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125Y1 -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125Y1
KR880001125Y1 KR2019840004969U KR840004969U KR880001125Y1 KR 880001125 Y1 KR880001125 Y1 KR 880001125Y1 KR 2019840004969 U KR2019840004969 U KR 2019840004969U KR 840004969 U KR840004969 U KR 840004969U KR 880001125 Y1 KR880001125 Y1 KR 880001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door ope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10182U (ko
Inventor
노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4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125Y1/ko
Publication of KR8500101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101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의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장착한 상태의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개폐문의 사시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트롤부 2 : 도어
3 : 고정부 4 : 코일스프링
6 : 스토퍼 7 : 돌편
본 고안은 기기(TV, VTR, 오디오)등의 콘트롤부를 보관하는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어의 고정을 위하여 도어 내부에 돌기편을 만들고 콘트롤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돌기편이 걸림턱에 결착되도록 하였으나 돌기편과 걸림턱의 조립 공차가 정확하지 않아 확실한 도어의 결착이 안되었으며 사출시에 수축 또는 횡현상으로 최초의 목적을 완전하게 달성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의 도어를 장기간 사용하면 자연적으로 걸림 상태가 헐거워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져 안출한 것으로 도어를 일정한 지점까지 개방시키면 스프링의 작용점 변환으로 도어가 저절로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그 동작 상태가 유연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통상의 콘트롤부(1) 내면 위치에 리브가 형성된 돌기(5)를 돌출시켜 코일스프링(4)를 걸어 천공된 통공(8)을 통해 도어(2)고정부(3)의 홈(3a)에 결착시켰으며 고정부(3)에는 콘트롤부(1)의 축(1a)을 삽입하는 중심공(3b)이 천설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3)에는 만곡된 스토퍼(6)가 결착되어 콘트롤부(1)의 돌편(7)과 면 접촉을 이루게 하여 도어(2) 개폐시 스프링(4)의 탄력을 저지시켜 개폐 동작을 유연하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1은 축 삽입편, 9는 손잡이홈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코일스프링(4)으로 탄지된 도어(2)를 손잡이 홈(9)에 손가락을 넣어 잡아당기면 도어(2)를 개방시키는 것인데 도어(2)가 일정한 지점까지 이동되면 코일스프링(4)으로 도어(2)의 작용점이 변환되어 도어(2)가 저절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이며 이때 고정부(3)에 형성된 스토퍼(6)의 만곡부가 콘트롤부(1)의 돌편(7)과 면 접촉을 이루면서 마찰이 생겨 개폐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는 작용을 한다.
상기의 작용으로 도어(2)가 일정한 지점에 도달되면 자연적으로 스므스하게 작동하므로 도어(2)의 개폐가 매우 편리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가 유연해지므로 기기 사용시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제품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도어의 개폐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결착편과 돌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결합체의 절단 마모등에 의한 도어의 개폐가 부자유스러움 및 교체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없는 것이어서 사용에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콘트롤부(1)에 유착되는 도어(2)에 있어서, 도어(2)의 고정부(3)에 코일스프링(4)을 결착하고 스토퍼(6)를 만곡 형성하여 돌편(7)과 면 접촉을 이루어 도어(2)의 개폐동작이 유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장치.
KR2019840004969U 1984-05-25 1984-05-25 도어의 개폐장치 KR880001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969U KR880001125Y1 (ko) 1984-05-25 1984-05-25 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969U KR880001125Y1 (ko) 1984-05-25 1984-05-25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182U KR850010182U (ko) 1985-12-12
KR880001125Y1 true KR880001125Y1 (ko) 1988-03-25

Family

ID=1923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969U KR880001125Y1 (ko) 1984-05-25 1984-05-25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1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182U (ko) 198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8944A1 (en) Refrigerator door closing device
HK1006092A1 (en) Device for holding a vehicle sliding door at full-open position
EP0421775A3 (en) Disc cartridge
US4930818A (en) Combined closing and airing furniture for a door
KR880001125Y1 (ko) 도어의 개폐장치
CA2204938A1 (en) Insulation fastening device
MY130061A (en) Door opening mechanism of cassette loading device.
KR940004280Y1 (ko)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0117184Y1 (ko) 냉장고 도어
KR840000926Y1 (ko) 콘트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KR90000317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용 판넬 도어 개폐 장치
KR900010190Y1 (ko) Vtr도아 개폐장치
KR960010066Y1 (ko) 자동 응답전화기의 카셋트 도어 개폐장치
KR900009671Y1 (ko) 도어 록 장치
KR800001792Y1 (ko) 지하실 환기창
KR890008575Y1 (ko) 카세트 도어용 소프트 개폐장치
KR0119415Y1 (ko)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KR880001126Y1 (ko) Tv콘트롤부의 도어 개폐장치
KR930007450Y1 (ko) 음압흡수용 도어 개폐장치
KR940008143Y1 (ko) 랩탑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830002631Y1 (ko) T.v수상기의 전면조정부의 개폐문짝 취부장치
KR920017056A (ko) 테이프 레코오더
KR950029644A (ko) 원터치식 볼밸브의 레버 고정장치
KR870002191Y1 (ko) 가구용 손잡이
KR930000040Y1 (ko)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2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