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47B1 - 밸런스 실린더 - Google Patents

밸런스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47B1
KR880001747B1 KR1019850006033A KR850006033A KR880001747B1 KR 880001747 B1 KR880001747 B1 KR 880001747B1 KR 1019850006033 A KR1019850006033 A KR 1019850006033A KR 850006033 A KR850006033 A KR 850006033A KR 880001747 B1 KR880001747 B1 KR 88000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discharge holes
cylinder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409A (ko
Inventor
최해곤
Original Assignee
최해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곤 filed Critical 최해곤
Priority to KR101985000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747B1/ko
Publication of KR87000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02Double acting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밸런스 실린더
제 1 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을 종래의 실린더에 적용시킨 변형된 실시예.
제 3 도는 본 발명을 언밸런스(Unbalance)로 세트시킨 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실린더 2 : 하부실린더
4 : 조립 피스톤 5 : 중간 피스톤
6 : 로드 8, 8', 9, 9' : 유실
10, 10', 11, 11', 12, 12', 13, 13' : 토출공 A, B : 토출 파이프
C, D : 연결파이프 V1V2: 유량 조절밸브
본 발명은 각종 산업용 기계장치 등에 사용되는 복동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압(空壓)이나 유압(油壓)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단순한 복동뿐만 아니라 2개의 피스톤이 위상차(位相差)를 갖으면서 언밸런스(Unbalance)로도 편차없이 복동할 수 있는 밸런스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동 실린더는 내부에 접동 자재하게 삽입된 피스톤을 반복 작동시키기 위하여 피스톤에 압력을 전달하는 유체(기체 또는 액체)가 열팽창 되거나 극소량이 유출될 경우 피스톤의 작동에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정교한 작동을 요하는 기계 장치 등에 사용할 경우 정밀도를 저하 시킬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복잡한 설계에 의한 보정 장치 등이 마련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개의 피스톤에 가해지는 압력유체를 바이패스(by pass)되게 하여 열팽창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편차발생없이 2개의 피스톤을 복동 시킬 수 있도록 하고 2개의 피스톤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세트하여 위상차를 갖으며 복동될 수 있는 밸런스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실린더(1)와 하부 실린더(2) 및 밀폐판(3)으로 된 실린더(S) (S')의 내부에 조립 피스톤(4)과 중간 피스톤(5)이 구비된 로드(6)를 접동 자재하게 삽입하여서 된 것으로, 상·하부 실린더(1) (2)는 각기 하단과 상단의 내·외경에 형성시킨 나사부(7)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유실을(8) (9)로 나누며, 조립 피스톤(4)과 중간 피스톤(5)은 유실(8) (9)를 다시 (8') (9')로 나누어 형성시킨다.
상부 실린더(1)와 하부 실린더(2)에는 유체의 토출공(10) (10'), (11) (11'), (12) (12'), (13) (13')이 마련되어 있다.
실린더(S) (S')와 로드(6)의 밀폐는 패킹링(14)에 의해 이루어지며, 실린더(S) (S')와 조립 피스톤(4), 중간 피스톤(5)의 밀폐는 패킹링(15)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린더(S) (S')의 토출공(10) (10')는 토출 파이프(A)로 토출공(11) (11')는 토출 파이프(B)로, 토출공(12) (13')는 유량 조절밸브(V1)를 설치하여서 된 연결파이프(C)로, 토출공(13) (12')는 유량 조절밸브(V2)를 설치하여서 된 연결파이프(D)로 각각 연결하여서 된 것이며, 토출파이프(A) (B)는 미도시한 유체 저장탱크와 각기 연결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6은 하부 실린더(2)에 밀폐판(3)을 체결하는 보울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3 도에 도시한 변형된 실시예와 같이 중간 피스톤(25)을 형성시킨 종래의 복동식 실린더로드(26)에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토출 파이프(A)로 유체를 유입시킬 경우 토출공(10) (10')을 통해 유실(8')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로드(6) (6')가 하강하는 것이며 이때 상부 실린더(1)와 하부 실린더(2) 사이의 유실(8)에 있던 유체를 토출공(11) (11')을 통해 토출 파이프(B)를 따라 미도시한 유체 저장탱크를 향해 바이패스 된다.
이와 같은 바이패스는 양측의 실린더(S) (S')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로드(6) (6')의 작동거리는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로드(6) (6')가 하강됨에 따라 실린더(5)의 하부 실린더(2)와 밀폐간(3) 사이의 유실(9)에 있던 유체는 중간 피스톤(5)의 하강하는 힘에 의해 토출공(13)을 통해 연결 파이프(D)를 따라서 토출공(12')를 통해 실린더(S')의 중간 피스톤(5) 상부에 형성된 유실(9')로 이동하며, 동시에 실린더(S')의 하부 실린더(2)와 밀폐간(3)사이의 유실(9)에 있던 유체가 중간 피스톤(5)의 하강하는 힘에 의해 토출공(13')을 통해 연결 파이프(C)를 따라서 토출공(12)을 통해 실린더(S)의 중간 피스톤(5) 상부에 형성된 유실(9')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양 실린더(S) (S')간에 이루어지는 유체의 이동량은 동일하므로 양실린더(S) (S')에 접동자재하게 삽입되게 있는 로드(6) (6')의 하강은 편차를 발생함이 없이 복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로드(6) (6')의 상승은 토출파이프(B) 방향으로 유체를 유입시키어서 전술한 하강시와는 반대로 토출 파이프(B)가 유입 파이프가 되고 토출파이프(A)가 유출 파이프가 되게 하여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은 제 3 도의 도시에서 처럼 연결 파이프(C) (D)에 설치된 유량 조절밸브(V1) (V2)를 통해 유실(9) (9')내의 유량을 가감하여서 중간 피스톤(5)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양 실린더(S) (S')의 중간 피스톤(5)에 위상차를 갖도록 한 다음 토출 파이프(A) (B)를 통해 유체를 유입, 유출시켜 로드(6) (6')를 복동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단순한 복동뿐만 아니라 위상차를 갖으면서 편차없이 동일한 작동 범위를 갖는 간단한 구조의 밸런스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복동식 실린더에 있어서, 상부 실린더(1)와 하부 실린더(2) 및 밀폐판(3)으로 된 실린더(S) (S')의 내부에 조립 피스톤(4)과 중간 피스톤(5)이 구비된 로드(6)를 접동자재하게 삽입하여 유실(8) (8') (9) (9')을 형성하고, 상부 실린더(1)에 토출공(10) (10') (11) (11')를 형성시켜서 토출 파이프(A) (B)를 통해 액체 저장탱크로 바이패스되게 하며, 하부실린더(2)에 형성된 토출공(12) (13')와 토출공(13) (12')를 유량 조절밸브(V1) (V2)가 각각 부착된 연결 파이프(C) (D)로 각기 연결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실린더.
  2. 제 1 항에 있어서, 형성된 토출공(12) (13')와 토출공(13) (12')를 유량 조절밸브(V1) (V2)가 각각 부착된 연결 파이프(C), (D)로 각기 연결시켜서된 하부 실린더(2)에 중간 피스톤(5)을 형성시킨 종래의 로드(26)를 결합시켜서 된 밸런스 실린더.
KR1019850006033A 1985-08-21 1985-08-21 밸런스 실린더 KR88000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033A KR880001747B1 (ko) 1985-08-21 1985-08-21 밸런스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033A KR880001747B1 (ko) 1985-08-21 1985-08-21 밸런스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409A KR870002409A (ko) 1987-03-31
KR880001747B1 true KR880001747B1 (ko) 1988-09-10

Family

ID=1924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033A KR880001747B1 (ko) 1985-08-21 1985-08-21 밸런스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7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409A (ko) 198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8072A (en) Spring or damping device
US4638895A (en) Frictionless hydraulic damper and damper-snubber
KR840002501A (ko) 유압댐퍼
US5662335A (en) Pressure balanced bellows seal
US4505115A (en) Fluidic transformer apparatus with feedback
US3488763A (en) Rolling seal pump
US2545506A (en) Pump
KR960706042A (ko) 다단계 제어 밸브(multi-stage regulating valve)
US3540741A (en) Seal assembly for a hydraulically operated cylinder
US4667473A (en) Low compensating accumulator and bungee
KR960018315A (ko) 유압 조작 밸브
KR920001156A (ko) 가요성 구멍을 가진 가변 면적 냉각제 팽창 장치
CA2033779A1 (en) Sealing system for a sealed bearing assembly used in earth drilling
KR880001747B1 (ko) 밸런스 실린더
US20040206229A1 (en) Additive injection device
US3467140A (en) Hermetical sealing mechanism
US4214775A (en) Suspension assemblies for vehicles
US3342215A (en) Mud throttling valve
CN116066445A (zh) 平衡式无泄漏低摩阻液压缸
CA2142467A1 (en) Pit prop with integrated pressure-relief valve and nailed pipes
JPS6131708A (ja) 流体作動アクチユエ−タ
JPH0311506Y2 (ko)
US3941032A (en) Piston pumps or motors
US2431716A (en) Hydraulic shock absorber
RU1783191C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демпф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