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264B1 -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 Google Patents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264B1
KR880001264B1 KR1019840007177A KR840007177A KR880001264B1 KR 880001264 B1 KR880001264 B1 KR 880001264B1 KR 1019840007177 A KR1019840007177 A KR 1019840007177A KR 840007177 A KR840007177 A KR 840007177A KR 880001264 B1 KR880001264 B1 KR 880001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carrier
carrier head
piec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184A (ko
Inventor
료오이찌 히가시
슈우이찌 죠오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세이사꾸쇼
노하라 시게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세이사꾸쇼, 노하라 시게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4000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264B1/ko
Publication of KR86000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thread-engaging device on the inserters
    • D03D47/23Thread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제1도 내지 제5도는 종래의 위사운반체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도는 종래의 운반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받고 넘겨주는 운반체에 대응하는 받는 운반체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다른 운반체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요부 단면도.
제6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위사운반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운반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측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요부 단면도.
제9도는 캐리어 헤드 피이스의 요부 사시도.
제10도는 캐리어 본체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리어 헤드의 본체 1a : 뒷쪽벽
1b : 앞쪽벽 2 : 캐리어 헤드 피이스
2A : 뒷쪽벽 2B : 천정면
2a : 경사분할편 2b : 갈구리형상의 안내부
2c : 돌출부 4 : 제 1 위사 안내홈
5 : 제 2 위사 안내홈 6 : 위사 조임부재
8 : 위사 안내부재
본 발명은 북이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조기의 위사 공급원으로 부터 위사를 파지 운반하여 반대측으로부터 진행해온 받는 운반체에 위사를 받고 넘겨주는 위사운반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위사운반체로서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헤드 본체 단면이 □ 자 형상의 윗면 밑부분 근처에 배치된 전향(轉向)요소와, 하면에 배치된 조임부재로서 운반되는 위사가 경사의 중심 평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파지되도록 한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 55-103335호, 특개소 51-42967호)
그러나 이것은 위사를 수평방향으로 파지하는 것에 비교해서 직포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위사를 받고 넘겨줄때 캐리어 헤드 자체의 상하방향의 미진동에 의한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는 점에서 받고 넘겨줄 때의 실수를 피할수 있는 잇점은 있으나 위사를 파지하기 위한 조임부재가 캐리어 헤드 본체의 밑부분에 있으므로 상대방의 받는 캐리어는 그의 앞쪽끝부분이 밑부분보다 떠있게 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 받는 캐리어의 밑부분이 떠있는 것일때는 헤드 본체의 중심(重心)위치가 높아져서 운반 캐리어와 받는 캐리어가 만나게 될때, 받는 캐리어가 주행상태로부터 정지할때에 생기는 관성력에 의해서 앞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배가되며 이 때문에 운반 캐리어의 밑부분의 조임부재가 받는 캐리어의 앞쪽끝부분이 접촉 또는 충돌하여 이 현상이 위입시 마다 반복되므로 운반체의 파손에 이르는 결점이 있다.
또한,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헤드 본체의 단면이 대략
Figure kpo00001
자 형상이어서 위사 안내홈을 바디쪽 뒷면의 능선에 설치하고, 또한 조임부재를 클로드 펠(cloth fell)쪽 앞쪽면이 하부근처에 설치하고 위사를 대각선 형상으로 경사지게 파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개소 56-15784호 참조)
그러나 이것은 캐리어 헤드 본체의 단면이
Figure kpo00002
자 형상이므로 상대쪽의 받는 캐리어의 중심위치는 낮으며 또한 캐리어의 앞으로 쏠리는 현상에 대해서는 받는 캐리어의 앞끝이 조임부재에 접촉 또는 충돌할 위험은 경감되지만 위사가 대각선 형상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위사를 받고 넘겨줄때 캐리어 헤드가 앞쪽으로 쏠리는 현상 및 경사의 영향으로 인한 캐리어 헤드의 부상(浮上)현상 때문에 대각선으로 걸쳐있는 위사와 받는 캐리어 헤드의 파지부가 맞물리지 않는 현상이 때로 발생되어서 그로 인해서 받고 넘겨줄때의 실수가 생기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로서는 위사운반체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위사를 파지하는 잇저믈 살리면서 위사를 받고 넘겨줄때에 있어서의 운반 캐리어와 받는 캐리어의 충돌 및 받고 넘겨줄때의 실수를 완전히 없애도록 하는 위사운반체를 제공하려는데 있으며, 본 발명은 캐리어 헤드 본체에 뒷쪽벽에, 앞쪽끝이 위입방향으로 돌출한 경사
Figure kpo00003
분할편을 가진 바디쪽 뒷쪽면과, 그 경사 분할편의 정상부를 덮고 바디로 향해서 돌출한 갈구리 형상의 안내부 및 수직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등지느러미 형상의 돌출부를 가진 천정면을 구비한 단면이 대략
Figure kpo00004
자 형상의 캐리어 헤드 피이스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부착하고, 그 캐리어 헤드 본체의 앞쪽벽과의 사이에서 캐리어 헤드의 앞끝부분의 단면을
Figure kpo00005
자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그 캐리어 헤드 앞쪽벽에 위사조임부재를 부착하고, 또한 전술한 캐리어 헤드 피이스는 뒷쪽면 및 천정면에 경사 분할편의 정상부분으로부터 위입 방향에 대하여 뒷쪽으로 연장하여 천정면의 대략 중앙부분까지 도달되는 제 1 위사 안내홈과 그 제 1 안내홈의 최종끝과 적절한 간격을 두고 천정면으로부터 뒷쪽면으로 연장하는 제 2 위사 안내홈을 설치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를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6 도 내지 제10도에 있어서, "1"은 바디쪽에 있는 뒷쪽벽(1a)과, 그 뒷쪽벽과 대략 평행하게 클로드 펠쪽으로 향하는 길이가 긴 앞쪽벽(1b)을 가지고 있는 단면이 대략
Figure kpo00006
자 형상을 한 캐리어 헤드 본체로서, 그 본체(1)의 앞쪽벽(1b)은 위사조임부재(6)(후술함)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지 않도록 단면이
Figure kpo00007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의 앞끝부분은 경사를 손상하지 않도록 약간 구부러진 안내부(1b')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제10도 참조)
"2"는 전술한 캐리어 헤드 본체(1)이 뒷쪽벽(1a)에 보울트(3)에 의해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부착된 캐리어 헤드 피이스로서, 그 피이스(2)는 알루미늄등의 경합금제 또는 탄소섬유등으로 강화한 합성수지제등으로 되어 있으며,또한 뒷쪽면(2A)과 이뒷쪽면에 대략직각으로 교차되는 천정면(2B)으로된 단면이 대략
Figure kpo00008
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전술한 뒷쪽면(2A)의 앞쪽끝은 위입방향으로 돌출한 경사분할편(2a)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이 경사분할편(2a)의 정상부를 덮고 바디로 향해서 돌출한 갈구리 형상의 안내부(2b) 및 위입시 경사와의 마찰을 경감하는 작용을 관장하는 수직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등지느러미 형상의 돌출부(2c)가 천정면(2B)에 형성되며, 또한 이 천정면의 앞쪽 끝부분은 위사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진 안내면(2d)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안내면(2d)의 최종끝에는 경사를 분할하는 돌기(2e)가 설치되어 있다.
"4"는 전술한 캐리어 헤드(2)의 뒷쪽면(2A) 및 천정면(2B)에 경사분할편(2a)의 정상부로부터 위입 방향에 대하여 뒷쪽으로 연장하여 천정면(2B)의 대략 중앙부분에 걸쳐서 설치된 제 1 위사 안내홈으로서, 그 제 1 위사 안내홈(4)은 위사의 안내와 그 위치를 규제하는 것으로써, 특히 천정면의 중앙부분까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는 위사를 수직으로 잡기 위한 것이다.
"5"는 전술한 제 1 위사 안내홈과 적절한 간격을 두고 전술한 캐리어 피이스(2)의 천정면(2B) 및 뒷쪽면(2A)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제 2 위사 안내홈으로서 그 제 2 위사 안내홈(5)은 위사 공급원에 연결된 위사가 이 홈에 끼어들어감으로서 경사와의 마찰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특히 뒷쪽면까지 홈이 있는 것은 위사의 장력(특히 굵은 실의 경우)에 의해서 운반체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6"은 위사 공급원으로부터 빼내져서 전술한 캐리어 헤드 피이스(2)의 제 1 위사 안내홈(4)을 거쳐서 유도되는 위사의 파지를 관장하는 위사조임부재로서, 그 위사 조임부재(6)는 판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고정나사(7)에 의해서 그 한쪽끝이 전술한 캐리어 헤드 본체(1)의 앞쪽벽(1b)에 고정되는 것이다.
"8"는 전술한 캐리어 헤드 피이스(2)의 제 1 위사 안내홈(3)(4)과 전술한 위사조임부재(6)의 사이에 파지되는 위사의 경사
Figure kpo00009
각도를 조절하는 위사안내부재로써, 그 위사 안내부재(8)는 파지되는 위사와 섬도, 종류에 따라 위입방향(제 8 도에서 지면의 수직방향) 및 이것과 직각으로 교차되는 경사각도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며, 가늘고 길다란 판상체(板狀體)로된 고정나사(9)에 의해서 캐리어 헤드 본체(1)의 밑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제 8 도 참조)
또 "10"은 캐리어 헤드 본체(1)를 고정부착한 가요성 밴드이다.
본 발명은 실시하는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서 이어서 그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기계틀 끝부분에 설치된 위사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 부터 빼내어진 위사는 캐리어의 주행 경로중에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상태로 있으며 경사가 개구되면 캐리어가 이 팽팽히 당겨진 위사를 잡기위해서 전진해 온다.
이때 팽팽히 당겨진 위사의 상태는 우선 캐리어 헤드 피이스(2)의 경사분할편(2a)의 상변을 따라서 안내되어 바디쪽으로 돌출한 갈구리 형상의 안내부(2b)의 아래를 통과하게 되고 제 1 위사 안내홈(4)으로 유도되어 들어가며 그 홈의 최종끝의 캐리어 헤드 피이스 천정면의 대략 중앙부에서 정지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특히 위사 공급원에 연결된 위사는 제 2 위사 안내홈(5)에 안정되게 끼워 넣어짐으로 위사는 이 홈에 숨어버려서 경사와의 마찰이 피해진다.
한편, 걸쳐있는 위사의 다른쪽끝은 캐리어 헤드 피이스 천정면의 앞쪽 끝부분의 곡면을 따라서 안내되고, 또한 그 피이스 앞쪽면의 경사분할편(2d)을 따라서 진행되어 조임부재(6)의 앞쪽끝부분으로 유도되고 여기에서 그 조임부재(6)의 앞쪽끝과 캐리어 헤드 본체 앞쪽벽(1b)의 사이의 쐐기 형상의 간격에 끼어들어가며 이 조임부재(6)의 탄성압력에 의해서 파지되는 것이다.
이때 제 8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 위사 안내홈(4) 및 조임부재(6)사이에 걸쳐있는 위사의 경사각도는 위사안내부재(8)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즉, 이 위사의 경사각도가 급하게 되어서 수직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받는 캐리어가 이 위사를 잡은채로 들어갈때 그 받는 캐리어의 상하운동에 좌우되지 않으며 따라서 받고 넘겨줄때의 실수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만일 위사의 강력이 약한 것일때에는 문제가 된다.
즉, 위사를 받고 넘겨줄때 받는 캐리어가 전진해서 그의 앞쪽 끝부분에서 위사를 밀어제치고 이어서 캐리어가 후퇴하여 이 위사를 잡은채로 들어갈때, 특히 받는 캐리어가 위사를 밀어제칠때 위사의 강력이 약하면 이 위사를 절단시킬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위사의 경사각도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수직상태로 부터 경사각도를 완화시키게 되면 위사를 밀어제칠때의 저항이 경감되므로 위사의 절단을 면할수가 있다. 이 경사각도는 위사의 섬유의 종류, 번수, 연수등의 조건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되지만 이것들의 조건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직조기의 위사운반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헤드 본체와 헤드 피이스를 분리해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설치하는 동시에 헤드 앞쪽 끝부분 단면을
Figure kpo00010
자 형상으로 하고 또한 위사 파지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위사안내부재를 설치해서 구성하였으므로 종래의 운반체에 비해서 받는 운반체의 중심을 낮게할 수가 있어서 받을때 받는 운반 기구의 머리부분이 흔들리는 현상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어떠한 이유로써 캐리어 헤드가 파손되더라도 헤드 피이스만을 바꾸어도 좋고 또한 피이스와 본체와의 재질을 변경해서 비중이 작은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해서 헤드전체의 중량을 경량화 할수 있으므로 고속화 하더라도 주행상태에서 안정되고 또한 제 2 위사 안내홈이 천정면으로 부터 뒷쪽면으로 연장하여 있으므로 경사와 위사의 마찰을 방지할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 헤드 자체가 위사 공급원에 연결된 위사 장력에 의해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위사를 잡을때의 경사각도와 위사의 종류 섬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위사를 받고 넘겨줄때의 실수나 위사의 절단을 방지할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캐리어 헤드 본체의 뒷쪽벽에, 앞쪽끝이 위입 방향으로 돌출한 경사 분할편을 가지고 있는 바디쪽 뒷쪽면과 그 경사분할편의 정상부를 덮고 바디로 향해서 돌출한 갈구리 형상의 안내부 및 수직방향으로 약간 돌출한 등지느러미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천정면을 구비한 단면이
    Figure kpo00011
    형상의 캐리어 헤드 피이스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부착해서, 그 캐리어 헤드 본체의 앞쪽벽과의 사이에서 캐리어 헤드 앞쪽 끝부분의 단면을
    Figure kpo00012
    자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그 캐리어 헤드 앞쪽벽에 위사조임부재를 부착하고, 또한 전술한 캐리어 헤드 피이스는 뒷쪽면 및 천정면에 경사분할편의 정상부로 부터 위입방향에 대해서 뒷쪽으로 연장하여 천정면의대략 중앙부에 이르는 제 1 위사 안내홈과 그 제 1 위사 안내홈의 최종끝과 적절한 간격을 두고 천정면으로부터 뒷쪽면으로 연장하는 제 2 위사 안내홈을 설치하고, 또한 전술한 제 1 위사 안내홈과 전술한 위사조임부재 사이의 위사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위사 안내부재를 캐리어 헤드 본체에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KR1019840007177A 1984-11-15 1984-11-15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KR88000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177A KR880001264B1 (ko) 1984-11-15 1984-11-15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177A KR880001264B1 (ko) 1984-11-15 1984-11-15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84A KR860004184A (ko) 1986-06-18
KR880001264B1 true KR880001264B1 (ko) 1988-07-16

Family

ID=1923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177A KR880001264B1 (ko) 1984-11-15 1984-11-15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2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84A (ko) 1986-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3337B2 (ja) 織機の杼口内における横糸支持グリッパの運動案内装置
US20050284533A1 (en) Feed rapier for a rapier loom
US5129431A (en) Giver for a gripper loom
US3580291A (en) Filling carrier for use in shuttleless looms
KR880001264B1 (ko)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EP2122027B1 (en) Gripper weaving machine, bringer gripper and deflecting guide
US4570683A (en) Yarn holding device
RU1813131C (ru) Бесчелночн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US4860800A (en) Weft carrying gripper for weaving looms
US5007463A (en) Weft clamping system for inserter rapier
US4071055A (en) Inserting carrier for looms with removal of a filling yarn from stationary bobbins
US4062382A (en) Extending carrier for looms with removal of the filling yarn from stationary bobbins
US5518041A (en) Airguide channel geometry for air jet loom
KR950704555A (ko) 직기용 트랜스퍼 시스템
KR880001263B1 (ko) 북없는 직조기의 위사운반체
US3874420A (en) Weft inserting carrier
USRE35400E (en) Rapier loom having picking tapes and spacers
US5570726A (en) Air weaving loom with weft hold-down members and enlarged inlet and outlet weft insertion channel
US5899242A (en) Thread clamp carrier body for a bringer gripper
EP0395132B1 (en) Mechanism for mounting a part on the sley of a weaving machine
CS201008B2 (en) Weft inserting needle pair for shuttleless weaving loom
GB2058853A (en) Weft inserting device for shuttleless loom
JP2001519485A (ja) グリッパ織機用ピックアップ・グリッパ
US3779288A (en) Weft carrier guide
US3934621A (en)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