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074Y1 -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 Google Patents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074Y1
KR870002074Y1 KR2019840007393U KR840007393U KR870002074Y1 KR 870002074 Y1 KR870002074 Y1 KR 870002074Y1 KR 2019840007393 U KR2019840007393 U KR 2019840007393U KR 840007393 U KR840007393 U KR 840007393U KR 870002074 Y1 KR870002074 Y1 KR 870002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late
sink
lower connecting
hanging
gr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405U (ko
Inventor
성덕진
권용흠
Original Assignee
대성산업 주식회사
김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산업 주식회사, 김의근 filed Critical 대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7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074Y1/ko
Publication of KR860001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오물분쇄기가 씽크대의 배수관으로부터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관, 3 : 상부연결판,
6.6' : 괘지편, 7' : 괘지홈,
8,8' : 돌조, 9,9' : 파지돌기,
10,10' : 감입홈, 10a,10a' : 괘지홈,
11,11' : 첨두형돌기, 12,12' : 지지돌기.
본 고안의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 출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1984년 실용신안 등록출원제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개량한 것이다.
상기 선출원된 고안은 공지의 오물분쇄기가 부착된 하부연결판의외주연부에 커플러를 부착하여 그 계지 고리에 끼워진 고무링이 씽크대 수조의 하부에 체착된 상부 연결판의 괘지턱에 괘삽되게 한 구조로서, 씽크대 수조 저면에 배출관에 오물분쇄기를 착탈시킬 수 있게 한 것이나 이는 하부연결판의 설치된 커플러의 계지고리를 상부 연결판의 괘지턱에 괘삽시킨 후 커플러을 손으로 압압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에 내재되었던 결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연관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씽크대 수조(S)의 배수관에 소공92')(2")이 천설된 철판링(2)을 관착하고 상부 연결판(3)을 나사봉(4)(4')으로 체착한 후, 오물분쇄기(A)가 착설된 하부 연결판(5)에 고무링(R)을 내삽하여 상부 연결판(3)에 하부 연결판(5)이 착, 탈되게 한 것에 있어서, 상부 연결판(3)의 외주면에 연장된 괘지편(6)(6')에 장방형의 괘지홈(7)(7')과 돌조(8)(8')를 형성하고, 하부 연결판(5)의 외주연부에는 "L"형 파지돌기(9)(9')를 돌설하며 내주연부에는 감입홈(10)(10')과 괘지홈(10a)(10a')을 서로 연통이 되게 요설하고 괘지홈(10a)(10a')의 상부에는 첨두형 돌기(11)(11')와 지지돌기(12)(12')를 각각 돌설서켜 되었다.
그리고 하부 연결판(5)의 내면에는 고무링(R) 삽지용 환상요홈(5')이 요설되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M은 모우터, 13은 구동축, 14는 분쇄원판, 15는 배수구, 16은 방진용고무링, 17,17'는 계지돌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씽크대 수조(S)의 저면부에 통상의 오물분쇄기(A)를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선출원 고안과 동일하게 먼저 상부연결판(3)을 나사봉(4)(4')의 조임력에 의하여 수조(S)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나사봉 상부연결판(3)을 나사봉(4)(4')의 두부가 철판링(2)의 소공(2')(2")에 끼워져 삽지되기 때문에 상부 연결판(3)을 매우 견고하게 씽크대 수조(S)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킬 수가 있으며 이 때 방진용 고무링(16)도 함께 밀착되는 것이다.
다음에 오물분쇄기(A)를 부착시키게 되는데, 오물분쇄기(A)가 착설된 하부연결판(5)의 감입홈(10)(10')을 상부 연결판(3)의 외주면에 형성된 괘지편(6)(6')에 감입시킨 뒤 오물분쇄기(A)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돌기(9)(9')를 파지한후 하부 연결판(5)을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주면 제2도의 단면 도시와 같이 하부 연결판(5)의 괘지홈(10a)(10'a)으로 상부 연결판(3) 괘지편(6)(6')이 괘삽되는데, 이때 괘지홈(10)(10')의 첨두형돌기(11)(11')는 상부연결판(3)의 괘지편(6)(6')에 형성된 괘지홈(7)(7')을 삽지해 주게 되고, 지지돌기(12)(12')는 괘지편(6)(6')을 지지하여 주기 때문에 간단하면서도 매우 견고하게 오물분쇄기(A)를 씽크대수조(S)의 저면 배수관(1)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오물분쇄기(A)를 사용시 고장이 발생하거나 기체 내부에 누적된 각종 오물을 세척키 위하여 분리시킬 경우에는, 하부연결판(5)의 돌기(9)(9')를 손으로 파지하고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괘지홈(10a)(10a')으로부터 상부연결판(3)의 괘지편(6)(6')이 이탈되면서 간단히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오물분쇄기(A)를 배수관(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와 같이 오물분쇄기(A)가 부착된 하부연결판(5)의 파지돌기(9)(9')를 손으로 파지하고 점,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간단히 오물분쇄기(A)를 씽크대수조(S)의 저면에 착, 탈시킬 수 있어 그 과정이 매우 간편한 것이고 또 하부연결핀(5)의 괘지홈(10a)(10a')에 상부연결판(3)의 괘지편(6)(6')이 괘삽될시에는 괘지홈(10a)(10a')에 형성된 첨두형돌기(11)(11')와 지지돌기(12)(12')로 인하여 견고하면서도 확실하게 삽착시킬 수 있어 모우터(M)의 구동력에 의한 진동작용을 방진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함께 가질 수 있다.

Claims (2)

  1. 씽크대수조(S)의 배수관(1)에 상부연결판(3)을 볼트로 세척하고, 상부연결판(3)에 분쇄기 상부의 하부연결판(5)을 감합하게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부연결판(3)의 외주면에 괘지홈(7)(7')과 돌조(8)(8')가 형성된 괘지편(6)(6')을 오물분쇄기(A)가 착설된 하부연결판(5)의 외주연부에 파지돌기(9)(9')를 내주연부에 서로 연통되는 감입홈(10)(10')과 괘지홈(10a)(10a')을 구비하여 상부연결판(3)에 하부연결판(5)을 구착시킬 수 있게 된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연결판(5)의 ; 괘지홈(10a)(10a') 상부에 첨두형돌기(11)(11') 및 지지돌기(12)(12')를 갖는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KR2019840007393U 1984-07-28 1984-07-28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KR870002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393U KR870002074Y1 (ko) 1984-07-28 1984-07-28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393U KR870002074Y1 (ko) 1984-07-28 1984-07-28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405U KR860001405U (ko) 1986-02-28
KR870002074Y1 true KR870002074Y1 (ko) 1987-06-13

Family

ID=1923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393U KR870002074Y1 (ko) 1984-07-28 1984-07-28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0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405U (ko) 198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3549B2 (en) Plug structure of a liquid drainage installation
US6578598B2 (en) Valve having an inner washing structure
KR870002074Y1 (ko) 씽크대 부착용 오물분쇄기
KR870000793Y1 (ko) 씽크대 부착용 오물 분쇄기
KR900004439Y1 (ko) 오물처리 분쇄기의 씽크대 고정장치
KR200148138Y1 (ko) 싱크대용 음식찌꺼기 탈수장치
KR890008399Y1 (ko)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KR200141735Y1 (ko) 좌변기 뚜껑을 이용한 세탁 및 세족 세면대
CN213868114U (zh) 一种用于食物垃圾处理器的落水口
KR970000513Y1 (ko) 세탁기의 다리 취부구조
JPS5848450Y2 (ja) 管継手
KR100372223B1 (ko) 전동 때밀이 장치
KR200181378Y1 (ko) 세탁기의 후면판넬 결합장치
JPH079245U (ja) 床面清掃機の清掃ブラシ着脱装置
KR200317892Y1 (ko) 청소용 밀걸레
JPS6243010Y2 (ko)
KR100654347B1 (ko) 탈착이 용이한 필터케이스
KR960005252Y1 (ko) 관리기용 보조핸들
JPS6350267Y2 (ko)
KR950008814A (ko) 세탁기의 세탁조받침판 및 기어메카니즘 탈거용 지그
KR200304282Y1 (ko) 정수기의 일체형 월 플레이트
KR200153664Y1 (ko) 차량 엔진 오일팬의 오일 배출 구조
KR950007117Y1 (ko) 때밀이 구
KR0132191Y1 (ko) 디스크 그라인더의 진동 저감장치
KR0126729Y1 (ko) 세탁기용 급수호오스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