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098Y1 - 브라운관의 편향코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편향코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098Y1
KR870002098Y1 KR2019840011626U KR840011626U KR870002098Y1 KR 870002098 Y1 KR870002098 Y1 KR 870002098Y1 KR 2019840011626 U KR2019840011626 U KR 2019840011626U KR 840011626 U KR840011626 U KR 840011626U KR 870002098 Y1 KR870002098 Y1 KR 870002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coil
crt
support member
fixing pie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1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852U (ko
Inventor
안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1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098Y1/ko
Publication of KR860006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의 편향코일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도.
제3도는 븐 고안의 결합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운관 2 : 지지부재
3 : 편향코일 4 : 끼움부재
5 : 고정편 6 : 보울트
7 : 보울트구멍 8 : 고정편
8' : 걸림턱 9 : 삽입편
10 : 끼움구 12 : 절결홈
13 : 걸림편 14 : 고정돌기
본 고안은 텔레비젼등에 쓰여지는 브라운관에다 편향코일을 고정 부착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에 쓰여지는 편향코일은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비임을 형광면상에 관측파형이나 영상화면으로 나타내 주기 위해 편향계의 자기장을 가지고 편향시켜 주기 위한 전류 코일인데, 이는 정전편향계와 전자편향계로 구성된다.
그런데 현재와 같이 칼라텔레비젼이 대량 생산되어 보급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브라운관에 편향코일을 부착시켜 주는 방법으로서 편향코일이 감겨진 휘일외부에다 천연고무를 접착제로 고정시켜 주거나 또는 전자총 뒷쪽에 끼워진 편향코일과 브라운관 사이에 쐐기를 박아 고정시켜 주고 있기 때문에, 일단 고정부착시켜 놓은 편향코일을 필요할 때 쉽게 착탈시켜 줄 수가 없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생산 공정에서 브라운관에는 편향코일을 임시로 부착시켜 브라운관의 조립상태를 점검하게 되는 경우 라던가 사용도중 브라운관을 교체해줄 필요가 있을 경우등 편향코일을 착탈시켜야할 필요가 있을 때 편향상태를 맞추기가 어렵게 되고 또 그 작업또한 번거롭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브라운관이 면에 우레탄고무로 만들어진고 정부를부 착시켜 주고, 편향코일에는 끼움부를 형성시켜 놓음으로서 브라운관으로루터 편향코일을 쉽게 착탈시켜 줄 수 있도록 된 편향코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브라운관(1)의 이면에 접착 고정시킨 우레탄 고무재질로된 고정편(5)과 이 고정편(5)에 보울트(6)로 고정 부착되는 지지부재(2) 및 이 지지부재(2)에 끼워져 편향코일(3)을 고정 부착시켜 주는 끼움 부재(4)로 구성되면서, 상기 지지부재(2)에는 삼각형상으로 그 상면에 형성시킨 보울트끼움구멍(7)과 절결홈(12)에 의해서 분할 형성되어진 고정편(8) 및 삽입편(9)이 갖추어지는 한편, 상기 고정편(8)의 앞끝에는 걸림턱(8')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고정돌기(14)가 갖추어지고 또 편향코일(3)에 감겨지는 상기 끼움부재(4)에는 상기 삽입편(9)이 삽입되어지는 그 폭이 삽입편(9)의 길이와 같은 상기 ㄱ자형끼움구(10)가 갖추어져 상기 고정편(8)의 걸림턱(8')이 걸림면(13)에 걸어지도륵 구성되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분리사시도로서, 고정편(5)은 브라운관(1) 이면에 접착제등으로 고정설치 되고, 그삼각형상을 이루는 지지부재(2)는 그 하부경사면이 상기 고정편(5)에 접촉되어 보울트(6)로 고정되므로 그 상부면은 수평을 이루게되고, 이 지지부재(2) 몸체에 절결홈(12)을 형성시켜 고정편(8)이 상하로 약간씩은 탄성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의 삽입편(9)이 끼워져 지지부재(2)와 끼움부재(4)가 결합되어지는 끼움구(10)는 상기 삽입편(9)이 꼭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ㄱ자형으로되어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한쌍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고정편(8)이 위치하는 끼움구(10) 사이의 개방된 공간 폭은 고정편(8)폭보다 넓게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결합상태도를 참조하면, 먼저 브라운관(1)에 접착되어진 고정편(5)위로 지지부재를 올려놓고, 보울트(2)로 보울트구멍(6)(7)을 통해 지지부재(2)를 고정편(5)에 고정결합시켜 준 다음 편향코일(3)에 끼워진 끼움부재(4)를 상기 지지부재(2)쪽으로 이동시켜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끼움구(10)내로 삽입편(9)이 완전 삽입되어지도록 밀어끼워 주게 되면 고정편(8)이 걸림턱(8')에 의해서 양 끼움구(10) 사이에서 수평 위치보다는 약간 밀어올려진 상태로 끼워지다가 끼움부재(4)가 지지부재(2)에 완전히 끼게워지되면 고정편(8)의 걸림턱(8')이 끼움 부재(4)의 걸림면(13)에 걸어지면서 고정편(8)이 탄발력으로 복원되어 다시 수평위치로 오게되므로 상기 걸림턱(8')을 억지로 밀어올리지 않는 한 지지부재(2)와 끼움주재(4)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만일 이들을 분리시켜 주고자 한다면 고정편(8)의 걸림턱(8')을 걸림면(13)으로부터 밀어올려 걸림을 해제시켜준 뒤 편향코일(3)이 지지된 끼움부재(4)를 빼내주게 되면 쉽게 지지부재(2)와 끼움부재(4)를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고정돌기(14)는 브라운관(1)에 연결되는 각종배선의 지지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면 편향코일을 브라운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그 분리작업도 손쉬워 생산라인이나 보수 등에서 매우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정정) 브라운관(1)에 편향코일(3)을 고정 결합시켜 주는 장치에 있어서,
    브라운관(1)에 접착제로 접착 고정되는 고정편(5)과, 상기 고정편(5)에 보울트(6)로 고정결합되면서 절결홈(12)에 의해서 분할되어진 삽입편(9)과 걸림턱(8')을 선단에 갖춘 고정편(5)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2) 및, 상기 편향코일(3) 둘레에 끼워져 이 편향코일(3)을 지지해 주면서 상기 지지부재(2)의 삽임편(9)이 끼워지는 한 쌍의 ㄱ자형 끼움구(10)를 갖춘 끼움부재(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편향 코일 고정장치.
KR2019840011626U 1984-11-17 1984-11-17 브라운관의 편향코일 고정장치 KR870002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1626U KR870002098Y1 (ko) 1984-11-17 1984-11-17 브라운관의 편향코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1626U KR870002098Y1 (ko) 1984-11-17 1984-11-17 브라운관의 편향코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852U KR860006852U (ko) 1986-06-25
KR870002098Y1 true KR870002098Y1 (ko) 1987-06-13

Family

ID=7015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1626U KR870002098Y1 (ko) 1984-11-17 1984-11-17 브라운관의 편향코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0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852U (ko) 1986-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045A (en) Auxiliary coil fastener in a deflection yoke
KR870002098Y1 (ko) 브라운관의 편향코일 고정장치
US3369074A (en) Television tube shield and mounting structure
DE3884920D1 (de) Farbfernsehbildröhre.
US4998041A (en) Deflection yoke with cross-arm structure to reduce beam mis-landing
KR0121000Y1 (ko) 편향요크의 크로스아암
KR880003556Y1 (ko) 편향요크의 보조코일
KR200150481Y1 (ko) 틸트코일 장착장치
KR0124569Y1 (ko) 음극선관용 판넬
KR100303486B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자
KR200253341Y1 (ko)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KR950000404Y1 (ko) 칼라브라운관의 콘택트 스프링
KR0128410Y1 (ko) 브라운관 애노드전압 공급장치의 전압공급편 결합구조
KR200165551Y1 (ko) 편향요크의 리셉터클 구조
KR920001980Y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 조립체
US6737797B2 (en) Knee action circuit connector for a CRT
KR19990021694U (ko) 칼라브라운관의 인너시일드 클립
KR950000249Y1 (ko) 편향요크의 유동방지장치
KR19990037976U (ko) 브라운관용 러버에지
KR100208164B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KR0127473Y1 (ko) 편향요크 고정용 웨지
KR960003248Y1 (ko) 컬러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고정장치
KR200155792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장착 구조
KR200204885Y1 (ko) 영상표시기기의 틸트코일 고정용 홀더
KR0134276Y1 (ko) 음극선관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