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86B1 -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 Google Patents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70001686B1 KR870001686B1 KR1019810002377A KR810002377A KR870001686B1 KR 870001686 B1 KR870001686 B1 KR 870001686B1 KR 1019810002377 A KR1019810002377 A KR 1019810002377A KR 810002377 A KR810002377 A KR 810002377A KR 870001686 B1 KR870001686 B1 KR 870001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ocket
- magazine
- cartridge
- housing
- cartridg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24—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 F41A9/2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using a revolving drum magaz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와 제2도는 공지의 드럼식 탄창 단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식 탄창의 부분 단면도.
제3b도는 푸셔(pusher)를 제거한 것으로서 제3a도의 선 3b-3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c도는 제3b도의 선 3C-3C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탄약(cartridge)을 제거한 중간 및 외부 스프로킷(sprocket)용 정지장치의 도면.
제4도는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각 부분의 위치를 달리한 도면.
제5a도는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각 부분의 위치를 달리한 도면.
제5b도는 제5a도의 5B부분의 상세도.
제6도는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각 부분의 위치를 달리한 도면.
제7a도는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각 부분의위치를 달리한 도면.
제7b도는 제7a도의 선 7B-7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8a도는 하우징(housing)의 평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선 8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8c도는 제8b도의 선 8C-8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9a도는 외부 스프로킷의 측면도.
제9b도는 제9a도의 선 9b-9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9c도는 제9a도의 선 9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a도는 중간 스프로킷의 측면도.
제10b도는 제10a도의 선 10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c도는 제10a도의 선 10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a도는 내부 스프로킷의 평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의 선 11B-11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a도는 커버(cover)의 평면도.
제12b도는 제12a도의 선 12B-12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c도는 제12a도의 선 12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는 다른 예에 의한 최종정지 작동기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드럼식 탄창은 탄창에 있는 탄약과 탄창의 내면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로 인해 생기는 마찰 손실의 피해가 심하다. 탄약과 굴림마찰이 있다고 생각되겠지만 사실은 굴림 마찰이 전혀 없고 단순히 미끄럼 마찰만 있을 뿐이다. 한가지 공지로 되어있는 드럼식 탄창은 톰손식인데 이것은 50회전 까지 되는 것으로서 Thomas B. Nelson의 저서 ["The World's Sub-machine Guns (Machine Pistols)", Vol 1, International Small Arms Publishers, Cologne, West Gemany, 1st edition, 1964년 2차 인쇄, p. 51-53]에 상술되어있다. 톰손식 탄창에는 나선형의 가이드가 있어서 여기에 탄약통이 효과적으로 배열이 되며 스프링에 의해 구동이되는 여섯개의 방사상의 회전 아암(arm)에 의해 탄약통이 공급 통로로부터 제거되는데, 이 스프링은 탄약통을 모두 제거한다.
이러한 탄창에서의 마찰은 극히 크며 나선형의 열(列)을 둘 이상으로 많이 형성한 다는 것은 실용적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열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드럼 직경을 크게 하므로서 탄창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이렇게 되면 탄창의 부피는 불필요하게 커진다. 마찰손실을 감소시키고자 나온 것이 공지의 수우미(Soumi)식 드럼 탄창인데, 여기에 관해서는 앞서 제시된 자료(p.562-565)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제1도와 제2도에 상술되어 있다.
수우미식 탄창에 있어서는 원형의 접시같은 하우징(1')에 회전식의 기판(base plate)(2')을 구성하고 이 기판위에 동심원형 가이드(5',6')와 하우징(1')의 내면 및 브리지(bridge)(7')에 의해 형성된 통로(3',4')속에 탄약이 들어가며, 가이드(5',6')와 브리지(7')를 기판(2')와 함께 회전이 되도록 한 것이다.
하우징에는 공급구(8'), 공급램프(ramp)(9') 및 정지장치(10')를 구성하며 이들과 가이드(5')에 설치된 러그(lug)(11')가 상호 작동이 되게하고 있다. 로우터(rotor)(12') 아래에 있는 코일 스프링(도면에 예시되지 않았음)이 로우토 및 피벗식 푸셔(pivotal pusher)(13')를 움직인다.
탄약통은(15')로 나타내었고 러그(11')에 인접한 탄약통은(16')로 나타내었다.
작동에 있어서 스프링은 로우터(12')와 푸셔(13')를 움직이며 푸셔(13')는 화살표(A)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며 러그(11')쪽으로 모든 탄약통을 이동시키므로서 탄약통(16')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가이드(5',6')와 기판(2')이 움직인다. 따라서 러그(11')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탄약통은 램프(9')쪽으로 이동하여 공급구(8')를 통해 나가게 된다. 이때 공급구(8')를 통해 외부열속에 있는 탄약통이 튀어나올때까지 기판(2')은 내부 열속에 있는 탄약통을 회전식으로 이동시켜 1차의 부분적인 회전이 되지만 가이드(1')에 대해 외부로 밀려 나는 외부열속에 있는 탄약통 사이에 마찰 저항이 있게 되는데, 이 마찰 저항은 톰손식 탄창에서 나타나는 것보다는 훨씬 작다.
가장 안쪽열에 있는 탄약열의 내부와 외부 직경을 형성하는 가이드(5',6')가 1차 회전하는 탄약과 더불어 이동하기 때문에 톰손식 탄창의 경우보다는 마찰은 거의 없는 편이다. 회전을 하는 도중 외부열은 공급구에서 밀려나오지만 내부 직경의 가이드도 동시에 이동하므로서 톰손식의 미끄럼 마찰 접촉 경우보다 절반정도의 마찰을 외부열이 받게 되는데, 내부열은 이러한 마찰을 전혀 받지않는다. 그러나 러그(11')가 정지 요소(10')와 물리게 되면 내부통로(3')에서 부터 외부통로(4')로 연결되는 브리지(7')는 공급구(8')로 일렬로 위치하게 되고 기판(2')는 그 이상 더 회전을 않게 되므로서 내부열의 탄약통은 가이드의 정지면과 마찰을 하게되어 톰손식 탄창의 경우와 유사한 큰 마찰력을 발생한다.
더우기 푸셔(13')가 탄창속에 있는 마지막 탄약통(15')에 압력을 가하여 기타 탄약통을 모두 밀어버리며 탄약통은 원형으로 정열이 되기 때문에 탄약통은 가이드 표면에 대해 외부로 밀려나게 되므로서 마찰은 증가된다. 또한 실용적이지 못한 사실은 이러한 탄창의 용량을 개선코자 통로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인데 용량이 증가되면 드럼의 직경을 불필요하게 크게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앞서나온 드럼식 탄창의 결점은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있는 공급구 사이에 탄약통을 미끄러지게 밀어주어 공급구를 통해 탄창을 채워줄 수 있을 뿐이므로 해서 원형의 평면커버를 제거해야만 탄창을 탄약통으로 채울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이 추구한 것은 공급구를 통해 탄약통을 채울 수 있는 크기가 작으면서도 용량이 비교적 큰 신규의 드럼식 탄창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총의 드럼식 탄창에는 한개의 정지상태의 하우징과, 거의 동심원적으로 회전식으로 설치된 두 개의 요소와, 1차 방향으로 요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하우징에 대해서 외부 요소의 회전을 제한하는 정지요소 및 정지요소가 외부 요소의 회전을 제한하여 내부요소가 일정한 량만큼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까지 1차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외부요소의 회전을 억제하게 될때 외부요소와 하우징 사이에서 폐쇄되는 래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적절한 예를 들자면 이들 요소 각각은 거의 동심원형의 스프로킷으로 되어있고 각 스프로킷은 다수의 탄약통을 수용하게끔 다수의 톱니를 외부 주변에 가지고 있다.
편리한 점은 각 스프로킷의 구성 방법으로서 한개의 동심원형 관(管) 요소를 구성하고 또한 방사상으로 형성된 일정 간격의 최소한 두개의 원형 플랜지 각각에 톱니를 형성하여 단수의 탄약통이 이 사이에 자리잡도록 하며, 내부 스프로킷의 톱니의 간격을 인접한 외부 스프로킷의 내면과 일정간격이 지도록 하여 가장 바깥쪽의 스프로킷의 톱니가 하우징 내부의 주변벽과 떨어져 있도록 하고, 각각의 관모양 요소에 탄약통 공급구를 만들어 탄약통이 구멍난 관 요소를 통해 이동하게 하며, 공급램프를 각각의 스프로킷으로 부터 공급구 까지 탄약통이 유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각 스프로킷에는 관 모양 요소의 외부 주변에 직접 톱니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예를보면 회전식으로 설치된 요소를 동심원 모양으로 구성하고 외부 요소를 기판과 탄약통 유도레일로 구성하여 브리지로 연결되는 동심원 모양 탄약통 통로를 구성하는 기판으로부터 연장되게 한다. 내부요소를 구동 요소로 만들어 여기에 탄약통을 통로주위로 밀어주는 힘을 가하기 위해 구성한 피벗식 푸셔에 연결된 스프링 작동식 로우터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총의 드럼식 탄창에는 하우징과 두개의 동심원형의 회전식 요소를 구성하며 이중 최소한 한개는 탄약통을 지지하도록 하고, 또한 이 요소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이 요소의 한가지에 부착되는 부분을 가진 연결요소를 구성하여 이들 요소를 통해 통과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각 요소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고, 연결요소의 단결로 인해 각 요소가 다른 요소에 대해 회전이 되도록 한 것이다. 두가지 요소는 탄약통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있다.
스프로킷 요소에 있어서 각각에 외부 주변을 구성하고 여기에 다수의 톱니를 만들어 주어 다수의 탄약통이 수용되도록 한다. 스프로킷을 관 모양 요소를 따라 축 방향으로 간격을 가진 원형의 방사상 플렌지 최소한 두개로 구성하고 각 플렌지에 톱니를 구성하여 이들 플렌지 사이에 다수의 탄약통이 수용되게 한다. 래치 요소에는 연결 요소를 구성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따라 상술한다.
제3a도, 제4도, 제5a도, 제6도 및 제7a도에 있어서 탄약통을 C로 나타내었는데 제3a도에 알 수 있는 것은 완전히 장진된 상태에서는 탄창은 100개의 탄약을 수용한다는 점이다.
제3a도에서부터 제7b도까지 예시된 드럼식 탄창은 커버(41)가 있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접시모양의 하우징(40)이 있는데, 커버속에는 동심원 모양으로 설치된 외부 스프로킷(42), 중간 스프로킷(43) 및 내부 스프로킷(44)이 있다. 드럼, 커버 및 각 스프로킷을 플락스틱을 성형하여 만들며 각 스프로킷은 원형의 관같이된 스푸울형으로 되어 있고 이 관의 끝은 방사상의 플렌지이며 각각에는 외부 주변 주위에 다수의 톱니를 구성하여 탄약통을 수용한다. 하우징의 베이스(404)에 인접한 플렌지에 있는 톱지를 커버(41)에 인접한 아암속의 톱니보다 큰 것으로 하므로서 탄약통의 테이퍼(taper)가 수용되게 하고, 탄약통의 톱니를 하우징축에 거의 평행하게 한다.
내부 스프로킷에 톱니를 구성하여 탄약통(C1-C24) 각각을 수용하고 중간 스프로킷(43)에 톱니를 구성하여 탄약통(C27-C57)을 수용하며 외부 스프로킷(42)에 톱니를 구성하여 탄약통(C60-C98)을 수용한다. 제3a도에서 부터 제7b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조립이 된 위치에서 하우징(40)속에 각 스프로킷을 구성하여 하우징의 공급램프(434,441) 외부 스프로킷의 공급램프(455,455')및 중간 스프로킷의 공급램프(471,471')가 제3a도에 예시된 위치를 취하도록 하고, 공급램프(434)는 탄약통(C98)의 베이스로 연장되게 하며, 공급램프(455')는 탄약통(C58)의 베이스로 연장되게 하고 공급램프(471')는 탄약통(C25)의 베이스로 연장되게 한다. 이와같이 하여 공급램프는 램프가 연결된 스프로킷에 있는 탄약통을 효과적으로 취하며 램프(441,455',471')는 탄약통의 가이드로서 작용하게 된다. 하우징(1)의 축에 고정 설치된 것은 하우징과 커버에 각각 나사(400,401)로 고정된 나일론 스핀들(45)이다.
스핀들에는 귀(402)가 있으며 이 귀에는 금속 박판으로 된 시계모양의 토오숀 스프링(46)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46)의 다른쪽 끝은 내부 스프로킷(44)에 있는 구멍(403)에 고정되어 있다.
제7b도와 제11a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내부 스프로킷(44)에 푸셔(47)가 설치된다. 이 푸셔(47)에는 내부 스프로킷의 아암 사이에서 위치하는 스핀들(405)이 있으며 피벗식으로 스핀들(405)에 고정된 것은 내부 스프로킷 플렌지와 인접한 각각의 플렌지의 범위내에 있는 U자형의 가지있는 U형 아암이다. U자 모양의 양끝을 스핀들(405)에 고정시키고 탄약통 모양과 거의 같은 막대(407)를 U자형의 베이스에 용접한다. 막대(407)에는 꼬리(408)를 구헝하여 내부 스프로킷의 톱니에 위치하게 하고, 또한 이 꼬리부분(408)과 떨어진 곳에 경사진 상부(409)(제7b도)를 구성하므로서 탄창이 고정되는 총의 놀이쇠가 막대(407) 위에서 이동이 잘되게 한다. U자형 아암(406)과 커버(41)에 인접한 내부 스프로킷의 날개 사이에 있는 스핀들(405)에 연결된 것은 최종회전 정지 작동기(48)인데 이것은 커버(41)쪽으로 편향된 스프링 아암(413)(414)과 탄창이 부착되는 총이 리시버속의 메카니즘과 접하는 버튼(409)으로 되어 있으며, 탄창에서 마지막 탄약통이 발사될때 놀이쇠 메카니즘을 위로 향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최종회전 정지 작동기가 경사진 부분(408)이 있는 총의 리시버내에서 메카니즘을 작동하지 못하면 놀이쇠가 푸셔를 사면(斜面)쪽으로 비스듬히 때려준다. 푸셔의 꼬리(408)를 연장하여 스프로킷 래치와 상호작동하게 한다. 하우징(40)에는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세로 방향의 측면이 있는 목부분(416)으로 형성된 공급구(415)를 구성하며, 총의 탄창수용부에 위치하게 한다.
목부분(416)에는 오른쪽(제3a도, 제4도-제7a도)에 피벗식 립(417)를 구성하고 왼쪽에는 공급구위로 연장되는 활모양의 고정된 립(418)을 구성한다. 제5b도에서 탄창의 목부분은 총의 웰(well)부분(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속에 위치한다. 피벗식 립(417)을 축(419) 위에 구성하여 활모양의 표면(421)이 있는 아암(420)(일반적으로 탄약통과 동일한 반경)과 탄창을 총의 웰부분에 삽입할때 꼬리부분이 립(417)의 회전을 억제하여 총의 웰에 고정될 경우 제5b도의 선에 예시된 위치에 립(417)이 오지 않도록 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 꼬리(422)를 구성한다. 립(417)을 스프링(예시되지 않았음)으로 편향시켜 립의 바닥(제5b도)의 수평이 되게한다(도면에서 점선). 립(417,418)사이의 거리를 조절할때 립(417)이 시계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게 하면서(제4도, 제5b도의 점선)립 위에서 부터 탄약통이 이탈되지 않게 하여 탄약통이 탄창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탄창이 총에서 이탈되면 립(417)을 눌러주므로서 탄약통의 세로 방향축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탄창에서 탄약통이 떨어져 나간다. 사용시에 있어서 탄약통은 총의 놀이쇠로 탄창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미끌어진다. 래치 메카니즘을 구성하여 탄창이 총의 웰이 고정되게 하며, 이러한 메카니즘은 한쌍의 핀을 사용하여 탄창의 수용부의 벽중, 한가지 벽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목부분(416)에 형성된 상호 작동식 구멍속으로 미끌어지게 설치하는 것인데, 이들 구멍을 제8a도에서는 (423)으로 표시했고 핀중의 한개는 제5b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제8a도, 제8b도 및 제8c도에 예시된 접시모양의 하우징(40)에는 개방된 상부(424)가 있고, 이 부분에 커버(41)가 나사(425)로 연결되며 목(416)의 양쪽에는 핀(426)이 들어있다.
하우징(40)에는 내부 직경이 큰 부분(427)에 있어서 외부 스프로킷에 탄약통을 수용할 수 있고 탄약통의 코(탄알) 부분이 들어가는 영역은 내부직영이 작으며(428), 이 부분(428)은 베이스(429)에 연결된다. 베이스에는 원형의 돌출부(430)가 있고, 이 부분의 안쪽은 외부 스프로킷(42)과 중간 스프로킷(43)이 회전할때 윤활면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동심원형의 돌출부(430)에는 방사상으로 외부측면(444)이 있어서 외부 스프로킷(42)을 동심원형으로 위치하게 하고, 또한 내부 측면(445)는 중간 스프로킷(43)을 동심원형으로 위치하게 한다.
베이스(429)에는 내부 보스(boss)(431)를 구성하여 내부 스프로킷(44)에 대한 윤활면(432)과 동심원형 유도면(423)을 형성한다. 보스(431)의 드럼축 위에는 나사(400)가 들어가는 구멍이 있다.
고정된 립(418)(제8a도)을 하우징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하므로서 립(417,418)에 의해 들어오는 탄약통이 경사지게 하여 탄알이 위쪽으로 각도 가지게 하는데, 고정된 립(418)의 완만한 부분은 탄약통의 영역보다 다소 높게 탄약통을 상승시켜 준다. 이렇게 되면 탄약통이 놀이쇠 전진에 따라 윗방향 각도를 취하게 되어 원활하게 약실로 들어간다.
이러한 작용은 종래의 탄창의 공급통로와는 구별이 되는데, 즉 종래의 것은 탄창이 전진 이동함에 따라 탄알끝이 공급램프로 들어가고 베이스끝이 아래로 향할때 탄알이 위로 향하게 된다.
이것은 종래의 공급립의 앞방향 모서리가 탄약통의 중심, 몸체부분과 접하여 받침대로 작용하므로서 탄알끝이 올라감에 따라 베이스 끝은 아래로 내려가고, 따라서 탄창내의 다른 탄약통이 탄창내에서 아래로 밀리게 되기 때문인 것이다. 이러한 다용량의 탄창에 있어서 역작용(탄창을 후진시키는 작용)으로 인하여 상당한 단시간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불필요한 놀이쇠 작용을 하게 된다.
고정된 립(418)에 인접한 공급구(415)의 한쪽에는 외부 측면에 노치(notch)(435)가 있는 공급 램프(434)가 있어서 외부 스프로킷의 톱니를 수용하고 공급램프(434)의 다른쪽에는 탄약통의 웨브가이드(web guide)(436)가 있다.
또한 고정된 립과 동일한 공급구 쪽에는 외부 스프로킷에 대한 정지요소(437)가 있다. 피벗식 립(417)의 위치를 측벽(438,439)과 바닥부분(440)으로 형성된 부분에 잡는데, 측벽(439)에는 내부 램프부분(441)을 구성하여 공급램프(434)용 가이드로 작용하게 한다. 양측벽(438,439)에 있는 구멍(442)은 피벗식 립(417)의 축(419)이 들어간다. 공급구(415)의 양쪽에는 노치(443)가 있어서 작동시에 총의 웰 부분에 있는 각각의 정지핀에 대해 접합을 하므로서 탄창을 리시버에 삽입하는 정도를 제한하게 된다. 제8b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내부 직경부분(438)은 리세스(recess)(446)가 있어서 외부 스프로킷에 구성된 래치(447)와 상호작동을 한다. 또한 리세스 대신에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제9a도, 제9b도에 및 제9c도에 예시된 외부 스프로킷(42)에는 플렌지(449,450)가 있는 관 모양 몸체(448)가 있는데 각각의 플렌지에는 다수의 톱니(451)가 형성되어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같이 플렌지(449)의 톱니는 플렌지(450)의 톱니보다 크다. 몸체(448)에는 작은 직경 부분(452)이 있으며, 이것은 하우징의 내부 직경부분(428)과 돌출부분(430)의 안쪽과 접하는 동심원형의 윤활면(453)내에 위치한다.
몸체(448)에는 공급구(454)가 있어서 중간 및 내부 스프로킷으로부터 탄약통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공급구(454)에 공급 램프(455,455')와 가이드 램프(456)를 구성하여 탄약통을 경사지게 하므로서 탄알 부분이 공급구(454)의 바깥쪽으로 경사를 가지게 된다. 직경이 작은 부분(452)에 들어가는 것은 정지면(458)을 부여하는 정지요소(457)인데 이것은 하우징의 정지요소(437) 및 다른 정지요소(459)와 접하므로서 중간 스프로킷에 있는 정지요소와 상호 작동한다.
부분(452)의 벽에 구멍(460)을 형성하여 래치(447)를 수용하고 중간 스푸울에 연결된 래치(447)를 수용하고 중간 스푸울에 연결된 래치(462) 위의 발톱의 작동에 대해 립(461)을 형성한다. 구멍(460)을 가로질러 보스내에 구멍(463)을 구헝하여 래치(447)의 위치를 피벗식으로 잡아주는 핀을 넣는다. 탄약통의 목부분의 위치를 잡아주므로서 직경이 작은 부분(452)의 탄창내에서 소요의 경사정도를 탄약통이 유지하도록 한다. 래치(447)를 개다리 모양으로 휘어지게 만들어 래치(462)를 중첩시킬 수 있다.
제10a도, 제10b도 및 제10c도에 예시된 중간 스프로킷(43)은 외부 스프로킷(42)과 유사하며 작은 직경부분(465)과 탄약통을 수용하는 톱니가 있는 플렌지(466,467)가 구성된 몸체(464)를 가진다. 플렌지(466)의 톱니의 방사상의 정도는 플렌지(467)의 톱니보다 크다. 직경이 작은 부분(465)의 끝면은 윤활면(468)이 있어서 하우징의 표면(430)과 리세스가 있는 환상의 부분(469)에서 회전이 되며, 이것의 내부 가장자리는 하우징의 안쪽(445)과 접하게끔 동심원형의 유도면으로 작용한다. 중간 스프로킷에는 공급램프(471,471')가 있는 공급구(470)가 있으며 이것은 외부 스프로킷(42)에 대해 유도램프(472)에 의해 탄약통(499)을 경사지게 한다. 유도램프(471')는 몸체(464)의 내부로 연장된다. 외부 스프로킷(42)에 있는 정지요소(459)와 접하는 정지면(474)을 가진 정지요소(473)를 직경이 작은 부분(465)에 구성하고 직경이 작은 부분(465)의 측벽에는 구멍(475)을 형성하여 래치(462)를 넣고, 또한 구멍(476)을 보스에 형성하여 래치(462)의 위치를 잡는 관을 넣는다.
제11a도와 제11b도에 예시된 내부 스프로킷(44)은 톱니가 있는 측 플렌지(477,478)가 달린 몸체(477')가 있고, 몸체(477')에는 장방형의 구멍(403)을 형성하여 이속에 스프링(46)의 한쪽끝이 위치하도록한다. 플렌지(477)의 톱니를 플렌지(478)의 톱니보다 크게하여 탄약통(점선표시)을 경사지게 한다. 탄약통(C1,C25)(도면에서 점선)이 위치하는 곳에는 아암(477)속에 노치(479)를 구성하며 아암속에는 푸셔의 막대(407)가 들어간다. 푸셔의 스핀들(405)을 넣기위해 아암(477,478)에 구멍(480)을 형성한다. 제4도에 있는 바와같이 띠모양의 물질을 사용하여 래치(477,462)를 만들어 피벗(481)에 설치하고 토오숀스프링(482)의 힘으로 편향시키며 한쪽끝은 슬롯(460,475)의 모서리와 접하게 하며, 다른 끝을 L자형으로 휘어지게 하여 래치(447,462)의 탱(tang)(438,484)과 물리게 한다.
탱과 떨어져 있는 래치(447,462)의 끝에는 핑거(finger)(485,486)과 돌출귀(487,488)를 형성하고 귀(487)에는 하우징(40)의 리세스(446)에 있는 립(489)과 물리게하며, 귀(488)는 외부 스프로킷(42)에 있는 립(461)과 물리도록 한다(제6도). 핑거(485,486)를 탄약통(C28,C29) 사이와 탄약통(C2,C3) 사이에 각각 삽입할 수 있게끔 성형하고 탄약통(C28,C2)에 대해 유지되게 한다. 탱(483,484)에는 푸셔(47)의 막대(407)와 탄약통(C26)에 의해 물리도록 반경부분을 형성한다.
제12a도, 제12b도, 및 제12c도에서 예시된 커버(41)는 투명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원형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커버의 돌출부에 구멍(490)을 6개 만들어 커버를 하우징(40)에 고정시킨다. 커버에 구멍(491)을 만들어 여기에 노치(492)를 형성하여 스핀들(45)에 대한 통로로 작용하게 하고, 스핀들(45)이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구멍(491)을 둘러싼 부분을 접시처럼 만들어 리세스를 형성하여 나사(401) 머리가 들어가게 하며 커버의 아래쪽의 동심원형의 슬롯(493)을 만들어 외부 및 중간 스프로킷의 플렌지(450,467)가 각각 들어가게 한다. 슬롯(493,494)을 만들자면 커버를 국부적으로 두께를 두껍게 한다.
제12a도에 있는 수평축 주위로 대칭으로 있는 것은 커버의 평면부분과 리브(rib) 사이에 반경(412)이 있는 리브(411)로 된 키이(410)이다. 커버에는 하우징의 목(416)에 부분적으로 상응하는 목(495)을 구성하며 구성(491)쪽으로 있는 것은 유도커버(496)인데, 이것은 커버의 외부 표면쪽으로 모서리를 깎아(제7b도) 작동기(48)가 하우징을 출입할 수 있게 유도한다. 리브(411)의 양쪽에 있는 부분(497)은 총의 리시버에 있는 통로가 접합할때 리브(411)의 깊이가 개선되게 하는 것이며, 슬롯(493,494)으로 인해 활모양 구멍(498)이 형성된다. 가이드 커버(496)에 리세스를 형성하여 커버(496)가 총의 리시버에서 보통 최종적인 회전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깊이가 되는 슬롯(496')을 형성하게 한다. 커버의 완화된 부분(497)과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교차점에 경사진 모서리(497')를 만들어 리시버 통로에 탄창이 들어가기 쉽게 한다. 탄약통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피복하므로서 탄약통이 후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길이가 되게 목(495)부분을 형성한다. 목(495)에 구멍(490')을 만들고 이속에 하우징에 있는 핀(426)이 들어가게 하고 커버의 아래쪽에 연장되는 돌출핀(491')이 탄약통의 공급램프의 일부를 형성하도록한다. 배수구(492')를 커버의 내면쪽에 형성한다.
제3a도에 예시된 위치에 있어서 탄약통(C64,C30)을 이용하여 래치(447,462)을 아래쪽으로 고정하고 핑거(485,486)에 탄약통(C28,C29와 C2,C3) 사이에 밀어 넣는다. 핑거(485,486)의 작용과 목적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술하기로 한다.
작동에 있어서 스프링(46)은 스프로킷을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제3a도, 제4도, 제5a도, 제6도)으로 움직여 제3a도에서와 같이 탄창을 완전히 장진하면서 부터 탄약통(C2)은 핑거(486)를 밀어붙이며, 래치(462)는 중간 스프로킷(43)에 피벗(481)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핑거가 스프로킷(43)을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중간 스프로킷(43)의 회전 작용이 탄약통(C28)에 가해지고 이어서 외부 스프로킷(42)의 래치(447)의 핑거(485)를 통해 압력이 가해져서 스프로킷(42)도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외부스프로킷(42)이 회전하면 플렌지(449,450)의 톱니에 있는 탄약통(C98)이 탄약통(C99,C100)에 대해 밀려나며 탄약통(C100)은 립(418,417)에 의해 탄창의 공급구(415)로 부터 튀겨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립(417,418) 사이의 치수가 극히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탄창이 삽입되면(제5b도) 탄창은 구멍(423)에 있는 핀(점선)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놀이쇠가 위로 치켜져서 방아쇠를 당기게 되면 놀이쇠는 총구쪽으로 전진하여 놀이쇠와 연결된 러그가 팁(417,418)에 있는 탄약통(C100)을 제3a도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 즉 제3b도의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하우징측의 방향으로 제거하게 된다. 탄약통(C100)은 탄창에서 약실로 밀려들어간다. 스프로킷의 스프링(46)에 의해 계속하여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스프로킷은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탄약통(C99)은 윗쪽으로 이동으로 립(417,418)에 의해 고정되며, 따라서 탄약통(C98)은 램프(434)에 의해 플렌지(449,450)의 톱니로부터 물려나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외부 스프로킷(42)의 탄약통(C98부터 C60까지) 모두를 소모할 때 까지 계속되고 외부 스프로킷(42)의 정지요소표면(458)은 하우징(40)(제3c도)에 있는 정지요소(437)와 접하게 된다. 정지요소(437,457)의 위치는 하우징의 공급램프(434,441)가 외부 스프로킷(42)의 공급램프(455',455)와 일열이 되는 정도로 된다. 외부스프로킷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탄약통(C64,C63,C62)이 이탈되어 램프(434)를 올라갈 때 탄약통(C64,C63,C62)에 의해 눌려 고정되어 있던 래치(447)는 방출되어 스프링(482)에 의해 편향되므로서 귀(487)는 하우징의 내부 직경부분(427)을 통해 계속하여 회전하는데, 이때 정지요소표면(458)이 정지요소(437)와 물려서 귀(487)가 립(489)을 물게되고 외부 스프로킷(42)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탄창의 부분은 제4도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공급립으로부터 계속하여 탄약통이 공급되면 중간 스프로킷(43)의 탄약통이 소비되고 제5a도에 예시된 위치를 취하게 됨과 아울러 램프(455')에 의해 탄약통(C30)이 이동되어 공급램프(455',455)를 옴라간다. 내부 스프로킷(44)이 계속 회전하면 중간 스프로킷(43)에 있는 정지요소(473)의 정지요소 표면(474)이 외부 스프로킷(제3c도)에 있는 정지요소 표면(459)에 접하게 되고, 중간 스프로킷(43)의 공급램프(471,471')는 외부 스프로킷(제6도)의 공급램프(455',455)와 일렬이 되며, 래치(462)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이 되어 귀(488)가 외부 스프로킷(42)에 있는 립(461)과 물리게 된다. 계속해서 탄약통이 방출되면 내부 스프로킷(44)의 회전이 계속되어 탄약통(C24-C1)이 공급램프(471',471,455,434,441)를 따라 올라가며, 공급램프를 따라 탄약통(C6-C1)을 밀어부칠 탄약통이 없게되면 푸셔(47)의 막대(407)가 공급램프(471')에 의해 물려서 이들 탄약통을 공급립까지 밀어주는데, 아암(460)의 길이는 막대가 공급립(417,418)(제7a도, 제7b도)까지 연장될 수 있을 정도로 된다. 아암(406)의 한쪽에 연결된 것은 최종 회전 정지 작동기(48)인데 푸셔(47)가 공급램프를 따라 올라가서 연장되면 커버(41)에 있는 유도 커버(496)에 대해 편향되어 있는 스프링 아암(413)이 커버에 있는 슬롯(496')을 통해 상방향 및 외부로 아암과 함께 이동한다. 푸셔가 이동하기 시작할때 까지 최종 회전정지 작동기(48)는 푸셔의 U자형 아암(406)의 곁에서 고정된다. 최종 회전정지 작동기의 버튼(414)의 작동은 총에 있는 놀이쇠 래치를 이동시켜 놀이쇠를 개방위치에 고정시키고 다음 탄창이 삽입되면 놀이쇠 램프(455')에 의해 탄약통(C30)이 이동되어 공급램프(455',455)를 올라간다.
내부 스프로킷(44)이 계속 회전하면 정지요소표면(474)은 중간 스프로킷의 정지요소(473)를 정지시켜 외부 스프로킷(제3c도)의 정지요소표면(459)과 접하게 되고, 중간 스프로킷(43)의 공급램프(471,471')는 외부 스프로킷(제6도)의 공급램프(455',455)와 일렬이 되며, 래치(462)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이 되어 귀(488)가 외부 스프로킷(42)에 있는 립(461)과 물리게 된다. 계속해서 탄약통이 방출되면 내부 스프로킷(44)의 회전이 계속되어 탄약통(C24-C1)이 공급램프(471',471,455,441)를 따라 올라가며, 공급램프를 따라 탄약통(C6-C1)을 밀어부칠 탄약통이 없게되면 푸셔(47)의 막대(407)가 공급램프(471')에 의해 물려서 이들 탄약통을 공급립까지 밀어주는데, 아암(406)의 길이는 막대가 공급립(417,418)(제7a도, 제7b도)까지 연장될 수 있을 정도로 된다. 아암(416)의 한쪽에 연결된 것은 최종 회전정지 작동기(48)인데 푸셔(406)가 공급램프를 따라 올라가서 연장되면 커버(41)에 있는 유도 커버 496)에 대해 편향되어 있는 스프링 아암(413)이 커버에 있는 슬롯(496')을 통해 상방향 및 외부로 아암과 함께 이동한다.
푸셔가 이동하기 시작할때까지 최종 회전정지 작동기(48)는 푸셔의 U자형 아암(406)의 곁에서 고정된다. 최종 회전정지 작동기의 버튼(414)의 작동은 총에 있는 놀이쇠 래치를 이동시켜 놀이쇠를 개방위치에 고정시키고 다음 탄창이 삽입되면 놀이쇠가 위로 치켜 올라가도록 하는 것이다. 탄창에 장진하기 위해서는 공급구(415)를 통해 하우징축에 수직 방향으로 탄창에 탄약통을 삽입하여 스프링으로 편향된 피벗식립(417)의 상면(421)속으로 삽입하고 탄약통을 아래로 눌러주면 푸셔(417)가 부분적으로 눌려져서 립(417)이 제5b도의 선에 예시된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6개의 탄약통을 장진한 후 푸셔(47)를 내부 스프로킷의 고정 위치에 두고 다시 더 탄약통을 삽입하면 탄약통(C1)이 내부 스프로킷(44)의 톱니중 첫번째 톱니에 오게된다. 물론 푸셔(47)를 눌러주면 스프링(46)의 반작용을 받게되고 탄약통(C1-C24)을 톱니중에 들어가서 내부 스프로킷(4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탄약통(C30)이 공급립에 삽입되면 푸셔 꼬리(408)는 래치(462)에 있는 탱(484)과 접하게 되므로서 래치(462)를 회전시켜 귀(488)가 립(461)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중간 스프로킷(4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와지고 탄약통(C31,C32)을 삽입하면 제5a도에 나온 위치를 취한다. 제5a도에는 탄약통(C31,C32)을 삽입하면 탄약통(C28,C29)이 래치(462)를 눌러주게 되어 핑거(486)가 탄약통(C2,C3) 사이에 삽입된다(제4도).
중간스푸울(43)과 내부스푸울(44)을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탄약통(C30,C29,C28)에 의해 래치가 완전히 눌리게 되고 핑거(486)는 탄약통(C2,C3) 사이에서 견고히 밀려서 탄약통(C2)에 대해 유지된다. 핑거(486)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제5a도의 위치에 예시된 부분에 있어서 스프링(46)은 탄약통(C24,C25,C26)을 통해 압력을 가하게 되어 외부스프로킷(42)의 내벽에 대해 탄약통(C26)을 눌르게 되므로서 불필요한 마찰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제4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래치(462)에 대해 탄약통(C30)의 하방향 압력과 함께 핑거(486)가 탄약통(C2)을 끌어당기게 되므로서 내부스프로킷(44)은 중간 스프로킷(43)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스프링(46)으로 부터 탄약통(C24,C25,C26)에 가하는 압력이 나오게 되고 탄약통(C25,C26)은 공급램프(471',471)내부에서 어느 정도 작은 자유도를 가지며, 앞서 언급한 불필요한 마찰은 제거된다.
공급구(415)속으로 계속하여 탄약통을 공급하면 내부 스프로킷(44)과 중간 스프로킷(4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탄약통(C26)도 회전하게 되어 래치(447) 위의 탱(483)과 맞물리게 된다. 이처럼 래치(447)는 스프링(482)의 편향성에 대해 회전하며 귀(487)가 립(489)와 맞물려 접한 상태에서 부터 이탈되고 외부 스프로킷(4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4도에 나온 위치는 탄약통(C26)이 탱(483)과 맞물리게 되는 위치이다. 탄약통을 계속하여 장진할때는 탄약통(C64,C63,C62)이 래치(447)의 핑거(485)에 힘을 가하여 탄약통(C28)을 시계방향으로 당기게 되며, 이때 중간 스프로킷(43)은 외부 스프로킷(42)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탄약통(C57,C58,C59)는 상호간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서 풀려나서 탄약통(C24,C25,C26)에 핑거(486)가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약통(C58,C59)는 공급램프(455',455)내에서 어느정도 자유도를 가지며 탄약통(C59)과 하우징(40)내의 내벽 사이에 불필요한 마찰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하여 탄창속의 모든 탄약통은 톱니 또는 공급램프에서 느슨하게 되어 마찰력은 최소로 감소된다. 탄약통을 C100가지 삽입하여 탄창을 완전히 충전시키면 탄창은 제3a도에 예시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래치(447,462)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성능을 내는데 있어서 2중 기능에 극히 필요로 할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이점에 있어서 귀(487,488)는 립(489,461)과 관련하여 스프로킷(42,43)의 회전을 억제하여 탄창을 공급구(415)를 통해 장진할 수 있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래치의 핑거(485,486)가 래치(447)를 통해 중간 스프로킷으로 부터 외부 스프로킷까지, 그리고 래치(462)를 통해 내부 스프로킷으로 부터 중간 스프로킷까지 각각 이동을 시키므로서 탄약통(C100,C99)을 제외한 탄창내의 모든 탄약통이 탄창내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운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래치의 기능과 성능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가지 기능중 각각을 수행하는데 상이한 부품을 필요로 하는 것이 있을지라도 유사한 기능을 가진 래치를 수우미식 탄창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13도에 예시된 다른 형태의 최종회전 정지 작동기에 있어서는 압축스프링(413')와 플런저(414')을 막대(407)와 구멍속에 삽입하는 것이다. 플런저(414')의 작용은 막대(407)가 공급램프를 위로 이동시키므로서 스프링(413')의 힘에 의해 플런저(414')가 연장되고 아암(406)이 완전히 연장될 때 플런저(414')가 총의 리시버에서의 최종 회전 메카니즘과 맞물리게 하는 것이다.
Claims (1)
- 한개의 정지 상태의 하우징(40)과, 거의 동심원적으로 회전식으로 설치된 내부부재(43)및 외부부재(42)와, 상기 부재들(42),(43)을 1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6)과, 하우징(40)에 대하여 외부부재(42)의 회전을 제한하는 정지수단(437),(457)을 가지는 드럼식 탄창에 있어서, 정지수단(437),(457)이 외부부재(42)의 회전을 제한하여 내부부재(43)가 1차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양만큼 회전할때까지 외부부재(42)의 상기한 1차 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게 될 때에, 외부부재(42)와 하우징(40) 사이에 걸어 맞춤하여 고정되는 래치장치(447),(489)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10002377A KR870001686B1 (ko) | 1981-06-30 | 1981-06-30 |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10002377A KR870001686B1 (ko) | 1981-06-30 | 1981-06-30 |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6664A KR830006664A (ko) | 1983-09-28 |
KR870001686B1 true KR870001686B1 (ko) | 1987-09-22 |
Family
ID=1922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2377A KR870001686B1 (ko) | 1981-06-30 | 1981-06-30 |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70001686B1 (ko) |
-
1981
- 1981-06-30 KR KR1019810002377A patent/KR870001686B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6664A (ko) | 1983-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84508A (en) | Drum magazine for a gun | |
US4332097A (en) | Drum magazine for automatic pistol or the like | |
US8037800B2 (en) | Drum magazine for firearm | |
US4926742A (en) | Spiral drum magazine with elongated magazine clip and single piece last round follower | |
KR910003038B1 (ko) | 원통형 탄창 | |
US4413546A (en) | Drum magazine for carbines or the like | |
US4745842A (en) | Spiral drum magazine with elongated magazine clip and multiple link last round follower | |
US5099595A (en) | Magazine for a firearm | |
US4970820A (en) | Device for rapidly loading rimmed cartridges into large capacity firearm magazines | |
US4676137A (en) | Weapon firearm with magazine | |
EP0223827A1 (en) | Gun and magazine system | |
KR960004919B1 (ko) | 개인 화기용 세로방향으로 장치되는 탄창 | |
US4445418A (en) | Drum magazine for a gun | |
US3453763A (en) | Underwater pistol having a rotatable cylindrical magazine | |
JPH02197798A (ja) | 多装弾数の弾倉 | |
KR870001686B1 (ko) |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 |
KR870001687B1 (ko) |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 |
KR870001688B1 (ko) |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 |
US6385888B1 (en) | Revolver firing mechanism with disengaging cylinder pawl | |
EP0123798B1 (en) | Drum magazine for a gun | |
USH164H (en) | High capacity magazine for weapons | |
EP0054089B1 (en) | Drum magazine for a gun | |
US1083384A (en) | Firearm. | |
KR102659778B1 (ko) | 탄창용 볼트 잠금 후면 시스템 | |
CA1181620A (en) | Drum magazine for a gu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