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059Y1 - 아 일 릿 - Google Patents

아 일 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059Y1
KR880000059Y1 KR2019860010421U KR860010421U KR880000059Y1 KR 880000059 Y1 KR880000059 Y1 KR 880000059Y1 KR 2019860010421 U KR2019860010421 U KR 2019860010421U KR 860010421 U KR860010421 U KR 860010421U KR 880000059 Y1 KR880000059 Y1 KR 880000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let
stud
columnar
root
stu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337U (ko
Inventor
아끼히꼬 다까다
Original Assignee
스코오빌 · 저팬 가부시기가이샤
곤노 시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오빌 · 저팬 가부시기가이샤, 곤노 시게루 filed Critical 스코오빌 · 저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with snap-action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4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deformable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11Press-button fasteners in which the elastic retaining action is obtained by a spring working in the plane of the fastener
    • A44B17/0017Their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 일 릿
제1도는 종래의 아일릿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아일릿의 버튼과의 합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버튼과의 합착시 아일릿의 버클링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아일릿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아일릿과 버튼과의 합착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2 : 플랜지 3, 11 : 원주형 스터드
5, 8 : 버튼 10 : 아일릿
13 : 선단부 14 :루우트
20 : 취부 다이
본 고안은 버튼취부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일릿에 관한 것이다.
아일릿은 각종 버튼취부부재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아일릿은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박판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플랜지(2)와 그 플랜지주위의금속부에 형성된 직립의 원주형스터드(3)으로 구성된다. 원주형스터드(3)은 선단부부근부터 루우트영역까지 전체적으로 벽의 두께가 대략 균일하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일릿의 원주형스터드(3)을 직물등을 관통시켜서 버튼(5)와 합착시키는 경우에, 원주형스터드의 선단부분을 커얼하는 취부다이(20)의 가압력에 의해서, 대략 균일한 두께의 벽을 가지는 원주형스터드(3)의 중간부분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클되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아일릿에서 나타나는 상술한 결점이 없는 금속제 아일릿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아일릿은 다이캐스트성형이 바람직하고, 원주형 스터드는 선단부부근부터 루우드영역까지 벽의 두께를 점차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주형스터드의 벽 두께의 정도차가 생겨서, 원주형스터드의 선단부분을 커얼하는 취부다이의 가압력에 의해서 초래될 수 있는 원주형스터드 중간부분의 버클링이 방지된다.
다음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아일릿(10)(제4도)은 아연등의 금속제로서 다이캐스트 성형된다. 아일릿(10)은 디스크형 플랜지(12)와 그 위에 직립하는 원주형스터드(11)로 구성되어 일체로 성형된다. 원주형스터드(11)을 성형하는 다이의 내면은 하측방향으로 방사상외측을 향하여 테이퍼 되어서 원주형스터드는 그 선단부(13)에서부터 루우트(14)를 향하여 벽의 두께가 점차 증가한다. 따라서, 완성된 아일릿의 원주형스터드(11)의 외면은 스터드성형다이의 내면윤곽과 더불어 테이퍼되어서, 원주형스터드의 벽두께는 선단부(13)에서 루우트 (14)를 향하여 방사성 외측으로점차 증가된다. 상기 테이퍼는 선단부로부터 로우트를 향하여 원주형스터드(11)의 강도차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원주형스터드(11)의 중간부분부터 루우트까지의 중간하부분에 의해서 취부다이의 가압력에 대한 저항력이 증강된다.
아일릿(10)의 상술한 구조는, 직물과 합착되는 경우에 스터드(11)의 중간부분의 버클링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아일릿(10)과 버튼부재(8)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간의 삽입직물과 더불어 가압된다. 취부다이(20)의 점증하는 가압력에 의해서 제일먼저 스터드(11)의 선단부(13)이 외향으로 커얼되고, 이어서 스터드(1 1)의 형상에 의해서 하측인접위치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커얼됨에따라서, 버클링현상이 방지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터드는 다이캐스트 성형이외의 기타방법으로 제작할 수있다.

Claims (3)

  1. 디스크형 플랜지와 그 플랜지에 직립하는 원주형스터드로 구성되고, 상기 스터드는 그 선단부분에서 그 루우트를 향하여 방사상외향으로 벽의 두께가 점증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일릿.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릿은 다이캐스트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일릿.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스터드의 외면은 그 루우트에서 그 선단부를 향하여 방사상외향으로 테이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일릿.
KR2019860010421U 1985-12-17 1986-07-18 아 일 릿 KR88000005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192869U JPH0434725Y2 (ko) 1985-12-17 1985-12-17
JP60-192869 1985-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337U KR870009337U (ko) 1987-07-07
KR880000059Y1 true KR880000059Y1 (ko) 1988-03-08

Family

ID=1629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421U KR880000059Y1 (ko) 1985-12-17 1986-07-18 아 일 릿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434725Y2 (ko)
KR (1) KR880000059Y1 (ko)
GB (1) GB21841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4458C2 (de) * 1998-07-30 2001-09-13 Stocko Fasteners Gmbh Kappennie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106A (en) * 1922-10-09 1925-04-08 United Shoe Machinery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inserting eyelets or the like
GB231683A (en) * 1923-10-05 1925-04-06 United Shoe Machinery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yelets and other barrelled fasteners and in methods of making and setting the same
GB678532A (en) * 1950-04-20 1952-09-03 Edward Owen Lewi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securing of studs to the soles of boots and shoes
GB737259A (en) * 1951-02-20 1955-09-21 Tucker Eyelet Co Georg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yelets
GB760234A (en) * 1953-09-26 1956-10-31 Tucker Eyelet Co Georg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yelets and their manufacture
GB1061399A (en) * 1964-11-27 1967-03-15 Belling & Lee Ltd Improvements in cable entry seals
US3494246A (en) * 1968-05-22 1970-02-10 Urban N Hensley Compression locking tubular rivet
JPS60103305U (ja) * 1983-12-20 1985-07-15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加締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617243D0 (en) 1986-08-20
GB2184188A (en) 1987-06-17
KR870009337U (ko) 1987-07-07
JPS62100009U (ko) 1987-06-25
JPH0434725Y2 (ko) 199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063A (en) Button
CA1232741A (en) Snap-fit button
US4457050A (en) Snap-fit button
US4387488A (en) Fabric-covered button
EP0123215B1 (en) Button
US4672719A (en) Upholstery button
KR880000059Y1 (ko) 아 일 릿
KR880003206Y1 (ko) 똑딱단추의 구조
US3577846A (en) Three-piece tack button
JPH0436655Y2 (ko)
JPH0230965Y2 (ko)
US2028703A (en) Cap member for fasteners
US4700435A (en) Tack button
JPH0332250Y2 (ko)
JPS6237447Y2 (ko)
EP0216081B1 (en) Capped eyelet for attaching snap fastener
JPS5837286Y2 (ja) 被服用釦
JPS6239699Y2 (ko)
JPS6218732Y2 (ko)
JPH0221929Y2 (ko)
JPS5915926Y2 (ja)
JPH0235204Y2 (ko)
JPH026808Y2 (ko)
JPH0429766Y2 (ko)
JP2580384Y2 (ja) プラスチックボタ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