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755B1 - 자기인쇄물의 진위 판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기인쇄물의 진위 판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755B1
KR880000755B1 KR8205705A KR820005705A KR880000755B1 KR 880000755 B1 KR880000755 B1 KR 880000755B1 KR 8205705 A KR8205705 A KR 8205705A KR 820005705 A KR820005705 A KR 820005705A KR 880000755 B1 KR880000755 B1 KR 88000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attern
optical
sens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087A (ko
Inventor
히로유끼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다데이시 다까오
다데이시 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2050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066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39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19900A/ja
Application filed by 다데이시 다까오, 다데이시 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다데이시 다까오
Publication of KR84000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인쇄물의 진위 판별 시스템
제 1 도는 지폐의 진위판별상황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기광학센서의 개략구성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 3 도는 자기광학센서의 종단면도.
제 4 도는 그 평면도.
제 5 도는 지폐진위판별 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 6 도는 자기센서의 구성회로를 나타낸 전기배선도.
제 7 도 내지 제 9 도는 진짜 지폐 및 가짜 지폐의 패턴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 7 도 및 제11도는 제 5 도의 회로각부의 출력파형을 보여주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폐 2 : 자기광학센서
3 : 자기센서 4 : 광학센서
6 : 접속단자부 7 : 1 차증폭기
20 : 케이스 30 : 영구자석
31 : 검지용 자기저항소자
32 : 보상용 자기저항소자
40 : 투광기 41 : 수광기
70 : 2차 증폭기 71 : 1 차 비교측정기
72 : 가산기 73 : 2 차 비교측정기
i1 : 자기팬턴출력
i2 : 광학패턴출력
j : 가산출력
K1, K2 : 검지신호
본 발명은 지폐, 수표등의 자기인쇄물(磁器印刷物)의 진위(眞僞)를 판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전기(換錢機), 자동예금기, 자동판매기 등에 있어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한다거나 혹은 자기잉크로 인쇄한 수표의 진위를 판별한다거나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자기인쇄물의 진위판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지폐의 진위판별은 예를등면 자기센서와 광학센서로 지폐의 임의의 주사선(따로따로의 주사선이나 동일한 주사선이라도 좋다)위에서의 자기패턴(자기의 강약)과 광학패턴(색채, 명암에 의한 광학적 진함과 묽음)을 판독하고, 그 판독출력을 미리 정한 자기, 광학-각각의 스레스홀드 레벨(threshold level)로 판별하여, "0", "1"의 비트패턴으로 변환하여 미리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는 자기, 광학 각각의 기준패턴과 판독한 자기, 광학 각각의 패턴을 각 비트마다 비교하여 일치, 불일치를 판정하고 있다. 이경우, 반드시 패턴의 구성 비트 모두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전체의 90%이상 계수의 비트가 일치하면 패턴 일치라고 판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하여, 자기 광학 각각의 패턴의 일치, 불일치를 판정하고 자기패턴과 광학패턴이 다함께 진짜라고 판정할때 진짜지폐라고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패턴은 "0", "1"의 판정을 바로 자기패턴과 광학패턴을 각기 독립하여 실시하는 종래의 진위판별시스템에 있어서는 근년의 정밀한 자기 인쇄를 동반하는 컬러복사기에 의한 카피지폐를 판별할 수 없는 염려가 있다. 즉, 컬러카피를 한 위조지폐를 자기농도가 상기한 자기의 스레스홀드레벨 근방에 있을때는 카피지폐를 잘못하여 진짜 지폐라고 판별할 염려가 있으며, 특히 일정한 확률(예를 들면, 90% 이상의 비트)로서 일치하면 진짜라고 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잘못판별의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형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비추어 지폐, 수표등의 자기인쇄물과 특히 컬러카피에 의한 위조지폐등의 허위 인쇄물을 판별함에 있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자기인쇄물의 진위판별 시스템에 대하여 예의 연구하였던 결과, 허위인쇄물, 특히 컬러카피지폐에 있어서는 색등의 농담(濃淡)에도 불구하고 자기가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색의 농담과 자기의 강약에 비례함에 대하여 진짜 지폐등의 진짜인쇄물에 있어서는 색등이 진하게 되었을때 자기도 그에 따라서 강하게 되는 부분과 색등이 진하게 되어도 자기는 약한 부분이 섞여 있게 되고, 이 때문에 색등의 농담과 자기의 강약이 상기한 허위인쇄물에 있어서와 같은 특정한 대응관계에 있지 않는 부분이 반듯이 존재한다고 하는 지식을 얻으므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자기센서와 광학센서를 동일주사선상(同一走査線上)에서의 자기팬턴과 광학패턴을 판독하고 자기패턴과 광학패턴을 서로 동일한 검지점(檢知點)에서 중합(重合)하여서 그 레벨변동을 판별함으로서 지폐등의 자기인쇄물의 전위를 판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 컬러카피에 의하여 자기인쇄된 위조 지폐의 경우는 자기농도와 광학농도가 비례하므로 자기패턴과 광학패턴을 중합하였을때, 양 패턴출력의 레벨변동이 서로 소거하게 되고 레벨변동이 미소하다는 것을 제 1 판별 수단으로 판별함에 따라서 위조지폐라고 판별하고, 반대로 진짜지폐이면 광학농도가 진하여도 자기는 약한 부분이 있으므로 작기패턴과 광학패턴을 중합하였을때 양 패턴출력의 레벨변동이 소거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며 이때 커다란 레벨변동이 출력하는 것을 제 1 판별수단으로 판별함에 따라서 진짜 지폐라고 판별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한 제 1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와 자기패턴의 레벨변동을 판별하는 제 2 판별수단의 판별결과를 조합함에 따라 자기인쇄를 포함하지 않는 컬러복사기에 의하여 카피한 위조지폐까지도 판별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자기광학센서를 지폐의 진위판별로 사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나 지폐에 국한하지 않고 수표, 그밖늬 지엽류의 진위판별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제 1 도는 지폐(1)를 이행로에 잇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행하게 하고, 이 행로의 적합한 곳에 본 발명에 관한 자기광학센서(2)를 배치한 상황을 표시하였으며, 이 자기 광학센서(2)를 가지고 지폐(1)에 있어서의 일정한 트랙(11)의 자기패턴 및 광학패턴을 동시에 판독하고 있다. 자기광학센서(2)의 개략구성은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케이스(20)내에 자기센서(3)가 수납되고, 자기 센서(3)의 상방위치에 광학센서(4)의 수광기(41)가 배설되어 있다.
수광기(41)에는 포토 다이오우드(photo diode), 포토트랜지스터등의 소자를 사용하였으며, 이 행로를 사이에 두고 대면시킨 투광기(40)로 부터의 빛을 지폐(1)를 개재하여 수광한다. 또, 도시예의 자기센서(3)는 영구자석(30)의 N극측에 겸지용자기저항소자(31), S극측에 보상용 자기저항소자(32)를 각기 접근배설한 구성이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호울(holl)소자등을 사용한 자기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자기광학센서(2)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예에서 플라스틱등의 합성수지제 케이스(20)는 한편에 개구부(60), 다른편에 창부(窓部) (50)를 설비하고 있으며,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영구자석(30), 검지용 자기저항소자(31) 및 보상용자기저항소자(32)로 구성하는 자기센서(3)를 수납 배설하고 있다. 자기센서(3)는 주위를 황동등의 정전시일드판(21), (22)으로 둘러싸여져 있으며, 시일드판(21) 바깥쪽의 자기저항소자(31)의 상방위치에는 광학센서(4)의 수광기(41)가 설치되어 있다. 수광기(41)는 상기한 창부(50)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수광기 (41)의 전면에 유리판(51)을 끼워서 빛 및 자기의 검출부(5)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케이스(20)의 개구부(60)에는 시일드판(22)에 절연부재(61)를 가재하여 여러개의 단자편(62-66)을 장치하여 접속단자부(6)를 형성하고 있다.
단자편(62), (63)은 리이드선(68)으로 광학센서(4)의 수광기(41)와 단자편(64), (65), (66)은 리이드선(69A)(69B)으로 자기저항소자(31), (32)와 각기 접속하였으며, 중앙에는 새로이 시일드판(22)에 직접 접속한 접지용단자편(67)이 돌설하고 있다.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내부는 수지(23)로 모울드하여 상기한 각 부재위치를 고정하게 하고 있으며, 또 케이스(20)의 외주면에는 설치구멍(25)을 마련한 센서설치부(2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중에서 자기센서(3)는 예를 들면 도면에는 없으나 자석으로 부터의 자계를 지폐(1)를 통과시켜서 검출하고 지폐(1)위의 자성체 성분의 농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 광학센서(4)는 투광성(透過性)의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반사형의 것이라고 좋다. 단, 반사형의 광학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 개의 반사형 광학센서로 각기 겉과안의 패턴을 판독하고 겉패턴과 안패턴과를 합친 것을 광학패턴으로 한다.
이것은 자기패턴이 자기센서에 따라 항상 표리일체로 판독하게 되므로 이것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서 지폐(1)의 자기패턴 및 광학패턴의 검지점은 제 1 도에서는 동일하게 하고 있으나 지폐의 진행방향에 대한 직선상에 있으면 검지점은 달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지연선(遲延線)을 사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인쇄물의 반송에 동기(同期)한 펄스(pulse) (예를들면, 인쇄물을 1mm 발송할때마다 1펄스)로 출력하는 회전식 부호기를 사용하며 진행방향 전방의 센서의 출력을 양 센서사이의 거리분만큼(상기한 회전식 부호기의 출력을 계수하는 것등에 따라서) 늦추어주므로서 검지점을 동일하게 하였을 경우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낸다. 도시한 회로는 자기저항소자 혹은 호올소자등의 자기센서(3)에 접속한 1 차증폭기(7), 수광기(41)에 접속한 2차증폭기(70), 각기 제 1 및 제 2 판별 수단으로서의 1,2차 비교측정기(71), (73), 플립플롭(74), (75), 가산기 (72), 투광기(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광원용 전원(77), 앤드케이트(76)등으로 구성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기광학센서(2)를 사용한 지폐단위판별 시스템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회로에서 자기센서(3)는 지폐(1)의 자기패턴을 판독하고, 판독출력은 1 차증폭기(7)로 증폭되어서 자기 패턴출력(i1)으로 된다. 또, 전원(77)에 접속한 투광기(40)로 부터의 빛은 지폐(1)를 투과하고, 수광기(40)에 의하여 수광량에 적응한 광학패턴의 판독출력을 얻으며, 이 출력은 2 차증폭기(70)로 증폭하여서 광학패턴출력(i2)으로 된다.
자기센서(3)의 구성회로는 예를들면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검지용 및 보상용 자기저항소자(31), (32)를 각각 정전류회로(33), (34)에 접속하여서 되었으며, 각 자기저항소자(31), (32)의 차동출력을 1 차 증폭기(7)로 증폭하여 상기한 자기패턴출력(i1)을 얻는다.
상기한 자기패턴출력(i1)은 1 차비교측정(71)에 있어서, 일정한 스레스홀드전압(V1)과 비교하고, 자기패턴출력(i1)이 스레스홀드전압(V1)을 초과하여 변동하였을경우, 높은 전압의 검지신호(K1)를 얻는다. 또, 자기패턴출력(i1)은 광학패턴출력(i2)과 함게 가산기(72)에 입력되어서 가산출력(j)를 얻으며, 이 가산출력(j)은 2 차비교측정기(73)에서 일정한 스레스홀드 전압(V2)과 비교되고, 가산출력(j)이 스레스홀드전압(V2)보다 떨어지는 변동을 하였을 경우, 높은 전압으로 되는 검지신호(K2)를 얻는다.
가산기(72)에서 자기패턴출력(i1)과 광학패턴출력(i2)이 함께 합쳐져서 자기패턴출력(i1)과 광학패턴출력(i2)의 각각의 이득이 조정된 후에 증가된 가산출력(j)으로 주어진다. 이러한 이득조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즉, 지폐중의 색깔이 엷고 자기가 약한 영역과 나란히 정열되어 있던 센서가 검지점에서 색깔이 짙고, 자기가높은 영역과 계속해서 나란히 정열될때, 1차증폭기(7)에서 나온 자기패턴출력(i1)이 2차 증폭기(70)에서 나온 광학패턴출력(i2)과 서로 상쇄되어질 수 있는데, 즉 가산기(72)에서 나온 출력은 지폐(1)의 색깔이 엷고, 자기가 약한 영역이 검지점과 나란히 정열될때 얻어지는 미리 결정된 출력수준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이득조정은 또한 가산기(72)의 이득을 조정하는 대신에 혹은 그와 동시에 1,2차 증폭기(7), (8)의 각각의 이득들을 조정하므로서 수행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1차 증폭기(7)에서 나온 자기패턴출력(i1)의 변동극성과 2차 증폭기(70)의 광학패턴출력(i2)의 변동극성이 역극성(변화의 방향에 반대)이므로 이들의 자기패턴과 광학패턴을 중합하기 위하여 가산기(72)를 사용하고 있으나, 양 패턴출력의 변동극성이 동극성(변화의 방향이 같다)이면 차동증폭기를 사용하여 차동츨력을 꺼내므로서 종합할 수 있다.
또한 제 5 도의 1,2차 비교측정기(71), (73)에서 각각 나온 검지신호(K1) 및 (K2)는 각기 예컨대 패턴 판독을 끝낸 다음 그렇지 않으면 다음 지폐의 패턴판독 직전등 적당한 타이밍으로 복귀하는 플립플롭(74) 및 (75)로 기억하고 앤드 게이트(76)에 따라 이들 각 플립플롭(74) 및 (75)의 출력의 논리곱을 취하여 판별 출력신호(S)를 얻느다. 이 출력신호(S)는 지폐등이 진짜일때만 "1" 즉, 레벨이 높아지고, 가짜일때는 "0" 즉, 레벨이 낮아진다.
다음에 제7도-제9도의 예에 따라서 제5도 회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a)는 인쇄물의 패턴의 예를 나타내고, 판독트랙(11)은 1 점쇄선을 나타내고 있다. (b)는 자기패턴출력(i1)을, (c)는 광학패턴 출력(i2)을, (d)는 가산출력(j)을 가기 나타내고 있다.
제7a도에 나타나 있는 지폐는 진짜라고 가정하고, 다수의 색으로 인쇄되어 있고, 3 개의 보이지 않는 고우드영역(111), (112), (113)를 갖고 있으며, 이들 코우드 영역은 서로 다른 자성을 가진 각각의 자기칼라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어 있다.
제7a도에 표시한 지폐(1)는 진짜지폐등의 예로서 인쇄부분 코우등영역(112)은 스레스홀드 전압(V1)을 초과하도록 변동함에 충분할만큼 자기잉크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부분, 코우드영역(111) 및 (113)은 자기잉크를 함유할 수 없거나 또는 스레스홀드 전합(V1)을 하회할 정도의 미소한 양밖에는 함유하지 않는 부분이다. 즉, 코우드영역(111) 및 (113)은 진한(어두운)색이기는 하지만, 자기적으로 약한 부분, 코우드영역(112)은 진한 색이면서 또한 자기적으로 강한 부분이다. 더우기 그밖의 백지부분은 색깔이 엷고(밝다)또한 자기도 대단히 약한 부분이다.
제7a도에 있는 지폐(1)가 트랙(11)을 따라 이동하여 검지점을 통과하여 지나갈때 자기광학센서(2)는 트랙(11)을 따라서 지폐를 검지하고, 1 차증폭기(7)에서 나온 자기패턴출력(i1)은 제7b도에 나타나 있는 파형을 보여주며, 그 최대값은 미리 결정된 스레스홀드 전압(V1)을 초과하는데 이는 자기가 강한 코우드영역(112)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수광기(41)에 접속되어 있는 2차 증폭기(70)에서 나온 증폭된 광학패턴출력(i2)은 제7c도에서 볼 수 있는 파형을 나타내며, 그 진폭은 명암영역에 따라 밝은 부분이 레벨이 높은 출력에 따라 교대로 되고 어두워짐에 따라 출력이 저하한다. 즉, 지폐위의 짙은 색과 엷은 색의 영역에 따라 서로 개별적으로 증가했다 감소했다 한다. 따라서 자기패턴출력신호(i1)와 광학패턴출력(i2)이 가산기(72)에 의해서 조합될때, 가산기(72)에서의 가산출력(j)은 제7d도에서 처럼 파형을 나타내며, 짙은 색의 자기가 강한 코우등영역(112)의 탐지에 의한 결과인 증폭된 자기패턴출력(i1)의 파형의 양(+)의 부분이, 짙은 색의 자기가 강한 코우드영역(112)의 탐지결과인 증폭된 광학패턴출력(i2)의 파형중의 음(-)의 부분의 일부가 서로 상쇄된다.
진짜지폐는 단지 코우드영역(112)만이 짙은 색이며, 자기가 강한영역임을 모르는 사람이 단지 자기칼라 잉크만을 사용해서 진짜지폐를 복사해서 만든 경우와 같이, 제8a도에 표시한 것초럼 짙은 색, 자기가 강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는 모든 코우드영역(111), (112), (113)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가짜지폐일 경우에, 자기패턴출력(i1)과 광학패턴출력(i2)은 제7b도와 제7c도와 같은 각가의 파형을 보여준다. 즉, 제8c도의 파형은 제8b도와는 일반적으로 서로 역의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자기패턴출력(i1)과 광학패턴출력(i2)을 가지고 가산기(72)는 제8d 도와 같은 파형을 가진 가산출력(j)을 발생시키는데, 제8d도는 약간의 변화는 있지만 미리 결정된 스레스홀드 전압(V2)을 일정하게 초과하는 진폭을 가지고 있다.
제9a도에서 처럼 비자성칼라잉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색의 영역으로 된 코오드영역 (111), (112), (113)으로 나타낸 방법과 비슷하게 가짜지폐에 있어서, 자기센서(3)는 제9b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어떠한 출력 신호도 발생시키지 못하며, 광학패턴출력(i2)은 제9c도와 같은 파형을 보여준다. 따라서 가산기(72)는 제9d도와 같은 파형으로 늘어난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것은 대체로 광학패턴출력(i2)의 파형과 거의 같다.
제9a도에서 같은 가짜 지폐의 경우에 있어서, 증폭된 자기패턴출력(i1)을 제9b도에서 처럼 미리 결정된 스레스홀드 전압(V1)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플립·플롭(74)은 작동하지 않는다.
제8a도에서 와 같은 위조지폐의 경우에서 조차도 가산출력(j)이 제8d도의 미리 결정된 스레스홀드 전압(V2)이하로 떨어지짖 않기 때문에 플립·플롭(75)은 작동하지 않는다. 여하튼 제7a도와 같이 진짜지폐의 경우에서만이 플립·플롭(74) 및 (75)는 작동할 수 있고, 따라서 "H"레벨신호가 지폐가 진짜임을 나타나는 앤드게이트로부터 발생된다.
제8a도에서 처럼 지폐의 코우드 영역(111), (112), (113)이 매우 높은 자기농도를 가지고 있는 결과로 가산기(72)에서 나오는 증폭된 가산출력(j)는 제10d도에서 처럼 미리 결정된 스레스홀드 전압(V2)을 초과하며 따라서 플립·플롭(75)은 작동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8a도 있는 지폐(1)의 코우드영역(111), (112), (113)는 매우 낮은 자기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립·플롭(74)의 작동을 피하도록 1차증폭기(7)로 부터 나온 증폭된 출력신호가 미리 결정된 스레스홀드 전압(V1)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플립·플롭(74) 및 (75)가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스레스홀드 전압(V1)과 (V2)를 적당하게 선택하므로써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1d도에서 처럼 가산기(72)에서 나온 가산출력(j)는 플립·플롭(75)의 개별적인 작동을 피하도록 스레스홀드 전압(V2)를 초과시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제 5 도로 돌아가서, 플립·플롭(74) 및 (75)와 그리고 앤드게이트(76)를 사용하는 대신 확인장치로서 제어수단을 사용하는 수도 있는데, 이는 프로그램 저장을 위한 프로그램기억(ROM)을 포함하며, 프로그램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그리고 자료저장을 위한 자료기억(RAM)에 따라서 작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를 포함하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1,2차 비교 측정기(71), (73)로 부터 나온 각각의 출력들을 체크하기 위해서 1,2차 비교 측정기(71), (73)로 부터 나온 각각의 출력을 검사하여 더 높아질때는 부합되는 프라그(RAM에서 조정)가 작동하고 판독이 끝날시에 시간이 오면 두개의 플러그가 작동하고 있으면 제시되었던 지폐가 진짜임을 나타내준다.
이외에, 1 차증폭기(7)와 가산기(72)로 부터 나오는 개별적인 출력을 수집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신호들이 제어수단에 공급되기전에 이들을 아날로그-투-디지탈(Analog-to-digital)로 변환시킬 수 있으면 1,2차 비교 측정기(71), (73)의 사용 필요성은 제거될 수가 있다.
본 발명는 단독으로 할수 있다는 것은 두말할것도 없지만 상기의 종래의 예에서 설명한 "1"와 "0"이라는 비트패턴위에 기초를둔 종래의 확인 시스템과 결합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정밀도가 우수한 진위 판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래식 시스템과 결합되어 사용될때 확인을 위해 제시된 지폐의 액면금액을 식별하는 역할을 할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확인시스템과 재래식시스템과 결합되지 않고 단독으로사용될때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제시된 지폐의 액면금액을 식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몇몇 나라에 있어서 여러지폐들의 크기도 다르다는 사실의 관점에서볼때 여러지폐의 크기가 달라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인시스템은 현금, 수표, 어음 혹은 자기잉크로 인쇄된 밴드를 갖고 있는 종이들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그들이 진짜인지 가까인지에 관한 확인은 비자성인 돈의 액수와 이름과 서명인의 주소등의 기재사항을 적은 짙은 색으로 적혀진 난(block)과 짙은 색으로 인쇄된 자기잉크를 포함하는 밴드의 존재를 탐지하므로서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기센서와 과학센서를 동일주사선상에 배치하여 동일주사선상에서 자기패터과 광학패턴을 판독하고, 자기팬턴과 광학패터을 동일 검지점 위에서 중합하는 그 레벨변동을 제 1 판별수단 즉, 1 차비교측정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검지점에서 자기패턴과 광학패턴이 중합되어 있으므로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가지 혹은 2 개이상의 자기칼라잉크로 인쇄된 지폐, 수표, 어음등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확인장치는 확인이 1 차와 2 차의 식별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개별적인 식별의 결과의 근거위에서 행해질 수 있도록 자기패턴의 측정수단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해 제 2 판별수단, 예를들면 2 차비교측정기가 설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 9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한가지 혹은 2 이상의 비자기잉크로 인쇄물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다. 더우기, 자기센서 및 광학센서는 단일케이스안에 서로 배설되어 있으므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을뿐 아니라 자기센서와 광학센서가 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어서 작동시간이 빠른 잇점이 있다. 게다가 광학센서가 케이스의 자기센서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자기센서는 순환하는 온도의 변화나 혹은 외부의 충격과 같은 어떤 외부의 영향으로 부터 보호되는 잇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수반되는 도면에 의해 우선 적으로 예를들어 설명되었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여러가지 변화와 수정이 명백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변화와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기인쇄물로 인쇄된 자기패턴 및 광학패턴을 해독하기 위한 동일주사선상에 정돈되어 있는 자기센서 및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자기인쇄물로 인쇄된 종이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과, 자기패턴과 광학패턴의 같은 검지점위에서 서로 중합된 이들의 측정수준의 변화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차판별기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또한 자기패턴의 측정수준의 변화를 식별하기 위한 제 2 차판별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조합된 시각 및 자기센서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자기인쇄물에 대한 동일주사선상에 자기센서(3)와 광학센서(4)를 마련하고 상기한 자기센서(3)와 광학센서(4)로 동일주사선상에서의 자기패턴과 광학패턴을 판독하며, 상기한 자기패턴과 상기한 광학패턴을 서로 동일한 검지점 위에서 중합하여 그 레벨 변동을 1 차비교측정기(71)로 판별함에 따라 자기인쇄물의 진위를 판별하도록 자기인쇄물의 진위판별 시스템.
  2. 자기인쇄물에 대한 동일주사선상에 자기센서(3)와 광학센서(4)를 마련하고 상기한 자기센서(3)와 광학센서(4)로 동일주사선상에서의 자기패턴과 광학패턴을 판독하며, 상기한 자기패턴과 상기한 광학패턴을 서로 동일한 검지점 상에서 중합하여 그 레벨변동을 1 차 비교측정기(71)로 판별함과 동시에 상기한 자기패턴의 레벨변동을 2 차비교측정기(73)로 판별하며, 상기한 1차 비교측정기(71) 및 2 차비교측정기(73)의 판별결과에 근거하여 자기인쇄물의 진위를 판별하도록 자기인쇄물의 진위판별 시스템.
  3. 검출부(5) 및 접속단자부(6)를 설비한 케이스(20)의 내부에 자기센서(3)를 수납하고, 자기센서(3)의 상방위치에는 검출부(5)에 대응되게 광학센서(4)의 수광기(41)를 배설한 자기광학센서로 구성되는 자기인쇄물의 진위판별 시스템.
KR8205705A 1981-12-21 1982-12-20 자기인쇄물의 진위 판별 시스템 KR880000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39 1979-01-22
JP205082 1981-12-21
JP56205082A JPS58106676A (ja) 1981-12-21 1981-12-21 磁気印刷物の真偽判別方法
JP205082-81 1981-12-21
JP1439-82 1982-01-08
JP143982A JPS58119900A (ja) 1982-01-08 1982-01-08 Xyプロツタ−のペン保持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087A KR840003087A (ko) 1984-08-13
KR880000755B1 true KR880000755B1 (ko) 1988-05-04

Family

ID=2633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705A KR880000755B1 (ko) 1981-12-21 1982-12-20 자기인쇄물의 진위 판별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74190A (ko)
KR (1) KR880000755B1 (ko)
GB (1) GB2114795B (ko)
HK (1) HK133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071A (en) * 1985-05-08 1988-02-02 Light Signatures, Inc. Anticounterfeit card-sensing mechanism
GB8514391D0 (en) * 1985-06-07 1985-07-10 De La Rue Thomas & Co Ltd Authenticity sensing
JPS62179084A (ja) * 1986-01-31 1987-08-06 Tokyo Tatsuno Co Ltd 板状記憶媒体の読取り・書込み装置
US4837426A (en) * 1987-01-16 1989-06-06 Rand, Mcnally & Company Object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883950A (en) * 1987-05-23 1989-11-28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Composite magnetic and optical head
JPH02124575U (ko) * 1989-03-24 1990-10-15
US5231275A (en) * 1990-01-31 1993-07-27 Nec Corporation Bar code reader
EP0714070B1 (en) * 1990-01-31 1998-07-08 Nec Corporation Bar code label
US5430664A (en) * 1992-07-14 1995-07-04 Technitrol, Inc. Document counting and batching apparatus with counterfeit detection
US6449377B1 (en) 1995-05-08 2002-09-10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watermark processing of line art images
WO1996030878A1 (fr) * 1995-03-31 1996-10-03 Scientific Production Enterprise 'regula' Dispositif de validation de billets de banque et autres articles similaires
US5727667A (en) * 1995-11-06 1998-03-17 Ncr Corporation Machine for validating checks and authenticating paper money
ES2153774B1 (es) * 1999-04-20 2001-10-01 Fab Nac Moneda Y Timbre Es Reconocedor de documentos de seguridad.
EP1050855A1 (de) * 1999-05-06 2000-11-08 Ascom AG Vorrichtung zum Detektieren einer magnetischen Kennung eines Prüfobjektes
JP3781422B2 (ja) * 2003-08-19 2006-05-31 株式会社ミネルバ 磁気センサ
US7267274B2 (en) * 2004-11-18 2007-09-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gnetic ink validation for coupon and gaming industries
CN100412881C (zh) * 2005-04-30 2008-08-20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无线射频识别系统
KR100922066B1 (ko) * 2007-08-01 2009-10-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광 감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KR101146454B1 (ko) * 2010-07-29 2012-05-18 엘지엔시스(주) 매체의 자기성분 검출방법 및 그를 이용한 매체인식방법과 매체인식장치
JP5677652B1 (ja) * 2013-04-05 2015-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10767143B2 (en) 2014-03-06 2020-09-08 Sage Electrochromics, Inc. Particle removal from electrochromic films using non-aqueous fluids
CN104008597A (zh) * 2014-05-13 2014-08-27 苏州保瑟佳货币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有价证券的真伪检验方法及相关装置
WO2016052613A1 (ja) * 2014-10-03 2016-04-07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9944A (en) * 1976-04-07 1977-06-14 Addressograph Multigraph Corporation Data transducer
US4315246A (en) * 1979-07-11 1982-02-09 Magnetic Pheripherals, Inc. Document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for identifying magnetic ink characters on bank checks and the like
US4356473A (en) * 1980-09-23 1982-10-26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Monetary document profile location and predetermined selected path apparatus
US4396602A (en) * 1981-09-22 1983-08-02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Blood glucose level lowering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14795A (en) 1983-08-24
KR840003087A (ko) 1984-08-13
GB2114795B (en) 1985-08-14
US4574190A (en) 1986-03-04
HK13387A (en)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755B1 (ko) 자기인쇄물의 진위 판별 시스템
US5476169A (en) Bill discriminating apparatus for bill handling machine
US5416307A (en) Currency paper verification and denomination device
US5151607A (en) Currency verification device including ferrous oxide detection
US5417316A (en) Capacitive verification device for a security thread embedded within currency paper
US7857114B2 (en) Banknote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banknote discrimination method
US5014325A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specified sorts of printed matters
JP4686737B2 (ja) メタメリック画像形成体の真偽判別方法及びメタメリック画像形成体
EA000733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подлинности банкнот
US7262604B2 (en) Method of testing documents provided with optico-diffractively effective markings
JP3709539B2 (ja) 真偽判別印刷物の機械的判別方法及びその装置
EP1172773A1 (en) Apparatus for validating security documents
KR100330408B1 (ko) 위조지폐 식별장치
JPS5969887A (ja) 紙葉類弁別方法
JP2896288B2 (ja) 紙幣識別方法
JPH10208102A (ja) 紙幣の真贋判別装置
JPH0256713B2 (ko)
RU2177645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докумен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емкостной связи между передатчиком и приемником
JPH06203242A (ja) 紙葉類の真贋識別装置
JPH0793634A (ja) 紙幣識別装置
JP3211341B2 (ja) 紙幣識別装置
JP2800627B2 (ja) 紙幣識別装置
JPH0997364A (ja) 紙幣識別装置
JPS5911155B2 (ja) 紙葉類判別装置
JPS59231690A (ja) 紙幣等の真偽識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