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03B1 - 테이프 카셋트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셋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03B1
KR880000303B1 KR1019810004611A KR810004611A KR880000303B1 KR 880000303 B1 KR880000303 B1 KR 880000303B1 KR 1019810004611 A KR1019810004611 A KR 1019810004611A KR 810004611 A KR810004611 A KR 810004611A KR 880000303 B1 KR880000303 B1 KR 880000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tape cassette
cassette
tap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302A (ko
Inventor
히로고끼 우메다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6693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572351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0167532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829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111940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6783U/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셋트
제1a도 내지 제1d도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카셋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 및 배면도.
제2도는 제1a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의 상부 반쪽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제1a도의 Ⅲ-Ⅲ선을 절취한 테이프 카셋트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4a도 및 제4b도는 각각 제2도의 ⅣA-ⅣA선 및 ⅣB-ⅣB을 따라 절취한 테이프 카셋트의 하부 반쪽과 권취측릴의 지지축간의 접속부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권취측릴의 정기기구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을 절취한 정지기구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에 장전되는 테이프 카셋트의 실시예 하부 반쪽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저면도.
제9도는 제1a도 내지 제1d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가 제7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의 하부 반쪽내로 장전되는 상태와 테이프 카셋트로부터 예정된 테이프통로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의 하부 반쪽에 상부반쪽이 조립되어 테이프 카셋트를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1도는 테이프 카세트가 빠진 제10도의 XI-XI 선을 따라 절취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a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와 함께 동작하는 극소형테이프 카셋트용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실예로서, 이 극소형기록 및 재생장치가 기록 또는 재생모드일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3도는 제10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가 장전된 테이프 카셋트의 아답터와 함께 동작하는 표준형 기록 및 재생장치의 실예로서, 이 표준형기록 및 재생장치가 기록 또는 재생모드일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카셋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그 상부반쪽이 제거된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XV-XV선을 절취한 단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각각 제14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저면도.
제18도는 제14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가 수납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의 실시예의 하부반쪽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9도는 제14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가 제18도에 도시된 하부반쪽 내에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프 카셋트 11 : 카셋트 케이스
12 : 자기테이프 13 : 뚜껑
14 : 상부 반쪽 15 : 하부 반쪽
18, 33 : 판스프링 21 : 공급측릴
22 : 권취측릴 34 : 고정축
38 : 정지부재 60 :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테이프 카셋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재생장치의 릴구동축에 끼워져 중심부가 회전하는 공급축릴과 중심부와는 다른 부분이 회전하여 이 회전을 전달하는 권취측릴을 가진 테이프 카셋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테이프 카셋트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는 그 실제의 사용이 세계적으로 감소되는 추세이다. 테이프 가셋트를 사용하는 이들 기록재생장치의 형태로서는 두서너 가지의 규격화된 형태의 장치가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는 서로 다른 표준의 장치에서는 교체가 불가능하고 단지 같은 표준을 채택한 장치에서만 교체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한 기록 재생장치에 의해 기록된 테이프 카셋트는 같은 표준의 다른 기록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다른 제조업자들이 제작한 서로 다른 기록 재생장치에서도 기록 및 재생을 실시할 수 있고 그 교체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테이프 카셋트 및 기록 재생장치의 형태에 관한규격화가 설정되어 있다. 즉, 이 형태는 같은 표준으로 규격화 되고, 각각의 규격에 따라 표준형테이프 카셋트 및 표준형 기록재생장치가 제작되어왔다.
최근에는, 기록재생장치의 주몸체규격을 줄이는 문제점이 상당히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이것은 소형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실현하는 것이고 또한, 텔레비젼카메라에 일체로 조립되는 형태의 기록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형 또는 극소형테이프 카셋트를 사용한 소형기록재생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많은 제안이 시도되어왔고, 이미 세계적으로 그 사용이 감소추세에 있는 표준형테이프 카셋트를 사용한 표준형기록 재생장치와 완전히 다른 형태의 테이프가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실현된 상술의 소형기록 재생장치는 표준형 기록 재생장치의 것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를 사용하므로, 이들 간에는 교환가능성이 전혀 없다. 그러므로, 이 소형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소형기록재생장치로 기록된 테이프 카셋트는 표준형기록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한편, 표준형테이프 카셋트의 릴직경이 감소되도록 테이프의 양을 줄여 테이트 카셋트의 규격을 약간 축소시키는데 의하여 표준형 기록 재생장치와 같은 형태로 기록 및 재생시킬 수 있는 소형 휴대용 기록 재생장치도 제안되어 실현되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휴대용 기록 재생장치에 의해 기록된 테이프 카셋트는 표준형 기록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가 있다.
그러나, 상술된 휴대용 기록 재생장치에 사용된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공급축릴과 귄취측릴간의 거리는 표준현테이프 카셋트의 공급측릴 및 권취측 릴간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휴대용 기록 재생장치용으로 사용된 테이프 카셋트는 표준형기록 재상장치내로 장전될 수 가 있다. 더우기, 릴의 직경을 줄이기 위해 테이프의 양을 감소시키더라도 릴의 직경자체를 줄이데는 제약점이 있다. 따라서, 이방식에서도, 테이프 카셋트 전체의 규격은 상당히 축소될 수가 없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더우기, 릴의 직경을 줄이기 위해 테이프의 양을 감소시키고 또한 공급축릴과 권취측릴간의거리를 줄여 테이프 카셋트를 구성한 다음 릴디스크를 이동 가능하게하여 기록 재생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표준형 기록 재생장치의 변형에 있어서 표준형테이프 카셋트가 장전되면 권취측릴디스크는 정상위치가 되고, 극소형 테이프 카셋트가 정전되면 권취측길디스크는 공급측릴 디스크부근의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나, 이 방식에 있어서도, 예를들면, 소형 기록재생장치로 기록된 극소형테이프 카셋트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형기록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과 같이 릴디스크를 이용시키기 위하니 기구를 실현시키는 것이 극히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더우기, 테이프 카셋트를 사용하는 기록 재생장치는 일반적으로 테이프카셋트에서 테이프를 인출하여 이를 기록 재생장치내의 예정된 테이프 통로상으로 이송하는 기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테이프를 인출하기 위한 상술의 기구를 구성하는 것은 극히 어렵기 때문에 표준형테이프 카셋트 및 상술의 소형 또는 극소형테이프 카셋트에 관한 교환성과 이러한 기구의 실현의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상술된 단점을 극복한 새롭고 유용한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한 목적은 공급측릴과 권취측릴중의 한 릴이 그 하부방향으로 부터 기록 재생장치의 릴구동축과에 결합 및 삽입되어 중심부에서 회전되고 다른 릴은 중심 부와는 다른 부분이 회전되어 그 회전을 전달 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 카셋트에 의하면, 상기 다른 릴은 중심부가 아닌 다른 부분이 회전을 전달하는 상태로 회전하므로, 기록 재생장치의 릴구동축은 상기 가른 릴의 중심부에는 삽입 및 결합되지 않게 구성되어 있고, 공급측립과 귄취측릴의 회전중심간의 거리는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어, 테이프 카셋트의 전체규격이 축소될 수가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카셋트는 이 형태의 테이프 카셋트 전용의 기록 재생장치에 의해 기록 및 재생될 수도 있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카셋트가 널리 사용되었던 종래의 표준형 기록재생장치로 사용되는 표준형테이프 카셋트와 사실상 동일한 외부형태 및 규격을 가진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내에 수납되면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카셋트는 표준형 기록재생장치에 의해서도 기록 및 재생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다른 릴이 카셋트 케이스에 설치된 고정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 카셋트에 의하면, 상술의 다른 릴은 이것의 위치가 고정축에 의해 제한되므로 구동없이 회전할 수 있고, 테이트 카셋트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한 릴이 공급측릴이고 다른 릴은 권취측릴인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 카셋트에 의하면, 공급측릴은 개록 재생장치의 릴구동축에 의해 구동되므로 회전의 정밀도와 테이프 이송정밀도가 각각 향상된다. 더우기, 권취측릴의 회전정밀도에 관한 엄격한 제한이 없으므로, 카셋트 케이스측으로부터 권취측릴의 간접구공에 의한 불편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동봉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 내지 제1d도, 제2도 및 제3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카셋트 10이 도시된다. 테이프 카셋트 10은 표준형 기록 재생장치내로 장전된 표준형 테이프 카셋트보다 작은 규격을 가진 카셋트 케이스 11을 구비하고 있다. 카셋트 케이스 11의 전면에는 뚜껑 13이 설치되어 테이프 카셋트 10내에 수납된 자기테이프 12를 보호하도록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다.
카셋트 케이스 11은 상부반쪽 14 및 하부반쪽 15로 구성된다. 뚜껑 13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수지로 성형되어 상부반쪽 14에 장착된다. 뚜껑13의 전면뚜껑부 16은 얇게 성형된 모서리부에 설치된 경첩부 17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면뚜껑부 16은 카셋트 케이스 11의 전면에 보호하도록 폐쇄방향으로 누르는 판스프링 18에 의해 부세되어 있다. 기록재생장치 및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이들 장치 및 아답터는 다음에 설명됨)내에 테이프 카셋트 10이 장전되어 있지 않으면, 전면뚜껑부 16은 카셋트 케이스 11의 전면을 보호하여, 전면으로 노출되는 자기테이프 12를 보호하게 된다. 더우기, 전면뚜껑부 16에 형성되어 있는 집게 19는 하부반쪽 15의 개구 20과 결합하고, 따라서, 전면쭈껑부 16은 폐쇄상태로 잠기게 된다.
또한 ,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촉릴의 공급릴 21 및 권취측릴의 권취릴 22는 카셋트 케이스 11의 내부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공급릴 21 및 권취릴 22의 각각의 중심간의 거리 D는 표준형기록 재생장치에 사용된 표준형 테이프 카셋트의 공급릴 및 권치릴의 중심간의 거리보다 짧다. 공급릴 21에 대해, 자기 테이프 12는 상부플랜지 23 및 하부플랜지 24사이의 릴허브 25둘레에 감겨진다. 이와 유사하게 권취릴 22에 대해서는, 자기테이프 12는 상부플랜지 26 및 하부플랜지 27사이의 릴허브 28둘레에 잠겨진다. 자기테이프 12는 공급릴 21로부터 인출되어 권취릴 22에 도달하는 테이프통로 12A를 형성하도록 카셋트 케이스 11의 전면측을 따르는 좌측단 및 우측단에 각각 설치된 안내폴 29및 30에 의해 안내된다.
공급릴 21은 하부플랜지 24의 돌출계단부 24a가 하부반쪽 15의 큰 구경을 가진 구멍내로 느슨하게 끼워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더우기, 치차 24b는 전체원주 둘레에 하부플랜지 24의 하부표면상에서 링형태로 형성된다. 이 치차 24b의 반대측에는 하부반쪽 15의 상부면상에서 치차 32가 링형태로 형성된다. 공급릴 21은 상부반쪽 14의 상부판의 하부면에 장착된 판스프링 33의 암부 33a에 의해 하부반쪽 15측을 향해 부세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태시에, 치차 24b는 치차 32와 맞물리게 된다. 그러므로, 공급릴 21은 두 치차 24a 및 32의 결합으로 인해 회전이 방지되고 제어된다. 따라서, 공급릴 21은 카셋트 10이 운반되는 동안 불필요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이리하여, 자기 테이프 12는 손상을 입지 않게 되며, 공급릴 21둘에에 감기는 자기테이프 12가 느슨하게 되지 않으므로, 공급릴 21둘레에 감겨지는 자지테이프 12가 불필요하게 당겨지는 일이 방지된다.
공급릴 21의 릴허브 25의 내측상에는 릴구동축 삽입부 25a가 형성되어, 그 안으로 기록 재생장치의 릴구동축이 삽입된다. 이 릴허브 25의 내부직경은 표준형테이프 카셋트의 공급릴의 릴허브내부 직경과 동일하다. 릴축삽입부 25a는 구멍 31측상에서 개방된다.
더우기, 공급링 21의 상부플랜지 23의 상부면상의 중심부에는 압축부 23a가 형성된다. 이 압축부 23a의 중심부에는 돌출부 23b가 형성된다. 판스프링 33의 한 암부 33a는 하부반쪽 15측을 향해 공급릴 21을 부세하도록 상기 돌출부 23b를 하부방향으로 밀게 된다. 후술한 바와같이, 공급릴 21은 기록 재생장치내로 테이프 카셋트 10이 장전됨에 따라 상하부로 이동하며, 공급릴 21의 이 이동향은 비교적 크다. 그러나, 돌출부 23b의 주위에는 압축부 23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판스프링 33의 암부 33a의 선단은 공급릴 21이 상하부로 이동할 때 공급릴 21의 상부플랜지 23과 접촉되지 않는다.
권취릴 22는 하부반쪽 15에 끼워지듯 설치된 고정축 34가 릴허부 28의 중심구명내로 삽입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편평플랜지 26에 설치된 중심돌출부 26a는 판스프링 33의 다른 암부 33b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눌려지고, 권취릴 22는 하부반쪽 15측으로 부세된다. 릴허브 28은 릴구동축으로 삽입되지 않으므로, 릴허브 28의 외부직경 d2는 공급릴 21의 릴허브 25의 외부직경 d1보다 작다. 릴허브 28의 외부직경 d2가 릴허브 25의 외부직경 d1보다 작은 특징에 의하여, 테이프 카셋트 10내에 수납될 수 있는 자기테이프 12의 양은 릴허브 25 및 28의 외부직경 d1및 d2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 많아진다. 따라서, 테이프 카셋트 10의 규격이 작더라도, 상기 테이프 카셋트 10을 사용하는데 이해 기록 및 재생은 비교적 오랜시간동안 실행될 수가 있다.
고정축 34는 나사 36으로 조여 하부반쪽 15상에서 가는 부분 34b로 조여지며, 이 상태에서, 하부반쪽 15에 형성된 돌출부 35는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축 34가 하부반쪽 15상에 고정되어 돌출부 35가 홈 34a 및 돌출부 35는 나사36에 의해 고정축 34가 하부반쪽 15상에 고정되어 돌출부 35가 홈 34a내로 삽입될 때 걸쇠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나사 36은 가는부분 34b 내로 똑바로 조여질 수 있고, 하부반쪽 15상에 고정축 34를 고정시키는 작업은 매우 능률적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이후에 설명될 바와같이, 권취릴 22의 회전력은 기록 재생동작동안 고정축 34에서 작용한다. 그러나, 고정축 34는 상술된 바와 같이, 돌출부 35가 홈 34a내로 삽입되는 데 의해, 불필요하게 회전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고정축 34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축 34내로 불안정이 유발되지 않아 최초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므로, 나사 36은 느슨하게 풀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권취릴 22는 항상 예정된 위치로 유지되고 안정한 방법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기테이프 12도 권취릴 22에 의해 자기테이프 12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부드러운 방법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권취릴 22는 후술될 바와같이 구동력전달기구와 안정하게 결합된다.
더우기, 기어부 27a는 권취릴 22의 하부플랜지 27의 외부주위상에서 작용한다. 제1b도, 제1c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어부 27a의 일부는 하부반쪽 15의 측면과 밑면 사이의 부분에 형성된 절단창 37을 통하여 노출된다. 상술된 절단창 37은 하부반쪽 15의 밑면측상에 원호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권취릴 22에 대해서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정지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정지부재 38은 하부반쪽 15상에서 핀 39a 및 39b에 의해 지지되며, 이들 핀은 정지부재 38내의 한쌍의 구멍을 통해 상하반향으로 자유로히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술된 정지부재 38이 위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부재 38은 대응하는 핀 39a 및 39b의 주변둘레에 끼워진 코일스프링 40a 및 40b에 의해 하부반쪽측을 향해 눌려져 있다. 정지부재 38이 코일스프링 40a 및 40b에 의해 눌려져 하부위칭로 되어 있으면, 정지부재 38의 주몸체부 38a는 하부반쪽 15에 형성된 후술될 바와같이 위치되기 위해 세로구멍 45를 폐쇄시킨다. 더우기, 집게부 38b는 하부플랜지 27와 같은 높이로 배치되며, 상술된 기어부 27a의 인접치차간에 삽입된다. 따라서, 권취릴 22는 그 회전위치가 잠기게 되고, 권취릴 22둘레에 자기테이프 12가 감길 때 느슨하게 하부플린지 27의 외주변부는 그 내주변부에서의 플랜지면보다 낮다.
상기 정지부재 38은 후술될 바와같이 상부로 이동하고, 상승된 상태에서, 집게부 38b는 기어부 27a로부터 분리되며, 권취릴 22에 관한 잠금동작이 해제된다. 정지부재 38은 권취릴 22의 축방향을 향해 이동하는데 의해 동작함로, 정지부재 28은 권취릴 22에 감겨지는 자기테이프 12와 접촉하지 않아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따라서, 정지기구의 구성은 간단해진다. 또한, 이 정지기구는 작은 공간내에서도 수납될 수 있어, 테이프 카셋트 10을 규격을 축소시키는 데 편리하다. 더우기, 정지부재 38을 포함하는 정지기구는 카셋트 케이스 11의 모서리에 배치되므로, 정지부재를 설치하는데 부가적인 공간이 필요없을 뿐 아니라, 테이프 카셋트의 규격을 축소시키는 관점에서 대단히 유리하다.
장전폴을 삽입시키기 위한 개구 41 및 42와 캡스턴을 삽입시키기 위한 개구는 각각 뚜겅 13측상에서 카펫트 10의 밑면에 설치된다. 더우기, 위치구멍 44와 위치세로구멍 45는 각각 배면측상의 좌우측에서 테이프 압축부 48 및 49는 각각 뚜껑 13측의 좌우측에서 테이프 카셋트 10의 밑면에 형성된다.
압축부 50 및 51은 테이프 카셋트 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로부터 배면부로 제1a도에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 10의 좌우측단에 형성된다.
하부반쪽 15의 돌출부 52 및 53은 테이프 카셋트 10의 상하부반쪽 14 및 15를 배치시키도록 상부반쪽 14의 하부측상에 형성된 압축부(도시되지 않음)내에 끼워지며, 이들 상하부반쪽 14 및 15는 나사 54 및 55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제7도 내지 11도는 각각 테이프 카셋트 아탑터 60을 도시하며, 이 아답터는 상술된 구서의 테이프 카셋트 10이 표준형기록 재생장치내에 장전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은 상기 테이프 카셋트 1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61을 가지고 있으며, 표준형 테이프 카셋트의 외부형태 및 규격에 사실상 동일한 외부 형태 및 규격으로 된 것이다.
상기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은 하부반쪽 62 및 상부반쪽 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반찍 63은 하부반쪽 62의 수납부 61내에 테이프 카셋트 10을 수납시킨 후 나사로 하부반쪽 62에 고정된다.
상기 테이프 카셋트 10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수납부 61은 하부반쪽 62의 예정된 위치에서 개구로 형성된다. 회전전달기구 84는 상기 수납부 61부근의 위치에 설치된다. 하부반쪽 62가 비교를 위해 표준형 테이프 카셋트의 점점에 배치되면, 수납부 61내에 수납된 테이프 카셋트의 공급릴 21은 표준형테이프 카셋트의 공급측릴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회전전달기구 84의 기어구조 64는 표준형테이프 카세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수용부분 61은 제1a도에서 평면도로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 10의 형태와 거의 동등한 형태를 갖는 개구 65와 개구 65의 세개측면을 둘러싸는 벽부분 66과, 하부절반 62의 저면에 있는 개구 65내로 연장되어 위치된 돌출부 67, 68, 69 및 70으로 구성된다.
기어구조 64는 제8도 제 1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절반 62내의 개구 73과 위치가 반대로 회전할 수 있게 제공된다. 릴구동축 삽압부분 64a는 기어구조 64의 내부부분에 제공된다. 또한 기어부분 64b는 상기 기어구조 64의 외측주의 제공된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어 74는 상기 기어부분 64b와 맞물린다. 이러한 기어 74는 하부절반 62상의 축에 의하여 추지된다. 그리고 기어 74의 일부분을 상기 수용부분 61내로 돌출되어 있다.
표준형 테이프 카셋트 에서와 같이, 부하폴들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들 76 및 77과 캡스턴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 78은 하부절반 62의 전면측에 제공된다.
또한, 안내폴들 80 및 81은 하부절반 62내에 개구 78의 종단에서 그리고 상기 개구 76의 종단에서 제각기 제공한다. 또한 안내폴 82는 안내폴 30과 반대위치에서 하부절반 62내에 제공된다. 이후에서 설명될 바와같이, 안내폴들 80 및 81은 자기테이프 12를 안내 하므로서 자기테이프 12는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의 전면을 따라서 테이프통로 12B를 형성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절반 63은 U형 절취부분 85를 갖는다.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들 87 및 86은 절취부 85의 대부분 내부 부분에서 우측 및 좌측상에 제각기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테이프 카셋트 10이 표준형 기록 및 재생장치, 예를들자면 제12도와 같은 장치보다 작은 형태의 소형기록 및 재생장치와 같은 표준형 기록 및 재생 장치와는 다른 형태의 테이프 카셋트 10의 전용기록 및 재생장치내로 테이프 카셋트 10을 독립적으로 장착함에 의하여 사용되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12도는 소형기록 및 재생장치 100선을 도시한다. 이러한 소형기록 및 재생장치 100의 폭과 같이는 제13도에서 도시된 표준기록 재생장치 120의 것보다 작으므로, 전체가 작아진다.
공급측릴 구동축 101은 상기 송형기록 재생장치 100의 카셋트 부하부분에 제공되나, 취출측릴구동축은 제공되지 않는다. 테이프 캇셋트 10이 소형카셋트는 기록 재생장치 100내에서 부하될때 공급릴 21은 공급릴구동축 101에 걸쳐 꼭 맞으며 구멍 44과 세로구멍 45가 핀들 102와 103에 걸쳐 꼭 맞는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부하폴 104와 인장폴 105는 개구41내에 상대적으로 입수되고, 부하폴 106과 캡스턴 107은 제각기 그리고 상대적으로 개구 42내에 삽입된다.
상기 부하된 상태에서, 공급립 21은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향으로 눌리어진다. 그러므로 톱니 24b는 톱니 32에서 분리되고, 공급릴 21은 자유로히 회전하기 시작한다. 또한 정치부재 38이 세로구멍 45내에 삽입된 핀 103에 의하여 스프링 40a과 40b에 의하여 인입되는 힘들에 대향하여 상향으로 눌리워진다. 제6도에서 2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핑거부분 38b는 상승되고 핑거부분 38b의 레벨은 기어부분 27a에서 분리되도록 기어부분 27a의 레벨과 다르게 된다. 따라서, 취출릴 22는 폐쇄된 상태에서 풀리며 그리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기록 재생장치의 작동모드가 플레이모드일 때에 상기 폴들 104, 105 및 106은 자기테이프 12를 취출하도록 자기테이프에 걸려서 테이프는 속박하며 그리고 제12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로 제각기 이동된다. 그러므로 자기테이프 12는 전체폭 소거헤드 108과 접촉되도록 테이프 카셋트 10의 외측으로 취출된다. 또한 자기테이프 12는 선정된 각도 영역으로 회전비데오 헤드가 제공된 안내드럼 109와 접촉되며 그로고 오우디오 헤드 110과 접촉한다. 그러므로, 자기테이프 12는 선정된 테이프 이동통로상에 부하된다. 기록 및 재생동안 자기 테이프 12는 캡스턴 107과 핀치롤러 111사이에 끼워지며 그리고 구동된다. 또한 릴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기어 112는 취출릴 22의 기어부분 27a와 맞물리며 그리고 취출릴 22는 테이프 취출방향으로 향하여 구동된다.
전체폭 소거헤드 108, 오우디오제어헤드 110, 안내드럼 109는 포준형기록 재생장치의 대응헤드와 안내드럼으로서 동일표준으로 제조되었다. 따라서 신호는 포준형기록 재생장치에 의하여 얻어지는 바와같은 형태로서 자기테이프 12상에 기록되고 재생된다.
카셋트 10이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내에 상술된 선정된 테이프통로를 형성하도록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내에 수용된다. 테이프 카셋트 10을 수용하는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은 표준 테이프 카셋트가 부하되는 바와같이 기록 재생장치내로 부하된다.
소형카셋트 10이 카세트 아답터 60내에 수용되기 위하여, 테이프 카셋트 10의 전면리드부분 16은 제1도에서 2점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개방된다. 이후에, 자기테이프 12는 선정된 양이 자기테이프 10으로부터 취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취릴리 22는 폐쇄된 상태에 있으며 그리고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톱니 24b가 판스프링 33에 의하여 인입된 힘에 대향하여 톱니 32에 걸쳐 이동될 때 공급릴 21은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테이프 12는 공급릴 21의 회전에 의하여 취출된다. 공급릴 21이 윤활하게 회전되지 않는 경우에, 자기테이프 12는 공급릴 21에 대하여 완충작동을 풀어주도록 손가락으로 공급릴 21을 상향으로 압압하므로써 취출될 수 있다.
제9도에서 도시된 상기 상태에 있어서, 테이프 카셋트 10은 하부절반 62내의 수용부분 61내애 수용되며 그리고 취출된 자기테이프 12는 이들 안내폴들에 위하여 안내되어지도록 안내폴들 80, 81, 82의 주위로 이송된다. 따라서 자기테이프 12는 제9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폴들 80 및 81에 의하여 특별히 안내되며 그리고 표준테이프 카셋트의 경우에서와 같이 개구 76, 77 및 78이 전면을 가로질르는 테이프통로 12B를 형성한다. 이후에 상부절반 63은 제10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절반 62에 걸쳐 위치되며 그리고 상부 및 하부절반들 62 및 63은 제각기 나사 88 내지 91에 의하여 접속된다. 그러므로 제10도 및 제1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은 자기테이프 12가 테이프 카셋트 10에서 취출되며 그리고 선정된 테이프통로 12B를 따라서 안내되는 상태로 테이프 카셋트 10을 수용한다.
다음에 테이프 카셋트 10이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내에 수용될 때, 제작기 부품들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테이프 카셋트 10은 위에서 위치되며 그리고 수용부 61내로 수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압 46내지 47은 제각기 하부절반 62의 돌기부 67내지 70과 접속한다. 테이프 카셋트 10의 주위측벽들은 하부절반 62의 벽부분 66과 반대이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 10의 하부절반 15내에 제공된 구멍 44와 세로구멍 45는 테이프 카셋트가 수용부 61내에 위치되도록 핀들 71 및 72에 제각기 맞물린다. 특허핀 72는 코일스프링 40a 및 40b에 의하여 인가된 힘에 대항하여 상향으로 정지부재 38을 압압하도록 제6도에서 도시된 세로구멍 45는 통하게 되어 있다. 즉 정지부재 38은 취출릴 22의 축방향을 따라서 상향으로 압압된다. 그러므로 상술된 경우에서와 같이, 정지부재 38의 핑거부분 38b는 상향으로 기어부분 27a에서 미끄러지므로 취출릴 22에 대한 폐쇄작동을 해체한다. 또한 기어 74는 기어부분 27a와 맞물리도록 밑에서 절취장 37내에 삽입된다. 기어 74는 약간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기어부분 27a와 기어 74사이의 맞물림이 윤활하게 이루어진다. 리드 13은 하부절반 62의 개구 76 및 77을 따라 형성된 립(rib)부분 83과 접촉하며 폐쇄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의 상부절반 63은 내부돌출부분 86 및 87이 테이프 카셋트의 상부표면상에 제공된 압압 50 및 51에 제각기 맞물리도록 하부절반 62에 정착된다. 그러므로 테이프 카셋트 10은 하부절반 62의 이러한 테이프카셋트는 두께 방향으로 위치되어서, 테이프 카셋트 10이 수용부 61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테이프카셋트 10은 테이프 카셋트 10의 상부 및 하부표면이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의 상부 및 하부표면과 동일한 평면내에 놓이도록 수용부분 61내에 수용된다.
제13도는 표준기록 재생장치 120을 도시한다. 상기 테이프 카셋트 10을 수용하는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은 표준테이프 카셋트가 부하된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준 기록 재생장치 120내에 장착된다. 즉, 상기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이 표준기록 재생장치 120내에 부하된 경우에, 공급릴구동축 121이 공급릴 21의 릴구동축 삽입부분 25a내로 삽입되며 그리고 취출릴구동축 122는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내의 기어구조 64의 릴구동축 삽입부분 64a내로 삽입된다. 또한 부하폴 123 및 124와 캡스턴 125는 테이프통로 12B(제7도 참조)의 내측에서 개구들 76, 77 및 78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부화된 상태에서, 소형기록 재생장치의 100의 경우에서 처럼, 공급릴 21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향으로 압압된다. 따라서, 공급릴 21에 관한 폐쇄작동이 해제되고 그리고 공급릴21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같이, 취출릴 22는 폐쇄작동에서 풀려 있고 그리고 이미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즉 테이프 카셋트가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사아기 상태가 된다.
테이프부하작동에서, 상기 부하폴 123 및 124는 부하폴 123 및 124가 개구 76및 77에서 미끄러질 때 자기테이프 12를 걸며 그리고 속박한다. 이후에 부하폴들 123 및 124는 제13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며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외측으로 자기 테이프 12을 취출한다. 따라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외측으로 취출된 자기테이프 12는 전체폭 소거헤드와 접촉하며 그리고 회전비데오헤드가 있는 안내드럼에 선정된 각도영역에 걸쳐서 접촉한다. 또한 자기테이프 12는 오두디오헤드 128과 접촉된다. 그러므로 상기 자기 테이프 12는 선정된 테이프 이송통로상에 부하된다.
기록 및 재생동안, 자기테이프 12는 캡스턴 129와 핀치롤러 125사이세 끼워지며 그리고 구동된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내의 기어구조 64는 취출릴구동축 122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구조 64의 이러한 회전은 테이프취출방향으로 자기테이프 12를 구동하도록 기어 74를 통하여 취출릴 22에 전이된다. 따라서, 캡스턴 129에 의하여 이송된 자기테이프 12는 테이프카셋트 아답터 60내의 안내폴 81 및 82에 의하여 안내된다.
상기 테이프 카셋트 10이 소형기록 및 재생장치 100내로 독립적으로 부하되거나 테이프 카셋트 10이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표준기록 및 재생장치 120내에 부하된 경우에, 공급릴 21은 기록재생장치내에 제공된 공급릴구동축 101(121)에 걸쳐 부합되며, 그리고 공급릴 21은 직접적으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공급릴 21의 회전정밀도는 높아지며 그리고 높은 정확도의 테이프 이송 작동이 얻어진다. 또한 공급릴 21내의 릴허브 25의 직경 d1이 크므로, 권취테이프공급릴 21의 롤이 최대 최소직경의 차이는 비교적 작게 된다. 따라서, 공급릴 21이 시작해서 기록 및 재생의 완료까지 외전속도의 변화가 작아지고 그리고 테이프 이송정확도가 개량된다.
한편, 취출릴 22에 대하여, 취출릴 22는 테이프 카셋트 10이 독립적으로 소형기록 재생장치 10내에 부하 되거나 또는 테이프 카셋트 10이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60에 수용되어 표준기록 재생장치 120내에 부하되는 경우에도 취출릴구동축에 걸쳐 부합되지는 않은다. 그러므로 , 카셋트 케이스 11내의 테이프권취 및 수용량이 증가되며 카셋트 케이스 11의 크기는 감소된다. 상기 취출릴 22가 기어구조 64 및 기어 74를 통하여 카셋트 케이스 11의 쪽에서 간접적으로 구동된다. 그러나, 취출릴 22의 회전정확도에 관한 어떤 규정된 필요사항이 없으므로 불편함이 야기되지 않는다. 또한 취출릴 22가 플레이 없이 회전한다.
소형테이프 카셋트 10이 소형기록 재생장치 100의 부하부분에서 부하되지않을 때, 공급릴 21과 정지부재 38은 하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공급릴 21과 취출릴 22는 회전되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폐쇄한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 10이 아답터 60에서 분리될 때, 테이프카셋트 아답터 60이 표준기록 및 재생장치 120의 부하부분에로부터 부하되지 않은 후에 정지부재 38이 취출릴 22를 폐쇄하도록 하향으로 이동한다.
제14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면서 테이프 카셋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제14도 내지 제17도에서, 제1b도, 제1c도, 제2도 및 제3도 에서의 대응부품과 같은 부품들은 동일번호로 표시하고 설명을 생락하겠다.
테이프 카셋트 140은 취출릴 141의 하부플랜지의 주위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테이프카셋트 10과 동일하다. 취출릴 141의 플랜지 142는 내부주위에서 외부 주위의 대부분이 평평한 표면이고, 외측주위표면에 기어부분 142a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부분 142a는 상기 카셋트 10의 경우에서처럼 회전되지 않도록 취출릴 141을 폐쇄하도록 정지부재 38과 속박된다.
기어부분 142b는 하부플랜지 142의 하부표면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기어부분 142b의 직경 d3는 하부 플랜지 142의 직경보다 작으며 그리고 릴허브 28의 직경과 동등하다. 이러한 직경 d3는 제3도에서 도시된 카셋트 10에서 대응기어부분 27a의 직경보다 작으며 그리고 상기 기어부분 27a의 직경의 1/2인 크기로 조정된다.
핀144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 기어 143은 하부절반 135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기어 143은 하부플랜지 142의 하부측상의 위치에 제공되며 장치된다. 기어 143의 한쪽 종단측은 상기 기어부분 142b와 맞물리며 그리고 다른 종단측은 기어 143의 한쪽 직경방향으로 하부절반 15내의 절취창문 37을 통하여 노출된다. 이러한 기어 143의 지경은 상기 기어부분 142b의 직경과 동등하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테이프 카셋트 140은 제10도에서 도시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의 것과는 다른 내부구조를 갖는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내에 수용된다. 제18도는 이러한 테이프카셋트 아답터의 하부절반 150을 도시한다. 하부절반 150은 회전전이구조 151을 제외하고는 제7도에 도시된 하부절반 62와 동일하다. 상기 회전 전이구조 151내의 기어구조 152는 내부부분에서 취출릴축이 삽입되는 릴삽입구멍 152a와 주위표면에 형성된 기어부분 152b 를 갖는다. 기어 153은 기어 153이 상기 기어부분 152b 및 기어 74와 맞물리는 상태에서 하부절반상에 제공된 핀 154에 의하여 축지된다.
테이프 카셋트 140은 상기 테이프 카셋트 10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내에 수용된다. 제19도는 테이프 카셋트 140이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의 하부절반 150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테이프 카셋트 140은 기어 143이 기어 74와 맞물린 상태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내에 위치되고 수용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셋트 14가수용된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가 표준기록 재생장치 120내에 부하되어 있다. 기록 및 재생모드동안, 기어구조 152는 취축릴축 122(제11도 참조)와 맞물리며 그리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 구조152의 이러한 회전은 기어들 153, 74 및 143을 통하여 기어부분 142b에 전이된다. 그러므로 취출릴 14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릴허브 28주위에 자기테이프 12를 취출한다. 여기에서, 릴허브 28은 선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되어야만 하므로, 늘어짐이 자기테이프 12가 취출될 때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자기테이프 12내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취출릴 141내의 릴허브 28의 직경 " t-1 " 가 작으므로, 상기 선정된 회전속도 값이 높아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취출릴 141의 기어부분 142의 직경 " t-2 " 가 작다. 따라서 선정된 회전속에서 취출릴 141을 회전하는데 필요한 작은 직경의 기어들 153, 74 및 14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과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회전속도로서 회전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회전전이기구시스템의 긴 수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취출릴 141내의 기어부분 142의 직경 " t-3 " 가 작으므로, 취출릴 141의 회전전이기구시스템이 초과부하됨이 없이 높은 회전속에서 회전된다. 그러므로, 취출릴 141내의 릴허브 28의 직경이 작아지므로, 태이프 카셋트 14이 테이프의 권취량과 수효량이 커진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 140내에 제공된 기어 143에 관하여, 기어 153이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 내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취출릴 141이 취출릴축 142와 같은 방향으로 회저하고 그리고 취출릴 141은 표준테이프 카셋트의 취출릴에 의하여 성형된 동일방법으로 테이프를 권취한다. 이것은 상술된 테이프 카셋트 10에 대하여 서로 마찬가지이다.
테이프 카셋트 140이 소형기록 재생장치에 100내에 부하된 겨우에 있어, 기어 143은 소형기록 재생장치 100의 구동기어 112와 맞물린다. 이러한 경우에, 구동기어 112는 소형기록 재생장치 100이 테이프 카셋트 10으로 부하된 경우에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취출릴141은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기어 143을 통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기예 제각기에 있어서, 테이프 카셋트 10내의 취출릴 22의 하부플랜지 27의 주위측 표면에서 기어부분이 제공되는 대신에, 그리고 테이프 카셋트 140내의 기어 143대신에 회전전이풀리를 제공하는 대신에, 고무롤러가 본 발명의 상기 제1도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내의 회전나전이기구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은 마찰력으로서 테이프 카셋트 10내의 취출릴 22에 전이되며 그리고 테이프 카셋트 140내의 회전전이풀리에 전이된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 10내의 취출릴과의 하부 플랜지의 주위에서 기어부분이 베벨기어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아답터 60의 수평축상에 제공된 베벨기어나 또는 장치의 측면에 제공된 베벨기어는 테이프 카셋트 10내에 제공된 절취윈도우 37의 테이프 카셋트의 하면표면측상의 개구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베벨기어와 수직으로 하부플랜지 27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하부플랜지의 상기 베벨기어부분과 베벨기어가 맞물린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릴구동축을 포함하는 릴구동 기구를 갖는 기록 및 재생장치에 대하여 부하된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카셋트 케이스와,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하여 상기 카셋트 케이스 내에 제공된 취출측릴과 공급측릴과, 상기 기록 및 재생장치의 릴구동축이 상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기록 및 재생장치내에 부하되며 상기 한쪽릴의 중심부분에서 구동될 때 속박되는 하부 방향에서 상기 하나의 릴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상기 공급측 및 취출축릴들중의 하나의 릴과, 중심부분보다 다른 부분에서 회전전이 기구에 의하여 회전이 다른쪽 릴에 전이되도록 그리고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공급측과 취출측릴들의 다른쪽릴을 포함하는 테이프 카셋트.
  2. 제1항에서 청구된 바와같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릴이 상기 카셋트의 케이스의 한쪽에서 회전의 전이가 되는 테이프 카셋트.
  3. 제1항에서 청구된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릴이 상기 다른쪽릴의 한쪽에서 회전이 전이되는 테이프 카셋트.
  4. 제1항에서 청구된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릴 상기 카셋트 케이스내에 제공된 고정축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
  5. 제1항에서 청구된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한쪽릴이 공급측릴이며 그리고 다른쪽릴이 취출쪽릴인 테이프 카셋트.
  6. 제1항에서 청구된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다른 릴이 허브의 것과 상기 하나의 릴의 플랜지의 것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플랜지와 허브로서 구성된 테이프 카셋트.
  7. 제1항에서 청구된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다른쪽릴 외측 주위부분에서 회전이 전이된 릴플랜지를 갖으며, 상기 카셋트 케이스가 상기 플랜지에 대응하는 부품에서 개구를 갖는 테이프 카셋트.
  8. 제7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릴플랜지가 외측주위부분에 제공된 회전이 전이되는 기어부분을 갖는 테이프 카셋트.
  9. 제1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다른쪽 릴이 상부릴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갖으며, 회전이 외측주위부분에서 전이되도록 상기 하부 릴플랜지가 구성되는 테이프 카셋트.
  10. 제1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다른쪽릴의 회전을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쪽릴의 릴플팬지와 접촉되는 완충부재와, 하향으로 상기 완충부재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재를 포함 하며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압박부재가 상기 카셋트 케이스내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릴플랜지의 주위변 부분에서 분리되어 상기 완충작동을 해체되도록 상향으로 편기되는 테이프 카셋트.
  11. 제10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다른쪽릴의 상기 플랜지가 외측주위에 제공된 회전전이의 기어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기어부분에 맞물려서 상기 다른쪽에 대한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테이프 카셋트.
  12. 제10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 케이스가 상기 완충부재에 대응하는 하부표면상의 위치에 구멍이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완충 부재가 완충작용이 완화되도록 상기 압박부재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기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핀형부재에 의하여 상향으로 편기되는 테이프 카셋트.
  13. 제12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장치가 상기 테이프 카셋트 전용장치이며, 상기 테이프 카셋트가 독립적으로 부하되고, 상기 부하부분이 상기 핀형부재가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부하부분내에 부하될 때 상기 카셋트 케이스의 상기 구멍으로 상대적 삽입된 핀형부재에 의하여 상승되는 테이프 카셋트.
  14. 제12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장치가 표준테이프 카셋트가 장착되는 표준형기록 및 재생장치이며 상기 카셋트 케이스가 상기 표준테이프 카셋트와 유사하며, 상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표준테이프 카셋트의 것과 동등한 크기와 외부형태를 갖는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표준 기록 및 재생장치내에 부하되며, 상기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에 수용부분에서 상기 핀형부재가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수용부분내에 수용될 때 상기 카셋트 케이스의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대적 삽입된 핀형부재에 의하여 상승되는 테이프 카셋트.
  15. 제14항에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의 상기 수용부분에 상기 핀형부재와 쌍을 이루도록 또 다른 핀형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카셋트 케이스에는 상기 구멍과 쌍을 이루도록 하부표면에 또 다른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쌍의 핀형부재들이 상기 구멍쌍에 인입되어 상기 카셋트 케이스가 상기 수용부분내에 삽입된 경우, 상기 수용부분내에 상기 카셋트 케이스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테이프 카셋트.
  16. 제15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의 상기 수용부분에 상기 카셋트 케이스를 위치시키기 위한 돌출부 및 압압부가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카셋트 케이스 에는 상기 테이프 카셋트 아답터의 상기 돌출 및 압압부에 대응하는 압압 및 돌출부가 제공되는 테이프 카셋트.
  17. 제1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릴이 상기 릴구동축에 삽입될 때, 상승되도록 상기 하나의 릴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프 카셋트가 하향으로 상기 하나의 릴이 압박되도록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며, 그리고 릴플랜지의 바닥표면이 상기 카셋트 케이스와 접촉되는 상태로 회전의 완충되고 그리고 상기 압박부재에 의하여 낮추어지는 테이프 카셋트.
  18. 제17항에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릴들이 상부표면상에 중심부위에서 돌출부분을 제각기 갖으며, 상기 압박부재가 하향으로 상기 릴들을 압박하도록 종단들의 공동내의 부품들에서 상기 릴들의 중심돌출부분과 접촉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하나의 릴에 중심돌출부재의 외측 주위에 압박부가 제공되는 테이프 카셋트.
  19. 제17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톱니가 상기 하나의 릴에서 릴플랜지의 바닥표면에 제공되며 그리고 카셋트 케이스가 상기 릴 플랜지에 대응하는 표면에서 상기 릴플랜지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로서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릴플랜지의 회전이 상기 카셋트 케이스의 톱니와 상기 압박부재에 의하여 하향으로 압박되는 상기 하나의 릴의 릴플랜지들 사이에 맞물림에 의하여 완충되는 테이프 카셋트.
  20. 제4항에서 청구된 바와 가타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이 하측종단에서 비원형압압부를 갖으며, 상기 카셋트 케이스가 상기 비원형압압부를 속박하며 그리고 압압부에 맞물리기 위한 상기 고정축의 장착부분에 제공된 비원형돌기부를 갖으며, 그리고 상기 고정축이 상기 비원형압압부가 상기 비원형돌출부에 맞는 상태로 나사에 의하여 상기 카셋트 케이스에 제공되는 테이프 카셋트.
  21. 제1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일정하게 회전하며 상기 다른 릴의 릴플랜지의 것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어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분과 맞물리는 그리고 상기 카셋트내에 제공된 기어휠을 갖으며, 그리고 상기 기어휠이 외측 상기 카셋트 케이스에서 회전이 전이되는 테이프 카셋트.
  22. 제21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분과 상기 기어휠의 직경이 동등하게 선택되는 테이프 카셋트.
KR1019810004611A 1980-07-08 1981-11-25 테이프 카셋트 KR880000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69380U JPS5723518U (ko) 1980-07-08 1980-07-08
JP55-96693 1980-11-25
JP1980167532U JPS6128295Y2 (ko) 1980-11-25 1980-11-25
JP167532 1980-11-25
JP96693 1981-07-01
JP56-119403 1981-08-13
JP1981119403U JPS5826783U (ja) 1981-08-13 1981-08-13 小型テープカセット
JP119403 1981-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302A KR830008302A (ko) 1983-11-18
KR880000303B1 true KR880000303B1 (ko) 1988-03-19

Family

ID=2955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611A KR880000303B1 (ko) 1980-07-08 1981-11-25 테이프 카셋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880000303B1 (ko)
DD (1) DD208258A5 (ko)
ES (1) ES507437A0 (ko)
MX (1) MX150486A (ko)
NO (1) NO155167C (ko)
NZ (1) NZ199050A (ko)
PH (1) PH2033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155167C (no) 1987-02-18
NZ199050A (en) 1985-01-31
DD208258A5 (de) 1984-03-28
NO813996L (no) 1982-05-26
NO155167B (no) 1986-11-10
ES8304350A1 (es) 1983-02-16
MX150486A (es) 1984-05-14
PH20335A (en) 1986-12-04
ES507437A0 (es) 1983-02-16
KR830008302A (ko) 198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975B1 (ko) 소형 테이프 카셋트
CA1154732A (en) Tape cassette
US4091426A (en) Device for detecting an end of a cassette tape
KR880001924B1 (ko) 소형 테이프 카셋트용 아답터
US4449676A (en) Tape cassette having a reel displacement limiting mechanism
US4559574A (en) Tape cassette
CA1162175A (en) Tape cassette
KR880000303B1 (ko) 테이프 카셋트
KR100210336B1 (ko) 회전 헤드 테이프 기록 및 재생장치
JP2000182352A (ja) テープカセット
US5034832A (en) Adaptor for a small-sized tape cassette
JPS62184677A (ja) テ−プカセツト
JPS6325572Y2 (ko)
JPS6048821B2 (ja) テ−プカセットのリ−ル機構
JPS6128296Y2 (ko)
JPS6112630Y2 (ko)
JPS6037744Y2 (ja) テ−プカセツト
JPS6112626Y2 (ko)
JPS626615Y2 (ko)
JPS6128297Y2 (ko)
JPH022229B2 (ko)
JP2000182354A (ja) テープカセット
JPS6137691B2 (ko)
JPS6113310B2 (ko)
WO2001009893A2 (en) Tape casse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