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280Y1 - 16색 칼라 모니터의 갈색칼라 형성회로 - Google Patents

16색 칼라 모니터의 갈색칼라 형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280Y1
KR880001280Y1 KR2019850006060U KR850006060U KR880001280Y1 KR 880001280 Y1 KR880001280 Y1 KR 880001280Y1 KR 2019850006060 U KR2019850006060 U KR 2019850006060U KR 850006060 U KR850006060 U KR 850006060U KR 880001280 Y1 KR880001280 Y1 KR 880001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output
video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538U (ko
Inventor
송문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6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280Y1/ko
Publication of KR860015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04N9/7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for mixing of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66Zener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6색 칼라 모니터의 갈색칼라 형성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을 포함하는 영상출력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신호 입력부 2 : 갈색칼라 형성부
3 : 색여상구동부 4 : 모니터출력부
본 고안은 16색 칼라 모니터 출력회로에 있어서 노랑색상에서 빨강색상까지의 변화를 자유로이 함으로써 뚜렷한 갈색색상을 출력하는 갈색칼라 형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16색 칼라 모니터는 노랑색(빨강색+녹색) 색상이 녹색색상과 차이점이 부족하여 색상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눈의 피로와 색상의 취사선택의 범위가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 모니터에서 노랑색상의 변화로 갈색색상을 출력하도록 하여, 빨강색과 녹색의 합으로 출력되는 노랑색을 녹색으로 판단하거나 갈색색상을 노랑색으로 판단하는 문제점을 제거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갈색색상을 구성할 수 있는 갈색칼라 형성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빨강색과 녹색이 동시에 구동될때 동작하는 별도의 갈색칼라 형성부를 구성하여 그 출력신호를 가변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포함하는 영상 출력회로의 블럭도로서, 영상신호 입력부(1)와 갈색칼라형성부(2)와 색영상구동부(3)와 모니터출력부(4)로 구성된다.
영상신호입력부(1)는 16색 영상 입력신호에 의하여 그 출력신호를 색 영상구동부(3)로 인가하여 색영상구동부(3)의 출력신호로서 모니터출력부(4)를 통하여 모니터로 입력신호에 따르는 색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갈색칼라 형성부(2)는 영상신호 입력부(1)와 색 영상 구동부(3) 사이에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로서, 영상 신호입력부(1)는 16색 영상 입력신호(VIDEO1-VIDEO4)를 입력으로 하는 제너다이오우드(ZD1-ZD4)와 인버터(G1, G4, G5)와 낸드 게이트(G2) 및 저항(R23-R26)에 대응하고, 색 영상 구동부(3)는 상기 영상신호입력부(1)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반전용 트랜지스터(Q1-Q4)와 저항(R1-R18, R28-R30)과 콘덴서(C1-C4) 및 다이오우드(D1)에 대응하여, 갈색 칼라 형성부(2)는 영상 신호입력부(1)와 색영상구동부(3) 사이에 구성된 낸드 게이드(G3)와 트랜지스터(Q5)와 가변저항(VR1)과 콘덴서(C5)와 다이오우드(D2) 및 저항(R20-R22)에 대응하며, 모니터출력부(4)는 색영상구동부(3)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트랜지스터(Q6-Q8)와 콘덴서(C6-C8)와 가변저항(VR2-VR7) 및 저항(R31-R42)에 대응되어 그 출력은 CRT의 각 R, G, B 캐소우드(CATHODE1-CATHODE3)에 인가된다.
싱기한 구성을 갖는 제2도의 동작을 설명한다. 영상입력신호부(1)로 입력되는 16색 영상 입력신호는 R, G, B 구동신호(VIDEO1-VIDEO3)와 R, G, B 구동신호의 강도 조절신호(VIDEO4)로서, 상기 영상입력신호(VIDEO1-VIDEO4)의 조합에 의해 16칼라가 출력되는 것이다.
16색 영상 입력신호(VIDEO1-VIDEO4)는 각각 게이트(G1-G5)보호용 제너다이오우드(ZD1-ZD4)를 통하여 각 게이트(G1-G5)로 입력되는 것으로, 낸드 게이트(G3)는 영상입력신호(VIDEO1,2)와 반전된 영상입력신호(VIDEO3)를 입력으로 하여 그 출력을 낸드 게이트(G2)의 입력으로 궤환 하도록하고, 각 게이트 (G1-G5)의 출력신호는 반전용 트랜지스터(Q1-Q5)의 베이스로 입력 되어 콜렉터를 통하여 출력되며 이때 트랜지스터(Q1-Q5)의 클렉터 및 베이스 저항(R1-R10)은 전압 궤환회로로 구성되어 출력을 안정시켜주며 콘덴서(C1-C5)는 바이 패시용이다.
상기한 각 트랜지스터(Q1-Q5)의 콜렉터 출력신호는 영상 출력 트랜지스터(Q6-Q8)의 베이스로 인가되는데, R신호 출력 트랜지스터(Q6)는 트랜지스터(Q1-Q3)의 출력에 의해 G신호 출력 트랜지스터(Q7)는 트랜지스터(Q2, Q3, Q5)의 출력에 의해, B신호출력 트랜지스터(Q8)는 트랜지스터(Q3,Q4)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한편, 트랜지스터(Q6-Q8)는 공지의 영상 출력 트랜지스터로서 각각의 출력단에는 CRT의 R, G, B 캐소우드가 연결되고, 각각의 에미터단에 연결된 가변저항(VR2-VR7)은 백 밸런스 조정용과 휘도 조정용으로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갈색 칼라 형성보(2)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갈색 칼라 형성부(2)는 노랑색(빨강색+녹색) 구동신호가 입력되어 질때에만 동작하는 것으로, 즉 R, G 영상입력신호(VIDEO1,2)는 하이레벨이 입력되고, B영상입력신호(VIDEO3)는 로우레벨이 입력될 때에만 낸드 게이트(G3)의 입력신호는 모두 하이레벨이 되어 낸드 게이트(G3)의 출력신호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어 지며, 낸드 게이트(G3)의 출력신호는 다신 낸드 게이트(G2)의 입력신호로 입력되므로 낸드 게이트(G2, G3)는 서로 반대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낸드 게이트(G2)의 하이레벨신호는 트랜지스터(Q2)를 온시키고, 낸드 게이트(G3)의 로우레벨 출력신호는 트랜지스터(Q5)를 오프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G신호 출력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원은 가변저항(VR1)의 가변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G신호 출력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 전압이 가변됨에 따라 콜렉터 출력신호가 변화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R신호 출력 캐소우드(CATHODE1)와 가변되는 G신호 출력 캐소우드(CATHODE2) 출력신호를 합성함으로써 가변저항(VR1)의 조정에 의해 모니터에는 빨강색과 노랑색 사이의 갈색색상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출력되어질 수 있다. 한편 G신호 출력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에 연결된 다이오우드(D1, D2)는 역류 방지용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노랑색 색상이 출력되기 위하여 R, G 영상입력신호(VIDEO1,2)가 입력되면 갈색 칼라 형상부(2)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르는 갈색색상을 출록하도록 함으로써 타색상과의 구분을 쉽게할 수 있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덜어주며, 갈색색상의 취사 선택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6색 칼라 영상 입력신호(VIDEO1-VIDEO4)를 반전 및 완충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입력부(1)와 상기 영상신호입력부(1)의 출력신호를 반전하여 R, G, B 출력 트랜지스터(Q6-Q8)로 인가하는 색 영상 구동부(3)와 상기 색 영상 구동부(3)의 출력신호를 R, G, B 출력 트랜지스터(Q6-Q8)에서 색상 보상하여 CRT의 각 캐소우드로 인가하는 모니터 출력부(4)로 구성되는 16색 칼라 모니터 출력회로에 있어서, R, G 영상 입력신호(VIDEO1,2)와 반전된 B형상 입력신호(VIDEO3)를 각 입력으로 하여 출력신호로서 반전용 트랜지스터(Q5) 베이스를 제어하는 낸드 게이트(G3)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신호를 조절하여 역류방지용 다이오우드(D2)를 통하여 G신호 출력 트랜지스터(Q7) 베이스로 인가하는 가변저항(VR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갈색 칼라 형성부(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색 칼라 모니터의 갈색 칼라 형성회로.
KR2019850006060U 1985-05-23 1985-05-23 16색 칼라 모니터의 갈색칼라 형성회로 KR880001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060U KR880001280Y1 (ko) 1985-05-23 1985-05-23 16색 칼라 모니터의 갈색칼라 형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060U KR880001280Y1 (ko) 1985-05-23 1985-05-23 16색 칼라 모니터의 갈색칼라 형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38U KR860015538U (ko) 1986-12-30
KR880001280Y1 true KR880001280Y1 (ko) 1988-04-02

Family

ID=1924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060U KR880001280Y1 (ko) 1985-05-23 1985-05-23 16색 칼라 모니터의 갈색칼라 형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2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38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280Y1 (ko) 16색 칼라 모니터의 갈색칼라 형성회로
JPS6222512B2 (ko)
JP2821120B2 (ja) 画像表示回路
KR940002934B1 (ko) 텔레비젼의 화면과도현상방지회로
GB1191886A (en) Gamma-Correction Arrangement
KR890007508Y1 (ko) Crt의 rgb 바이어스 가변회로
US5311298A (en) Chroma adjustment circuit
KR890004972Y1 (ko)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KR940005074Y1 (ko)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조절회로
KR880001272Y1 (ko) 범용 칼라 텔리비젼 수상기 온 스크린 구동회로
KR940003513Y1 (ko) 모니터의 화이트 밸런스 보상회로
KR870003025Y1 (ko) 칼라영상 제어회로
JPS6361836B2 (ko)
KR910007420Y1 (ko) 컬러와 브라이트 레벨의 초기치 설정회로
KR910005932Y1 (ko) 휘도 및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KR200158969Y1 (ko) 모니터의 아날로그 신호와 오에스디신호 믹싱회로
KR0123834B1 (ko) Rgb신호의 선택적강조회로
KR900006835Y1 (ko) 텔레텍스트 색채신호 출력장치
KR910005704Y1 (ko) 멀티 방식 tv의 화이트 밸런스 보정회로
KR930008705Y1 (ko) 모니터의 영상신호 조절장치
JPS5822909B2 (ja) カラ−テレビジヨンジユゾウキ
JPH0238313Y2 (ko)
KR930000458Y1 (ko) 모니터의 수직사이즈 자동 보정 회로
KR910004787Y1 (ko) 모우드 변환시 과도 현상 방지회로
KR930006185Y1 (ko) 자동 밝기 조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