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380Y1 -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조작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380Y1
KR880001380Y1 KR2019850013776U KR840013776U KR880001380Y1 KR 880001380 Y1 KR880001380 Y1 KR 880001380Y1 KR 2019850013776 U KR2019850013776 U KR 2019850013776U KR 840013776 U KR840013776 U KR 840013776U KR 880001380 Y1 KR880001380 Y1 KR 880001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rating member
operating
gas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3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부 시노자끼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스스무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강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스스무,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강성모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작 장치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정면도.
제2도는 재단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에 의한 재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에 의한 재단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에 의한 재단면도.
제6도는 요부의 사시도.
제7도는 제5도의 Ⅶ-Ⅶ선에 의한 재단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제1의 작동부재 9 : 제2의 작동부재
12 : 제1의 조작부재 13 : 제2의 조작부재
본 고안은 주로 가스 연소기에 사용하는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선행공안으로서, 피아노 터치식 조작 부재에 의하여 가스 밸브를 조작하는 형식의 것을 제안 하였다.
그러나, 가스 연소기등에 있어서는 밸브의 개폐와는 별개의 물콕 기타 별개의 작동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이것을 슬라이드식으로 하는 경우 그 슬라이드식의 조작부재의 가이드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그와 같은 설치를 위한 특별 공간이 필요하게 될뿐 아니라, 이것을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불합리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불합리 점이 없는 장치를 얻고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인데,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나타낸 탕붙기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1)은 탕불기 본체를 나타낸 것으로, 그 탕불기 본체(1)는 그 상부에 물 열교환기(2)를 설치하며 그 하면에 이를 가열하는 주 버어너(3)와 그 일측방에는 상화(常火) 버어너(5) 및 점화 버어너(4)를 구비하고 또 그 하부에 제어부(6)를 배치한 것인데, 그 제어부(6)의 우측에는, 제1의 작동부재(7)로서, 그 물열교환기(2)에 연결하는 급수로(8)에 개재시킨 물콕을, 또 제2작동부재(9)로서, 출탕온도의 조절 부재를 설치하고, 제1의 작동부재(7)는 양단을 지지축(18)상에 지지시킨 피아노 터치식의 제1조작부재(12)에 의하여 밸브가 열리도록 조작되게함과 아울러, 조절부재는 슬라이드식의 제2조작부재(13)에 의하여 절환 조작되게 하였다.
이것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제1작동부재로서의 물콕(7)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1조작부재(12)에 의하여 그 물콕(7)의 조작간(7a)을 스프링에 대항하면서 압압하였을때, 밸브가 열리게 하고, 또 그 조작간(7a) 상에는 푸시기구(7b)를 구비하여, 그 푸시기구(7b)에 의하여 밸브 개방위치에서 로크되게함과 아울러 재차 제1조작부재(12)를 압압조작하면, 그 로크가 풀리면서 밸브가 닫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2작동부재(9)는, 상기한 버어너(3)에 연결하는 가스통로(14)에 개제시킨 가스량 조절밸브(15)과, 상기한 통수로(8)에 개제시킨 수링조절밸브(16)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제 2 작동부재(13)의 슬라이드 포작에 따라, 회동 조작되어 각기 가스량 및 수량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1조작부재(12)및 제2조작부재(13)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제어부(6)의 전면에 가로로 긴 지지틀(17)을 설치하여, 그 지지틀(17)상에 지지시킨 지지축(18)상에 의지되게 설치하였다. 즉 제1조작부재(12)는, 가로로 긴 조작부재(12a)의 양단에 상방으로 세워진 아암(12b)(12b)의 상단 지지축(18)상에 회동자유롭게 삽입되어 지지되고, 제2조작부재(13)는, 제1조작부재(12)의 아암(12b)(12b)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축(18)상에 좌우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 지지되고 있다.
또한 제2조작부재(13)는 조작부(13a) 및 그 조작부(13a)와 일체로된 랙부(13b)와, 그 조작부(13a)에서 후방으로 돌출시킨 핀(13c)을 구비하고, 그랙부(13b)을 상기한 수량 조절밸브(16)의 조작간(16a)과 계합시키며 또 핀(13c)을 가스량 조절밸브(15)의 조작간(15a)의 전단부에 형성한 포올(15b)와 계합되도록 하며, 이와같이 하여 제2조작부재(13)를 제4도에 나타낸 우측단 위치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때 먼저, 랙부(13b)가 피니온(16b)와 계합하여 수량 조절밸브(16)을 수량 증대측으로 회종시켜서 이에 의하여 출탕온도를 낮게하며, 또 제2의 조작부재(13)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한 핀(13c)이 포올(15b)에 개합하며, 조작간(15a)이 이에 설치된 스프링(15c)에 대항하여 제7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쇄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회동되어 가스량 조절밸브(15)을 가스량이 줄어드는 측으로 회동시켜서 더욱 출탕온도가 낮추어 지게 하였다.
또한, 제2조작부재(13)를 좌측단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킬때는, 스프링(15c)에 의하여 가스량 조절밸브(16)이 가스량이 증대하는 쪽으로 회동시킨 다음 택부(13b)가 피니온(16b)과 계합하여 이것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수량 조절밸브(16)은 수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출탕온도는 점차로 높아진다.
또한 도면에서(19)는 그 지지축(18)과 병설된 제2조작부재(13)의 보조가이드 바아이고, (20)은 제1조작부재(12)에 인접하여 상기한 지지축(18)에 지지시킨 피아노 터치식의 제3조작부재를 나타내며, 그 제3조작부재에 의하여 상기한 제어부(6)의 촤즉부에 설치한 가스 차단부(21)를 개폐 조작 하도록 하였다. (22)는 상기한 차단부(21)의 하류측의 가스통로(14)에 개입시킨 수압 응동부재(23)애 연동하여 개폐하는 밸브(22a)을 갖는 수압응동 밸브이며, 그 수압응동 밸브(22)은 제어부(6)의 중앙에 설치하였다.
가스차단부(21)는, 상기한 주 버어너(2)에 연결하는 가스통로(14)의 상화 버어너(5)에 연통된 가스통로(5a)의 분기부 상류측에 설치한 차단밸브(24)과, 그 차단밸브(24) 상류측의 전자 안전밸브(25)와, 차단밸브(24)를 설치한 변간(24a)과, 그 차단밸브(24)의하류측에 설치한 그 변간(24a)의 협소부(24b)에 구성되는 상기한 점화 버어너(4)에 연통하는 가스 연통로(4a)와 상기한 가스통로(14)와의 분기부에 개재하는 점화밸브(26)및 상기한 변간(24a)와 제3의 조작부재(20)와의 사이에 개제하는 조작간(27)으로 구성되며, 그 조작관(27)에는 푸시기구(28)를 개재시켜서, 제3의 조작부재(20)를 압압하게 되면 그 조작간(27)의 시작 위치에서 중간위치를 경유하여 종단위치까지 압압 조작되며, 시작 위치에서 종단위치 까지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상기밸브(24내지 26)이 모두 열리게 되는 동시에 그 조작간(27)의 돌출부(27a)에 의하여 점화 버어너(4)에 있는 점화기(28)의 작동회로(도시하지 않음)에 개입된 점화 스위치(28a)를 폐쇄하여, 점화 버어너(4)에 착화하고 그 점화 버어너(4)를 통하여 상화 버어너(5)에 착화하며, 그 제3의 조작부재(20)의 압압조작을 풀면, 조작간(27)이 여기에 개재시킨 스프링(27b)의 탄발과 그 푸시기구(28)에 의하여 차단밸브(24)이 열리고, 점화변(26)이 닫히는 중간 위치에 유지되게 하며, 다시 제3의 조작부재(20)을 압압하면, 그 조작간(27)이 다시 눌리어서, 푸시기구(28)에 의한 중간 위치로의 유지가 풀리어서 시작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한 전자 안전밸브(25)은 특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화 버어너(5)와 관계되는 열전대의 기전력과, 그 기전력이 생기는 동안, 강제 유지회로에 개재시킨 콘덴서의 방전 전하에 의하여 밸브 개방상태로 유지도는 종래 주지의 구성을 구비하므로서, 종단위치에서의 조작간(27)의 압압 해제에 의하여 중간 위치로 복귀할때, 이에 의하여 밸브가 열린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바는 탕불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조작부재(2)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1작동부재(7)가 가스풍로의 점화기동이며, 제2조작부재(13)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2작동부재가 연료가스의 개폐와 가스량의 절환을 행하는 콕장치등 이어도 좋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의 작동부재를 조작하는 양단을 지지축에 지지시킨 피아노 터치식의 제1조작부와 제2의 ㅇ작동부재를 조작하는 슬라이드식의 제2조작부재와를 구비하는 형식의 것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축을 그 제2조작 부재의 이동 가이드로 하였으므로, 그 슬리아드식의 제2조작부재를 가이드 하기 위한 특별한 이동가이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구조 간단하고 또 양조작부재를 용이하게 접근시켜서 설치할 수 있게되어 조작부를 1개소에 집중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1작동부재(7)를 조작하는 양단을 지지축(18)에 지지시킨 피아노 터치식의 제1조작부재(12)와 제2의 작동부재(9)를 조작하는 슬라이드식의 제2조작부재(13)를 구비한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8)을 상기 제2조작부재(13)의 가이드로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KR2019850013776U 1984-01-09 1984-12-21 조작 장치 KR8800013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514 1984-01-09
JP1984000514U JPS60117458U (ja) 1984-01-09 1984-01-09 操作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380Y1 true KR880001380Y1 (ko) 1988-04-09

Family

ID=304724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776U KR850009637U (ko) 1984-01-09 1984-12-21 조작 장치
KR2019850013776U KR880001380Y1 (ko) 1984-01-09 1984-12-21 조작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776U KR850009637U (ko) 1984-01-09 1984-12-21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17458U (ko)
KR (2) KR850009637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17458U (ja) 1985-08-08
JPH025261Y2 (ko) 1990-02-08
KR850009637U (ko) 198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8058B1 (en) Control valve for vessel gas water heater
US6571829B2 (en) Gas control valve in water heater
KR880001380Y1 (ko) 조작 장치
US4304249A (en) Control units
KR880002969Y1 (ko) 물끓임기의 조작장치
KR890004586Y1 (ko) 순간 물끓임기
KR910000580B1 (ko) 가스 제어장치
JPS647290B2 (ko)
GB1450053A (en) Control systems for gaseous fuel fired appliances
JPS6358018A (ja) テーブルコンロのレバー式ガス制御装置
JPH0142760Y2 (ko)
KR910000582B1 (ko) 온수기의 압압 버튼식 조작장치
KR950000345Y1 (ko) 연소제어장치
JPH0524873Y2 (ko)
JPS6311464Y2 (ko)
JPS5916167B2 (ja) 先止め式瞬間湯沸器における通水流検出装置
RU23661U1 (ru) Горелка газовая бытовая для водогрейных котлов с системой автоматики
JPH023111B2 (ko)
KR890005964Y1 (ko) 가스 히터의 가스 공급 조절장치
JPS6380160A (ja) 湯沸器
JPS5911808B2 (ja) 湯沸器の安全装置
KR970002633Y1 (ko) 가스조리기기의 화력조절장치
JPH0120566Y2 (ko)
JPS60133220A (ja) ガス湯沸器
DE647786C (de) Einrichtung zur selbsttaetigen stetigen Regelung der Gaszufuhr zu gasbeheizten Gerae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