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316Y1 - 주파수 특성 검사용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 - Google Patents

주파수 특성 검사용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316Y1
KR870002316Y1 KR2019840014021U KR840014021U KR870002316Y1 KR 870002316 Y1 KR870002316 Y1 KR 870002316Y1 KR 2019840014021 U KR2019840014021 U KR 2019840014021U KR 840014021 U KR840014021 U KR 840014021U KR 870002316 Y1 KR870002316 Y1 KR 870002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output
operational amplifier
buff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596U (ko
Inventor
안혜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14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316Y1/ko
Publication of KR860008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5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파수 특성 검사용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주파수 혼합기 회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주파수 분리기 회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입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발진기 3 : 혼합기
4 : 분리기 5 : 버퍼
6 : 녹음장치 7 : 레벨메타
101, 102, 103 : 입력레벨 조정기 C1-C15: 콘덴서
R1-R20: 저항 VR1-RV6: 가변저항
OP1-OP10: 연산증폭기
본 고안은 VTR 또는 오디오 레코더 제조공정에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시 주파수 특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여러종류의 테이프(1KHz, 3KHz, 7KHz…등)를 각각 사용하여 특성조정 및 검사를 행하고 있는 작업상의 불편을 없애고자, 여러단계를 거치는 작업을 일원화하여 간편하고 짧은 시간내에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에 주안점을 둔 주파수 특성 검사용 음성신호의 혼합과 분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코더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음성신호의 재생시 주파수 특성을 검사하거나 조정할 경우는 저주파(1KHz)가 기록된 표준 테이프를 재생시켜서 레벨을 조정하거나 검사하고, 고주파(7KHz)가 기록된 테이프를 장착하여 재생하고 그 레벨을 조정하거나 검사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는 자체 녹음재생 특성을 검사한 경우에도 저주파를 입력쪽에 넣어서 녹음한후 되감기시켜 재생하면서 다시 고주파를 입력쪽에 그 부분을 재생하여 레벤을 검사한다. 그러나, 이는 검사하고자 하는 주파수 성분별로 기록된 테이프를 여러개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표준 테이프 제작업무가 커지며 공테이프의 소모량이 많아지게 되며, 여러번 반복(각 주파수별로 테이프를 사용하여야 하는)작업을 하여야 하므로서 이에 따른 공정상의 시간(각각의 테이트를 장착하고 이젝트시키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개의 테이프에 시간별(예를들면, 1KHz의 성분 5분, 3KHz의 성분 3분, 7KHz의 성분 10분)로 녹음한 경우가 있었는데, 이 역시 제조과정중 각각의 세트상태에 따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없으므로 시간부족에 따른 작업상의 문제점이 해당주파수 작업이 끝난때에도 기록된 시간이 남아있을때 시간의 손실이 생기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 한개의 표준 테이프에 저주파와 고주파를 혼합하여 기록하고, 필요한 부분을 재생시키고자 할 때는 분리시켜서 해당하는 주파수를 검출할수 있도록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를 제공한 것으로서, 이러한 기기의 제작공정중 검사 및 조정작업의 원활함과 용이함을 주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로서, 주파수발진기(1)(2)를 입력시킨 혼합기(3)에서 버퍼(5)를 통해 레코더(6)의 음성입력단자(6a)에 입력시키고, 이 음성출력단자(6b)에서 분리기(4)를 거쳐 주파수 레벨메타(7)에 연결되는 전체계통을 나타낸 것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주파수 혼합기 회로도로서, 발진기의 출력(f1, f2, f3)을 콘덴서(C1, C2, C3)와 저항(R1, R2, R3) 및 가변저항(VR1, VR2, VR3)로 구성된 각 입력레벨조정기(101)(102)(103)에 연결하여 이를 저항(R4, R5), 가변저항(VR4) 및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된 혼합기(3)와, 연산증폭기(OP2)와 콘덴서(C3)를 구성한 버퍼(5)를 통해서, 검사용 테이프 기록장치(601, 602, 603)에 인가되는, 연산증폭기(OP3, OP4, OP5)와 콘덴서(C5, C6, C7) 및 저항(R6, R7, R8)을 구성시킨 버퍼(501)(502)(503)에 연결시켜서 된 것이다.
그리고, 제 3 도는 본 고안의 주파수 분리기 회로도로서, 주파수 혼합된 테이프로부터의 검출출력(fp=f1+f2)을 연산증폭기(OP5, OP6)와 저항(R9, R10)으로 구성한 버퍼(41, 42)에 인가시키고, 이는 연산증폭기(OP7, OP8)와 콘덴서(C9-C11), 저항(R13-R14) 및 가변저항(VR5, VR6)으로 연결한 제 1 중간 대역필터(43, 44)를 각각 거쳐 소정의 주파수를 통과하게 하고, 인덕턴스(L1-L2)와 콘덴서(C12-C13)을 구성한 주파수 트랩기(45, 46)와, 버퍼(47, 48)를 통해 이 출력에서 레벨조정용 가변저항(VR5, VR6)와 연산증폭기(OP9, OP10)로 된 버퍼(49, 50)에 각각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제 4 도는 각 단자점의 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며, 미설명부호 f1, f2는 각 주파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사용 테이프를 제작할 때는 제 1 도의 주파수 발생기(1, 2)에서의 출력을 혼합기(3)로 합성시킨후 버퍼(5)를 거쳐 증폭시켜서 녹화계의 레코더(6)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레코더(6)에 기록된 신호는 출력단자(6b)를 통해 분리기(4)에 소정의 주파수(f1, f2)로 분리시켜서 레벨메타(7)에 표시하는 것이다.
각기 다른 주파수를 혼합하여 기록하는 동작을 살펴 보면, 제 2 도와 같이 주파수(f1=1KHz) (제 4(a)도와 같이) 그리고 주파수(f2=7KHz) (제 4(b)도와 같이)라고 가정하면, 이 각기다른 주파수(f1, f2)입력레벨은 입력레벨 조정기(101, 102)의 가변저항(VR1, VR2)의 조정에 의하여 입력레벨을 조정하고 이 조정된 주파수(f1, f2)는 혼합기(3)의 연산증폭기(OP1)에 입력되어 주파수(f1, f2)를 혼합하여 출력주파수(fp=f1+f2)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 혼합주파수은 연산증폭기(OP2)로 된 버퍼(5)를 통해 적당량으로 증폭하여, 이 출력이 연산증폭기(OP3, OP4)를 통해서 각 검사용 테이프 기록장치(601)에 혼합된 주파수(fp)로 제 4(c)도와 같은 파형으로 기록된다.
이때, 상기에서 각각의 신호(f1, f2)를 기록할때, 혼합된 신호를 기록할 경우 녹음 기록장치(6)의 입력단자(6a)에 인가되는 레벨차이가 있으면 안되므로 가변저항(VR4)을 이용하여 입력단의 신호레벨과 출력단의 신호레벨을 조정하고, 입력(f1, f2)의 신호레벨이 상호 일치하여야 하므로 가변저항(VR1, VR2)을 사용하여 조정하여 각각의 입력에 대한 출력레벨을 조정하여 일치하게 한다.
상기 각 기록장치(601, 602)에 혼합주파수(pf=f1+f2) 신호를 기록하였으므로 재생시에 각각의 주파수 성분에 대한 특성검사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분리기 회로를 제 3 도와 같이 구성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혼합주파수(fp)를 인가시키면 버퍼(41)(42)의 연산증폭기(OP5, OP6)에 동시에 입력되는데 우선 연산증폭기(OP5)에 인가될 때는 연산증폭기(OP5)의 출력신호는 1, 2차 중간대역통과 필터회로(43)(47)를 거쳐서 소정의 주파수(f1=1KHz)만을 통과하게 하고 저항 (R17), 인덕턴스(L1), 콘덴서(C12)를 구성한 트랩기(45)에서 불필요한 주파수를 제거하게 되며, 이를 출력레벨조정용 가변저항(VR5)에 의해서 출력주파수 레벨을 조정하여 버퍼(49)를 거쳐 해당하는 소정의 주파수(f1=1KHz)만을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혼합주파수(fp)가 연산증폭기(OP6)에 인가되면 제1, 2차 중간대역통과필터회로(44)(48)과 트랩기(46), 가변저항(VR6) 및 버퍼(50)를 거쳐서 해당하는 소정의 주파수(f2=7KHz)를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출력되는 소정의 주파수(f1=1KHz, f2=7KHz)를 레벨메타기(7)에 인가시켜서 세트의 표준테이프 재생시에 규정재생 레벨로서 조정 및 검사가 가능하여지고, 필요한 주파수 성분에 대한 자체 기록 재생시의 특성도 동시에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혼합기를 사용하여 표준검사용 테이프를 대량으로 동일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게 되며, 이 테이프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균일한 재생출력이 나오는 제품을 만들수 있게 되고, 제작시의 검사조정 공정에 기록재생 특성을 간단히 할수 있다.
그리고, 2가지 이상의 주파수 성분의 레벨이 동시에 나타나므로서 각각의 주파수 성분이 기록된 테이프를 재생하면 출력레벨 값을 판독 비교하는 것보다 측정이 용이하고 정확하며 측정자의 에러에 의한 실수를 배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주파수 발진기(1)(2) 출력을 입력레벨조정기(101)(102)(103)를 거쳐서 이를 혼합시키는 연산 증폭기(3)와 가변저항(VR4)를 구성한 혼합기(3)와 버퍼(5)를 통해, 이 합성주파수(fp) 출력을 검사용 테이프 기록장치(601, 602, 603) 입력하는 연산증폭기(OP3, OP4, OP5)에 각각 연결하고, 이 검사용 테이프 기록장치(601, 602) 출력의 혼합 주파수(fp)를 분리하고자, 버퍼(41, 42)를 구성하여 1, 2차 중간 대역통과필터회로(43, 44)(47, 48)와 불필요한 주파수 제거용 트랩기(45, 46)를 각각 거쳐서 소정 주파수(f1, f2)를 출력하는 버퍼(49, 50)에 연결된 레벨 조정용 가변저항(VR5, VR6)에 각각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특성 검사용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
KR2019840014021U 1984-12-26 1984-12-26 주파수 특성 검사용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 KR870002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021U KR870002316Y1 (ko) 1984-12-26 1984-12-26 주파수 특성 검사용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021U KR870002316Y1 (ko) 1984-12-26 1984-12-26 주파수 특성 검사용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596U KR860008596U (ko) 1986-07-28
KR870002316Y1 true KR870002316Y1 (ko) 1987-06-30

Family

ID=7016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021U KR870002316Y1 (ko) 1984-12-26 1984-12-26 주파수 특성 검사용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3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596U (ko) 198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1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differential phase and frequency modulation distortions for audio equipment
US1006717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valuate audio equipment via filter banks for dynamic distortions and or differential phase and frequency modulation effects
US9271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valuate audio equipment via filter banks
US2010014126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differential phase and frequency modulation distortions for audio equipment
US4092678A (en) Bias setting method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862460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differential phase and frequency modulation distortions for audio equipment
KR870002316Y1 (ko) 주파수 특성 검사용 음성신호 혼합과 분리회로
US8643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differential phase and frequency modulation distortions for audio equipment
US38951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channel separation in amplifier or the like
DE2602601C3 (de) Verfahren zur betriebsmäßigen Überprüfung von Frequenzgang und Pegel von Magnettongeräten
US4296445A (en) Phase sensor
US3406264A (en) Manufacture and testing of phonograph records
US3621404A (en) Signal level control instrument for sound transmission systems
KR950009777B1 (ko) 영상기록재생장치의 기록모드 검출회로
RU21447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чной установки скорости движения магнитной ленты в кассетных магнитофонах, диктофонах и плейерах
KR890002048Y1 (ko) 녹음기의 특정 주파수 선택회로
JPS5834576Y2 (ja) ジキロクオンサイセイソウチ
JPS5730102A (en) Testing method for tape recorder
KR19990031705A (ko) 개선된 하이파이 음성신호 캐리어 주파수 분리 회로를 갖는 메인pcb 검사장치
SU777741A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 неравномерности фазово-частотной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тракта аппарата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US3400215A (en) Voiced sound fundamental frequency detector
KR900004854Y1 (ko) 녹음 주파수 보상회로
JPS58196606A (ja) 磁気テ−プレコ−ダ−のテ−プ雑音消去方法
JPH0140419B2 (ko)
JPS5833742B2 (ja) 多周波信号受信器の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