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059B1 - 재귀반사포 - Google Patents

재귀반사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059B1
KR870002059B1 KR1019850000486A KR850000486A KR870002059B1 KR 870002059 B1 KR870002059 B1 KR 870002059B1 KR 1019850000486 A KR1019850000486 A KR 1019850000486A KR 850000486 A KR850000486 A KR 850000486A KR 870002059 B1 KR870002059 B1 KR 87000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weight
color
refl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041A (ko
Inventor
안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85000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059B1/ko
Publication of KR86000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재귀반사포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선명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패션성이 우수한 재귀반사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류에 기능성을 중시한 많은 제품이 나오고 있고 그 중에서도 안전성을 추구한 많은 소재가 의류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능성을 의류에 적용할 경우 의류 본래의 촉감, 색상등 패션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좋은 기능을 나타낼 수 있어야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야간교통 사고로부터 안전성을 부여받기 위하여 만들어진 재귀반사포가 안전 의류에 적용될 경우에도 나타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선명한 색상을 얻기 어렵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재귀반사포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천연섬유나 화학섬유로 제직, 제편되거나 부직포로 된 기포(基布)에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혼합한 적정 농도의 수지를 도포하여 반사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투명하면서 소정의 굴절율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된 구형 비즈(Beads)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투명수지를 비즈층위에 다시 도포하여 재귀반사포를 제조하여 왔다.
이때 색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염료 또는 안료등의 발색물질을 비즈층이나 투명수지층에 혼합시켜서 착색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착색 재귀반사포지는 색상이 회색이거나 검은 색일 경우에는 반사층에 사용된 알루미늄 플레이크의 광반사에 별 영향을 받지 않고 원하는 색상을 얻기가 수월하지만 회색이거나 검은색을 제외한 기타 색상을 나타내는데 있어서는 알루미늄 플레이크 자체가 검회색을 띄고 있으므로 착색층을 통과한 가시광선중 특정범위의 파장을 알루미늄 플레이크의 검회색이 흡수하기 때문에 착색된 색상의 고유한 파장을 반사시키지 못하게 되어, 어둡고 선명하지 못한 색상을 띄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량의 염료나 안료를 사용하여서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있도록 시도된 바 있지만 이 경우에도 과다한 발색물질의 사용으로 말미아마 노랑색, 연초록색과 같은 명도가 높은 색상을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알루미늄 플레이크에 의하여 어두운 색상이 나타나는 문제점까지를 해결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패션성을 중요시하는 용도로 사용코저할 때에는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반사층에 소량 사용하거나 전연 첨가하지 않으므로서 색상의 선명도는 유지시킬 수 있었으나 반면에 재귀반사성이 극히 불량하거나 나타나지 않아서 재귀반사포라고 말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명도가 높은 색상을 사용할 경우에도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면서 재귀반사성이 우수한 재귀반사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인바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후 가공제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 유연성을 부여해주는 공지의 일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이액형 폴리우레탄수지, 또는 아크릴수지 등을 톨루엔, 초산에칠, 매칠에칠 캐톤 등의 혼합용제로서 알맞은 점도가 되도록 조절한 수지액(이하"A"수지라고 함)으로 기포의 표면을, 건조후 수지 중량이 5-10g/㎡이 되도록 코팅하고, 100-150℃에서 20초-5분간 열처리하여 경화시킨다.
다음 A수지에 종래의 알루미늄 산화물(Al2O3) 대신 굴절율이 2.8 이상이고 비중이 4.5이하인 흰색의 티타늄옥사이드 플레이크를 수지액의 5-5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다음, 상기 수지코팅층 위에 건조후 중량이 5-35g/㎡되도록 얇게 코팅하여 반사층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상기 반사층위에 공지의 비즈(Beads)를 균일하게 도포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티타늄옥사이드 플레이크는 굴절율이 2.8이상이므로 비즈를 통과한 빛이 반사층에서 전부 반사되어서 반사성이 좋으며 비중이 4.5 이하이므로 비중이 적어서 A 수지액과의 분산성이 원만하므로 균일한 반사층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한 흰색의 티타늄옥사이드플레이크의 첨가량이 5% 미만이면 비즈를 통과한 빛이 그대로 통과하거나 반사층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충분한 재귀반사성을 발휘할 수 없으며 50%를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 아니라 촉감이 경화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재귀반사포는 명도가 높은 색상에서도 선명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어서 패션성이 좋으며 재귀반사성도 우수하다.
[비교예 1]
(반사층에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190T나일론 터프터 직물에, 일액형 폴리우레탄수지에 이소시아 네이트 계통의 크로스링킹제를 5% 첨가하여 톨루엔, 초산에칠, 메칠에칠캐톤등으로써 점도를 조절한 수지액으로 코팅하고, 건조 경화후 중량이 10g/㎡이 되도록 접착층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접착층 위에 상기 접착층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수지를 코팅하되, 건조 경화후의 중량이 10g/㎠되도록 코팅하고 이어서 그 위에 실시예 1과 같이 비즈층을 형성시킨다.
[비교예 2]
(종래방법)
비교예 1에서와 같은 접착층을 190T 나일론 터프터직물에 형성시키고, 접착층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수지에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10% 첨가한 것으로 코팅하되, 건조 경화후 중량이 10g/㎡이 되도록 하고 그 위에 실시예 1과 같이 비즈층을 형성시킨다.
[실시예 1]
비교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190T 나일론 터프터직물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그위에 접착층에서 사용한 수지에 굴절율이 2.8 이상이고 비중이 4.5 이하인 티타늄 옥사이드 플레이크를 15중량% 첨가한 것으로 코팅하되 건조 경화후 중량이 10g/㎡이 되도록 코팅하여 반사층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반사층위에 굴절율 2.0, 직경 40-80㎛인 비즈를 적합한 접착수지에 해당 수지액의 3배중량이 되도록 혼합하여 건조 경화후 중량이 50g/㎡이 되도록 코팅한다.
다음에 톨루엔, 초산에칠, 매칠에칠캐톤 등으로 알맞은 점도가 되도록 조성한 폴리우레탄 수지에 노란색안료(Su yellow : (주) 일삼)를 3% 섞어서 잘 혼합한 액을 건조 경화후 두께가 5㎛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한다.
색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190T 나일론 터프터 생지(흰색)에 비교예 1에서와 같이 접착층을 코팅하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착색 투명수지로 건조 경화후의 두께가 5㎛되도록 착색 코팅한 것을 색차기준 비교 포지로 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및 2와 실시예 1에 의해 만들어진 제품의 재귀반사성 및 색상차이는 표(1)에서와 같이 비교예 1은 색상이 선명하나 재귀반사성이 극히 떨어지고 비교예 2 제품은 재귀반사성은 양호하나 색상이 어두웠다.
[표 1]
Figure kpo00001
(측정방법)
1) 색차
Color/difference meter D25-2(Hunter Lab사 제품)를 사용하여 기준 포지와 측정 포지의 L치를 측정하고 그 차를 계산한 것임.
2) 야간시인거리
자동차의 전조등(HI-80W)으로 야간의 가시거리를 측정한 것임.

Claims (2)

  1. 기포위에 순차적으로 합성수지층과 반사층 및 비즈층을 형성시켜서된 재귀반사포에 있어서, 반사층을 굴절율이 2.8 이상이고 비중이 4.5 이하인 티타늄옥사이드 플레이크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포.
  2. 제 1 항에 있어서, 티타늄옥사이드 플레이크를 합성수지중량에 대하여 5-50중량% 첨가시켜서된 재귀반사포.
KR1019850000486A 1985-01-26 1985-01-26 재귀반사포 KR87000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0486A KR870002059B1 (ko) 1985-01-26 1985-01-26 재귀반사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0486A KR870002059B1 (ko) 1985-01-26 1985-01-26 재귀반사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041A KR860006041A (ko) 1986-08-16
KR870002059B1 true KR870002059B1 (ko) 1987-12-03

Family

ID=1923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486A KR870002059B1 (ko) 1985-01-26 1985-01-26 재귀반사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787B1 (ko) * 1999-03-18 2001-05-15 박병일 재귀반사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041A (ko) 198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7786A (en) Multicolored reflective article and its manufacture
US2379741A (en) Reflex light reflector
EP0305074B1 (en) Retroreflective coating and composition for forming same
US2383884A (en) Colored reflex light reflector
US4153412A (en) Process for printing reflective sheet material
US4103060A (en) Area-retroreflectorization of fabrics
US2294930A (en) Reflex light reflector
EP0039734B1 (en) Method for forming a retroreflective treatment on fabrics
US2354049A (en) Backless reflex light reflector
GB1414237A (en) Retroreflective structure
US4005538A (en) Internally illuminated retroreflective signs
US3025764A (en) Retroreflective elements and structures
USRE30892E (en) Area-retroreflectorization of fabrics
JPH10510930A (ja) 逆反射性構造
CN107003444A (zh) 着色回射制品
TWI472809B (zh) 反光物品製程
US20190162882A1 (en) Retroreflective structural colour film for smart displays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3251704A (en) Compositions and pigments
JPS60205501A (ja) 蓄光性を有する明彩色再帰反射シ−ト状物
JPS553956A (en) Fluorescence latent color film and its use
KR870002059B1 (ko) 재귀반사포
US2411222A (en) Highway reflector sign and the like
US3176420A (en) Reflex sign
RU95100765A (ru) Зеркало,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еркал, композиция краски, способ придания непрозрачности зеркалу с низкой пропускающей способностью
KR20050057864A (ko) 야간시인성이 우수한 차선의 도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