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021B1 - 생고무 시이트 와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생고무 시이트 와인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0021B1 KR880000021B1 KR1019850002883A KR850002883A KR880000021B1 KR 880000021 B1 KR880000021 B1 KR 880000021B1 KR 1019850002883 A KR1019850002883 A KR 1019850002883A KR 850002883 A KR850002883 A KR 850002883A KR 880000021 B1 KR880000021 B1 KR 8800000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w rubber
- rubber sheet
- winding
- drum
- convey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Landscapes
- Tyre Mould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일부가 생략된 장치전체의 측면도.
제2도는 스톡대차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스톡대차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절단장치의 정면도.
제5도는 절단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스톡대차장치의 구동계통도.
제7도는 불출 컨베이어의 구동계통도.
제8도는 헤드스톡장치의 정면도.
제9도는 제어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어에 감겨진 생고무시이트 a : 대차장치
b : 불출장치 c : 슈우트장치
d : 와인딩컨베이어장치 81 : 와인딩컨베이어
99 : 탄성로울 f : 드럼
e : 절단장치
본 발명은, 타이어성형장치, 전도(傳導)벨트성형장치등에 사용할 수 있는 생고무시이트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통외주면을 가진 드럼에 생고무시이트, 또는 포(布), 코오드, 짧은 섬유가 들어간 생고무시이트(이하 총징해서 생고무라 부름)를 감는데 있어서, 대개는 작업자가 플라이 공급기로부터 생고무시이트를 꺼내서, 드럼에 생고무시이트의 선단을 접착하고, 드럼을 소요량 회전시켜서 생고무시이트를 드럼에 감은후, 나머지의 생고무시이트를 가열된 나이프, 가위등을 사용해서 절단하는 순서가 채용되고 있어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함과 동시에, 작업자에 의해 생산성 및 제품품질이 크게 좌우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들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제안이 되어있으나, 미리 소요 길이로 절단한 생고무시이트를 드럼에 감도록 한 것은 절단된 생고무시이트의 반송수단을 필요로하고, 장치가 대형이됨과 동시에, 반송중에 생고무시이트가 구부러지거나 늘어지거나 또는 주름이 생기거나 하는 염려가 있다.
이 결점을 배제시키는 것으로서 현수(懸垂)부분으로부터의 생고무시이트의 반송에 에어슈우트를 채용한 것이 있으나, 생고무시이트가 늘어지거나, 비틀리는 등의 방지를 위해서는 에어슈우트의 길이에 한계가 있어서, 기기배치상의 제약때문에 생고무시이트 자동절단장치가 부착된 반송용 에어슈우트를 증가시킬수 없다. 따라서, 생고무시이트 종류의 변경빈도가 많을 경우에는 생고무시이트의 스톡로울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교체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실제가동율이 대촉적으로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요지로 하는 바는, 코어에 감겨진 생고무시이트를 되감아서 불출하는 복수세트의 불출장치와, 이 불출장치로부터 불출된 생고무시이트를 하강시키며 에어분사기가 부착된 슈우트장치와, 생고무시이트를 대략 수평으로 내보내는 와인딩컨베이어 및 탄성로울러를 가지며, 드럼을 향해서 전후진하는 1대의 와인딩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생고무시이트를 상기 와인딩컨베이어장치 위에서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외주면을 가진 드럼에 생고무시이트를 감는 생고무시이트 와인딩장치이다.
이하, 본 말명을 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생고무시이트 와인딩장치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 장치를 대별하면, 대차장치(a)와, 불출장치(b)와, 슈우트장치(c)와, 와인딩컨베이어장치(d)와, 절단장치(e)와, 성형드럼(f)과 성형드럼(f)용의 헤드스톡(g)과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대차장치(a)에 대해서, 제2도, 제3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도는 측면도, 제3도는 정면도, 제6도는 구동계통도이다.
(1)은 생고무시이트(151)를 합포(合布) (150)와 함께 감은 스톡로울, (2)는 스톡로울(1)의 코어가 되는 셸비아, (3)은 언더로울러로서 대차프레임(33)에 고정된 브래킷(4)에 회전자재케 부착되어서 셸바아(2)를 회전자재케 지지한다. (5)는 가이드로울러서, 합포(150)를 안내하고 생고무시이트(151)로부터 잡아떼기 위한 것이다. (6)은 구동로울러, (7)은 합포(150)를 감는 코어가 되는 셸바아로서, 상기 셸바아(2)와 동일형상, 치수를 가진다. (8)은 언더로울러로서 대차프레임(33)에 고정된 브래킷(9)에 부착되어서 셸바아(7)를 회전자재케 지지한다. 상기 각 부재는 제3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대차프레임(33)상에 좌우한쌍으로 착설되어 있으며, 대차프레임(33)의 중앙부에 이들을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내장하는 하우징(10)이 고착되어 있다. 단, 셸바아(2)(7)는 이 구동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게하여 장치밖으로 들어내고, 들어넣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대차장치의 구동계통은 제6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모우터(11)는 벨트(12)를 개재해서 중간축(13)을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구동로울(6)은 벨트(15), 전자(電磁)클러치(14) 개재해서 연동되도록 중간축(13)에 연결되고, 셸바아(7)도 압축공기에 의해서 작동되는 마찰클러치(17) 및 벨트(16)를 개재해서 연동되도록 중간축(13)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셸바아(2)는 벨트(24), 전자클러치(23)를 개재해서 연동되도록 축(22)에 연결되고, 이 축(22)은 기어(21)(20)(19)(18)를 개재해서 연동되도록 중간축(13)에 연결되어 있다. 셸바아(2)에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작동되는 디스크브레이크(25)가 부착되어 있다.
또, 대차프레임(33)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29)이 회전 자재케 축지되고, 이 축(29)에는 레버(26)의 일단부가, 이 레버(26)의 타단부에는 스톡로울(1)의 원통면에 당접하는 로울러(27)가 각각 회전자재케 축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버(26)의 타단부에 걸려있는 스프링(28)이 타단부를 고정프레임(33)에 걸려있게 함으로서 로울러(27)를 스톡로울(1)의 원통면에 가볍게 압압하고 있다. 상기축(29)의 일단부에 고정된 하아트켐(30)을 대차프레임(33)에 고정된 압축공기 감압밸브(31)의 작동기 로울러에 결합시킴으로서 감압벨브(31)의 출력압력을 스톡로울(1)의 직경이 클때는 높게, 이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서 낮아지도록 조절하고, 이 출력압력은 도시하지 않은 전자밸브를 개재해서 셸바아(2)의 디스크브레이크(25)에 공급된다. 또, 셸바아(7)의 마찰클러치(17)에는 도시하지 않는 감압밸브 및 전자밸브를 개재해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그 압력은 합포(150)를 감을때, 즉 생고무시이트를 불출할때에, 마찰클러치(17)가 미끄러지며 또한 합포(150)가 이완되지 않을정도로 조정된다.
대차프레임(33)에 고정된 브레킷(34)에 축(35)을 개재해서 회전자재케 조립된 복수의 차륜(36)은 바닥면에 고정된 레일(37)위에 놓여 있으며, 대차프레임(33)에 고정된 브래킷(38)의 선단부에는, 바닥면에 고정된 에어실린더(40)의 피스톤로드(39)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에어실린더(40)의 신축에 의해서 대차프레임(33)은 레일(37) 위를 이동해서, 그 좌우의 불출장치의 중심(Y1-Y1)(Y2-Y2)의 어느 한쪽이 불출컨베이어의 중심, 즉 드럼(f)의 중심(X-X)에 일치되게 되어 있다. 또 대차프레임(33)의 앞면에는 생고무시이트(151)의 현수용의 한쌍의 댄서로울(41)이 안내부재(43)에 승강 및 회전자재케 조립되어 있으며 이 안내부재(43)는 브래킷(42)에 의해서 대차프레임(3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대차장치(a)는 제1도에는 1대 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필요에따라서 후술하는 불출컨베이어의 수만큼 장비할 수 있다.
이어서 불출컨베이어장치(b)에 대해서, 제1도, 및 제7도의 구동계통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50)은 컨베이어프레임, (51)(52)(53)은 불출컨베이어(도면에서는 3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조, 몇 개 조라도 됨). (54)는 불출컨베이어(51)(52)(53)를 구동시키기 위한 펄스모우터, (56)(57)(58)은 각 컨베이 (51)(52)(53)의 헤드풀리로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프레임(50)에 조립된 베어링(59)에 회전자재케 지지되어 있다. 이들 헤드풀리(56)(57)(58)의 일반부에는 각각, 전자클러치(60 a)(60b)(60c)와 구동풀리 (60a)(60b)(60c)가 착설되고, 예를들면 헤드풀리(58)를 구동할 경우는, 전자클러치(60a)(60b)를 오프상태로하고, 전자클러치(60c)를 온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펄스모우터(54)를 구동하면 벨트(55), 구동풀리(61 a), 밸트(62), 구동풀리(60 b), 벨트(63), 전자클러치(60 c)를 개재해서 헤드풀리(58)가 구동된다. (64)(66)은 컨베이어프레임(50)에 착설된 베어링 (65)(67)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테일풀리이다.
이어서 슈우트장치(c)에 대해서 제1도는 참조하여 설명한다. (70)(71)(72)는 슈우트부재로서, 컨베이어프레임(50)에 부착되어 있으며, 불출컨베이어(51)(52)(53)로부터 출출된 생고무시이트를 후술하는 와인딩컨베이어(81)위에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각 슈우트부재(70)(71)(72)의 상면에는 다수의 에어분사구멍의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에어분사구멍으로부터 에어를 분사함으로서 생고무시이트의 이송을 원활하게 행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필요에 따라 생고무시이트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가이드판을 착설할 수도 있다.
또, 와인딩컨베이어장치(d)에 대해서 제1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80)은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 (81)은 와인딩컨베이어, (82)는 펄스모우터로서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80)에 부착된 베어링(85)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헤드풀리(84)를 개재해서 구동한다. (86)은 테이풀리로서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80)에 부착된 베어링(87)에 회전자재케 지지된다. 와인딩컨베이어(81)의 드럼(f)쪽에도 다수의 에어분사구멍을 형성한 슈우트부재(94)가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80)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슈우트부재(94)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절단장치(e)가 착설되어 있다. (99)는 탄성로울러로서 아암(100)의 일당부에 회전자재케 지지되고, 이 아암(100)은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80)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축(101)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아암(100)의 타단부는 핀(102)을 개재해서 에어실린더(103)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어실린더(103)의 일단부를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80)에 핀(104)를 개재해서 회전자재케 지지하고, 에어실린더(103)를 신축시킴으로서 아암(100)을 요동시킬 수 있다.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80)은, 컨베이어프레임(50)에 고정된 가이드바아(105)에 드럼(f)의 축심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80)에 고정된 너트(108)에 결합되는 나사봉(109)는 그 양단부를 컨베이어프레임(50)에 고정된 베어링(110)으로 회전자재케 지지되고, 컨베이어프레임(50)에 고정된 구동모우터(106)에 의한 벨트(107)를 개재해서 회전되며, 그 회전량은 로우터리엔코어더(112)로 검출된다.
이어서 절단장치(e)에 대해서,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88)은 절단기로서, 핀(91)으로 절단기주행대(90)에 요동자재케 착설된 아암(89)의 일단부에 회전자재케 축지되어 있으며, 이 아암(89)의 타단부에 걸린 스프링(92)의 타단부를 절단기주행대(90)에 걸리게 함으로서 슈우트부재(94)의 상면에 매설된 받침판(93)을 향하여 절단기를 압압하고 있다. (95)는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80)에 고정된 케이블에어실린더로서, 그 케이블(95a)의 양단부는 절단기 주행대(90)에 연결되어 있다. 절단기주행대(90)는 생고무시이트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자재케 안내판(96)을 개재해서 와인딩컨베이어프레임(80)에 부착된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압축공기제어장치에 의해 케이블에어실린더(95)를 작동시키면 절단기주행대(90)를 개재해서 절단기(88)는 받침판(93)을 압압하면서 주행하여 받침판(93)위에 있는 생고무시이트를 절단한다. 상기 절단기장치는 압절방식(押切方式)이라고 호칭되는 것이나, 생고무시이트이 종류(예를들면 코오드가 들어있는 것, 순생고무등)에 의해서 가열된 나이프의 압압방식, 강제회전 원판나이프 주행방식, 가열된 나이프의 주행방식을 이 대신에 선택채용해도 된다.
이어서, 드럼(f) 및 드럼(f)용 헤드스톡(g)에 대해서 제8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f)는 확개(擴開)시, 실용상의 원통외주면을 가진 성형드럼으로서, 드럼(f)에 생고무시이트등의 생고무부재를 붙여서 소정의 성형에 행해지고, 성형이 종료한 생고무부재를 드럼(f)으로부터 꺼내기 위해서 드럼(f)은 축경(縮徑)을 하는 등의 수단을 가지고 있다. (g)는 헤드스톡으로서, (120)은 드럼(f)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주축으로서, 헤드스톡하우징(122)에 고정된 베어링(121)에 회전자재케 지지되고, 헤드스톡하우징(122)에 고정된 펄스모우터(124)에 의해 벨트(123)를 개재해서 회전구동된다. 드럼(f)의 형식으로는 드럼확축장치도 포함된다.
다음에 제어장치에 대해서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30)은 자동 수동 절환스위치, 스타아트 누름버튼, 생고무시이트의 와인딩 속도나 와인딩 둘레길이등을 세트하기 위한 디지탈스위치, 각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등을 포함하는 조작장치, (131)은 각부의 순차동작을 제어하는 순차회로부, (132)는 조작장치(130)내의 생고무시이트 와인딩 둘레길이 세트용 디지탈스위치의 세트치에 달할 때까지 소정의 주파수로 펄스를 발신하는 펄스발신기, (133)은 마찬가지로 생고무 와인딩 이외에 사용하는 펄스발신기, (134)(135)는 펄스발신기(132)의 출력펄스신호를 분주(分周)하고, 생고무시이트 와인딩시의 드럼(f), 와인딩컨베이어(81), 불출컨베이어(51)(52)(53)의 주행속도를 동기시키기 위한 분주기, (136)은 분주기(134)와 펄스발신기(133)의 출력펄스신호를 선별하는 릴레이회로, (137)(138)(139)는 분주기(135), 릴레이회로(136)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따라서 펄스모우터(124)(82)(54)를 제어하는 펄스모우터구동기, (140)은 조작장치(130)내의 와인딩컨베이어 프레임 위치세트용의 설정기의 출력신호와 로우터리엔코오더(112)의 출력신호의 비교회로나 콘덕터 등을 포함하는 AC모우터(106)용 제어회로, (141)은 콕턱터 등으로 이루어진 AC모우터 (11)용의 제어회로, (142)는 상기 각 에어실린더, 마찰클러치등의 압축공기 조작기기(143)를 제어하기위한 감압밸브 및 전자 밸브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제어장치, (144)는 각 전자클러치 (14) (23) (60 a)용의 전원회로이다.
제어장치로서는 상기외에 각부의 안전검출용의 리미트스위치, 현수용의 광전스위치, 절단기대 주행위치 검출용의 근접스위치등이 포함되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생고무시이(151)와 합포(150)를 감은 스톡로울(1)을 손작업으로 대차장치(a)의 언더로울러(3)위에 얹고, 셸바아(2)를 회전구동함으로서 생고무시이트(151)와 합포(150)를 스톡로울(1)로부터 꺼내며, 합포(150)는 상하의 가이드로울러(5), 드라이브로울러(6)를 감아돌아서 셸바아(7)에 감는다. 생고무시이트(151)는, 상부가이드로울러(5), 드라이브로울러(6), 댄서로울(41)을 감아돌아서, 불출켄베이어(53)상에 인도된다.
제3도 좌측, 즉 Y1-Y1쪽으로부터 생고무시이트(150)을 불출할 경우는, 에어실린더(40)의 피스톤로드를 수축시켜서 불출컨베이어의 중심에 Y1-Y1선을 똑바로 맞춘다. 그리고 조작장치(130)을 조작해서 모우터(11)를 시동하여, 벨트(12)를 개재해서 중간축(13)을 회전시키고, 제6도의 좌측의 벨트(16), 마찰클러치(17)를 개재해서 셸비아(7)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좌측의 전자클러치(14), 벨트(15)를 개재해서 드라이브로울(6)이 회전구동되어서 합포(150)가 감겨진다.
이때 좌측의 디스크브레이크(25)가 작동되어 스톡로울(1)의 셸바아(2)에 제동이 걸려서 합포(150)와 생고무시이트(151)가 잡아떼어짐과 동시에 스톡로울(1)의 쓸데없는 회전이 방지된다. 또, 전자클러칠(23)는 되감을 때에 맞물리며, 통상적으로는 이탈되어 있다. 생고무시이트(151)는 현수용의 댄서로울(41)의 아래를 지나서 불출컨베이어, 예를들면 (53)위에 공급되며, 댄서로울(41)이 승강해서 도시하지 않은 광전스위치가 작동하면 생고무시이트(151)의 불출은 제어장치의 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불출컨베이어장치(b)에 있어서는, 전자클러치(60 c)가 여자되어, 릴레이회로(130)가 펄스발신기(133)를 선택하고, 펄스발신기(133)의 출력펄스신호에 의해 펄스모우터구동기(139)가 작동해서, 펄스모우터(54)가 회전하며, 생고무시이트(151)의 선단은 슈우트부재(72)의 하단부까지 이송되어 온다. 마찬가지로 불출컨베이어(51)(52)를 거쳐서 다른 생고무시이트가 슈우트부재(70) (71)의 하단부까지 이송되어 온다.
한편, 모우터(106)를 작동시켜서 나사봉(109)을 회전시켜 프레임(80)을 전진시킴으로서, 탄성로울러(99)가 드럼(f)의 확경부에 맞는 적당한 위치까지 전진된다. 이상의 준비동작이 끝나면, 자동스타이아트 누름버튼을 누름으로서 펄스발신기(133) 및 전자클러치(60 c)가 선택되고, 펄스모우터(82)(54)의 작동에 의해, 생고무시이트(151)의 선단부가 와인딩컨베이어(81)위로 이송되어, 슈우트부재(94)의 선단부에 착설된 도시하지 않은 광전스위치가 생고무시이트의 선단부를 검출한 다음, 조작장치(130)의 디지탈스위치에 미리 세트된 길이만큼 내보낸다. 그렇게되면, 모우터(82)(54)는 일단 정지하고, 이어서, 에어실린더(103)가 작동해서 탄성로울(99)이 생고무시이트(15)의 선단부를 드럼(f)에 압압한다.
다음에, 릴레이회로(136)가 분주기(134)를 선택하고, 펄스발신기(132)의 출력펄스신호에 따라서 분주기(134)(135), 펄스모우터구동기(137)(138)(139)를 개재해서 펄스모우터(124)(82)(54)가 동시에 동기해서 작동하여, 조작장치(130)내의 다른 디지탈스위치에 세트한 길이(펄스수로 세트)만큼 생고무시이트가 이송되면, 재차 모우터 (124) (82) (54)는 정지되고, 절단기(88)가 생고무시이트를 절단한다. 이때, 생고무압압부재(97)는 에어실린더(98)의 작동에 의해 생고무시이트(151)를 받침판(93)에 압압해서 정확한 절단을 돕는다. 또 상기 모우터(124)(82)(54)의 동시운전에 있어서는 드럼(f), 와인딩컨베이어(81), 불출컨베이어(51)(52)(53)의 주속이 일치되도록 미리 분주기 (134)(135)의 분주치가 조정되어서 분주영 디지탈스위치에 세트되어 있다. 또, 상기 둘레길이 설정용의 디지탈스위치에는 "드럼둘레길이+겹쳐지는 치수+드럼와인딩 개시직전의 생고무시이트의 선단으로부터 절단위치까지의 거리"로 계산된 값에 합당한 펄스발신기(132)의 발신펄스수를 세트해 놓는다.
절단기(88)가 생고무시이트(151)의 절단을 종료하면, 드럼(f)용 펄스모우터(124)가 다시 구동되어서 나머지 생고무시이트(151)를 드럼(f)에 감음과 동시에 릴레이회로(136)는 재차 펄스발신기(133)를 선택하고, 와인딩컨베이어용 펄스모우터(82) 및 불출컨베이어용 펄스모우터(54)는 역전되고, 생고무시이트(151)의 절단끝이 슈우트(72)의 하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에 세트는 디지탈스위치 또는 타이머, 또는 광전스위치로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의 생고무시이트를 감을 경우는 불출컨베이어(51) 또는 (52)를 선택해서,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동을 하게하면 되고, 그 동안에 소비된 생고무시이트는 현수부분에 착설된 광전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대차장치(a)가 자동적으로 생고무시이트를 불출한다. 또, 스톡로울(1)의 교환은 예를들면 제3도의 좌측으로부터 생고무시이트를 불출하고 있는 동안에 우측에서 행한다.
이와같이 해서, 복수의 생고무시이트 불출컨베이어(51)(52)(53)와 와인딩컨베이어(81)를 결합시킴으로서 여러종류의 생고무시이트 중 한가지 종류를 드럼(f)에 선택해서 자동적으로 감을 수 있다. 1대의 대차에 생고무시이트 불출장치를 복수개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생고무시이트의 종류를 증가하거나 또는 생고무시이트의 보충이 용이해진다. 복수의 불출컨베이어를 1대의 모우터로 클러치를 개재해서 절환구동시킴으로서 전기제어장치가 간소화된다.
상기 실시에서는 드럼(f) 및 컨베이어 구동용으로서 펄스모우터를 채용했으나, DC 서어보모우터등 회전량제어에 적합한 모우터이면 펄스모우터 대신에 채용할 수 있다. 또, 드럼(f) 위에 감겨진 생고무를 스티치, 커탕등을 행할경우는 이를 위한 장치를 추가하면 되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모우터로 드럼을 회전구동하는 것이 사이클타임 등에 유리하면, 이 모우터와 상기 드럼구동용 모우터를 클러치로 절환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물론 본 발명은 이와같은 실시예에만 극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설계에 개변을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코어에 감겨진 생고무시이트(151)를 되감아서 불출하는 복수세트의 불출장치(b)와, 이 출출장치(b)로부터 불출된 생고무시이트(151)를 하강시키는, 에어분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슈우트장치(c)와, 생고무시이트(151)를 대략 수평으로 내보내는 와인딩컨베이어(81) 및 탄성로울러(99)를 가지고 드럼(f)를 향해서 전후진하는 1대의 와인딩 컨베이어장치(d)와, 상기 생고무시이트(151)를 상기 와인딩컨베이어장치(b)위에는 절단하는 절단장치(e)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외주면을 가진 드럼(f)에 생고무시이트(151)를 감는 생고무시이트 와인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50002883A KR880000021B1 (ko) | 1985-04-29 | 1985-04-29 | 생고무 시이트 와인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50002883A KR880000021B1 (ko) | 1985-04-29 | 1985-04-29 | 생고무 시이트 와인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8019A KR860008019A (ko) | 1986-11-10 |
KR880000021B1 true KR880000021B1 (ko) | 1988-02-15 |
Family
ID=1924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2883A KR880000021B1 (ko) | 1985-04-29 | 1985-04-29 | 생고무 시이트 와인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80000021B1 (ko) |
-
1985
- 1985-04-29 KR KR1019850002883A patent/KR8800000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8019A (ko) | 1986-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11122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reading web material preferably into web-fed rotary printing presses | |
US4564150A (en) | Apparatus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web of sheet material | |
KR870002014B1 (ko) | 테이프 적층기 및 그를 이용한 테이프 배치장치 | |
US4033521A (en) | Winding machines | |
JPS6147701B2 (ko) | ||
KR0149437B1 (ko) | 고무화-쉬트의 공급 장치 | |
JPH0840613A (ja) | 連続的に送給されるシート、特に紙シートの巻取装置 | |
GB1424851A (en) | Apparatus for winding web material | |
EP0268634B1 (en) | Slitting and winding machine for tapes | |
US4705226A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splicing a web of material in a web feeding apparatus | |
US4120717A (en) | Loading device for a tire assembly drum | |
KR880000021B1 (ko) | 생고무 시이트 와인딩 장치 | |
EP0182119B1 (en) | In line coil winder and process carried out thereon | |
US4673142A (en) | Apparatus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web of sheet material | |
US4346852A (en) | Web winding device | |
CN109879037B (zh) | 一种少尾料接料系统及其控制方法 | |
US2264468A (en) | Mechanism for loading tubular elements on bars | |
US3081959A (en) | Machines for feeding stock to type building machines | |
JP4195187B2 (ja) | ロールを形成するためのシート状連続製品の巻き取り装置 | |
KR100249341B1 (ko) |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 | |
US4614313A (en) | Apparatus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web of sheet material | |
JPH0370623B2 (ko) | ||
US2638281A (en) | Web accelerating mechanism for web splicing devices | |
NL8501070A (nl) | Inrichting voor het winden van een ongevulcaniseerd rubberen strook. | |
JPS61197351A (ja) | 巻取り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4021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