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277B1 - 축전지 통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축전지 통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277B1
KR880000277B1 KR1019810005185A KR810005185A KR880000277B1 KR 880000277 B1 KR880000277 B1 KR 880000277B1 KR 1019810005185 A KR1019810005185 A KR 1019810005185A KR 810005185 A KR810005185 A KR 810005185A KR 880000277 B1 KR880000277 B1 KR 88000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battery
housing
ve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412A (ko
Inventor
스지볼스키 죠세프
데이브 우니틱 프랭크
Original Assignee
굴드 이코퍼레이티드
맨손 리이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굴드 이코퍼레이티드, 맨손 리이달 filed Critical 굴드 이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3000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전지 통기 플러그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의 통기플러그를 가진 축전지의 부분 입면도.
제2도는 통기 플려그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정부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실시의 통기 플러그의 수정된 형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러그 11 : 정부벽
13 : 설치부분 14 : 개국
15 : 몸체 16 : 통기챔버
17 : 플러그캡 18 : 하우징
19 : 환상플랜지 20 : 환상요홈
22 : 횡단벽 23 : 중앙통과개구
27 : 정부벽 28 : 통기개구
29 : 플랜지 30 : 수직리브
34 : 밀봉가스켓 35 : 밸브몸체
36 : 통기간격 37 : 직립시이트
42 : 칼모서리 43 : 0-링
44 : 환상요홈
본 발명은 축전지 통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저압력릴리이프 밸브를 가진 축전지 통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그렌빌레 비·엘리스의 미국특허 제3,201,284호에서 축전지용 통기프러그는 축전지의 내부와 연통하는 통기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그들의 통상의 접촉 관계부터 편향하는 경사진 환상부분을 접촉하는 것이 제공된 한쌍의 밀봉링을 가진 석이 표시된다. 이 링은 그들 사이의 결과적인 개구를 통하여 대기로축전지를 플기하게 플러그의 몸체에 외부로 개구하는 환상의 홈을 이룬다.
로버트 에이·왈렌 등의 미국특허 제2,934,584호에서 축전지 셀 소자를 보유하는 컵의 모서리를 결합하는 탄성의 밀봉원판을 가진 제어통기와 컵에 대하여 원판을 고정시키는 수단이 표시된다.
간격이 모서리레 제공되어 밀봉의 압력이 간격에 인접한 밀봉원판의 더 적게 결합된 부분의 탄성당김에 의하여 발휘되어 압축된 가스는 간격에서 밀봉원판의 모서리를 올리고 컵부터 도망간다.
로버트 에이·왈렌의 미국특허 제3,096,216호에서 135파운드 psi의 가스압력에서 알카리 셀을 통기하기 위하여 적용된 통기밸브가 표시된다. 밸브는 고압력에 의하여 노치에 약간 눌려진 흠 또는 노치위에 드러눕는 밀봉원판을 포함한다. 노치로 충분하게 밀봉원판부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밀봉법을 가진 밀봉이 순간적으로 가스 가동망가게 깨뜨러진다.
로버트 에이·왈렌의 미국특허 제3,114,659호에서 나이론 가스켓, 강철 간막이판 및 네오프렌 가스켓의 밸브가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외부로 굽히도록 한다. 어느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였을 때 밀봉컵과 네오프렌가스켓 사이의 밀봉이 그들 사이에 통기를 허용하게 충분히 약해진다. 얍력의 감소에서 감철 간막이판은 구조가 정상의 위치로 돌아가게 하여 밀봉을 다시 이룬다.
알려진 축전지 압력 릴리이프 밸브에서 통상의 문제는 각 압력 릴리이프 조작의 결과로서 실질적으로 대기 또는 영로 밸브속의 압력을 감소하는 것이다. 그와같이 축전지의 내부압력이 영이 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새어나오게 하는 것이 종래의 알려진 압력 릴리이프 밸브이다. 언제나 내부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선행기술의 통기장치는 비교적 높은 릴리이프 압력을 가진다. 그와같은 구조의 것은 그들의 중앙에 좁은 틈새를 가진 고무원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분 발명은 10psi 이하의 압력과 같은 축전지셀 챔버의 저압 릴리이프를 제공하는 개량된 저가격의 축전지 통기 플러그를 내포한다.
본 발명의 통기 플러그는 약±2psi의 적은 릴리이프 리시일 압력차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통기 플러그는 효과적으로 각 통기 조작에서 축전지셀내에 적극적인 압력을 유지한다.
통기 플러그는 축전지에서 부식물질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은 적절한 물질로 형성된다.
개량된 통기 플러그는 사이트부터 밀봉부분에 간격을 두게 입구의 미리 선택된 상승액체 압력의 결과로서 힘전달 부분으로 압축된 탄성몸체, 풀어놓을 수 있게 밀봉하게 입구를 밀폐하기 위하여 시이트에 대한 밀봉부분을 재촉하게 몸체를 통하여 향하게 된 힘전달부분에 압축된 힘을 적용하기 위한 하우징의 수단과 밀봉부분에 대한 힘전달부분과 입구에 인접한 밀봉부분을 가진 챔버의 탄성몸체, 입구부터 간격을 둔 하우징의 부분을 통한 출구개구와 통기챔버에 시이트를 통한 입구개구, 통기챔버에 직면하는 환상시이트, 통기챔버, 축전지커버 개구에 설치되게 적용된 설치부분을 가진 하우징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출구에 탄성몸체 주위의 통기챔버를 통하여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미리 선택된 액체압력하의 액체압력의 강하에서 시이트에 재밀봉된 밀봉부분을 갖기 위한 탄성몸체를 허용한다.
표시된 실시에서 탄성몸체는 둥근원통형 고무부재를 이룬다.
표시된 실시에서 탄성몸체는 평행이고 상대끝면은 탄성몸체의 힘전달부분과 밀봉부분을 각각 이룬다.
통기 챔버가 밀봉부분이 시이트부터 간격을 두었을 때 입구와 출구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몸체 주위에 뻗은 환상간격을 이룬다.
입구가 표시된 실시에서 탄성몸체 밀봉부분의 통기챔버에 동축적으로 열린다.
표시된 실시에서 시이트는 탄성몸체 밀봉부분에 의하여 결합된 환상의 칼-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하우징에 직립한 환상돌기를 가진다.
수정된 형에서 시이트는 하우징에 의하여 유지되는 0-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밀봉 가스켓이 축전지 커버에 하우징 설치부분을 밀봉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표시된 실시에서 시이트는 탄성밀봉몸체에 의하여 결합된 칼-모서리에서 교차하는 반경 방향으로의 무두원추의 내부 및 외부면을 가진 돌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축전지 통기 플러그는 납-산 축전지같은 축전지의 개량된 저압력 릴리이프를 제공하는 구조가 대단히 간단하고 경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과 장점이 여기에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과 같은 설명부터 나타날 것이다.
도면의 제1도 내지, 도면의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에서 일반적(10)으로 표시된 통기플러그가 설명적으로 납산 축전지를 가진 축전지(12)의 정부벽(11)에 밀봉적으로설치되어 표시된다.
축전지의 과충전과 같은 경우에서 가스가 전해액에서 물의 전해에 의하여 발생한다. 밀봉된 납-산 축전지에서 축전지는 그것에 산소 사이클을 유지하도록 효과적으로 밀봉되고 축전지의 양극에서 발생된 산소 가스는 그것의 음극에 확산되어 그것은 전기화학적으로 물을 형성하게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축전지내에서 수소가스의 생성이 최소가 되고 물손실이 그것에 의하여 최소가 된다.
그러나 그와같은 밀봉된 납-산 축전지에서 미리 선택된 상승압력을 초과하는 내부압력의 경우에는 축전지를 통기하기 위한 어느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공된 플러그(10)는 축전지내에서 효과적으로 압력을 유지하는 동안 비교적 낮은 조작압력에서 발라는 압력을 제거하는 것이 제공된다.
통기플러그는 축전지 커버 또는 정부벽(11)의 개구(14)로 맞추어지는 설치부분(13)이 제공된다. 통기플러그의 몸체(15)는 통기챔버(16)를 이룬다. 표시된 실시에서 플러그캡(17)은 통기플러그 하우징(18)을 이루는 데에서 몸체(15)와 설치부분(13)과 협동한다.
제2도에서 더욱 표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분(13)은 플러그 캡(17)의 내부단에서 외부회전 환상플랜지(21)를 받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내측으로 열린 환상요흠(20)을 가지고 제공된 외부회전환상플랜지(19)를 이룬다.
제2도에서 더욱 표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켑(17)은 플랜지부분(21)의 외측으로 횡단벽(22)을 이루고 셀내부와 직접 연통하눈 중앙통과개구(23)를 가지며 통기챔버(16)로 입구를 이룬다. 횡단벽(22)과 개구(23)는 축전지 셀 사이에 연통하는 것과 같은 바라는 어느 모양을 가지고 통기 챔버(16)가 유지된다.
플러그캡(17)은 적절한 점착제(26), 초음파융합, 또는 그와같은 것에 의하여 몸체(15)의 설치부분(13)의 보충내부 원통면(25)에 고착하는 외부의 둥근원통면(24)을 이룬다. 그와같이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캡은 통기챔버(16)를 이루기 위하여 몸체(15)와 관련하여 고착된다.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몸체(15)의 정부벽(27)은 통기챔버(16)부터 출구를 이루는 한쌍의 정반대로 위치한 통기개구(28)가 제공된다.
외부로 인접한 플랜지(19), 몸체(15)가 환상지지플랜지(29)에 제공된다. 한 모양에서 다수의 엷은 수직리브(30)가 몸체(15)의 축 주위에 약 90°의 간격을 두고 정부벽(27)위에 간격을 둔 상부모서리(31)부터 플랜지(29)와 일체로 형성된 저부모서리(32)에 뻗는다.
설치부분 플랜지(19)는 커버에 설치부분의 베이어닛(bayonet) 설치를 이루는 축전지 커버벽(11)과 협동하는 경사면(33)을 상부로 면하게 이루어진다. 커버에 통기플러그(10)의 밀봉을 제공하기위하여 고무 밀봉가스켓(34)이 통기 플러그가 축전지 정부벽의 내부면에 결합하는 플랜지면(33)에 의하여 이루어진 베이어닛형 설치에 의하여 위치로 채워졌을 때 개구(14)를 이루는 축전지 커버의 모서리에 대하여 압축되도록 플랜지(29) 밑에 있는 설치부분(13)에 설치된다.
통기챔버(16)는 효과적으로 바로 둥근 원통형 챔버를 이룬다. 통기챈버에 동축적으로 받는 것은 그들 사이에 동축의 환상통기간격(36)의 이르게 통기챔버의 그것보다 약간 적은 단면직경을 가진 고무로 형성된 바로 둥근 원통 탄성밸브이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35)의 축방향길이는 밸브몸체가 플러캡(17)의 횡단벽(22)의 환상직립 시이트(37)와 하우징 몸체(15)의 정부벽(27) 사이에 압축되게 미리 선택된다. 제2도에 상세하게 표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35)의 외부단은 정부벽(27)과 결합하는 면에서 평면(38)을 이루고 밸브몸체(35)의 내부단은 면(38)에 평행인 평면(39)을 이루고 시이트(37)에 결합하는 밸브몸체의 밀봉부분을 이룬다.
제2도의 실시에서 시이트(37)는 외부 무두원추면(41)과 내부 무두원추면에 의하여 형성된 환상 칼모서리를 이룬다. 칼모서리(42)는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통기 플러그(10)의 통상 배치에서 밸브몸체(35)에 효과적으로 적극적 밀봉을 제공한다.
통기플러그(10)는 그것의 압력이 미리 선택된 압력에 도달하였을 때 축전지(12)의 내부부터 가스액체를 통기하게 배치된다. 내부축전지 액체압력은 미리 선택된 통기압력에서 칼모서리 시이트(42)부터 상부로면(39)에 간격을 두게 밸브몸체(35)의 면(39)에 대하여 플러그캡(17)의 개구(23)를 통하여 작용한다. 이 분야에 훈련된 사람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축전지(12)부터 가스를 통기하는 통기플러그(10)에서 특별히 미리 선택된 압력은 밸브몸체(35)를 만드는 물질의 탄성의 함수이고 사전 압축의 양을 말모서리 시이트에 대한 면(39)을 재촉하는 데세 밸브몸체에 적용된다. 이 분야에 훈련된 사람들에게 더욱 명백한 바와 같이 구조의 다른 지그는 통기구멍(28)의 직경을 포함하고 동축환상통기간격(36)의 반경크기는 통기플러그가 조작하는 압력을 더욱 제어하는 데서 미리 선택된다.
본 발명 실시의 통기플러그(10)의 한 형에서 통기플러그는 압력이 약 5psig로 떨어졌을 때 밸브 시이트에 밸브 몸체의 적극적인 안정된 재밀봉을 가지고 6.5psig의 압력에서 밸브시이트에 대하여 밸브몸체의 부분적인 재밀봉을 가지고 8psig의 압력에서 축전지 내부압력을 릴리이프하게 열린다. 그와같이 통기플러그는 언제나 축전지내의 적극적인 가스압력을 유지하는 동안 효과적인 통기조작에서 비교적 적은 압력차이를 제공하게 배치된다.
표시된 실시에서 통기플러그의 구성, 밸브몸체(35)보다 다른 것 및 밀봉가스켓(34)은 축전지산에 의한 부식에 저항하는 적절한 주형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밸브몸체(35) 및 가스켓(34)은 역시 축전지산에 의한 충격에 저항하는 적절한 고무물질로 형성된다.
이 분야에 훈련된 사람들에게 더욱 명백한 바와 같이 시이트의 다른형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용된다. 그와같이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0-링(43)이 제2도에 표시된 칼모서리 시이트의 대신 플러그캡의 횡단벽의 적절한 환상요흠(44)에 설치된다. 0-링은 고무로 형성되고 고무물질은 축전지산에 의한 부식에 의한 부식에 저항하게 미리 선택된다.
그와같이 본 발명은 적은 압력차 범위에 걸쳐 밀봉된 저장축전지의 통기를 제공하게 적용되는 개량된 통기프러그 구조물을 포함한다. 통기플러그는 더우기 축전지내의 적극적인 압력을 유지하는 동안 그와같은 통기에 효과있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약 1psig 내지 20 또는 그 이상의 psig의 범위와 같은 리리 선택된 압력에서 그와같은 통기를 제공하도록 통기 플러그와 성분의 구조의 지수의 제어를 포함한다.
통기플러그 하우징은 설명된 바와 같이 대기에 과도한 압력을 통기하게 자리를 또는 밸브몸체를 허용하고 셀내에 생기는 과도한 압력에 대하여 액체통로를 제공하게 바라는 액체밀봉을 형성하게 플러그캡이 하우징과 밸브몸체와 협동하는 한 어느 바라는 형 또는 모양을 가져도 좋은 것이 기도된다. 그와같이 통기개구 또는 하우징의 개구는 액체 연동이 관도한 얍력을 통기하는 밸브몸체에 대하여 액체 연통이 대기와 같이 유지되는 한 어느 편리한 장소를 위치하여도 좋다. 더우기 통기 챔버에 들어가는 전해액의 기회를 감소하기 위한 또는 통기챔버부터 셀로 돌아가는 전해액의 배수를 편리하게 하는 플러그캡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통기플러그는 여려형을 취할 수 있고 다른 양상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이루어진 것 같은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부터 벗어나지 않고 바라는 바와 같이 포함될 것이다.
상세한 실시의 상술한 발표는 본 발명에 의하여 포함된 넓은 발명개념의 표시이다.

Claims (9)

  1. 축전지 카바 개구내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설치부, 통기 챔버, 상기 통기챔버와 마주 대하는 환형 시이트, 상기 시이트를 통하여 통기챔버로 개방된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부터 이격된 하우징부를 통하여 개방된 유출구를 가진 하우징과 ; 상기유입구 부근의 밀봉부 및 상기 밀봉부와 대향된 힘 전달부를 가진 상기 챔버내의 탄성동체부 및 ; 상기 유입구를 해탈 가능하게 밀봉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상기 시이트에 대해서 상기 밀봉부를 가압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체를 통하여 압축력을 상기 힘 전달부에 가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상의 수단을 포함하는데 ; 상기 탄성 동체는, 상기 시이트로 부터의 상기 밀봉부를 이격시켜 탄성 동체에 대하여 상기 통기챔버를 통하여 유체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탄성 동체가 상기 민리 선택된 유체 압력을 낮추도록 상기 유체압의 하강에 따라 상기 시이트로 재밀봉된 밀봉부를 갖도록 허용하도록 상기 유입구내의 미리 선택된 유체압력의 결과로서 상기 힘 전달부를 향하여 압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통기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동체부가 둥근 원통형 동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통기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동체부는 상기 밀봉부 및 힘 전달부의 외부면을 한정하는 평행 평면단을 가진 둥근 원통형 동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통기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챔버는 상기 밀봉부가 상기 시이트로부터 이격될 때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는 상기 탄성 동체에 대해서 환형공간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기 통기플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동체는 둥근 원통형 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탄성 동체 밀봉부의 상기 통기 챔버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통기플러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는 상기 탄성 동체 밀봉부에 의하여 계합된 환형 나이프 에지를 한정하는 하우징상의 상향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통기플러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는 상기 탄성 동체 밀봉부에 의하여 계합될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이송된 0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통기플러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설치부를 축전지 카바로 밀봉시키도록 밀봉 가스캣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통기플러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는 상기 탄성 동체 밀봉부에 의하여 계합된 환형 나이프 에지부를 한정하는 상기 하우징상의 상향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통기플러그.
KR1019810005185A 1980-12-29 1981-12-29 축전지 통기 플러그 KR880000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1158 1980-12-29
US06/221,158 US4328290A (en) 1980-12-29 1980-12-29 Battery vent plug
US221,158 1980-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412A KR830008412A (ko) 1983-11-18
KR880000277B1 true KR880000277B1 (ko) 1988-03-15

Family

ID=2282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185A KR880000277B1 (ko) 1980-12-29 1981-12-29 축전지 통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328290A (ko)
JP (1) JPS57168465A (ko)
KR (1) KR880000277B1 (ko)
AR (1) AR228634A1 (ko)
AU (1) AU540747B2 (ko)
CA (1) CA1167520A (ko)
DE (1) DE3151606A1 (ko)
FR (1) FR2497406A1 (ko)
GB (1) GB2090381B (ko)
IT (1) IT1210600B (ko)
MX (1) MX150519A (ko)
NZ (1) NZ199353A (ko)
PH (1) PH175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1730A (en) * 1980-10-03 1983-08-30 Gnb Batteries Inc. Sealed deep cycle lead acid battery
US4636447A (en) * 1983-04-18 1987-01-13 Tate Roland D Battery terminal and connector
US4517262A (en) * 1983-12-21 1985-05-14 General Battery Corporation Vent for a storage battery
JPS60118867U (ja) * 1984-01-19 1985-08-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安全弁装置
US4891270A (en) * 1985-08-30 1990-01-02 Gnb Incorporated Pressure release system for electric storage batteries
US4636446A (en) * 1985-11-15 1987-01-13 Cheng Kwang Storage Battery Co., Ltd. Stopper structure for storage battery container
US4780378A (en) * 1987-09-02 1988-10-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vent valve
US4756982A (en) * 1987-11-09 1988-07-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seal battery vent valve
US5258243A (en) * 1992-12-29 1993-11-02 At&T Bell Laboratories Pressure relief valve for recombinant battery
US5258242A (en) * 1993-02-08 1993-11-02 Ovonic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having improved pressure vent
US5422199A (en) * 1993-12-06 1995-06-06 Gnb Battery Technologies, Inc. Batteries having improved venting systems
US5688612A (en) * 1994-10-18 1997-11-18 Globe-Union Inc. Battery cover and vent cap interface seal
DE19527526A1 (de) * 1995-07-27 1997-01-30 Hagen Batterie Ag Stopfenanordnung zum Verschließen einzelner Zellenöffnungen eines Akkumulators
US7101640B1 (en) 2000-11-03 2006-09-05 Exide Technologies Screw-in vent plug for lead-acid batteries
ATE320086T1 (de) * 2000-11-29 2006-03-15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Verschlussstopfenanordnung für akkumulatoren
AT409682B (de) * 2001-06-18 2002-10-25 Banner Gmbh Verschlussvorrichtung
DE102005017442B4 (de) * 2005-04-15 2007-11-29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Akkumulator und Deckel hierzu
JP5300416B2 (ja) * 2008-10-31 2013-09-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JP6104535B2 (ja) * 2012-08-09 2017-03-29 Nok株式会社 防爆弁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89767B2 (en) 2016-12-22 2022-03-29 Cps Technology Holdings Llc Valve assembly for a battery cover
JP1599708S (ko) * 2017-05-18 2018-03-19
JP1599711S (ko) * 2017-05-18 2018-03-19
KR20200014317A (ko) 2017-06-09 2020-02-10 씨피에스 테크놀로지 홀딩스 엘엘씨 납산 배터리
US11936032B2 (en) 2017-06-09 2024-03-19 Cps Technology Holdings Llc Absorbent glass mat battery
US10461291B2 (en) * 2017-12-12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rrent-interrupt device for battery cell
FR3126064B1 (fr) 2021-08-09 2023-07-28 Sogefi Filtration Spa Agencement de ventilation d’urgence pour boîtier de batterie(s) et procede d’assemblage
FR3126065B1 (fr) 2021-08-09 2023-09-08 Sogefi Filtration Spa Agencement de compensation de pression pour boîtier de batterie(s) et procede d’assemblag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58285C (de) * 1933-04-14 1938-03-28 Olympia Bueromaschinenwerke A Vorrichtung zum Erzielen eines geraeuschschwachen Abdruckes der Typenhebel einer kraftangetriebenen Schreibmaschine
US2690466A (en) * 1951-10-17 1954-09-28 Gen Motors Corp Submersible vent cap for storage batteries
US2690467A (en) * 1953-02-17 1954-09-28 Gen Motors Corp Vent plug
US2934584A (en) * 1957-06-17 1960-04-26 Servel Inc Alkaline cell having controlled vents
DE1119351B (de) * 1958-10-14 1961-12-14 Sonnenschein Accumulatoren Batterieverschlussstopfen
NL284181A (ko) * 1961-10-25
US3096216A (en) * 1962-01-02 1963-07-02 Servel Inc Valve for venting fluid
US3201284A (en) * 1962-11-05 1965-08-17 Gould National Batteries Inc Two-way vent valve for batteries
US3402077A (en) * 1964-12-19 1968-09-17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Storage batter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3257237A (en) * 1965-03-04 1966-06-21 Accumulatornefabrik Sonnensche Lead acid type storage battery
FR1451530A (fr) * 1965-07-22 1966-01-07 Soupape de sécurité, notamment pour accumulateurs électriques
FR1557056A (ko) * 1967-11-22 1969-02-14
GB1336568A (en) * 1969-08-27 1973-11-07 Union Carbide Corp Pressure reliev valve
US3861965A (en) * 1972-09-07 1975-01-21 Bell Telephone Labor Inc Lead-acid battery with resealable vent valve
FR2315773A1 (fr) * 1975-06-26 1977-01-21 Gratzmuller Claude Bouchon a soupape pour accumulateur electrique
US4271241A (en) * 1980-02-05 1981-06-02 General Electric Company Resealable vent valve for containers such as batt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68465A (en) 1982-10-16
PH17573A (en) 1984-10-01
AU540747B2 (en) 1984-11-29
CA1167520A (en) 1984-05-15
DE3151606A1 (de) 1982-09-02
US4328290A (en) 1982-05-04
GB2090381B (en) 1984-11-07
NZ199353A (en) 1984-08-24
IT1210600B (it) 1989-09-14
KR830008412A (ko) 1983-11-18
GB2090381A (en) 1982-07-07
AU7889681A (en) 1982-07-08
FR2497406B1 (ko) 1985-02-08
IT8150019A0 (it) 1981-12-28
AR228634A1 (es) 1983-03-30
DE3151606C2 (ko) 1990-10-04
FR2497406A1 (fr) 1982-07-02
MX150519A (es) 198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277B1 (ko) 축전지 통기 플러그
US3664878A (en) Pressure relief vent valve for a fluid tight sealed container especially an alkaline galvanic cell
US2571893A (en) Submersible vent cap
US4052534A (en) Battery vent plug
US3802923A (en) Resealable vent closure for sealed galvanic dry cell
US3994749A (en) Vent valve for nickel-cadmium energy cells
WO1992022096A3 (en) Gaskete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fuel cells
US4078121A (en) Safety-valve stopper especially intended for electric storage batteries
US3201284A (en) Two-way vent valve for batteries
KR920003756B1 (ko) 축전지용 배기밸브(Vent valve)
US3484301A (en) Electrical cell vent valve
US5258243A (en) Pressure relief valve for recombinant battery
CN201037564Y (zh) 一种新型电池安全阀
US6294282B1 (en) Two way battery vent cap using cup valves
US4662533A (en) Safety valve device for enclosed cells
US3798073A (en) Submersible battery vent plug
US5846671A (en) Lid for batteries
US3661650A (en) Storage battery with closure seal and vent means
US4052533A (en) Pressure relief flapper vent valve for galvanic cells
GB2158634A (en) Sealed electric storage battery with a vent valve
US5830594A (en) Galvanic cell having a resealable vent closure
CA1064105A (en) Primary dry cell with masked separator
JPS5924303B2 (ja) 2個部片よりなる過圧逃し弁
EP0041334A1 (en) Battery filling system
US6146784A (en) Vent plug having an integal se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