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263B1 -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 Google Patents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263B1
KR880001263B1 KR1019840007176A KR840007176A KR880001263B1 KR 880001263 B1 KR880001263 B1 KR 880001263B1 KR 1019840007176 A KR1019840007176 A KR 1019840007176A KR 840007176 A KR840007176 A KR 840007176A KR 880001263 B1 KR880001263 B1 KR 880001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carrier
carrier head
ceiling surfac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183A (ko
Inventor
료오이찌 히가시
슈우이찌 죠오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세이사꾸쇼
노하라 시게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세이사꾸쇼, 노하라 시게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4000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263B1/ko
Publication of KR86000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thread-engaging device on the inserters
    • D03D47/23Thread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위사운반체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운반체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캐리어 헤드 본체의 사시도.
제5도는 파지부재의 사시도.
제6도는 운반체가 위사를 잡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8도 내지 제12도는 종래의 위사운반체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8도는 종래의 운반체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요부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받고 넘겨주는 운반체에 대응하는 받는 운반체의 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11도는 종래의 다른 운반체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리어 헤드본체 11 : 뒷쪽벽
11a : 경사
Figure kpo00001
분할편 12 : 천정면
12a : 갈구리형상의 안내부 12b : 돌출부
12c : 제 1 위사
Figure kpo00002
안내홈 12c' : 제 2 위사 안내홈
13 : 앞쪽벽 13a : 위사안내곡면
14 : 보강부 20 : 플렉시블 밴드(flexible band)
30 : 파지(把持)부재 40 : 위사안내부재
본 발명은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
Figure kpo00003
운반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사 공급원으로 부터 사조
Figure kpo00004
를 빼내어 경사
Figure kpo00005
개구내로 운반해서 경사군(群)의 중앙부분에서 반대쪽 기계틀 끝으로 부터 진행되어 오는 받는 운반체에 사조를 넘겨주도록 하는 위사운반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위사운반체로서 제 8 도 및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헤드의 본체의 단면이 □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의 밑바닥부분 근처에 설치된 전향(轉向) 요소(가)와 하면에 설치된 조임부재(나)로서, 운반되는 위사가 경사의 중심 평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파지(把持)되도록 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 55-103335호, 일본국 특개소 51-42967호).
이 운반체는 현재까지의 위사를 수평방향으로 파지하는 것에 비교해서 반대쪽 기계틀 끝으로 부터 진행되어 오는 받는 캐리어에 위사를 받고 넘겨줄 때 캐리어 헤드 자체의 상하방향으로 약간의 진동이 있어도 위사가 수직방향으로 있기 때문에 받는 캐리어 헤드의 위사 파지부분과 반드시 맞물려지므로 넘겨받을 때 실수를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그러나 위사를 잡고 있게 하는 조임부재가 캐리어 헤드 본체의 밑부분에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받는 캐리어는 그의 앞끝부분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부분으로 부터 떠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받는 캐리어의 밑부분이 떠 있게하면 헤드 본체의 중심(重心) 위치가 높아져서 운반 캐리어와 받는 캐리어가 서로 만날때 받는 캐리어가 주행상태에서 정지할때에 생기는 관성력에 의해서 앞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배로 가중(加重)되기 때문에 운반 캐리어의 밑부분에 있는 조임 부재에 받는 캐리어의 앞끝부분이 접촉 또는 충돌되고, 이와 같은 현상이 1위입시 마다 반복되므로서 운반체가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로서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해드 본체의 단면을 대략
Figure kpo00006
자 형상으로 하여 위사 안내홈을 바다쪽 뒷쪽의 능선에 설치하고 또한 조임부재를 클로드 펠(colth fell)쪽 앞측면의 하부 근처에 설치하며 위사를 대각선 형상으로 경사지게 잡을 수 있게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실개소 56-15784호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운반체는 캐리어 헤드 본체의 단면이
Figure kpo00007
자 형상이므로 상대쪽의 받는 캐리어는 밑부분으로 부터 떠있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의 중심(重心) 위치는 낮게 형성할 수가 있으며 캐리어가 앞으로 쏠리는 현상에 의해서 받는 캐리어의 앞끝부분이 운반 캐리어의 위사조임부재에 접촉 또는 충돌할 위험이 감소되는 잇점은 있지만, 그러나 위사가 대각선 형상으로 경사지게 잡혀져 있으므로 위사를 넘겨주고 받을때 캐리어 헤드의 상하방향으로의 미진동 및 경사의 영향으로 캐리어 헤드가 떠오르는 현상 때문에 대각선으로 걸쳐있는 위사와 받는 캐리어 헤드의 파지부가 맞물리지 않는 현상이 실의 종류, 섬도(纖度)에 따라서 때로 발생하고, 이 때문에 받고 넘겨주고 하는 것이 잘못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위사 운반체로 위사를 잡고 운반하는데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위사를 잡는 잇점을 살리면서 반대쪽 기계틀 끝으로 부터 진행해온 받는 운반체에 위사를 넘겨줄 때 위사의 섬도, 종류 등으로 인한 잘못받고 넘겨주는 일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운반체 캐리어와 받는 캐리어의 충돌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위사운반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이다.
앞쪽끝이 위입 방향으로 돌출한 경사
Figure kpo00008
분할편을 가지고 있는 바디쪽 뒷쪽벽과, 그 경사분할편의 정상 부분을 덮고 바디로 향해서 돌출한 갈구리 형상의 안내부를 가지고 있는 천정면과, 앞끝에 위사 안내곡면을 가지고 있는 앞쪽벽으로서 캐리어 헤드의 앞끝부분의 단면이
Figure kpo00009
형상으로 되는 캐리어 헤드를 구비한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에 있어서, 전술한 캐리어 헤드의 천정면에, 수직방향으로 약간 돌출한 등지느러미 형상의 돌출부에 인접하여 바디쪽에서, 경사분할편의 정상부로부터 위입방향에 대해서후방으로 연장하여 그 천정면의 대략 중앙부분까지 도달되는 제 1 위사 안내홈과, 이 위사 안내홈의 최종끝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천정면으로 부터 뒷쪽벽으로 연장하는 제 2 위사 안내홈을 설치하는 동시에 그 캐리어 헤드 앞끝부분에 계속되는 뒷끝부분의 단면을
Figure kpo00010
형상으로 해서 플렉시블 밴드에 강성(剛性)을 부여하는 보강부로 한 캐리어 헤드 본체를 플렉시블 밴드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하는 동시에, 그 캐리어 헤드 본체에 전술한 캐리어 헤드 앞쪽벽의 위사 안내곡면을 따라서 안내되어온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술한 구성에 부가해서 전술한 위사파지 부재와 전술한 캐리어 헤드 천정면의 제 1 위사 안내홈과의 사이에 위사 경사
Figure kpo00011
각도를 조절하는 위사 안내부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 운반체를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 있어서, "10"은 캐리어 헤드 본체로서, 그 헤드 본체(10)는 그의 앞끝부분(11)이 바디쪽 뒷벽쪽(11)과 천정면(12)과 앞쪽벽(13)으로 단면의
Figure kpo00012
모양으로 형성되고, 한편 뒷끝부분(12)은 단면이 반대로
Figure kpo00013
형상으로된 동시에 전술한 뒷쪽벽(11) 및 앞쪽벽(13)이 각각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 형상으로 연장되었으며, 플렉시블 밴드(20)에 강성을 부여하는 보강부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나사(15), (15'),(15")에 의해서 플렉시블 밴드(20)에 붙이고 떼이고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헤드 본체 앞끝부분(11)에 대한 뒷끝구 부분(12)의 길이는 1211의 쪽이 주행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전술한 캐리어 헤드 본체의 뒷쪽벽(11)은 앞끝부분이 예리한 형태를 하여 위입 방향으로 돌출한 경사분할편(11a)를 지고 있으며, 또한 전술한 캐리어 헤드 본체의 천정면(12)에는 전술한 경사분할편(11a)의 정상부(11a')를 덮고 바디에 향해서 돌출한 갈구리 형상의 안내부(12a) 및 수직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등지느러미 형상의 돌출부(12b)가 설치되고, 또한 이 돌출부(12b)에 인접해서 바디쪽 뒷쪽벽(11)쪽에 경사분할편(11a)의 정상부(11a')로 부터 위입 방향에 대하여 뒷쪽으로 연장하여 그 천정면의 대략 중앙부까지 도달되는데 제 1 위사 안내홈(12c)과, 이 제 1 위사 안내홈(12c)의 최종끝부분과 적절한 간격을 두고 천정면(12)으로 부터 뒷쪽벽(11)으로 연장하는 제 2 위사 안내홈(12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헤드 본체(10)의 중량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천정면(12)의 돌출부(12b)와 앞쪽벽(13)의 사이는 뚫려져서 공간부(12d), (1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캐리어 헤드 본체(10)의 앞쪽벽(13)은 앞끝에 전술한 경사분할편의 정상부(11a)로부터 천정면(12)의 앞끝부분의 능선을 따라서 안내된 위사를 파지부재(30)(다음에 설명한다)로 안내하는 안내곡면(13a)을 가지고 있으며, 한편 중간부는 위사 파지부재(30)가 설치되도록 공간이 뚫려져 있으며, 또한 뒷쪽 끝부분을 플렉시블 밴드에 강성을 부여하는 보강부(14)(12)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4 도 참조)
위사를 잡아주는 파지부재(30)는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헤드(31)와 판 스프링(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술한 파지 헤드((31)는 앞끝이 위쪽으로 약간 구부러진 아래 경사분할편(31a)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이 분할편의 뒷쪽에 전술한 판 스프링(32)의 앞끝부분을 끼워 넣는
Figure kpo00015
자형상의 고정부(31b)가 있으며, 또한 뒷쪽 끝부분에는 캐리어 헤드 본체(10)에 부착되는 돌기(31c),(31c') 및 판스프링(32)을 부착하는 돌기(31d),(31d')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판스프링(32)은 나사(33),(33')에 의해서 전술한 파지 헤드(31)에 부착되고, 그리고 이 파지 헤드(31)가 나사(34),(34')에 의해서 전술한 캐리어 헤드 본체(10)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부착되는 것이다. (제 1 도 참조)
"40"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헤드 본체(10)의 천정면(12)의 제 1 위사 안내홈(12c)과, 전술한 위사 파지부재(30)사이에 파지된 위사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위사 안재부로서, 그 위사 안내부재(40)는 파지되는 위사의 섬도, 종류에 따라 위입 방향(제 3 도에서 종이면에 수직방향) 및 이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의 양쪽의 경사각도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며, 가늘고 긴 판상체(板狀體)로 되어 있고, 고정나사(41),(41')에 의해서 전술한 파지부재(30)의 밑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제 5 도 참조)
본 발명을 실시하는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 운반체의 일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다음에 그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계틀 끝부분에 설치된 위사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 부터 빼내어진 위사는, 캐리어의 주행경로 중에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상태에 있으며 경사가 개구되면 캐리어가 팽팽하게 당겨진 위사를 잡아주기 위해 전진해 온다.
이때 팽팽하게 당겨진 위사는 제 6 도에 있어서 우선 캐리어 헤드 본체(10)의 뒷쪽벽(11)의 앞끝에 있는 경사분할편(11a)의 상변을 따라서 안내되고, 바디쪽으로 튀어나온 갈구리 형상의 안내부(12a)의 아래를 통과하여, 제 1 위사 안내홈(12c)으로 유도되고, 그 홈의 가장끝의 캐리어 헤드 본체 천정면(12)의 대략중앙에서 걸려서 멈추게 된다.
이때 위사 공급원에 연결된 위사(Y1)은 제 2 위사 안내홈(12c')으로 안내되어서 끼워 넣어지므로 이 위사는 이 홈에 숨어버리므로 경사와의 마찰이 회피된다.
한편,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위사의 다른쪽끝(Y2)은 캐리어 헤드 본체(10)의 천정면(12)의 앞끝부분 곡면(12e)을 따라서 안내되고, 또한 헤드 본체의 앞쪽벽(13)의 안내면(13a) 및 아래경사 분할편(31a)을 따라서 진행되고 파지부재(30)의 앞끝부분으로 유도되며 여기서 그 판스프링(32)의 앞끝과 파지 헤드(31)의 아래 경사분할편(31a)과의 사이의 쐐기 형상의 틈새에 끼워져서 이 판 스프링(32)의 탄성압력에 의해서 파지된다. (제 2도 참조)
이때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위사 안내홈(12c) 및 파지부재(30)사이에 걸쳐 있는 위사의 경사각도는 위사 안내부재(40)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므로써 조절할 수 있다.
즉, 이 위사 안내부(40)의 형상에 따라서 위사의 경사각도가 급하게 되어 수직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받는 캐리어가 이 위사를 잡아서 옮겨갈 때 그 받는 캐리어의 상하 미진동에 좌우되지 않으며 따라서 받고 넘겨줄때의 실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만일 위사의 강력이 약한 것일때에는 문제가 생긴다.
즉, 위사를 받고 넘겨줄 때 받는 캐리어가 전진하여 그의 앞끝부분에서 위사를 밀어제치고 이어서 캐리어가 후퇴하여 이 위사를 잡아가지고 옮길 때(특히 받는 캐리어가 위사를 밀어제칠 때) 위사의 강력이 약하면 이 위사를 절단시킬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 위사의 경사각도를 적절히 변경하여 수직상태보다 경사각도를 완화시키게 되면 위사를 밀어제칠 때의 저항이 경감되므로 위사의 절단은 면할 수가 있다. 이 경사각도는 위사의 섬유 종류, 번수(섬도), 연수(撚數) 등의 제직조건에 따라서 영향을 받게 되지만 이와 같은 조건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것을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헤드 본체의 앞끝부분의 단면은
Figure kpo00016
자 형상으로 하고, 한편 뒷끝부분의 단면을 반대로
Figure kpo00017
자 형상으로 해서 플렉시블 밴드에 강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동시에 그 헤드 본체에 위사 파지부재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부착하고, 또한 위사를 잡아주는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위사 안내부재를 설치하였으므로, 종래의 위사 운반체와 비교해서 상대방의 받는 운반체의 중심(重心)을 낮아지게 할 수가 있으며 위사를 받을 때 받는 운반체의 앞으로 밀리는 현상을 경감시켜서 운반체의 충돌을 해소시키는 동시에, 위사 파지체가 마모되더라도 캐리어 자체를 바꿔 끼울 필요없이 단지 파지부재만을 바꿔 끼워도 되고, 또한 캐리어 헤드 천정면에 설치한 등지느러미 형상의 돌출부에 인접된 제 2 위사 안내홈이 천정면으로 부터 뒷벽면으로 연장하였으므로 경사와 위사의 접촉으로 인한 모우(毛羽)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사 공급원에 연결된 위사 장력(張力)이 원인으로 되는 캐리어 헤드의 부상(浮上)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한 위사 안내부재에 의해서 위사를 잡아줄 때의 경사각도를 위사의 종류, 섬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위사를 받고 넘겨줄 때의 실수나 위사의 절단을 방지할 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앞쪽끝이 위입 방향으로 돌출한 경사분할편을 가진 바디쪽 뒷쪽벽과, 그 경사분할편의 정상부를 덮고 바디로 향해서 돌출한 갈구리 형상 안내부를 가지고 있는 천정면과, 앞끝에 위사 안내곡면이 있는 앞쪽벽으로 캐리어 헤드의 앞쪽부분의 단면이
    Figure kpo00018
    형상으로 된 캐리어 헤드를 구비한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 운반체에 있어서, 전술한 캐리어 헤드의 천정면에, 수직 방향으로 약간 돌출한 등지느러미 형상의 돌출부에 인접해서 바디쪽에, 경사분할편의 정상부로 부터 위입 방향에 대해서 뒷쪽으로 연장하여 그 천정면에 대략 중앙부까지 도달되는 제 1 위사 안내홈과, 이 제 1 위사 안내홈의 최종끝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천정면으로 부터 뒷쪽벽으로 연장하는 제 2 위사 안내홈을 설치하는 동시에, 그 캐리어 헤드 앞쪽 끝부분에 계속되는 뒷쪽 끝부분의 단면을
    Figure kpo00019
    형상으로 하여 플렉시블 밴드에 강성을 부여하는 보강부로 된 캐리어 헤드 본체를 플렉시블 밴드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하는 동시에, 그 캐리어 헤드 앞쪽벽의 위사 안내곡면을 따라서 안내 되어온 위사잡는 위사 파지부재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하고, 또한 그 위사 파지부재와 전술한 캐리어 헤드천정면의 제 1 위사 안내홈과의 사이에 위사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위사 안내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 운반체.
KR1019840007176A 1984-11-15 1984-11-15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KR880001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176A KR880001263B1 (ko) 1984-11-15 1984-11-15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176A KR880001263B1 (ko) 1984-11-15 1984-11-15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83A KR860004183A (ko) 1986-06-18
KR880001263B1 true KR880001263B1 (ko) 1988-07-16

Family

ID=1923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176A KR880001263B1 (ko) 1984-11-15 1984-11-15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283B1 (ko) * 1998-03-09 2002-06-20 이규건 위사반송그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83A (ko) 1986-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5479B1 (en) Means to guide the motion of a pair of weft carrying grippers inside the shed of weaving looms
KR880001263B1 (ko)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US5129431A (en) Giver for a gripper loom
US5413151A (en) Gripper loom rapier guide arrangement
RU1813131C (ru) Бесчелночн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US6179014B1 (en) Drawing gripper for a rapier loom for receiving and positioning a filling to be inserted into a loom shed
US4235261A (en) Pair of grippers for weaving looms without shuttle
KR880001264B1 (ko)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CN1059246C (zh) 改进的剑杆织机送纬夹线器
EP1209267B1 (en) Weft insertion apparatus for rapier loom
JPS6017149A (ja) 拘束部材を合体したおさ
US5664609A (en) Weaving reed and gripper guide element for a loom
US6167918B1 (en) Gripper system for gripper loom
US5135033A (en) Rapier loom having picking tapes and spacers
US5899242A (en) Thread clamp carrier body for a bringer gripper
US3934621A (en)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US3986532A (en) Weft extending carrier
US3272237A (en) Filling carriers for shuttleless looms
US3776281A (en) Weft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JPS63780Y2 (ko)
KR950000289Y1 (ko) 레피어직기의 가이드훅
JPH0260773B2 (ko)
EP0709505A1 (en) Guide track for gripper straps in looms
JPH0327657B2 (ko)
GB2058853A (en) Weft inserting device for shuttleless l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