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222B1 -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및 그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및 그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222B1
KR880000222B1 KR1019830005411A KR830005411A KR880000222B1 KR 880000222 B1 KR880000222 B1 KR 880000222B1 KR 1019830005411 A KR1019830005411 A KR 1019830005411A KR 830005411 A KR830005411 A KR 830005411A KR 880000222 B1 KR880000222 B1 KR 88000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nap fastener
snap
gas wal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606A (ko
Inventor
앤드류 레인스 마크
Original Assignee
더블류.에이 도이처 프티.리미티드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류.에이 도이처 프티.리미티드,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더블류.에이 도이처 프티.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4000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및 그 부착방법
제1도는 본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암몸체 패스너부분(female fastenerpart)의 두 부재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와 동일하나 숫몸체 패스너부분(male fastener part)의 두 부재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한형태의 작동부재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제2의 구성부재를 조립하는 하나의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와 유사하나 제1도의 구성부재를 포함한 단면도.
제9도는 본발명의 스냅패스너의 단면도이나 두 부분을 분리시킨 단면도.
제10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고정구성부재의 단부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고정구성부재핀의 종단(terminalend)의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숫몸체부분(male part) 2 : 암몸체부분(female part)
3, 4 : 작동구성부재(operative component)
5 : 고정구성부재(securing component)
6 : 핀(pin) 7, 8 : 시이트재료
9 : 기체벽(base well) 10 : 스터드(stud)
11 : 일측면
12 : 내부 또는 스터드보어(stude bore)
13 : 외측단(puter end) 14 : 비이드(bead)
15 : 캡플랜지(cap flange)
16 : 말단(terminal end) 또는 핀단(pin end)
16a : 요홈(grooves or flutes)
16 : 단부(edges) 17 : 중심개구
18 : 말단부분(terminal end portion)
19 : 플랜지 20 : 외측면
21 : 외측부분 22 : 스커트부분(skirt portion)
23 : 립(lip) 24 : 주변부분(peripheral portion)
25 : 기체벽 26 : 관상부분
27 : 공동(cavity) 28 : 요홈
29 : 립부분(lipsection) 30 : 중간영역
31 : 공간(space) 32 : 요홈시그멘트(groove segment)
33 : 중심개구 34 : 플랜지
35 : 스커트부분 36 : 외측면
37, 38 : 대향면 39 : 고정구(fixture)
40 : 경질 테이블 섹션(rigid table section)
41 : 중심부분
42 : 스프링 적재 섹션(spring loaded locating section)
43 : 고정구 44 : 스프링적재섹션
45 : 배럴 파아트(barrel part)
46 : 모루 섹션(anvil section)
본발명은 두 시이트(sheet)를 이탈할 수 있도록 동시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스냅패스너(snap fasteners)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발명의 패스너는 직물등의 사용에 적합하며 따라서 천패스너(clothing fastener)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다른 용도로도 사용되어 다른 각종 재료에 적합하다.
그러나 본발명은 직물등의 특정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냅 패스너는 일반적으로 금속재로 되어있고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다.
또, 이들의 스냅패스너는 기체(base) 또는 지지시이트 재료에 부착시키는 작업이 간단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그 예로서, 각 시이트 재료에 예비성형구멍을 뚫어 이 구멍에 그 패스너부분을 부착시키도록 하는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시이트 기체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스냅 패스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스틱재로 제조할 수 있는 패스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다른 하나의 본발명 목적은 기체 또는 시이트에 스냅패스너 구성부재를 부착시키는 개량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첫째로, 본발명에 의해 작동구성부재(operative component)와 고정구성부재(securing component)를 구성시켜 두 작동 및 고정구성부재를 플라스틱제로 형성시키고, 그 작동구성부재가 관통공을 가진 기체벽(base wall)과, 그 개구를 포위하고 그 기체벽 일측에서 돌출되어있는 관상부(tubular portion)를 가지며 스냅 결합부재(snap engaging means)가 그 관상부에 형성되고 그 고정구성부재에는 그 일단부에 핀과 캡플랜지를 가져 그 핀은 그 개구를 관통하도록하여 그 말단부가 기체벽 일측면에서 떨어져 위치시키고 그 말단부는 이와같이 위치될 때 변형되어 두 구성부재를 분리시켜 고정시키는 스냅패스너부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로 본발명에 의해 위에서와 같이 형성된 스냅패스너부분을 시이트재료의 한 부분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 방법은 그 핀을 그 시이트재료에 관통시키고 ; 그 시이트재료가 캡플랜지와 기체벽 사이에 설치하고, 팬이 그 개구를 관통하여 돌출시켜 말단부가 그 기체벽의 일측에서 멀리 떨어져 돌출되게 그 작동구성부재를 그 핀상에 설치시키며 ; 그 핀이 그 개구에서 빠져나갈 수 없게 변형하도록 그 핀의 말단에 압력을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방법을 제공한다.
본발명의 주요한 특징을 첨부도면에 따라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패스너와 같이, 본발명에 의한 패스너는 숫몸체부분 1(제1도)과 암몸체부분(female part) 2(제1도)로 구성되고, 각 몸체부분 1과 2는 두 구성부재, 작동구성부재 3 또는 4와 고정구성부재 5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고정구성부재 5는 각 몸체부분 1과 2의 동일형상이므로 제조 및 조립을 단순화시켜 이에 따르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 도시된 바와같이 그 고정구성부재 5에는 핀 6을 포함하고 있어 그 핀은 예비형성구멍에는 필요하지 않고 시이트재료 7 또는 8을 관통할 수 있고 또 그 패스너부분 1 또는 2의 두 구성부재 3 또는 4 및 5를 동시에 고정시켜 변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는 로울링 또는 이와 유사한 처리방법에 의한 제조에 적합하며, 아세탈 등 적당한 플래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플래스틱제 패스너는 내식성 있는 잇점이 있고, 요구에 따라 접합하게 채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이들의 패스너는 열전도도가 낮고 전기절연특성을 가져 특히 사용상태에 따라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그 패스너의 플래스틱 성형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패스너의 특정형상에서는 숫몸체부분 1의 작동구성배재 4가 그 기체벽 9의 일측면 1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있는 중공의 원통상 스터드(stud) 10의 형상으로 원형 형상 및 관형부의 기체벽 9를 갖고 있다.
그 스터드 10의 내부 12는 개방되고 그 기체벽 9에서 떨어져 있는 스터드 10의 외측단 13에 가까이 있다. 원둘레 스냅연결 비이드(circumfedential snap engaging bead) 14는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알몸체 패스너부분 2와 협동하여 결합되게 외측단 13에서 스터드 10의 외측면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성부재 5에는 핀 6과 캠플랜지 15가 있어 그 캠플랜지는 핀 6의 일단에서 원형상으로 되어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핀 6의 말단 16은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형성되어있어 직물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를 관통시킬 수 있으므로 예비형성 구멍의 필요성을 제거시켜 그와같은 직물재료에 패스너 구성부재를 부착시킬 수 있다.
특히, 도시된 구조에서 그 뾰족하게 형성되어있거나 원추형으로 된 말단 16은 다수의 요홈(groovesor flutes) 16a를 구성하고 그 요홈에는 핀 6의 길이방향으로 단부 16b를 형성한다.
요홈 16a과 단부 16b는 제10도 및 제11도에서와 같이 4개의 요홈 16a와 4개의 단부 16b를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패스너가 시이트재료 7 또는 8에 사용될 경우 그 말단 16은 그 시이트재료를 관통시켜 단부 16b는 핀 6이 그 시이트재료를 관통하여 계속적으로 관통할 수 있게 그 시이트재료를 절단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같은 배치에 의해 그 패스너는 가죽, 비닐 및 다층면 등의 각종 재료에 이용할 수 있다.
핀 6은 그 시이트의 재료 8을 관통하여 돌출됨으로 캡슬랜지 15가 그 시이트재료 8의 일측에 대해서 지지된다.
숫몸체작동구성부재 4의 기체벽 9 또는 핀 6을 받아들이는 중심개구 17을 가져 그 기체벽 9는 핀 6상에 위치되고 시이트재료 8의 대향측과 결합된다.(제6도 참조).
이 위치에서 핀 6의 말단부분 18은 스터드 10의 내부로 돌설되고 그 말단부분 18을 변형시킴으로써 두 구성부재 4와 5는 함께 고정되어 그 개구 17을 통하여 다시 빼낼 수 없도록 한다(제7 및 제9도 참조).
그 시이트재료 8은 따라서 작동구성부재 4의 기체벽 9와 고정부재 5의 캡플랜지 15사이에서 꽉 잡히게 된다(captured).
두 구성부재 4와 5 사이에서는 시이트재료 8을 고정시켜 클램프(clamp)하도록 재료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구조에서 그 재료고정부재에는 시이트재료 8과 결합하는 기체벽 9의 외측면 20에서 축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서 작동구성부재 4의 몸체주위에 형성된 원주형상 플랜지 19가 있다.
그 외측면 20의 반경방향 외측부분 21은 다음에 설명하는 이유 때문에 그 플랜지 19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특정구조에서는 짧은 스커트부분(short skirt portion) 22가 그 플랜지 19의 주변에 형성되어 기체벽의 외측면 20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 구성부재 5에는 그 재료 고정부재의 다른 한 부분을 갖고 있어 도시된 구조에서는 캡플랜지 15의 주변에 형성되고 핀 6의 방향으로 형성된 축방향 돌출립 23을 갖고 있어 도시된 구조에서는 캡플랜지 15의 주변에 형성되고 핀 6의 방향으로 형성된 축방향 돌출립 23을 갖고 있다.
제9도에서와 같이 두 구성부재 4와 5가 함께 고정될 때 시이트재료 8의 간삽부분은 그 스커트부분 22와 그립 23사이에서 클램프되고 클램프작동을 증가시키도록 그 외측면 20과 결합함으로써 평편한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밀어낸다.
이와같은 배치에 의해 시이트재료 8과 부착된 패스너 부분 1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태운동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따라서 그 재료 8의 피로파괴(fatigue failure)의 가능성을 최소화 한다.
그시이트 고정부재는 다른 형태로 구성시킬 수 있다. 캡플랜지 15는 결합위치에서 탄성비틀림(resilient distortion)을 하도록 하는 유연성도 갖고 있다. 이때문에, 그 플랜지 15는 핀 6이 고정상태에서 변형된다음 시이트재료 8에 텐션(tension) 상실을 보상하는 격막효과를 갖도록 디쉬(애노) 형상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조에서는 적어도 그 플랜지 15의 주변부분 24를 구성시킴으로써 위의 효과가 달성된다. 따라서 그 주변부분 24는 핀단(pin end) 16방향으로 외향지게 경사져 있다.
이와같은 배치에 의해 두 구성부재 4와 5 사이의 시이트재료 8을 단단히 클램프 할 수 있다. 알몸체부분 2의 작동구성부재 3은 도시된 바와같이 기체벽 25와 그 벽 25의 일측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관상부분 26을 갖고 있다.
그 관상부분 26은 숫몸체부분 1의 스터드 10을 받아들이는 개방공동(open-mouthed cavity) 27을 형성한다.
제1도에서와 같이 원둘레형상요홈 28은, 스터드비이드 14와 협동하도록 그 개방공동면의 안쪽 축방향에서 간격을 둔 위치에 그 공통 27의 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다른 비이드결합부재를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 및 제4도의 구조에서는 다수의 립부분(lip section) 29가 공동 27의 개구 주위의 원주에 따라 배열되어 비이드 14와 결합되어 있는 스냅부재를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립부분 29가 있으나, 다른 적당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각 립부분 29는 공동개구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립부분 29의 원주길이의 거의 중간영역 30에 최대 반경의 대향돌출부를 가진다.
즉, 립부분 29의 반경돌출부는 중간영역 30의 각 측면상에서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사실상 0(zero)로 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인접한 립부분 29의 인접한 단부 사이에는 공간 31이 있고, 또 하나의 립부분 29는 다른 립부분으로 연속되어 있다.
전자의 경우 각 요홈 시그멘트(groove segments) 32(제4도)는 각 립부분 29 아래에 있으나, 후자의 경우에는 깊이를 달리한 연속요홈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배열은 각 립부분 29가 변형되어 스터드 10를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관상부분 26은 그 직경을 확대할 수 있으나, 중요한것은 아니다. 또, 립부분 29를 사용함으로써 결합된 패스너 구성부재 3와 4를 꼭 끼게 하며, 따라서 패스너의 조립을 돕는다. 암몸체부분 2의 고정구성부재 5는 숫몸체부분 1에 대한것과 동일한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동구성부재 3의 기체벽 25는 고정구성부재 5의 핀 6을 받아들이는 중심개구 33을 가진다. 또 앞서 설명한 재료고정부재는 암몸체부분 2상에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동구성부재 3은 그 구성부재 4에서와 같은 원주형 플랜지 34와 스커트부분 35를 형성하며, 그 기체벽 25의 외측면 36은 스커트부분 35에서 축방향으로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각 패스너부분 1 및 2는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각각 시이트재료 8 및 7의 각 부분에 고정된다.
즉, 고정핀 6은 작동구성부재 4 또는 3 각각의 기체벽 9 또는 25를 관통하여 돌출된 다음 그 단말부분 18에서 변형 또는 평편하게되어 기체벽 9 또는 25의 내면에 대하여 지지된다.
암몸체 패스너부분 2의 경우 변형정도는 핀 6의 변형부분 18이 스터드 10의 구멍(bore) 12내에 꼭 끼워지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암몸체부분 2의 스터드 10과 공동 27은 스터드 비이드 14가 립부분 29에서 떨어져 결합하여 걸리도록 하는 칫수의 크기이다.
이와같은 조건에서 원주형상 플랜지 19와 34의 대향면 37과 38은 면과 면의 결합으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스너부분 1 및 2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경우 그 재료의 고유탄성으로 인하여 반복해서 결합 및 해체를 할 수 있다.
패스너부분 1 및 2를 결합 및 해체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각각 압축 또는 팽창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숫몸체 스터드 10과 암몸체 관상부분 26에 하나이상의 반경크기 슬롯을 구성키심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패스너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비교적 조작이 간단하며 패스터를 시이트 재료에 고정시킬 수 있다.
패스너부분 1 및 2를 고정시키는 방법 하나를 제5도 및 제8도에 나타내었다.
이 방법에서는 패스너부분 1 또는 2의 각 고정구성부재 5를 고정구(fixture) 39의 공동에 위치시켜 핀 6은 상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그 고정구 39는 경질 테이블섹션(table section) 40과 스프링 적재섹션(spring loaded locating section) 42를 구성하여 그 테이블섹션 40은 그 플랜지 15의 중심부분 41에 대하여 지지하며, 그 스프링 적재섹션 42는 그 고정구 공동에 주변을 형성하여 플랜지의 외측 주변부에 결합된다.
고정구성부재 5가 그 고정구 공동에 먼저 위치될때 앞서 설명한바와같이 활 또는 접시형상의 구조(제5도 및 제8도)를 가진다.
작동구성부재 4(제5도 내지 제7도) 또는 3(제8도)은 고정구 39와 일열로 배열되어 그 상부에 위치한 다른 고정구 43에 부착되어 있다.
그 고정구 43에는 스프링 적재섹션 44가 있어, 그 섹션 44는 그 작동구성부재 4 또는 3을 마찰 결합에 의해 유지하도록 스터드보어(stud bore) 12(제5도 내지 제7도) 또는 공동 27(제8도)내에 꼭 끼워진 배럴파아트(barrel part) 45를 갖고 있다.
그 보어 12와 공동 27은 그 직경이 다르므로 각각 서로 다른 스프링 적재섹션 44을 필요로 한다. 그 스프링 적재섹션 44는 모루섹션(anvil section) 46상에서 활동할 수 있게(slidably) 위치되어있고, 그 모루섹션은 다음에 설명하는바와같이 고정핀 6을 결합 및 변형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패스너부분 1 및 2의 각 구성부재가 각각 그 고정구 39 또는 43에 의해 유지되거나 위치되고, 그 고정구 39와 43이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을 때 시이트 재료 7 또는 8의 섹션(section) 하나가 고정핀 6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하도록하여 립부분 29와 43 사이의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다.
고정구 29와 43이 서로다른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핀 6이 시이트 재료 7 또는 8과 결합하게 되고, 그다음 핀 6이 그 시이트재료 7 또는 8을 관통하게 한다.
이때 시이트재료 7 또는 8의 일측면은 작동구성부재 기체벽 25 또는 9의 외측면 36 또는 20에 대해서 지지되고 핀 6은 그 기체벽 25 또는 9의 중심개구 33 또는 17로 관통한다.
그다음 플랜지 15의 립 23은 시이트재료 7 또는 8의 대향측면과 결합하여 그 시이트가 기체벽 25 또는 9각각의 외측면 36 또는 21을 덮도록 한다.
위의 조작을 진행시킴으로써 시이트재료 7 또는 8을 덮은 부분에 형성된 텐션(tension)으로 캡플랜지 15가 평편하게 된다(제6도 및 제7도).
즉, 플랜지 15의 외측단 부분이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고정구 39의 스프링 적재섹션 42의 스프링에 의해 이 운동을 하도록 한다.
제6도에서는 스프링적재섹션 44의 스프링에 의해 그 모루섹션 46이 고정핀 6의 방향으로 운동을 계속하여 그 고정구 43의 스프링 적재섹션 44는 고정구 39의 그 테이블섹션 40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단계로 되며, 작동의 최종단계에서는(제7도) 모루섹션 46이 핀 6의 종단부분에 지지되고 측면으로 그 종단부분을 변형시켜 두 구성부재 5와 3 및 4를 동시에 고정시킨다.
고정구 39와 43이 따로 떨어져 작동될 때 변형 핀 6의 클램프 효과에 대한 어떠한 이완(relaxation)도 플랜지 15에서 형성된 바이어스(bias)에 의해 보상된다.
그 플랜지 15는 이완되어있고 사발형상내에 담겨진 상태에서 평편하게 되어 결국 작동구성부재 3 또는 4의 스커트부분 35 또는 22와 립 23 사이에 걸려 차단된 시이트재료 7 또는 8 부분에 대해 압력을 유지한다.
고정구는 앞서 설명한바와같이 필요하지 않으며 또 상대적으로 위치시킬 필요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로, 스프링 적재섹션은 유체압 또는 다른 적당한 바이어스부재에 의해 대치시킬 수 있다.
둘째로, 앞서 설명한 최상부에 위치시킨 고정구가 그 최하부 고정구로 될 수 있고, 또 그 고정구는 상하 위치보다 오히려 측면위치에 따라 설치시킬수도 있다.

Claims (16)

  1. 숫몸체부분(male part)과 암몸체부분(female part)을 포함하여 각각 이들의 부분이 플라스틱재로 형성되고, 작동구성부재와 고정구성부재를 구성하여 각 작동구성부재는 관통개구를 가진 기체벽과 그 개구를 포위하고 그 기체벽 일측에서 돌출되어있는 관상부(tubular portion)를 가지며, 각각 그 작동구성부재의 관상부분은 다른작동구성 부재의 그 대응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걸리게하고, 각각 그 고정구성부재는 그 일단에 핀과 캡플랜지를 가져 그 핀은 그 작동구성부재의 개구를 관통할 수 있게 하며, 그 핀의 말단부분이 그 기체벽의 일측면에서 떨어져 위치하게하고, 그 말단부분은 이와같이 위치될 때 변형되어 두 구성부재를 분리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snap fastener).
  2. 제1항에 있어서, 숫몸체부분의 관상부분은 기체벽에서 떨어진 단부에서 그 외측면 주위에 형성된 원주형상 비이드(bead)를 가진 중공의 원통상 스터드이며, 암몸체부분의 관상부분은 그 내부로 그 스터드를 받아들이도록 하고 스냅(snap)이 비이드와 결합하는 그 내부면 고정부재상에서 그 숫몸체와 암몸체부분의 축방향분리를 방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
  3. 제2항에 있어서, 내부면 고정부재는 그 내부면내에 형성된 원주형 요홈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
  4. 제2항에 있어서, 내부면 고정부재는 내부면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 스냅이 그 비이드와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립 섹션(lip section)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
  5. 제4항에 있어서, 각 스립섹션은 그 원주면 길이의 거의 중간에 위치한 최대 직경의 대향돌출부 영역을 가지며, 그 돌출부의 범위는 그 영역의 각 측면에서 점진적으로 감소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
  6. 제4항에 있어서, 립섹션은 원주상에서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둠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 구성부재의 형상은 각부분(암 및 숫몸체부분)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
  8. 작동구성부재와 고정구성부재를 포함하며, 위 두 구성부재가 플래스틱제로 형성되고, 작동구성 부재는 관통개구를 가진 기체벽과, 그 개구를 포위하고 있으며, 그 기체벽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있는 관상부분을 가지며 스냅 연결부재는 그 관상부분에 형성하고, 그 고정구성부재는 그 일단부에서 핀과 캡플랜지를 가져 그 핀은 개구를 관통하는데 적합하게하여 그 말단부분이 그 기체벽의 일측면에서 떨어져 위치하고, 그 말단 부분은 이와같이 위치될 때 변형되어 위 두 구성부재를 분리시켜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부분.
  9. 제8항에 있어서, 핀의 말단부분은 시이트재료를 관통시키는데 적합하도록 경사지게 구성시켜 캡플랜지와 기체벽 사이에 간삽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패스너부분.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이 경사진 말단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패스너.
  11. 제8항에 있어서, 재료 파지수단(material gripping means)이 위 구성부재의 대향면 사이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 부분.
  12. 제8항에 있어서, 캡플랜지는 원형상이며 립은 그 주변주위에 형성되어 핀과 동일하게 플랜지의 동일축면에서 떨어져 돌출되고, 그 플랜지의 적어도 주변부분은 핀의 말단부를 방향으로 외향지게 경사져 있음을 특징으로 한 스냅패스너부분.
  13. 제8항에 있어서, 스냅 결합수단은 그 관상부분의 내면상에 구성되어 그 내면주위에서 원주면에 따라 배치된 다수의 립섹션을 구성하며, 각 립섹션은 그 원주길이의 거의 중간에 위치된 최대직경의 내향돌출부 영역을 가지며, 그 돌출부의 범위는 그 영역의 각 측면에서 점차적으로 감소됨을 특징으로 한 스냅패스너부분.
  14. 핀에 의해 시이트재료를 관통시키고, 작동구성부재를 그 핀위에 위치시켜 그 시이트재료가 캡플랜지와 기체벽 사이에 간삽되며, 그 핀이 그 개구를 관통하여 돌출시켜 그 말단부분이 기체벽의 일측면에서 벌어져 돌출되며, 그 핀의 말단에 압력을 가하여 핀이 그 개구에서 밖으로 인출될 수 없도록한 범위까지 변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부분을 시이트재료 일부분에 부착시키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캡플랜지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분이 그 핀의 말단방향에서 외향지게 경사지고, 축방향의 압력을 두 위구성부재에 가하여 동시에 두 구성 부재를 압압하고, 그 플랜지의 경사를 변형에 의해 감소 또는 제거시키며, 그 축방향 압력은 핀의 말단을 변형할 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패스너부분을 시이트재료 일부분에 부착시키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각 구성부재는 고정구상에 위치되어 있고, 고정구성부재 고정구는 캡플랜지의 외측면에 대하여 그 면의 중앙에서 지지되는 평편한 테이블섹션(table section)과, 캡플랜지의 주변부분에 대하여 지지되는 스프링 적재섹션을 가지며, 그 작동구성부재 고정구에는 관상부분내에 위치되어 기체벽의 일측면에 대하여 지지되어있는 리테이너(retainer)와, 핀의 말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리테이너의 축공(axial bore) 내에서 활동(slide)할 수 있는 모루(anvil)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스냅패스너부분을 시이트재료 일부분에 부착시키는 방법.
KR1019830005411A 1982-11-23 1983-11-15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및 그 부착방법 KR880000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F6931 1982-11-23
AUPF693182 1982-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606A KR840006606A (ko) 1984-12-01
KR880000222B1 true KR880000222B1 (ko) 1988-03-15

Family

ID=376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411A KR880000222B1 (ko) 1982-11-23 1983-11-15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및 그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2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606A (ko) 198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017B2 (en) Grommet for metal stud
KR950007167B1 (ko) 공기스프링 단부재 및 공기스프링 조립체
JP3542606B2 (ja) ポジィティブ・ラッチ・クイック・コネクタ
KR850000877Y1 (ko) 단추
US9631653B2 (en) Push-in fastener
JP2005530575A (ja) 布地用スナップファスナー
KR940009569A (ko) 파형의 가요성 관용 조인트
US7617575B2 (en) Water migration resistant snap fasteners
US6494494B2 (en) Coupling assembly
KR950003646A (ko) 슬롯이 제공된 원추형 스프링와셔를 포함한 체결부재 및 체결방법
GB2052000A (en) Bowden cable fastener assembly
US2631047A (en) Hose coupling
US5040829A (en) Hose coupling
US3205759A (en) Two-piece molding fastener
KR880000222B1 (ko)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및 그 부착방법
US6095569A (en) Plug-in coupling for pressure fluid systems
US4562626A (en) Snap fastener and method of attaching same
US4978149A (en) Hose coupling
CN114484119A (zh) 一种充气管座连接装置
US4630800A (en) Sealing arrangement for a slide valve
KR20040045453A (ko) 연결조립체
US3002246A (en) Capped prong rings
CA1268930A (en) Method of attaching a snap fastener to sheet material
NZ204738A (en) Snap fastener and part therefor
CN217239627U (zh) 动力电池与车身的连接结构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