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892Y1 - 청소용 밀걸레 - Google Patents

청소용 밀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892Y1
KR200317892Y1 KR20-2003-0006846U KR20030006846U KR200317892Y1 KR 200317892 Y1 KR200317892 Y1 KR 200317892Y1 KR 20030006846 U KR20030006846 U KR 20030006846U KR 200317892 Y1 KR200317892 Y1 KR 200317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holder
bag
cleaning
de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20-2003-0006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용 밀걸레에 관한 것으로, 걸레가 탈수조 내부에 떠있는 상태에서 세탁과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세탁시 먼지와 오물이 걸레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내에 밀걸레를 깨끗하게 세탁하고 탈수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 전용 밀걸레에 관한 것인바, 걸레 자루(10), 이 걸레 자루(10)의 일단에 고정부착되는 홀더 고정구(20), 후단이 상기 걸레 자루(10)에 끼워지고 선단에는 걸레(30)가 착탈되는 밀걸레 홀더(40)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신축관 (50), 상기 신축관(5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걸레 자루(1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레버(60)에 연결된 착탈용 로드(70), 상기 신축관(50)에 끼워져 밀걸레 홀더(40)가 홀더 고정구(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소시에는 레버(60)를 일측으로 젖혀 밀걸레 홀더(40)가 홀더 고정구(2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세탁기에 넣어 세탁 및 탈수시에는 레버(60)를 타측으로 젖혀 밀걸레 홀더(40)가 홀더 고정구(20)로부터 빠져나와 세탁기의 탈수조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탈수조와 함께 회전되면서 세탁 및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용 밀걸레 {A Wiping mop}
본 고안은 청소용 밀걸레에 관한 것으로, 밀걸레를 자루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세탁기에 투입시켜 자루는 고정된 상태에서 걸레만이 회전되면서 세탁 및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걸레가 탈수조 내부에 떠있는 상태에서 세탁과 탈수가 이루어져 먼지나 오물 또는 물기가 걸레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단시간내에 밀걸레를 깨끗하게 세탁/탈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청소시에는 레버를 젖혀 밀걸레가 부착된 홀더가 홀더 고정구에 끼워져 회전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68623호(등록년월일; 2002.03.26)의 밀걸레 전용 세탁기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펌프, 클러치모터, 밸브 등의 주요기능부를 탑재하고, 급배수 및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청소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주요기능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요홈을 지닌 뚜껑이 상부에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밀걸레가 안착되는 함몰부를 구비하는 탈수조; 및 상기 탈수조에 안착된 밀걸레의 자루를 지지하도록 케이싱 또는 탈수조의 내면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었으며, 상기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탈수조의 함몰부의 상단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스토퍼와, 상기 케이싱의 상단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중앙에서 밀걸레의 자루를 헐겁게 지지하는 클램프를 구비하거나, 상기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탈수조의 상단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중앙에서 밀걸레의 지루를 가압지지하는 클램프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밀걸레 전용 세탁기는 그 구조적인 요인에 의해 먼지와 오물이 묻은 밀걸레가 탈수조의 바닥에 형성된 함몰부에 끼워져 눌린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청소시 밀걸레가 흡수하고 있던 각종 먼지와 오물 등이 잘 빠지지 않아 세탁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세탁후에도 먼지나 오물이 걸레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게 되어 걸레를 깨끗하게 빨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밀걸레의 자루도 밀걸레와 함께 돌아가게 되므로 자루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의 마찰로 인한 소음의 발생과 더불어 마찰부의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기존의 청소용 밀걸레는 걸레자루의 하단에 마포 또는 천으로 된 걸레가 홀더에 의해 물린 상태로 고정되어 있었으므로 이를 밀걸레 전용 세탁기에 넣고 세탁할 경우 걸레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거나 또는 걸레를 회전시킬 경우 자루도 함께 회전되어 소음의 발생과 더불어 자루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위에 무리한 마찰이 발생하여 이의 마모와 파손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고안의 목적은 밀걸레가 세탁기의 탈수조 내부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탁시 먼지와 오물이 걸레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 내에 밀걸레를 깨끗하게 세탁하고 탈수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밀걸레의 걸레가 자루에 대하여 고정되거나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작하여 청소시에는 걸레가 자루와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세탁기에 세탁 및 탈수시에는 걸레가 자루로부터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여 걸레만이 탈수조 내에서 탈수조와 함께 회전되면서 세탁과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청소용 밀걸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걸레 자루, 이 걸레 자루의 일단에 고정부착되는 홀더 고정구, 후단이 상기 걸레 자루에 끼워지고 선단에는 걸레가 착탈되는 밀걸레 홀더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신축관, 상기 신축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걸레 자루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레버에 연결된 착탈용 로드, 상기 신축관에 끼워져 밀걸레 홀더가 홀더 고정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청소용 밀걸레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청소용 밀걸레를 사용하여 청소시에는 자루에 핀으로 부착된 레버를 일측(후방)으로 젖혀 밀걸레 홀더가 홀더 고정구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세탁기에 넣어 세탁 및 탈수시에는 레버를 타측(전방)으로 젖혀 밀걸레 홀더(40)가 홀더 고정구(20)로부터 빠져나와 세탁기의 탈수조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탈수조와 함께 회전되면서 세탁 및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청소용 밀걸레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를 세탁기에 세탁/탈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걸레 자루 12 : 손잡이
20 : 홀더 고정구 22 : 고정홈
30 : 걸레 40 : 밀걸레 홀더
41 : 신축관결합구멍 42 : 축볼트
43 : 와셔 44 : 고정나사
45 : 고정구멍 46 : 고정판
50 : 신축관 60 : 레버
70 : 착탈용 로드 72 : 와셔
80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의 작동상태 즉, 레버를 당겨 밀걸레 홀더를 홀더 고정구에 수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청소용 밀걸레는 걸레 자루(10)와, 이 걸레 자루(10)의 일단에 고정부착되는 홀더 고정구(20)와, 후단이 상기 걸레 자루(10)에 끼워지고 선단에는 걸레(30)가 착탈되는 밀걸레 홀더(40)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신축관(50)과, 상기 신축관(5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걸레 자루(1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레버(60)에 연결된 착탈용 로드(70)와, 상기 신축관(50)에 끼워져 밀걸레 홀더(40)가 홀더 고정구(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8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레 자루(10)는 금속관체를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되 그 후단에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된 손잡이(12)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선단 내측은 직경이 가는 신축관(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홀더 고정구 (20)에 박혀 자루(10)와 홀더 고정구(20)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더 고정구(2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되며 전면의 내측으로 밀걸레 홀더(40)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22)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으로는 상기 자루(10)의 선단에 끼워진 신축관(50)이 신축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걸레(30)는 대체로 ㄷ자형의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밀걸레 홀더(4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는 쐐기형의 고정판(46)이 고정구멍(45)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44)를 조이거나 풀어 주는 것에 의해 진퇴되어 걸레(30)의 후단을 압박함으로써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밀걸레 홀더(40)의 중앙 내측에는 신축관결합구멍(41)이 천공되어 있으며, 여기에 축볼트(42)가 복수개의 와셔(43)가 개재된 상태에서 끼워지고 신축관 (50)선단의 나사구멍(52)에 체결됨으로써 밀걸레 홀더(40)가 신축관(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신축관(50)에는 착탈용 로드(70)의 선단이 끼움고정되어 있고, 이 착탈용 로드(70)의 타단은 자루(10)에 핀으로 결합된 레버(6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착탈용 로드(70)의 선단부와 홀더 고정구(20)의 내측 사이에는 와셔(72)와 스프링(80)이 끼워져 있어 레버(70)의 젖힘동작시 밀걸레 홀더(40)가 스프링(80)의 힘에 의해 홀더 고정구(20)의 고정홈(22)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청소용 밀걸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60)를 자루(10)의 후방으로 젖혀주면 착탈용 로드(70)가 신축관(50)을 당겨주게 되어 신축관(50)이 자루 (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 때 신축관(50)선단의 밀걸레 홀더(40)는 홀더 고정구(20)의 고정홈(2)으로 삽입되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청소를 하면 된다.
한편, 청소작업에 의해 걸레가 더러워진 경우 이의 세탁은 일반적인 수작업으로도 세탁이 가능하나, 밀걸레 전용 세탁기에 투입하여 세탁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60)를 앞으로 젖혀주면 되는데, 이때 신축관(50)은 자루(10)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홀더 고정구(20)의 고정홈(22)에 끼워져 있던 밀걸레 홀더(40)가 이탈되어 밀걸레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용 밀걸레를 세탁기에 세탁/탈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밀걸레 홀더(40)가 홀더 고정구(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걸레(30) 상부의 밀걸레 홀더(40)를 탈수조(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끼움홈(2)에 끼우고 세탁을 하게 되면 걸레(30)에 묻어 있는 먼지나 오물이 쉽게 빠지게 되며, 걸레(30)자체도 탈수조(1)의 회전동작과 함께 회전되므로 세탁 및 탈수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세탁기를 사용하여 걸레를 세탁하거나 탈수하고자 할 경우,사용자는 걸레의 오염상태에 따라 또는 걸레의 물기량을 적절히 하기 위하여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시간을 도시안된 타이머에 의해 맞추어주면 깨끗하게 걸레를 빨 수 있음과 아울러 청소하기에 적당한 물기를 함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밀걸레에서 걸레만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자루에 결박된 상태 그대로 걸레부분만을 탈수조 내부에 투입하여 끼움홈에 끼운 상태로 세탁 및 탈수를 하면 되는데, 걸레는 자루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레버에 의해 전환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탈수조의 내부에서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탈수조와 함께 회전되면서 세탁 및 탈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걸레에 묻은 먼지나 오물 및 물기가 쉽게 빠지게 되어 걸레의 세탁 및 탈수효과가 기존의 일반적인 밀걸레 세탁기에 비해 현저히 높으므로 수작업에 의해 걸레를 빠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청소시간을 줄이고 청소원도 육체적인 피로를 덜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걸레 자루(10)와; 이 걸레 자루(10)의 일단에 고정부착되는 홀더 고정구(20)와; 후단이 상기 걸레 자루(10)에 끼워지고 선단에는 걸레(30)가 착탈되는 밀걸레 홀더(40)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신축관(50)과; 상기 신축관(5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걸레 자루(1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레버(60)에 연결된 착탈용 로드(70)와; 상기 신축관(50)에 끼워져 밀걸레 홀더(40)가 홀더 고정구(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밀걸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걸레 홀더(40)는 쐐기형의 고정판(46)이 고정구멍(45)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44)를 조이거나 풀어 주는 것에 의해 진퇴되어 걸레(30)의 후단을 압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밀걸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걸레 홀더(40)의 중앙 내측에는 신축관결합구멍(41)이 천공되고, 이 신축관결합구멍(41)에 축볼트(42)가 복수개의 와셔(43)가 개재된 상태에서 끼워져신축관(50)선단의 나사구멍(52)에 체결되어 밀걸레 홀더(40)가 신축관(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밀걸레.
KR20-2003-0006846U 2003-03-07 2003-03-07 청소용 밀걸레 KR200317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846U KR200317892Y1 (ko) 2003-03-07 2003-03-07 청소용 밀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846U KR200317892Y1 (ko) 2003-03-07 2003-03-07 청소용 밀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892Y1 true KR200317892Y1 (ko) 2003-06-28

Family

ID=4940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846U KR200317892Y1 (ko) 2003-03-07 2003-03-07 청소용 밀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8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59Y1 (ko) 2010-01-14 2012-09-14 투오 쉔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회전접이식 자루걸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59Y1 (ko) 2010-01-14 2012-09-14 투오 쉔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회전접이식 자루걸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275B2 (en) Glass surface cleaning machine
KR101015537B1 (ko) 착탈식 다기능 클리너
CN108175346B (zh) 立刮折甩清洁工具
KR200317892Y1 (ko) 청소용 밀걸레
CN108703724A (zh) 电动清洗、甩干拖布机
CN108185935B (zh) 用于平板拖把的挤压、清洗和脱水的拖把桶
CN201516013U (zh) 平板拖把搓洗除水装置
CN218552238U (zh) 一种地面清洁装置
KR101749050B1 (ko) 물걸레 청소기
CN212650797U (zh) 一种具有刮刀装置的拖把头
KR200284417Y1 (ko) 걸레 세척장치
CN104367288A (zh) 拖把组件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KR200252410Y1 (ko) 물걸레 세척통
CN220937970U (zh) 一种方便使用的拖把桶
KR200317891Y1 (ko) 밀걸레 전용 세탁기
EP0938863A2 (en) Cleaning device, cleaning cloth and method of cleaning
KR950008588Y1 (ko) 청소용 대걸레
CN2153326Y (zh) 折叠挤水式拖把
KR920004144Y1 (ko) 세차용 자동 분수 청소기
JP3752475B2 (ja) 真空掃除機の補助雑巾セ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KR101850512B1 (ko) 물걸레 청소기
CN215424468U (zh) 一种方便拆装的平板拖把
CN109222795B (zh) 机器人用滚筒拖把清洗旋干装置
CN210931245U (zh) 一种平板拖把用带加强筋的清洗脱水桶
KR101466323B1 (ko) 휴대용 다목적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