23 턴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208U KR880001815Y1 (ko) 1985-05-23 1985-05-23 턴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321U KR860015321U (ko) 1986-12-30
KR880001815Y1 true KR880001815Y1 (ko) 1988-05-13

Family

ID=1924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208U KR880001815Y1 (ko) 1985-05-23 1985-05-23 턴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8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321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6061A (ko) 냉장고의 도어 추지장치
AU539019B2 (en) Disc cassette
KR880001815Y1 (ko) 턴테이블의 도어 개폐장치
EP0802534A3 (en) Mechanism for loading a recording medium into 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N209518827U (zh) 一种吸尘器
FR2449186A1 (fr) Dispositif d'entrainement par courses alternatives d'un element a deux positions
EP0779615A3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reof
KR850002555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 호울더 도어 개폐장치
KR910007505Y1 (ko) 오븐 도어의 개폐장치
KR900002507Y1 (ko) 콤팩트 디스크 가이드 및 보호장치
KR920000046Y1 (ko) 도어 개폐장치
JPS6413283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54518B2 (ko)
KR870002918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테이블 구동장치
KR890006478Y1 (ko)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카세트 캡 열림장치
JPH0421565Y2 (ko)
KR100425759B1 (ko) Dvd의매뉴얼이젝트장치
EP1298662A3 (en) Disk cartridge, disk device and shutter opening/closing mechanism
FR2448326A1 (fr) Guichet, notamment pour etablissement financier
KR900005643Y1 (ko) Vtr의 하우징 도어 안전 장치
KR20000007150U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셔터 개폐장치
JP2873512B2 (ja) 展示ケース等における引戸装置
JPS6015584Y2 (ja) パチンコ機前板開放時の賞玉処理装置
KR920008569Y1 (ko) 디에이티의 카세트 안착 및 인출장치
KR920003068Y1 (ko) 콤팩트 디스크 8㎝/12㎝겸용 사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