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162Y1 -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162Y1
KR870002162Y1 KR2019850005584U KR850005584U KR870002162Y1 KR 870002162 Y1 KR870002162 Y1 KR 870002162Y1 KR 2019850005584 U KR2019850005584 U KR 2019850005584U KR 850005584 U KR850005584 U KR 850005584U KR 870002162 Y1 KR870002162 Y1 KR 870002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passage
agricultural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5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136U (ko
Inventor
정원구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 국제산업공사
김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 국제산업공사, 김열경 filed Critical 합명회사 국제산업공사
Priority to KR2019850005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162Y1/ko
Publication of KR8600141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1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with heat exchange taking place in the fluidised bed, e.g. combined direct and indirect heat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정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건조실 2,2' : 다공판 농산물 건조대
3,3' : 열풍 분산 덕터 4,4' : 열풍 공급구
5,5' : 열풍 배기구 7,7',7a,7a',7b,7b : 열풍 개폐구
본 고안은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 열공급 버어너의 양쪽으로 건조실을 형성하여 다량의 농산물을 빠른 시간내에 건조시키되 내부 열풍통로에는 열차단 개폐구를 설치하여 농산물이 소량일 경우에 사용하지 않는 건조실의 열풍 통로 입구를 차단 한다던가 배배습구를 통항 외부로 빠져나가는 습구열도 이 개폐구로 적절히 줌으로서 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되고 양 건조실을 다시 양분하여 중앙에 열풍분산 덕터를 형성하여 다단 형성되어 있는 농산물에 지속적인 건구열만을 공급하여 전체적인 농산물의 건조시기를 일정하게 맞추어 줌으로서 상호 함유하고 있는 수분에 의해 타 농산물의 부패나 품질의 저하를 극소화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통상의 농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는 송풍기에 의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버어너에 의하여 가열된 열 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더워지게 되고 더워진 공기는 하부 열풍통로를 통하여 건조실 내에 다단으로 형성된 다공판 농산물 재치대를 하단에서 부터 차차 통과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는 그 건조방법이 농산물 재치대의 맨 하단에서 부터 다공을 통하여 차차 상승함으로서 하단부의 건조 처리물이 건조되면서 함유하고 있던 수분은 열풍의 상승과 함께 상단 건조처리물에 가습하게 되고 동시에 열풍도 그만큼 습구열을 함유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황은 상단부에 이를수록 심화되어 하단부의 건조처리물의 함수량이 적어지거나 아주 없어질때까지 상단부의 건조처리물은 마르지 않고 하단부와 상단부의 건조시간의 차이로 인하여 하단부의 건조처리물이 너무 건조된다던가 상단부의 건조처리물이 부패, 또는 품질이 저하되었던 것이다.
또한, 상승한 열풍은 일부는 배습구를 통하여 빠져나가고 일부는 연순환 통로를 따라 송풍기 쪽으로 되돌아가 다시 순환된다. 그러나 이러한 열순환 작용은 내부온도, 또는 건조처리물의 건조상태와는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열풍량이 빠져나가고 일부는 다시 순환됨으로서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열의 낭비로 인하여 경제적인 손실도 컷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어너(13)와 연통된 열 교환로(14)의 상측으로 송풍기(15)가 설치되고 이의 양쪽으로는 외벽으로 열풍통로(6)('6)를 형성한 건조실(1)(1')내에 양분된 다공판 건조대(2)(2')가 동간격을 다단 구성한 뒤 일측 격벽(12)(12')에는 열풍배기구(5)(5')를 천설하며, 양분된 중앙부에는 각 다공판 농산물 건조대(2)(2')와 연통되게 열풍공급구(4)(4')를 형성한 열풍 분산덕터(3)(3')를 구성하고 상단의 양 배습구(8)(8')와 열풍 순환통로(10)(10') 및 하부 열풍 진입통로(11)(11')에는 열풍 개폐기(7)(7')(7a)(7a')(7b)(7b')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9)는 흡입구, (16)은 농산물, (17)은 연통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송풍기(15)에 의해 흡입구(9)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버어너(13)에 의하여 더워진 열 교환로(14)를 통과하면서 더워지게 되고 더워진 공기는 각 열풍 진입통로(11)(11')를 지나 열풍 분산덕터(3)(3')로 진입하면서 열풍공급구(4)(4')를 통하여 건조실(1)(1')내에 다단 형성판 다공판 농산물 건조대(2)(2')에 분산 공급하게 되며, 이어 더운 공기는 다공판 농산물 건조대(2)(2')를 지나게 되는데 이때 다공판 농산물 건조대(2)(2')의 저부는 다공을 형성하고있어 열풍은 농산물(16)의 상. 하부를 고루 건조시키며, 열풍 배기구(5)(5')를 통하여 빠져 나오게 되고 열풍통로(6)(6')를 통하여 상승하면서 일부는 배습구(8)(8')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고 일부는 열풍순환통로(10)(10')를 통하여 송풍기(15)에 의하여 열교환로(14)로 재 진입 시키면서 반복 순환시키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버어너(13) 및 송풍기(15)의 계속 작동에 의하여 농산물(16)은 점차적으로 마르게 되는데 본 고안은 더워진 외부 공기가 양 열풍 분산닥터(3)(3')로 진입하여 제각기 독립된 열풍 공급구(4)(4')를 통하여 항상 신선한 건구열을 동시에 공급하여 주며, 열풍은 일측 격벽(12)(12')에 형성된 열풍 배기구(5)(5')를 통하여 빠져나가므로 농산물(16)의 건조시 증발되는 수분은 상측 농산물에 가습되지 않고 열풍과 함께 같이 열풍 배기구(15)(15')로 빠져 나가므로서 상하측의 모든 농산물(16)은 동시에 건조되게 함으로서 건조시기의 차이에서 발생되는 농산물(16)의 부패, 또는 품질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며, 배습구(8)(8')로 빠져 나가는 열풍을 개폐구(7)(7')로 적절히 조절함으로서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연료의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일측 건조실(1)만 사용할 경우에는 반대쪽 건조실(1')의 열풍 순환통로(10')와 열풍 진입통로(11')의 각 개폐구(7b)(7b')를 막아 줌으로서 불필요하게 열이 낭비되는 일이 없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열풍 분산닥터(3)(3')에 의하여 각각 독립된 다공판 농산물 건조대(2)(2')에 열풍을 분산 공급함으로서 항상 신선한 건구열을 공급할 수 있으며, 농산물(16)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상호가습하지 않으므로서 농산물(16)의 건조 시간은 항상 일정하여 농산물(16)의 부패 및 품질의 저하를 해소하게되며, 각 개폐구(7)(7')(7a)(7a')(7b)(7b')의 적절한 조작으로 내부온도의 유지 및 연료의 절감 효과가 있는 경제적인 잇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면에 흡입구(9) 및 배숩구(8)(8')가 형성되고 송풍기(15)와 열교환로(14) 및 다공판 농산물 건조대(2)(2')가 다단 구성된 통상의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기에 있어서 다공판 농산물 건조대(2)(2')를 양분하여 그 외측 격벽(12)(12')에는 열풍통로(6)(6')와 연통되게 열풍 배기구(5)(5')를 천설하고 양분된 중앙부에는 각각의 다공판 농산물 건조대(2)(2')와 연통되게 열풍 공급구(4)(4')를 형성한 열풍 분산덕트(3)(3')를 구성하고 양 배습구(8)(8')와 열풍순환통로(10)(10') 및 열풍 진입통로(11)(11')에는 열풍 개폐구(7)(7')(7a)(7a')(7b)(7b')를 각각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장치.
KR2019850005584U 1985-05-14 1985-05-14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 장치 KR870002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584U KR870002162Y1 (ko) 1985-05-14 1985-05-14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584U KR870002162Y1 (ko) 1985-05-14 1985-05-14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136U KR860014136U (ko) 1986-12-08
KR870002162Y1 true KR870002162Y1 (ko) 1987-06-24

Family

ID=1924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584U KR870002162Y1 (ko) 1985-05-14 1985-05-14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1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931B1 (ko) * 2000-02-19 2003-01-30 염호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136U (ko) 198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077A (en) Cloth drying machine
JPH0288100A (ja) 物品を乾燥、通気、殺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乾燥戸棚
KR870002162Y1 (ko) 농산물용 열풍순환 건조 장치
JPS6153461B2 (ko)
JP3229815U (ja) 加湿装置を備えた乾燥機
KR100703952B1 (ko) 감압식열풍건조기
KR200187655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CN106073210A (zh) 一种带送风管的半导体深度除湿低温烘干鞋柜
US1470306A (en) Art of and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KR200308144Y1 (ko) 인삼건조장치
US3435535A (en) Mea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dge-drying of gypsum wallboard
KR880001764Y1 (ko) 세탁물 건조기
KR200165546Y1 (ko)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 건조장치
CN219928494U (zh) 一种雪茄的存储柜
KR810000842Y1 (ko) 해태의 연속 자동 건조장치
KR0126650Y1 (ko) 농산물 건조기의 열풍송풍장치
US1762910A (en) Drying apparatus for gelatin carbon tissue
WO2022257427A1 (zh) 用于冰箱的熟成装置及其控制方法、冰箱
KR200179838Y1 (ko)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JPS635504Y2 (ko)
AU648333B2 (en) Clothes drying machine
KR200179839Y1 (ko)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JPH02195844A (ja) 懸肉の処理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890003318Y1 (ko) 곡물건조 저장고
KR100232695B1 (ko) 농수산물용 다단식 밑바람열풍순환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