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107B1 - 유지분리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유지분리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107B1
KR880000107B1 KR1019840006636A KR840006636A KR880000107B1 KR 880000107 B1 KR880000107 B1 KR 880000107B1 KR 1019840006636 A KR1019840006636 A KR 1019840006636A KR 840006636 A KR840006636 A KR 840006636A KR 880000107 B1 KR880000107 B1 KR 88000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longitudinal axis
plate
throttl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046A (ko
Inventor
도시히로 히가시노
히로후미 마쓰나가
다까히로 나까니시
요시히로 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라꼬
구라하시 시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라꼬, 구라하시 시계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라꼬
Priority to KR101984000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107B1/ko
Publication of KR86000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지분리 회수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유지분리회수장치(油脂分離回收장치裝置)의 일부파단 사시도.
제2도는 이 유지분리회수장치의 전개도.
제3도는 이 유지분리회수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5-5선 단면도.
제6도는 상기 분리회수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유지분리회수장치가 일렬로 배치된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의 사시도.
제7도는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를 이용한 주방용 배기장치의 일부파단 사시도.
제8도는 상기 주방용 배기장치의 다른 사시도.
제9도는 상기 주방용 배기장치의 수직 단면도.
제10도는 주방용 배기장치 편향부재의 넓은 부분에 유지가 부착된 것을 설명하는 도.
제11도는 상기 주방용 배기장치의 변경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12도는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에서 인접한 유지분리회수장치까지 연장되어 2개의 경사진 조절판을 형성하는 ㄱ자형 판의 정면도.
제13도는 상기 ㄱ자형 판의 측면도.
제14도는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에 이용되어 이 조립체를 상응하는 숫자의 유지분리회수장치로 분리시키는 격벽의 정면도.
제15a도 및 제15b도는 각각 제14도의 15A-15A 선 및 15B-15B선 단면도.
제16도는 상기 유지분리 회수장치 조립체의 정면도.
제17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지분리회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18도는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의 평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19-19선 단면도.
본 발명은 유지분리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용 배기장치내의 뜨거운 증기가 많이 포함된 배기류에서 유지나 기름증기를 제거시키는 개량된 유지분리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배출되는 연기에서 유지나 기름입자를 제거하는 유지분리회수장치는 여러가지가 제안되어 왔다. 종래의 유지분리회수장치중에서 유지나 기름입자를 제거하는데 원심력을 이용하도록 설계된 분리 회수 장치가 개선된 유지 제거효과로 인하여 그물형 분리회수장치 대신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3,870,494호(Doane), 제3,566,585호(M.A.Voloshen)에 의하여 공개된 원심력을 이용한 종래의 배출기에는 꼬불꼬불한 유로를 형성시키는 조절판이 설치되어 원심력이 작용하여 유지입자가 바깥쪽으로 쏠리면서 연기로 부터 제거되어 수집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유로는 연기가 이용하는 꼬불꼬불한 통로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내에 있게되므로 원심력의 작용이 이 평면내에서만 제한되어 상기 분리회수장치가 더 높은 유지 여과 효율을 갖지 못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3,890,124호(Howes)에 공개된 개량된 유지분리회수장치가 았는데 여기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양단이 개방된 조절판으로 이루어진 와류발생기가 포함되어 연기가 그 구부러진 내면을 따라 흐를때 실질적으로 나선형인 경로를 따라 배출되는 연기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런 와류발생기로는 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모든 연기에 그 전체경로를 통하여 소용돌이 운동이 발생하는 것을 항상 기대할수는 없을뿐만 아니라, 이와같은 소용돌이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와류발생기의 길이가 상당히 길 것이 요구된다.
사실상 도입되는 연기의 일부는 와류발생기를 통과한 후 소용돌이가 발생하지 않은채 출구의 세로방향 끝쪽으로 나가고 와류발생기의 길이가 짧을수록 이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그러므로 상기한 유지분리회수장치는 여과효율은 높지만 특히 길이의 관점에서 볼 때 크기를 작게 할수가 없다. 또, 와류발생기의 단면은 비록 그 내부공간이 크기는 하지만 세로방향의 끝에 있는 출구의 하나를 향하여 흐르는 연기흐름 하나만이 와류발생기의 단면에 부딪치므로 이 또한 유지분리회수장치의 크기를 줄이는데 방해가 된다. 이상의 관점에서 볼때, 보다 증가된 여과효율을 갖게 하고 상용될 재료를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크기가 작은 분리 회수장치내로 도입되는 연기에 소용돌이 운동을 발생시키는 강제적 수단을 갖는 유지분리회수자치가 필요하다.
이상의 결점들은 본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주방으로부터 도입되는 연기전체에 소용돌이 운동을 일으키는 강제적인 수단을 갖고 간결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 유지분리 회수장치에 의해 없앨수 있다.
본발명에 의한 유지분리회수장치는 새로축을 갖는 통(barrel)과 이 통속에서 세로축에 대하여 각도차이를 두고 배치된 여러개의 경사진 조절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진 조절판들은 세로축에서 서로 교차되어 서로 각도차이를 두고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통속에서 상기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된 여러개의 유로를 형성시킨다.
상기 유로의 입구와 출구는 각각 통의 상하부에서 세로축에 대하여 각도차이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주방내의 유지를 포함한 연기가 적절한 배기용 팬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유지분리회수장치에 도입되면, 연기는 유로를 통과함에 따라 속도가 계속 변화하여 전체 유로내에서 원심력을 받고 연기속의 유지나 기름입자는 조절판과 통의 내벽에 충돌하여 기에 부착된다.
여러개의 유로가 통속에서 형성되도록 하고 또 강제적으로 연기의 속도를 변화시킬수 있게 실질적으로 나선형인 유로가 형성되도록 경상조절판과 통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한정된 통의 공간대부에서 유지입자가 연기와 분리될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여 유지의 과효율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인 간결한 구조로 높은 유지 여과효율을 갖는 유지분리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므로 각각의 유로외측에는 통의 내측 모서리부분이 포함되어 여기에서 각 유로의 반경이 갑자기 변하게 된다. 이때문에 연기의 흐름방향이 갑자기 변할 뿐만 아니라 유로내에서 난류(turbulence)가 발생하여 내측 모서리면에서 유지입자가 추가로 부착되는 동시에 연기중에 떠있는 미세한 유지 입자들이 응집이 촉진되어 잘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로는 상응하는 수의 경사조절판과 하나의 통만으로 형성되고 다른 부재는 필요없기 때문에 유지분리 회수 장치를 최소한의 부재로써 쉽고 값싸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로 제작할수 있으며, 효율이 유지분리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뿐만아니라, 통이 사각형이므로 여러개의유지분리 회수장치를 옆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요리장소에서 배기덕트까지의 배기경로의 전체폭을 충분히 감당할수 있게 하는데도 유리하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특징적 장점은 여과되어 액체상태로된 유지를 모으는 저장조가 각 경사조절판의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저장조는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고 각 저장조의 하부에는 통의 내면으로 부터 거리를 두고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착된 유지를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추가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를 갖는 유지분리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는 배기통로의 전체폭을 감당할수 있도록 분리회수장치들을 나란히 옆으로 정렬 배치시켜 분리회수장치 조립체를 구성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이 경우에 분리회수장치들의 조합된 조절판은 도입되는 연기흐름을 방해하여 연기속도를 감소시키고, 모든 분리회수장치에 걸쳐 연기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모든 분리회수장치의 도입된 연기로부터 유지입자를 제거하는 효율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고 전체 조립체를 통과하는 연기로부터 제거되는 유지입자의총량이 증가된다.
편향부재가 조립체의 한쪽 상단에서 모든 유지분리회수장치의 상면 위에 걸쳐 각도를 두고 연장되어 상기 분리회수장치조립체와 함께 바람직하게 사용될수 있다. 이런 편향부재는 연기의 흐름방향을 수평으로 바꾸어 연기의 흐름방향이 아래로 되어 각각의 유지분리회수장치를 통과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연기가 유지분리회수장치로 도입되지전에 그 표면에서 유지입자를 수집할뿐만 아니라 도입되는 연기를 감속 확산시킨다.
본발명의 다른 특징은 통의 근처에 분사 세척수단을 설치하여 통의 내면과 경사조절판의 표면에 수집된 유지를 때때로 청소할수 있다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제1도내지 제5도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지분리회수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유지분리회수장치(1)는 대향측벽(2a)과 대향끝벽(2b)으로 이루어진 통(2)으로 구성되어 길이를 따라 균일한 사각형 단면으로 가진다. 한쌍의 경사진 조절판(10)이통(2)내에 통(2)의 꿀벽(2b)에 대하여 제1도에서(A)로 표시된 각동(20내지 70도, 바람직하게는 30내지 60도)로 설치되어 통(1)의 내벽과 함께 그 사이에 2개의 나선형 유로(3)를 형성한다.
각 경사조절판(10)은 곧은 상하단(11, 12), 곧은 측단(13), 노치가 있는 측단(14)을 가진 실질적으로 평평한 판이다.
각 조절판(10)의 상하단(11, 12)은 대향 끝벽(2b)의 내면과 밀착되어 있다. 용접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밀착은 조절판(10)과 통(2)의 연결부를 통하여 연기가 세는 것을 막는데 필요하다. 경사진 조절판(10)의노치가 있는 측단(14)의 꼭지점은 다른 조절판의 꼭지점과 통(2)의 세로축(C)에서 교차되어 서로 각도차이를 두고 경사진 조절판(10)의상반부가 다른 조절판(10)의 하단부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하여 통(2)의 내부에 그세로축(C)을 중심으로 한쌍의 나선형 유로(3)가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진 조절판(10)에는 반경이 조절판(10)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더 큰 고정구멍(15)이 꼭지점에 있다. 경사진 조절판(10)이 서로 결합될때는 고정구멍(15)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조절판(10)이 소정의 각도 관계를 갖게 한다.
상기 유로(3)는 통(2)의 상단부에서, 세로축을 중심으로 각도를 두고 간격이 있게 설치된 한 조절판이(10)의 노치가 있는 측단(14)의 상부와 다른 조절판(10)의 상면상이에 각각 형성된 입구(4), 통(2)의 하단부에서 마찬가지로 세로축을 중심으로 각도를 두고 간격이 있게 설치된 한 조절판(10)의 노치가 있는 측단(14)하부와 다른 조절판(10)의 하면사이에 각각 형성된 출구(5)를 갖고 있다.
상기 경사진 조절판910)의 하부에는 대응하는 끝벽(2b)의 내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진 저장조(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장조(16)는 경사조절판(10)을 이루는 실질적으로 평범한 판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구부려서 만들고, 곧은 하단(12)이 위치하는 사각형 통(2)의 끝벽(2b)에 일반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만들어 진다. 제5도에는 각 저장조(16)의 상단은 측벽(2a)의 하나와 연속되고 각 저장조의 하단은 다른 측벽(2a)과 간격이 있어 이 사이에 배출공(17)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거된 유지는 저장조(16)를 따라 흘러내려 상기 배출공(17)을 통하여 방울방울 떨어진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경사진 조절판(10)으로 최적 유지여과 효율을 얻을수 있지만, 저장조(16)는 곧은 하단(12)과 고정구멍(15)사이 임의의 위치에 형성시켜도 된다.
이하 유지가 함유된 연기에서 유지가 제거되는 기구(mechanim)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우수한 유지 제거기구를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유지가 함유된 연기의 운동에 관련된 몇가지 기본적 전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지가 함유된 연기는 분산매가 기체이고 분산질 또는 에어로졸 입자가 액체 유지입자인 분사계로서 일종의 에어로졸로 생각할 수 있다. 요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중에 포함된 에어로졸 입자 또는 유지입자의 직경은 0.01 내지 10미크론의 넓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직경이 1미크론 이상인 비교적 큰 에어로졸 입자는 정상적 공기역학적 운동을 하고, 원심력등과 같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가속력의 영향을 받기 쉬워 이같은 힘을 작용시켰을때 공기로부터 비교적 쉽게 제거된다. 반면에 직경인 1미크론보다 작은 미세한 에어로졸 입자는 상기 가속에 영향을 받지 않고 브라운운동이라고 불리는 불규칙한 운동을 하므로 원심력등만을 가해서는 공기나 연기로부터 제거하기 힘들다.
상기한 큰 입자들은 유선을 따라 정상적으로 흐르다가 조절부재와 같은 장애물의 의하여 흐름방향이 갑자기 바뀌면 이런 입자들은 방향변화를 따르지 못하고 입자의 일부가 장애물에 부딪쳐 그곳에 부착된다.
상기한 큰 입자들은 또 가속도의 영향도 받게 된다. 예를 들면, 각 속도를 갖고 회전 운동하는 기류속에 떠 있는 입자들은 원심력의 작용으로 인하여 반경향으로 바깥쪽으로 밀려나가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반면에 상기 미세한 입자들은 외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가해지는 외력에 관계없이 이탈하지 않고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른다. 그러므로 이러한 미세한 입자들은 장애물의 표면에 거의 부착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세한 입자들은 브라운 운동을 하면서 서로 충돌하여, 기류로부터 쉽게 이탈될수 있는 큰 입자로 응집된다. 그러므로 공기중의 미세입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미세입자들의 충돌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브라운운동을 하고 있는 미세입자 또는 에어로졸 입자의 운동에 대하여 고려해불때 미세한 입자의 충돌한 기회는 이들의 공기분자와 충돌하는 기회가 증가할 때에 증가한다.
이 사실로부터 공기분자가 미세한 입자들과 충돌한 기호가 많은 난류상태의 기류내에서 미세입자들끼리의 충돌기회가 증가하고 이런 입자들은 공기나 연기로부터 제거하는데는 미세입자들이 포함된 공기를 난류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우지가 포함된 연기가 강제배기에 의하여 통(2)속으로 도입되면, 연기는 유로(3)를 통과하는 동안 속도가 계속 변하면서 나선형으로 회전하고 흐름방향 또는 원심력이 항상 변하므로 연기중의 큰 유지입자들은 연기로부터 분리되어 통(2)의 내면 또는 경사진 조절판(10)에 부착된다. 뿐만 아니라, 유로(3)를 따라 나선형으로 흐르는 연기는 통(2)의 내부 모서리부분을 지날때 나선운동의 반경이 급격히 바뀌어 이같은 모서리부분에서는 난류상태로 된다. 이 난류로 인하여 미세한 입자들의 응집이 촉진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세한 입자들을 큰 입자로 만들어 그후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쉽게 부착되도록 하여 공기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따라, 큰 입자와 미세한 입자 모두 연기로부터 잘 제거되므로 유지여과 효율이 증가하는 것이다.
제6도는 상기 유지분리 회수장치(1)의 전형적인 응용예를 보여주는데, 위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 유지분리회수장치를 여러개 일렬로 배치하여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20)를 형성시킨 것이며 이는 주방용 배기장치(22)의 배기덕트를(21)에 설치된 것이다.
이 조립체의 기능은 상기 분리회수장치(1)를 여러개 옆으로 나란히 배치시킨 것과 같으나 이 조립체가 인접한통(2)과 공통된 측벽을 가진 것이 다르며 구조의 상세한 특징은 제12도에 내지 16도를 참고로 후에 설명할 것이다.
제7도에는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20)가 주방용 배기장치(22)에 설치된 것이, 제8도에는 이 주방용 배기장치(22)의 일반적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같이 주방용 배기장치(22)는 하우징(23)과 앞쪽의 통로(24)및 배출덕트(25)로 이루어진다. 후드(26)가 하우징(23)으로부터 앞족의 통로(24)전방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요리하는 곳의 일부까지 돌출되어 여기서 나오는 증기 및 연기를 후드(26)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진 입구를 통하여 받아들이게 되어 있다.
유지분리회수장치(20)는 그 상단이 앞쪽의 통로(24)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3)는 그 상단이 앞쪽의 통로(24)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3)내에 설치되어 있다.
편향부재(27)가 위를 향하여 앞쪽으로 유지분리회수장치조립체(20)의 후방 상단에서부터 상기 앞쪽의 통로(24)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입구 조절판(28)이 상기 앞쪽 통로(24)의 하단부에서부터 편향부재(27)와 반대방향으로 편향부재가(27)의 앞까지 간격을 두고 그 사이에 상기 조립체(20)의 각 유지분리회수장치(1)의 입구로 통로를 형성시킨다.
제9도는 주방용 배기장치(22)의수직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간판(30)이 앞쪽의 통로(24)로부터 약간 들어간 곳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우징(23)내에 상기 앞쪽의 통로(24)에서 부터 밑으로 향하는 유로(31)와 상기 밑으로 향하는 유로(31)의 하부로부터 상기 배출덕트(25)까지의 위로 향하는 유로(32)로 이루어진 U자형 배기덕트(21)를 형성한다. 유지가 포함된 연기를 앞쪽의통로(24)를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21)로 끌어들이는 배기용 팬(도시되지 않음)같은 강제 송풍수단이 배출덕트(25)의 옆에 설치되어 있다.
유지분리 회수장치 조립체의 아래쪽에는 한 쌍의 물림판(33,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중간판(30)과 하우징(23)에 설치된 대응하는 물림 플랜지(35a, 35b)와 맞물려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를 제자리에 위치시킨다. 또 물핌판(33,34)은 조립체(20)와 하우징(23)의 경사진 바닥(36)사이에 있는 조립체(20)의 하류측 통로를 좁히는 역할도 한다.
배기웅 팬(도시되지 않음)이 작동하면 유지를 포함한 연기가 입구(29)를 통하여 후드(26)내부로 들어가서 도입된 유지가 포함된 연기(제9도에서 (F)로표시)는 입구 조절판(28)과 편향부재(27)의 조합에 의해 방향이 바뀐다. 유지가 포함된 연기의 방향이 바뀌므로 큰 입자와 작은 먼지들은 흐름 방향의 급격한 변화로 이들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영향으로 편항부재(27)에 부딪쳐 제거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유지분리회수장치조립체(20)가 일종의 장애물 역할을 하여 들어오는 연기가 감속되면서 조립체(20)의 전체폭에 걸쳐 넓게 퍼져서 유지를 포함한 연기가 조립체(20)의 전체폭(L)에 걸쳐 확산된다. 실제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큰 입자와 작은 먼지들은 편향부재(27)의 넓은 영역(W1)에 걸쳐 부착된다.
조립체(20)를 통과한후 떠 있던 유지입자의 대부분이 제거된 연기는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의 경사진바닥(36)에 충돌하여 위쪽으로 방향으로 바꾸고, 연기의 복잡한 방향변화로 난류의 영향으로 응집이 촉진되어 상기 경사진 바닥(36)에 쉽게 충돌하여 부착되고, 원심력이 영향으로 그 다음의 유로 즉, 위로 향하는 유로(32)의 내면에 부착된다.
또 단면이 일반적으로 ㄱ자형인 편향 앵글(37,38,39, angle)이 위로 향하는 유로(32)의대향면에서 뒤판(40)의 앞쪽과 중간판(30)이 뒤쪽에 엇갈리게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편향앵글(37,38,39)의조합은 상향유로를 따랄 꼬불꼬불한 유로를 형성시키는 연기는 각각의 편향앵글에서 흐름방향이 바뀌고 위로 흐르는 연기내에 아직 떠 있던 유지입자들은 원심력의 작용으로 제거되어 주고 앵글(37,38,39)의 아래쪽에 부착된다.
이상 설명한 여러 유지 여과가구(mechanis)의 복합적 작용으로, 종래의 장치로서는 주방에서 발생된 유지를 80%이상 제거하기 어려운데 비하여, 본 발명의유지 제거율은 최대 94.5% 평균93.5%가지 달하였다.
유지가 제거된 배출연기는 하우징(23)의 상부에 설치된 내화댐퍼(damper)판(42)이 설치되어 있다. 자동폐쇄장치(43)가 내화댐퍼장치(4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더어미스터(thermistor)나 열전 쌍등이 포함된 온도검출기(44)가 셔터판(42)의 약간 아래족에 위치하여 하우징(23)내부의 온도를 검출한다. 소정의 값보다 높은 이상 고온이 검출되면 전자기장치(45)가 작동하여 셔터판(42)을 닫아 화재가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밖에 더어미터같은 다른 온도검출기(46)가 그 검출단이 후드(26)안으로 노출된채 후드(26)의 상부판(26a)에 설치되어 있다. 온도검출기(46)가 이상고온을 검출하면 셔터판(42)이 다하는 동시에 소화노즐(47)로부터 소화액이 아래쪽의 요리하는 곳으로 분출된다.
세척노즐(48a,48b)은 세제가 포함된 온수와 같은 세척액을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세척액 파이프(49)를 통하여 세척노즐(48a,48b)은 적절한 타이머로 작동으로 작동시키거나, 매 요리의시작및/또는 끝에 수동으로 작동시킬수도 있다. 이렇게 세적함으로써 주바용 배기장치 내부와 청결을 항상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노즐(48a,48b)을 내부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질때도 액체를 분사하도록 해두면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세척후의 더러운 물의 하우징(23)의 바닥에 있는 배출구(51)를 통하여 하우징(23)밖으로 배출된다.
제11도에는 제6도내지 제10도애 도시된 상기 주방용 배기장치(22)를 개선시킨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개량된 장치에서는 조립체(20)의 뒷벽이 제9도와 중간판(30)을 구성한다.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20)의 하단에 있는 물림판(33,34)은 가로로 연장된 하부 고정파이프(52)와 하우징(23)의 앞쪽 하단에 있는 플랜지(35b)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였다. 유지분리 회수장치 조립체(20)의 뒷벽 상부는 평향앵글(39)을 통하여 가로로 연장된 상부 고정파이프(49)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체(20)를 하우징(23)으로부터 들어내면 하우징(23)의 내부가 넓어져 청소 및 점검이 용이해진다.
제12도 내지 제15도에는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20)의 부재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격판(63)에 의하여 제1도의 통에 해당하는 사각형 통(2)으로 구분되는 길다란 사각형 프레임과 나란히 배치된 통(2)에 있는 하나의 경사진 조절판(10)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어 2개의 인접한 통(2)속에서 경사진 조절판(10)을 이룬다.
다시말해서 판 부재(60)는 일체로 된 저장조(16)가 있는 2개의 경사진 조절판으로 이루어지고 곧운 상단(61)에서 직각으로 만나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하나의 ㄱ자형 판(60)을 이루는 2개의 경사진 조절판(10)에는 곧은 하단(11)에 아래쪽으로 연장된 다리(62)가 있다. 제14도에는 경사진 조절판(10)의 연장된 다리(62)를 받도록 된 한 쌍의 돌기(64)는 제15a도 및 제15b도에 도시된 것처럼 격판(63)과 일체로 형성되게 한다.
ㄱ자형 판(60)의 상단(61)은 각각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하는 격판(63)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고, 양끝에 있는 것을 제외한 각 통(2)에는 다른 ㄱ자형판(60)에서 연장된 한 쌍의 경사진 조절판(10)이 제1도의 통(2)과 동일한 관계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립체(20)의 양끝에 있는 통(2)에는 다른 조절판910)과 동일한 형상의 단일 조절판이 추각되어 ㄱ자형판(60)의 한 조절판(10)과 함께 조절판 구조를 완성시킨다. 경사진 조절판(10)과 통(2)의 내면사이는 점용접으로 밀봉되나, 확실히 밀봉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면 실리콘수지를 이용할수도 있다.
제17도 내지 제19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4장의 경사신 조절판(10)이 사용되어 4개의 나선형 유로(3)를 형성시킨다는 것만 제외하고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설명이 반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앞의 도면에서 사용된 부재번허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해당부품들을 나타내었다. 이 실시에에서도 통(2)은 대향하는 측벽(2a)과 끝벽(2b)으로 구성되어 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각각의 경사진 조절판(10)은 폭이 통(2)은 대향하는 측벽 및 끝벽(2a,2b)폭의 1/2인 짧은 상하단과, 길이가 통(2)의 깊이보다 긴 대향하는 측단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사각형인 판으로 만들어진다. 각 경사진 조절판(10)의측단 하나는 통(2)의 세로축에 대하여 각도를 갖고 그 전체길이에 걸쳐 각 측벽 또는 끝벽(2a,2b)과 밀착되고 짧은 상하단은 그 전체포게 걸쳐 각각 인접한 측벽(2a)또는 끝벽(2b)상하부의 내면과 밀착된다.
상기 4개의 경사진 조절판(10)은 다른 측단의 중간부에서 서로 교차하여 각 경사진 초절판(10)의 상반부는 인접한 조절판910)의 하반부와 간격을 두고 그 위에 위치하여, 통(2)의 내부에 상기 세로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된 4개의 유로(3)를 형성한다.
상기 유로(3)는 통(2)의 상단부에서 각각 중간에 위치한 한 조절판910)의 축단 상부와 인접한 조절판(10)의 상면으로 이루어진 입구(4)와, 통의 하단부에서 중간에 위치한 한 조절판(10)의 축단 하부와 인접한 조절판(10)의 하면으로 이루어진 출구(5)를 갖는다.유지를 포함한 연기가 통(2)속으로 강제로 도입되면 나선형 유로(3)를 지나면서 나선형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 실시예에서도 연기속에 포함된 유지는 제1실시예에서도 연기속에 포함된 유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이유로 충분히 제거된다.
뿐만 아니라 제1실시예에서 필요한 복잡한 절단부분이 없는 사각형의 판으로 나선형 유로를 만들 수 있다.
통의 형태는 오각형이나 육각형같은 다각형으로 할수도 있지만 다음의 이유로 사각형 통이 가장 바람직하다. 사각형 통에서는 나선형 유로를 흐르는 연기가 통의 모서리 부분을 지날 때 연기의 회전운동 반경이 갑자기 증가하여 미세한 유지 입자들이 원심력으로 작용으로 연기로부터 쉽게 분리되기 충분한 크기로 응집시키는데 바람직한 난류가 발생한 뿐만 아니라, 이외 칼은 모서리부가 연기의 흐름에 마주하고 있으므로 유지입자들이 여기에 부착되어 유지 여과효율이 증가한다. 이밖에도 사가형 통을 이용하면 주방용 배기장치의 배기덕트내에 통을 여러개 일려로 배치시킬수 있으므로 유지분리회수장치의 장착공간이 최소로 된다. 그러므로 사가형 통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다.
비록 본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달된 자는 본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을 가할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0)

  1. 세로축(C)을 갖는 통(2)과, 통(2)속에 상기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각동(180도)로 배치된 한쌍의 경사진 조절판(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진 조절판(10)들은 세로축에서 서로 교차되며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각도(180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통(2)속에서 상기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된 한쌍의 유로(3)를 형성시키고, 상기 유로(3)는 통(2)의 상단에서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각도(180도)로 각각의 입구(4)를 가지며 통(2)의 하단에서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각도(180도)로 각각의 출구(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배기시스템용 유지분리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벽(2a)과 대향하는 끝벽(2b)으로 구성되어 사각형 단면을 갖는 통(2)속에 한쌍의 경사진 조절판(10)이 배치되고 경사진 조절판(10)은 각각 곧은 상하부단(11,12), 곧은 측단(13)및 노치가 있는 측단(14)으로 된 평평한 판이며, 경사진 조절판(10)각각의 상하부단(11,12)은 대향하는 끝벽(2b)의 내면과 밀착되고 경사진 조절판(10) 각각의 곧은 측단(13)은 대향하는 측벽(2a)의 내면과 밀착되고, 경사진 조절판(10)의 노치가 있는 측단(14)의 꼭지점은 다른 조절판(10)의 상반부가 다른 조절판(10)의 하반부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하여 통(2)의 내부에 그 세로축을 중심으로 한쌍의 나선형으로 유로(3)가 아래쪽으로 연자되도록 하고, 한 조절판(10)의 노치가 있는 단의 상부와 다른 조절판910)의 상면 사이에 상기입구(4)들이 형성되고, 한 조절판(10)의 노치가 있는 단의 하부와 다른 조절판(10)의 하면사이에 상기 출구(5)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분리회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경사진 조절판(10)의 꼭지점에 고정구멍에 있어, 이 구멍이 서로 맞물려 조절판(10)이 세로측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각동(180도)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분리회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조절판(10)의 하부에는 대응하는 끝벽92b)의 내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진 저장조(16)가 형성되고, 각 저장조(16)의 상단은 측벽의하나와 연속되고 각 저장조(16)의 하단과 다른 측벽과 간격이 있어 이 사이에 배출공9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분리회수장치.
  5. 대향하는 측벽(2a)과 대향하는 끝벽(2b)으로 구성되어 사각형 단면을 갖는 통(2)속에 4장의 조절판(10)이 배치되고, 겨사진 조절판(10)은 각각 폭이 통(2)의 측벽92a)및 끝벽(2b)폭의 1/2인 짧은 상하단과, 길이가 통(2)의 길이보다 긴 대향하는 측단으로 이루어진 평평하고 사각형인 판으로 만들어지고, 각각의 경사진 조절판(10)의 측단 하나는 통의 벽면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를 갖고 그 전체길이에 걸쳐 각 측벽(2a)또는 끝벽(2b)과 밀착되고 짧은 상하단은 그 전체폭에 걸쳐 각각 인접한 측벽(2a)또는 끝벽(2b)상하부 내면과 밀착되며, 상기 4개의 경사진 조절판(10)은 다른 측단의 중간부에서 서로 교차하여 각 경사진 조절판(10)의 상반부는 인접한 조절판(10)의 하반부과 간격을 두고 그위에 위치하여 통(2)의 내부에 상기 세로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된 4개의 유로(3)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분리회수장치.
  6. 앞쪽의 통로(24) 및 배출덕트(25)가 있는 하우징(23) ; 하우징(23)의 내부에 상기 앞쪽의 통로(24)에서부터 밑으로 향하는 유로(31)와 상기 밑으로 향하는 유로(31)의 하부로부터 상기 배출덕트(25)까지의위로 향하는 유로(32)로 이루어진 배기덕트 ; 뉴지가 포함된 연기를 앞쪽의 통로(24)를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21)로 끌어들이는 배출덕트(25)의 엎에 설치된 모타구도의 배기팬 ; 밑으로 향하는 유로(31)의 전체폭에 걸쳐 연장되도록 여러개의 유지분리회수장치를 옆으로 나란히 배치시켜 이루어진 유지분릿회수장치 조립체(20)가 포함되고 ;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의입구는 위로 향하고 출구(5)는 아래로 향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의 각각은 세로축을 갖는 통(2)과 상기 통(2)속에서 상기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각도(180도)로 배치된 한쌍의 경사진 조절판(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진 조절판(10)들은 세로축에서 서로 교차되며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각동(180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통(2)속에서 상기 세로축을 중심으로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된 한쌍의 유로(3)를 형성시키고, 상기 유로는 통의 상단에서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각도(180도)로 각각의 입구(4)를 가지며 통(2)의 하단에서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각도(180도)로 각각의 촐구(5)를 가지며 ; 유지분리회수장치 조립체(20)의후방 상단에부터 위를 향하여 앞쪽으로 상기 앞쪽의 통로(24)의 상단까지 연장된 편향부제(27)와 상기 앞쪽의 통로(24)의 하단에서부터 편향부재(27)와 반대방향으로 편향부재(27)의 앞까지 간격을 두고 연장되어 앞쪽 통로(24)의 안쪽으로 향하는 입구를 형성시키는 입구조절판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방용 배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분리회수장치들이 인접한 유지분리회수장치들과 벽이 공통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옆으로 배치된 인접한 유지분리회수장치들 내에 한쌍의 경사진 조절판(10)을 이루는 ㄱ자형판(60)이 여러개 포함되고 상기 ㄱ자형판(60)은 2개의 경사진 조절판(10)이 곧은 상단에서 결합되어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고 각각이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한장의 금속판재로부터 제작되고, 상기 ㄱ자형판(60) 각각의 모서리부의 안쪽이 상기 공통벽의 상부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로 향하는 유로(32)내의 대향면에 3개의 편향앵글(37,38, 39)을 엇갈리게 설치하여 배출덕트(25)에 이르는 꼬불꼬불한 유로가 형성되게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유지분리회수장치를 포함하는 하우징(23)면에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하우징(23)내에 분사세척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방용 배기장치.
KR1019840006636A 1984-10-25 1984-10-25 유지분리 회수장치 KR880000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6636A KR880000107B1 (ko) 1984-10-25 1984-10-25 유지분리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6636A KR880000107B1 (ko) 1984-10-25 1984-10-25 유지분리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046A KR860003046A (ko) 1986-05-19
KR880000107B1 true KR880000107B1 (ko) 1988-03-12

Family

ID=1923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636A KR880000107B1 (ko) 1984-10-25 1984-10-25 유지분리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1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046A (ko) 198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7614A (en) Grease extractor
US4668256A (en) Liquid/gas separation
US3870494A (en) Grease filter for kitchen ventilators
US3771290A (en) Vortex de-aerator
EP1320706B1 (en) Device for a ventilation system
US62418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scrubbing contaminants from a gas flow
CN101528322B (zh) 具有油脂捕集器的冲击过滤器
US3865193A (en) Air scrubber apparatus with grease removal means
CA2475988A1 (en) Filter system for a range hood
US5112375A (en) Radial vane demisting system in a separator for removing entrained droplets from a gas stream
CA104695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from fluid
US4022118A (en) Kitchen ventilator grease extractor construction
US3490206A (en) Grease extractor for kitchen ventilating systems
US20150101589A1 (en) Cooking exhaust filter system
US4283209A (en) Separator for separating out particles of fatty substances from a gas current, more specifically from waste air from kitchens, and a waste air duct for the separator
EP0481336B1 (en) Free float steam trap
JP2005524819A (ja) 空気流から浮遊粒子を有効に分離するための装置
JP6970274B2 (ja) ガスの洗浄のための除塵装置
KR880000107B1 (ko) 유지분리 회수장치
EP0033801B1 (en) Scrubber utilizing wetted screens
GB2194180A (en) Liquid/gas separation
JP3070068U (ja) 厨房用グリスフィルタ―
CA2062339A1 (en) Fume purification system
KR20240021637A (ko) 공기정화용 유분포집장치
GB2248790A (en) Scrubbing exhaust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