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87B1 -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 Google Patents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687B1
KR870001687B1 KR1019810002378A KR810002378A KR870001687B1 KR 870001687 B1 KR870001687 B1 KR 870001687B1 KR 1019810002378 A KR1019810002378 A KR 1019810002378A KR 810002378 A KR810002378 A KR 810002378A KR 870001687 B1 KR870001687 B1 KR 870001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unition
magazine
sprocket
li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665A (ko
Inventor
제이므즈 설리반 레로이
로이드 워터휘이르드 로버어트
Original Assignee
차아터어드 인더스트리이즈 오브 싱가포오르 프라이비트 리미팃드
라이천루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아터어드 인더스트리이즈 오브 싱가포오르 프라이비트 리미팃드, 라이천루웅 filed Critical 차아터어드 인더스트리이즈 오브 싱가포오르 프라이비트 리미팃드
Priority to KR101981000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687B1/ko
Publication of KR83000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24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 F41A9/2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using a revolving drum magaz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제1도와 제2도는 공지의 드럼식 탄창 단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식 탄창의 부분단면도.
제3b도는 푸셔(pusher)를 제거한 것으로서 제3a도의 선 3H-3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c도는 제3b도의 선 3C-3C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탄약을 제거한 중간 및 외측 스프로킷(Spro-cket)용 정지구들의 배열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각 부품들의 위치를 달리한 도면.
제5a도는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가 부품들의 위치를 달리한 도면.
제5b도는 제5a도의 5b부분의 상세도.
제6도는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각 부품들의 위치를 달리한 도면.
제7a도는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각 부품들의 위치를 달리한 도면.
제7b도는 제7a도의 선 7B-BB를 따라 취한 다면도.
제8a도는 하우징(housing)의 평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선 8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8c도는 제8b도의 선 8C-8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9a도는 외측 스프로킷의 측면도.
제9b도는 제9a도의 선 9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a도는 중간 스프로킷의 측면도.
제10b도는 제10a도의 선 10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c도는 제10a도의 선 10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a도는 내측 스프로킷의 평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의 선 11B-11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a도는 커버의 평면도.
제12b도는 제12a도의 선 12B-12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c도는 제12a도의 선 12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는 다른 예에 의한 최종발정지 작동기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드럼식 탄창은, 탄창에 있는 탄약과 탄창의 내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로 인해 생기는 마찰손실의 피해가 심하다. 탄약과 굴림마찰이 있다고 생각 되겠지만 사실은 굴림마찰이 전혀없고 단순히 미끄럼마찰만 있을 뿐이다.
한가지 공지된 드럼식 탄창은 50발까지 보유할 수 있는 톰손식인데, 이것은 토마스 B.넬슨(Thomas B. Nelson)의 저서인「세계의 준기관총(소형경기관총)」제1권(서독콜로그네, 국제 휴대무기출판협회, 제1판 1964년 2차 인쇄), p.51-53에 상술되어 있다. 톰손식 탄창에는 나선형의 가이드가 있어서 여기에 탄약이효과적으로 여러개의 열로 배열이 되며, 스프링에 의해 구동이 되는 여섯개의 방사상의 호전 아암(arm)에 의해 탄약이 공급목으로부터 제거되는데, 이 스프링은 모든 탄약통을 그 열들 주위에서 동시에 제거한다. 이러한 탄창에서의 마찰은 극히 크며, 나선형이 열(列)을 둘 이상으로 많이 형성한다는 것은 실용적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열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드럼 직경을 크게하므로서 탄창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이렇게 되면 탄층의 부피는 불필요하게 커진다.
마찰 손실을 감소시키고자 나온 것이 공지의 수우미(Soumi)식 드럼탄창인데, 여기에 관해서는 상기 언급된 서적 p.562-565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제1도와 제2도에 상술되어 있다. 수우미식 탄창에 있어서는 원형의 접시같은 하우징(1')에 회전식 기판(base plate)(2')을 구성하고, 이 기판위에는 동심원형 가이드(5',6')와 하우징(1')의 내면에 의해 각각 형성된 통로들(3',4')과, 그 통로들(3',4')을 연결하는 브리지(7')에 탄약이들어가며, 가이드(5',6')및 브리지(7)를 기판(2')과 함께 회전이 되도록 한 것이다. 하우징에는 공급목(8'), 공급램프(ramp)(9')및 정지구(10')를 구성하여, 이들과 가이드(5')에 설치된 러그(lug)(11')가 상호작동이 되게하고 있다. 로우터(12')아래에 있는 코일스프링(도면안됨)은 로우터 및 관련 피벗식 푸셔(13')를 구동시킨다. 탄약은 (15')로 나타내었고 러그(11')에 인접한 탄약은 (16')으로 나타내었다.
작동에 있어서, 스프링은 로우터(12')와 푸셔(13')를 움지이며, 푸셔(13')는 화살표(A)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러그(11')까지 모든 탄약을 이동시키므로서 탄약(16')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가이드(5',6')와 기판(2')이 움직인다. 따라서 러그(11')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탄약은 램프(9')쪽으로 이동하여 공급목(8')를 통해 나가게 된다. 이때 공급목(8')를 통해 외측열의 탄약이 튀어나올때까지 기판(2')은 내측열속에 있는 탄약을 회전식으로 이동시켜 1차의 부분적인 회전이 되지만 가이드(1')에 대해 외부로 밀려나는 외측열의 탄약통틀 사이에 마찰저항이 있게되는데, 이 마찰저항은 톰손식 탄창에서 나타나는 것보다는 작다. 탄약의 가장 안쪽열에 있는 탄약열의 내경과 외경을 형성하는 가이드(5',6')가 1차 회전하는 탄약과더불어 이동하기 때문에 톰손식 탄창의 경우보다는 마찰이 적은편이다. 회전하는 도중, 외측열은 톰손식의 단지 절반정도의 미끄럼 마찰접촉을 바도, 내측열은 이러한 마찰접촉을 전혀 받지않는다. 그러나 러그(11')가 정지 요소(10')와 물리게되면 내측통로(3')에서부터 외측통로(4')로 연결되는 브리지(7')는 공급목(8')와 일렬로 위치하게되고 기판(2')은 그이상 더 회전을 않게되므로서 내측열의 탄약은 가이드의 정지면들과 마찰을 하게되며 톰손식 탄창의 경우와 유사한 큰 마찰력을 발생한다. 더우기 푸셔(13')가 탄창 속에있는 마지막 탄약(15')에 압력을 가하여 기타 탄약을 모두 밀어버리고 탄약은 원형으로 정열이 되기 때문에, 탄약은 가이드 면드렝 대해 외부로 밀려나가게되므로서 마찰은 증가된다. 또한 실용적이지 못한 사실은 이러한 탄창의 용량을 개선코자 통로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고, 용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면 드럼의 직경을 다시 한번 불필요하게 크게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드럼식 탄창의 결점은,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있는 공급립들사이에 탄약을 미끄러지게 밀어주어 공급목을 통해 탄창을 채워줄수있을 뿐이므로,원형의 평면 커버를 제거해야만 탄창을 탄약으로 채울수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들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경감되는 드럼식 탄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원형단면의 내부를 형성하는 주위벽이 있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으로부터 탄약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공급목을 포함하는 드럼식 탄창이 제공되며, 공급목의 외측말단은 공급목위로 연장되는 고정립(lip)과 공급목안으로 탄약삽입에 저항하게 스프링부세된 피벗식 립으로 형성되고, 립들사이의 간격은 공급목을 나가는 탄약이 총에 사용될때 하우징 축방향으로만 미끌어질수있게 되어 있다.
피벗식 립을 구성할때는, 립의 외측표면에 탄약을 가압함으로써 피벗식 립이 공급목을 향해 회전되어 탄약이 하우징축에 사실상 수직한 방향으로 공급목에 접근할수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이 있어서 피벗식 립에는 꼬리부분이 있고, 그 꼬리부분은 탄창이 총의 리시버속에 있을때 피벗식 립이 회하지 못하게하고, 고정립은, 탄약의 코가 공급목으로부터 떨어져 위로 향하게되도록 일정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유리하다.
하우징축의 방향으로 하우징 커버위의 방사상 키이에 의해 일정간격 떨어진 공급목을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목부분의 한쪽에 마련된 구멍들에 의해, 탄창은 총 리시버의 정위치에 보유되게 배열되는 것이 편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최소한 두개의 회전가능한 동심스프로킷 수단들로서 각 스프로킷 수단의 외측 둘레에는 다수의 톱니들이 다수의 탄약들을 포개어 끼우게 배열도어있고, 내측 스프로킷 수단의 톱니들은 외측 스프로킷 수단의 톱니들이 하우징 내부 주위벽에서 떨어진 거리와 사실상 같은 거리만큼 다음의 인접한 외측 스프로킷 수단에서 일정간격 떨어져있는 스프로킷 수단들과, 탄약들이 내측 스프로킷 수단으로부터 외측 스프로킷수단으로 지날수있도록 가장 안쪽을 제외하고 각 스프로킷수단에 형성된 탄약공급구와, 각 스프로킷수단으로부터 공급목(feed throat)으로 탄약을 안내하게 배치된 공급램프(ramp)수단이 제공되고, 공급램프수단은 외측 스프로킷수단에서 탄약들을 퍼올리기 위해 공급목으로부터 신장하는한 램프와, 인접한 내측스프로킷수단에서 탄약들을 퍼올리기 위해 안쪽으로 신장하며 스프로킷수단이 탄약공급구의 일주요측에 있는 다른 램프와, 상기 다른램프를 따라 탄약들을 안내하기 위해 스프로킷수단의 탄약공급구의 다른 주요측에 있는 또 다른 램프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한 램프 및 다른 램프위에서는 그 램프들을 따라 지나는 탄약을 경사지게하여 안내가 되고 그래서 탄약들은 램프들을 따라 코가 들려 경사진 상태로 지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원형단면의 내부를 형성하는 주위벽이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으로부터 탄약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벽을 통하여 신장하는 공급목을 포함하고, 상기공급목은 대향한 종방향 측면들이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위치되어있고, 공급목의 상기 각 측면에는 립이 하나씩 있으며, 한 립은 폐쇄된 위치를 향해 피벗식으로편향된 것으로서 평시에 1방향밸브로 하고 다른 립은 고정되어있어 공급목으로 부분적으로 신장하며, 따라서 이 립들은 탄약이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립들로부터 튀겨나가지 못하게 평시에 작동하지만, 상기 하나의 립은 밸브 개방위치로 피벗 작동할 수 있어서 탄약들이 하우징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급목 안팎으로 공급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피벗식 립에는 꼬리부분이 있고, 이 꼬리부분은 탄창이 총 리시버안에 있을 경우 피벗식 립이 회전하는 것을 막아주며, 또한 고정립은 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탄약의 코가 공급목으로부터 떨어져 위로 향하게 해준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따라 상술한다.
제3a도-제13도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표시된다.
제3a도, 제4도, 제5a도, 제6도 및 제7a도에 있어서, 탄약을 C로 나타내었는데, 제3a도에서 알수 있는 것은 완전히 장진된 상태에서는 탄창은 100개의 탄약을 수용한다는 점이다.
제3a도-제7b도에 예시된 드럼식 탄창은, 커벗(41)가 있는 원형단면을 가진 접시모양으 하우징(40)이 있는데, 커보속에는 외측 스프로킷(42), 중간스프로킷(43)및 내측스프로킷(44)이 동심원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드럼, 커버 및 각 스프로킷은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만들어지며, 각 스프로킷은 중앙의 원형몸체가 있는 스푸울형으로되어 있고, 그 몸체의 양단부에는 방사상 플렌지가 있어 각각에는 외주에 둥그렇게 다수의 톱니를 구성하여 탄약을 수용한다. 하우징의 베이스(404)에 인접하여 플렌지에 있는 톱니들은 커버(41)에 인접한 아암들의 톱니들보다 직경이 더커서 탄약의 경사부가 수용되게 하고, 그래서 탄약축들이 하우징축에 거의 평행하게된다. 내측스프로킷(44)에는 탄약(C1-C24) 각각을 수용하는 톱니들이있고, 중간 스프로킷(43)에는 탄약(C27-C57)을 수용하는 톱니들이 있으며, 외측스프로킷(42)에는 탄약(C60-C98)을 수용하는 톱니가 있다. 제3a-제7b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조립이 된 위치에서, 하우징(40)속에 각 스프로킷이 배치되어 있어 하우징의 공급램프(434,441), 외측 스프로킷의 공급램프(455,455')및 중간 스프로킷의 공급램프(471,471')가 제3a에 예시된 위치를 취하도록 하고, 공급램프(434)는 탄약(C98)의 베이스로 연장되게 하며, 공급램프(455')는 탄약(C58)의 베이스로 연장되게 하고 공급램프(471')는 탄약(C25)의 베이스로 연장되게 한다. 이와같이하여 공급램프들은 램프가 연겨리된 스프로킷에 있는 칸약을 효과적으로 퍼올리고, 램프들(441,455',471')은 탄약의 가이드로서 작용하게 된다. 하우징과 커버에 각각 나사(400,401)로 고정된 나일론 스핀들(45)은 하우징(1)의 축에 고정설치된다. 스핀들에는 귀(402)가 있으며, 이 귀에는 금속박판으로된 시계모양의 토오손 스프링(46)의 일 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46)의 다단부는 내측 스프로킷(44)의 구멍(403)에 고정되어 있다.
제7b도와, 제11a도에 점선으로 예시된 바와같이, 내측 스프로킷(44)에 푸셔(47)가 설치된다. 이 푸셔(47)에는 내측 스프로킷의 아암들사이 스핀들(405)이 위치되어 있고, 내측 스프로킷 플렌지들과 인접하게 플렌지의 윤곽내 U자형의 분지(分支)들이 달린 U자형 아암(406)이 스핀들(405)에 피벗장착된다. U자형의 자유단부들은 스핀들(405)에 고정되고, 탄약모양과 거의 같은 막대(407)는 U자형의 베이스에 용접된다. 막대(407)에는 내측 스프로킷의 톱니에 위치가능한 꼬리(408)과 이 꼬리(408)에서 떨어진 곳에 경사진 상부부분(409)(제7b도)이 설치되어있고 탄창이 고정도는 총의 놀이쇠가 막대(407)위로 잘 이동하게 한다.
U자형 아암(406)과 커버(41)에 인접한 내측 스프로킷의 날개사이에 있는 스핀들(405)에 최종발 정지작동기(48)가 연결되고, 이것은 커버(41)쪽으로 편향된 스프링 아암(413)과, 탄창에서 마지막 탄약이 발사될때 놀이쇠장치가 위로 젖혀진 위치에 고정될수있도록 탄창이 부착되는 총의 리시버속의 장치와 접하는 버튼(4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종발정지 작동기가 총의 리시버내의 장치를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에 놀이쇠가 푸셔를 비스듬히 때려주도록 경사진 부분(409)가 설치된다. 푸셔의 꼬리(408)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스프로킷 래치와 상호작동할수있도록 신장된다.
하우징(40)에는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종방향의 측면들이 있는 목부분(416)으로 형성된 공급목(415)를 구성하며, 총의 탄창 수용부에 위치하게 배열한다. 목부분(416)에는 오른쪽(제3a도, 제4도-제7a도)에 피벗식 립(417)을 구성하고 왼쪽에는 공급목위로 연장되는 활모양의 고정된 립(418)을 구성한다. 제5b도에서 탄창의 목부분은 총의 탄창 수용부(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속에 위치한다. 피벗식 립(417)은 굴대(419)위에 장착되고, 거기에는 활모양의 상부표면(421)이 있는 아암(420)(일반적으로 탄약과 동일한 반경)과, 탄창이 총의 수용부에 삽입되면 꼬리부분이 립(417)의 회전을 억제하여 총수용부에 고정될때 제5B도의 실선으로 예시된 위치에 립(417)이 오지않도록 할수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 꼬리(42)를 구성한다. 립(417)을 스프링(예시되지 않았음)으로 편향시켜 립의 바닥(제5B도)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이되게 한다. 립(417,418)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때는 립(417)이 시계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게 하면서(제4도, 제5b도의 점선 립위에서부터 탄약이 이탈되지 않게하여, 탄창이 총 수용부에 장착될 때 탄약이 탄창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탄창이 총에서 이탈되면, 이런 작용이 보통은 아니라도 반시계방향으로 립(417)을 손으로 눌러주므로서 탄약의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탄약이 탄창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하우징 축방향을 제외하고 탄약이 공급목을 떠나지않도록 피벗식 립위의 스프링 편향은 립들사이에 고정된 거리를 유지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사용시에 있어서, 탄약은 총의 노리쇠에 의해 탄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미끌어진다. 탄창을 총으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래치장치가 설치되고, 편리하게도 이러한 장치는, 탄창의 수용부의 벽들중 한 벽을 관통하여 하우징 목부분(416)의 상호작동식 구멍들속으로 미끌어지게 설치된 한쌍의 핀들을 포함하고, 이들구멍을 제8a도에서는 (423)으로 표시했고, 핀중의 한개는 제5b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제8a도, 제8b도 및 제8c도에 예시된 접시모양의 하우징(40)에는 개방된 상부(424)가 있고, 커버(41)은 내부나사진 보스들(425)에 의해 이 상부에 연결되며 핀들(426)에 의해 목(416)의 양쪽에 배치된다. 하우징(40)에는 외측 스프로킷에 탄약의 몸체를 수용하는 큰 내경부(427)와, 탄약의 코(탄알)부분을 수용하는 줄어즌 내경부(428)가 있으며, 이 내경부(428)는 베이스(429)에 연결된다.
베이스에는 원형의 돌출부(430)가 있고, 돌출부의 내부는 오측 스프로킷(42)과 중간스프로킷(43)이 회전할때 지지면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동심원형의 돌출부(430)에는 반사상 외측면(444)이 외측 스프로킷(42)을 동심원으로 위치시키고, 또한 내측면(445)은 중간 스프로킷(43)을 동심원형으로 위치시킨다. 베이스(429)는 접시꼴로되어 있어, 내측 스프로킷용의 지지면(432)및 동심안내면(433)을 설치한 내측보스(431)을 제공한다. 보스(431)의 드럼축위에는 나사(400)가 들어가는 구멍이 있다. 고정된 립(418)(제8a도)을 하우징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하므로서, 립(4427,418)에 의해 걸린 탄약이 경사지게하여 탄알이 위쪽으로 각도가 지게하고, 고정된 립(418)의 완만한 부분은 탄약몸체가 탄약의 영역보다 약간 더 높게 올라가게한다. 이렇게되면 탄약은 노리쇠 전진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상향각을 취하게되어, 베이스 단부가 억지로 숙여지지 않고도 원활하게 약시로 들어간다.
이러한 작용은 종래의 탄창의 공급통로와는 구별이되는데, 즉 종래의 것은 탄창이 전진 이동함에 따라 탄알끝이 공급램프로 들어가면서 억지로 들리고 베이스끝이 아래로 향한다. 이것은 종래의 공급립의 전방 모서리가 탄약의 중앙몸체부분과 접하여 받침대로 작용하므로서, 탄알끝이 올라감에 따라 베이스 끝은 아래로 내려가고, 따라서 탄창내의 다른 탄약이 탄창내에서 아래로 밀리게 하기 때문인 것이다. 대용량의 탄창에 있어서 그러한 역작용(탄창을 후진시키는 작용)은 상당한 단시간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불필요하 노리쇠 억제작용을 하게 된다.
고정된 립(418)에 인접한 공급목(415)의 한쪽에는, 외부측면에 노치(notch)(435)가 있는 공급램프(434)가 있어서 외측 스프로킷의 톱니들을 수용하고, 공급램프(434)의 내측에는 탄창의 웨브가이드(webguid e)(436)가 있다. 또한 고정된 립과 동일한 공급목쪽에는 외측 스프로킷용 정지구(437)가 있다. 피벗식 립(417)의 위치를 측벽(438,439)과 바닥부분(440)으로 형성된 부분에 잡는데, 측벽(439)에는 내부 램프부분(441)을 구성하여 공급램프(434)용 가이드로 작용하게한다. 양측 벽(438,439)에 있는 구멍(442)는 피벗식 립(417)의 굴대(419)가 들어간다. 공급목(415)의 양쪽에는 노치(443)가 있어서 작동시에 총의 수용부에 있는 각각의 정지핀에 대해 접합을 하므로서 탄창을 리시버에 삽입하는 정도를 제한하게된다.
제8b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내경부(428)은 리세스(recess)(446)가 있어서 외측 스프로킷에 설치된 래치(447)와 상호작동을 한다. 선택적으로 리세스 대신에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제9a도, 제9b도 및 제9c도에 예시된 외측 스프로킷(42)에는 플렌지(449,450)가 있는 관모양 몸체(448)가 있는데 각각의 플렌지에는 다수의 톱니(451)가 형성되어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같이 플렌지(449)의 톱니는 플렌지(450)의 톱니보다 직경이 더크다. 몸체(448)에는 작은 직경부분(452)이 있으며, 이것은 하우징의 내경부(428)과, 돌출부(430)의 안쪽과 접하는 동심원형의 지지면(453)내에 위치한다. 몸체(448)에는 공급구(454)가 있어서 중간 및 내측 스프로킷으로부터 탄약이 통과하도록 되어있다. 공급구(454)는 공급램프(455,455') 가이드램프(456)가 탄약을 경사지게 배열되어 있는 탄알 부분이 공급구(454)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한다. 줄어든 직경부분(452)에 배치된 정지구(457)는, 하우징의 정지구(437)과 접하는 정지면(458)과, 중간스프로킷 위의 정지구와 상호작용하는 다른 정지면(459)를 제공한다. 부분(452)의 벽에는 구멍(460)이 형성되어 래치(447)를 수용하고 립(461)을 형성하며, 중간 스푸울에 연결된 래치(462) 위의 발톱이 상기립에 대해 상호작용한다. 구멍(460)을 가로질러 보스내에 구멍(463)을 구성하며, 래치(447)의 위치를 피벗식으로 잡아주는 핀을 넣는다. 탄약의 목부분의 위치를 정하여 탄약을 탄창내에 소요의 경사 정도로 유지시키게 줄어든 직경부(452)가 배열된다. 래치(447)를 개다리모양으로 휘어지게 만들어 래치(462)를 중첩시킬 수 있다.
제10a도, 제10a도 및 제10c도에 예시된 중간 스프로킷(43)은 외측 스프로킷(42)와 유사하며, 작은 직경부분(465)과 탄약을 수용하는 톱니가 있는 플렌지(466,467)가 구성된 몸체(464)를 가지며, 그 플랜지들 사이에 탄약이 지지된다. 플렌지(466)에 형성된 톱니의 방사상 길이는 전술한 이유에서 플렌지(467)의 톱니보다 크다. 줄어든 직경부분(465)의 끝면은 지지면(468)이 있어서 하우징의 표면(430)과 리세스가 있는 환상부분(469)에서 회전이되며, 이 환상부의 내측 둘레는 하우징의 안쪽(445)과 접하게끔 동심 안내면으로 작동한다. 중간 스프로킷에는 공급램프(471,471')가 있는 공급구(470)가 있으며, 외측 스프로킷(42)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같이 안내램프(472)에 의해 경사진 탄약(499)이 여기에 배치된다. 안내램프(471')는 몸체(464)의 내부로 연장된다. 외측 스프로킷(42)의 정지구(459)와 접하는 정지면(474)을 가진 정지구(473)는 작은 직경부분(465)에 설치되고 작은 직경부분(465)의 측벽에는 래치(462)용 구멍(475)이 있고, 또한 구멍(476)이 보스에 형성되어 래치(462)의 위치를 잡은 핀을 넣는다.
제11a도와 제11b도에 예시된 내측 스프로킷(44)은 톱니가 있는 플렌지(477,478)가 달린 몸체(477')가 있고, 몸체(477')에는 장방형의 구멍(403)을 형성하여 이속에 스프링(46)의 한쪽끝이 위치하도록한다. 플렌지(477)톱니의 방사상 길이를 플렌지(478)의 톱니보다 크게하여 탄약(점선표시)을 경사지게 한다. 탄약(C1,C25)(도면에서 점선)이 사이에 위치하는 곳에는 아암(477)의 노치(479)를 구성하며, 노치안에는 푸셔의 막대(407)가 들어간다. 푸셔의 스핀들(405)을 넣기위해 각 아암(477,478)에 구멍(480)을 형성한다.
제4도에있는 바와같이, 띠모양의 물질을 사용하여 래치(447,462)가 성형되고, 둘다 각 피벗(481)에 장착되고, 둘다 각기 토오손 스프링(482)의 힘으로 편향되며, 스프링의 한쪽끝은 슬로트(460,475)의 연부와 각각 물리고, 다른끝을 L자형으로 휘어져 래치(447,462)의 탱(tang)(483,484)과 물린다. 탱과 떨어져 있는 래치(447,462)의 끝에는 핑거(finger)(485,486)와 돌출 귀(487,488)를 각각 형성하고, 귀(487)에는 하우징(40)의 리세스(446)에 있는 립(489)과 물리게하며, 귀(488)는 외측 스프로킷(42)에 있는 립(461)과 물리도록 한다(제6도). 핑거(485,486)들은 둘다 탄약들(C28,C29)사이와 탄약들(C2,C3)사이에 각각 삽입할수있게끔 성형되고, 탄약(C28,C2)에 대해 유지되게 한다. 탱(483,484)에는 푸셔(47)의 막대(407)와 탄약(C26)에 의해 각각 물리도록 배열된 반경부분을 형성한다.
제12a도, 제12b도 및 제12c도에 예시된 커버(41)는 투명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원형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커버의 돌출부에 구멍(490)을 6개만들어 커버를 하우징(40)에 고정시킨다. 커버에 축방향 구멍(491)을 만들어 여기에 노치(492)를 형성하여 스핀들(45)에 대한 통로로 작용하게 하고, 스핀들(45)이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구멍(491)을 둘러싼 부분을 접시처럼 만들어 나사(401)머리가 들어가는 리세스를 형성하고, 커버의 아래쪽에 동심원형의 립 슬로트들(493,494)을 만들어 외측 및 중간 스프로킷의 플렌지(450,467)가 각각 들어가게 한다. 슬로트(493,494)을 쉽게 만들자면 커버를 국부적으로 두께를 두껍게한다. 제12a도에 있는 수평축 주위로 대칭하게 되시된 키이(410)는, 커버의 평면부분과 리브(rib)사이에 루우트 반경(412)이 있는 리브들(411)로 된다. 커버에는 하우징의 목(416)에 부분적으로 상용하며 그 목아래에 부분적으로 위치한 몸(495)을 구성하며, 구멍(491)쪽으로 신장하는 안내커버(496)는 커버의 면쪽으로 모서리로 져있어(제7b도) 작동기(48)를 하우징 안팎으로 안내한다. 리브(411)의 양쪽에 있는 부분(497)은 경감되어 있어 총의 리시버에 있는 통로가 리브에 물릴때 리브(411)의 깊이가 개선되게하는 것이며, 슬로트들(493,494)때문에 활모양 구멍(498)이 형성된다. 가이드 커버(496)에 리세스를 형성하여, 커버(496)가 총의 리시버에서 보통으로 제공된 최종발 정지구를 제거할수있는 깊이가 되는 슬로트(496')를 형성하게한다. 커버의 완화된 부분(497)과 두깨가 두꺼운부분의 교차점에 경사진 모서리(497')를 만들어 리시버 통로에 탄창이 들어가기 쉽게 한다. 탄약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피복하므로서 탄약이 후진하지못하도록 할 수 있는 길이가 되게 목(495)부분를 형성한다. 목(495)에 구멍들(490')을 만들고, 이속에 하우징에 있는 핀들(426)이 들어가게하고 커버의 아래쪽에 연장되는 돌출핀(491')이 탄약의 공급 램프의 일부를 형성하도록한다. 배수구(492')를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한다.
제3a도에 예시된 위치에 있어서 탄약(C64,B30)을 이용하여 래치(447,462)를 아래쪽으로 각가 고정하고, 핑거(485,486)를 탄약(C28,C29와 C2,C3)사이에 각각 밀어 넣는다. 핑거(485,486)의 작용과 목적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술하기로한다.
작동에 있어서, 스프링(46)은 스프로킷을 반시계방향(제3a,제4도,제5a도,및 제6도)으로 움직이게 하여, 제3a도에서와같이 탄창을 완전히 장진한 탄창에서부터 시작해서 탄약(C2)은 핑거(486)를 밀어붙이며, 래치(462)가 중간 스프로키(43)에 피벗(481)으로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핑거가 스프로킷(4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중간 스프로킷(43)의 회전작용이 탄약(C28)에 가해지고, 이어서 래치(447)의 핑거(485)를 통해 외측 스프로킷(42)으로 압력이 가해져서, 스프로킷(42)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외측 스프로킷(42)의 회전하면 플렌지(449,450)의 톱니에 있는 탄약(C98)이 탄약(C99,C100)에 대해 밀려나며, 탄약(C100)은 립(418,417)에 의해 탄창의 공급목(415)으로부터 튀겨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립(417,418)사이의 치수가 극히 중요함을 알 수있다.
탄창이 총의 수용부안에 삽입되면(제5b도), 탄창은 구멍(423)에 있는 핀들(점선으로 도시된)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노리쇠가 위로 치켜져서 방아쇠를 당기게되면, 놀이쇠는 총신쪽으로 전진하고, 노리쇠와 연결된 스트리핑 러그는 립(417,418)에 있는 탄약(C100)을 제3a도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 즉 제3b도의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하우징축의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제거하게 된다. 탄약(C100)은 탄창에서 약실로 밀려들어간다. 스프로킷의 스프링(46)에 의해 계속하여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스프로킷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탄약(C99)은 윗쪽으로 이동하여 립(417,418)에 의해 고정되며, 따라서 탄약(C98)은 램프(434)에 의해 플렌지(449,450)의 톱니로부터 떠올려진다. 이러한 작용은, 외측스프로킷(42)이 탄약(C98-C60) 모두를 소모하고 외측스프로킷(42)의 정지구 표면(458)이 하우징(40)(제3c도)의 정지구(437)와 접할때까지 계속된다. 정지구(437,457)의 위치는 하우징의 공급램프(434,441)가 외측 스프로킷(42)의 공급램프(455',455)와 일렬이 되게 정해진다. 외측스프로킷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탄약(C64,C63,C62)이 이탈되어 램프(434)로 올라갈때 탄약(C64,C63,C62)에 의해 눌려 고정되어 있던 래치(447)는 풀려져서 스프링(482)에 의해 편향되므로서 귀(487)는 하우징의 내경부(427)을 통해 계속해서 회전하는데, 이때 정지구표면(458)이 정지구(437)에 접하면 귀(487)가 립(489)을 물게되고 외측 스프로킷(42)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탄창의 부품들은 제4도와 같은 위치에 있게된다.
공급립으로부터 계속하여 탄약이 공급되면 중간 스프로킷(43)의 탄약이 소비되고 제5도에 예시된 위치를 취하게 됨과 아울러 램프(455')에 의해 탄약(C30)이 퍼올려져 공급램프(455',455)를 올라간다. 내측 스프로킷(44)이 계속 회전하면 정지구표면(474)은 중간 스프로킷의 정지구(473)를 정지시켜 외측 스프로킷(제3c도)의 정지구 표면(459)과 접하게 되고, 중간 스프로킷(43)의 공급램프(471,471')는 외측 스프로킷(제6도)의 공급램프(455',455)와 일렬이되며, 래치(462)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이 되어 귀(488)가 외측 스프로킷(42)에 있는 립(461)과 물리게된다.
계속해서 탄약이 방출되면 내측 스프로킷(44)의 호전이 계속되어 탄약(C24-C1)이 공급램프(471',471,455',455,434,441)를 따라 올라가며, 공급램프를 따라 탄약(C6-C1)을 밀어부칠 탄약이 없게되면 푸셔(47)의 막대(407)가 공급램프(471')에 의해 떠올려져 이들 탄약을 공급립까지 밀어주는데, 아암(406)의 길이는 막대가 공급립(417,418)(제7a도, 제7b도)까지 연장될 수 있을 정도로 한다. 아암(406)의 한쪽에 최종발 정지 작동기(48)가 연결되고, 푸셔(47)가 고공급램프를 따라 올라가서 연장되면 커버(41)의 안내커버(496)에 대해 편향되어 있는 스프링 아암(413)이 커버의 슬로트(496')를 통해 위로 또 밖으로 아암과 함게 이동한다. 푸셔가 이동하기 시작할때까지, 최종발 정지 작동기(48)는 푸셔의 U자형 아암(406)의 곁에서 고정된다. 최종발 정지 작동기의 버트(414)의 작동은 총에있는 노리쇠 래치를 이동시켜 노리쇠 조립체를 개방위치에 고정시키고, 다음 탄창이 삽입되면 노리쇠가 치켜올라가도록 하는 것이다.
탄창을 강진하기 위해서는, 탄약들은 공급목(415)를 통해 하우징축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스프링 편향된 피벗식 립(417)의 상면(421)속으로 삽입되고, 탄약을 아래로 눌러주면 푸셔(407)가 부분적으로 눌려지고 립(417)이 제5a도으 실선으로 예시된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6개의 탄약을 장진한 후, 푸셔(47)를 내측 스프로킷의 고정위치에 두고 다시 더 탄약을 삽입하면 탄약(C1)이 내측 스프로킷(44)의 톱니중 첫번재 톱니에 오게된다. 물론 푸셔(47)를 눌러주면 스프링(46)의 반작용을 받게되고, 탄약(C1-C24)이 관련된 톱니중에 들어감에 따라 내측 스프로킷(4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탄약(C30)이 공급립에 삽입되면 푸셔꼬리(408)는 래치(462)에 있는 탱(484)과 접하게 되므로서 래치(462)를 회전시켜 귀(488)가 립(461)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중간 스프로킷(43)은 시계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하고, 탄약(C31,C32)을 삽입하면 제5a도에 나온 위치를 취한다. 제5a도에서, 탄약(C31,C32)을 삽입하면 탄약(C28,C29)이 래치(462)를 눌러주게되어 핑거(486)가 탄약(C2,C3)사이에 삽입된다(제4도). 중간 스푸울(43)과 내측 스푸울(44)을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탄약(C30,C29,C28)에 의해 래치가 완전히 눌리게되고 핑거(486)는 탄약(C2,C3)사이에서 견고히 밀려서 탄약(C2)에 대해 유지된다.
핑거(486)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제5a도의 위치에 명시된 부품들에 있어서 스프링(46)은 탄약(C24,C25,C26)을 통해 압력을 가하게 되어 외측 스프로킷(42)의 내벽에 대해 탄약(C26)을 누르게 되므로서 불필요한 마찰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제4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래치(462)에 대해 탄약(C30)이 하방향 압력을 가하면 핑거(486)가 탄약(C2)을 끌어당기게 되므로서 내측 스프로킷(44)은 중가 스프로킷(43)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스프링(46)으로부터 탄약(C24,C25,C26)에 가해진 압력은 해제되고, 탄약(C25,C26)은 공급램프(471',471)내부에서 어느정도 자유도를 가지며, 앞서 언급한 불필요한 마찰은 제거된다.
공급목(415)속으로 계속하여 탄약을 공급하면 내측 스프로킷(44)과 중간 스프로킷(4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탄약(C26)도 회전하게 되어 래치(447)위의 탱(483)과 접하게 된다. 이처럼 래치(447)는 해당 스프링(482)의 편향성에 거슬러 호전하여 귀(487)가 립(489)과맞물려 접한 상태에서부터 이탈되고, 외측 스프로킷(4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4도에 나온 위치는 탄약(C26)이 탱(483)과 맞물리게되는 위치이다. 탄약을 계속하여 장진할때는 탄약(C64, C63, C62)이 래치(447)의 핑거에 힘을 가하여 탄약(C28)을 시계방향으로 당기게 되며, 이때 중간 스프로킷(43)은 외측 스프로킷(42)에대해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탄약(C57,C58,C59)는 탄약(C24,C25,C26)에 핑거(486)가 작용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상호간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서 풀려난다. 따라서 탄약(C58,C59)은 공급램프(455',455)내에서 어느정도 자유도를 가지며 탄약(C59)과 하우징(40)의 내벽 사이에 불필요한 마찰이 생기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렇게하여 탄창속의 모든 탄약은 톱니 또는 공급램프에서 느슨하게 보유되고 마찰력은 최소로 감소된다. 탄약을 C100까지 삽입하여 탄창을 완전히 충전시키면 탄창은 제3a도에 예시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래치(447,462)를 반드시 필요로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성능을 내는데 있어서 2중 기능에 극히 필요로 할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이점에 있어서 귀(487,488)는 립(489,461)과 관련하여 스프로킷(4243)의 회전을 억제하여 탄창을 공급목(415)를 통해 장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래치의 핑거(485,486)가 래치(447)를 통해 중간 스프로킷으로부터 외측 스프로킷까지, 그리고 래치(462)를 통해 내측 스프로킷으로부터 중간스프로킷까지 각각 이동을 시키므로서, 탄약(C100,C99)을 제외한 탄창내의 모든 탄약이 탄창내에서 어느정도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래치의 기능과 성능에 대해 상술한 바와같이 두가지 기능중 각각을 수행하는데 상이한 부품을 필요로 하는 것이 있을지라도 유사한 기능을 가진 래치를 수우미식 탄창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13도에 예시된 다른 형태의 최종발 정지 작도기에 있어서는 압축 스프링(413')및 플런저(414')를 막대(407)의 구멍속에 삽입하는 것이다. 플런저(414')의 작용은 막대(407)가 공급램프를 위로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413')의 힘에 의해 플런저(414')가 연장되고, 아암(406)이 완전히 연장될때 플런저(414')가 총의 리시버에서의 총종발 정지 장치와 맞물리게 하는 것이다.

Claims (1)

  1. 원형의 내부 단면을 형성하는 주변벽을 가지는 하우징(40과, 하우징(40)으로부터 탄약통을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주변벽에 공급구(415)를 제공하게끔 주변벽을 관통하여 연장돌출된 공급목부(416)를 구성하여 되는 드럼식 탄창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415)가, 상기 공급목부(416)의 한쪽에 일체로 공급구(415)의 위로 연장되어 바깥 끝단부를 이루는 고정립(418)과, 이 고정립(418)의 다른쪽에 움직임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탄창의 바깥 방향으로 편향된 가동립(417)으로 형성되고, 탄창이 기관총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립(417), (418)사이의 간격이, 탄창에서 이탈도는 탄약통이 탄창으로부터 하우징축 방향으로만 이끌어져 나가고 다른 방향으로는 나가지못하게 하는 칫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KR1019810002378A 1981-06-30 1981-06-30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KR870001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378A KR870001687B1 (ko) 1981-06-30 1981-06-30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378A KR870001687B1 (ko) 1981-06-30 1981-06-30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665A KR830006665A (ko) 1983-09-28
KR870001687B1 true KR870001687B1 (ko) 1987-09-22

Family

ID=1922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378A KR870001687B1 (ko) 1981-06-30 1981-06-30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50B1 (ko) * 2012-08-31 2013-06-11 노태종 드럼식 탄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689B1 (ko) 2020-12-28 2023-01-31 배주환 총열 교체형 소총에 사용되는 드럼 탄창
KR20230075135A (ko) 2021-11-22 2023-05-31 배주환 총열 교체형 소총에 사용되는 드럼 탄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50B1 (ko) * 2012-08-31 2013-06-11 노태종 드럼식 탄창
WO2014035032A1 (ko) * 2012-08-31 2014-03-06 No Tae Jong 드럼식 탄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665A (ko) 198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4508A (en) Drum magazine for a gun
US4332097A (en) Drum magazine for automatic pistol or the like
US4926742A (en) Spiral drum magazine with elongated magazine clip and single piece last round follower
US4745842A (en) Spiral drum magazine with elongated magazine clip and multiple link last round follower
US4487103A (en) Drum magazine
US4965951A (en) Large capacity ammunition magazine
EP0223827A1 (en) Gun and magazine system
US4413546A (en) Drum magazine for carbines or the like
JP6208861B2 (ja) 自動式けん銃用分解保護デバイス、及び分解保護デバイスを備える自動式けん銃
EP0461784A1 (en) Magazine for a firearm
US4445418A (en) Drum magazine for a gun
KR870001687B1 (ko)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JPH02197798A (ja) 多装弾数の弾倉
US4471549A (en) Actuating mechanisms for small arms
US4897949A (en) Firearms
US4207797A (en) Magazine for an automatic weapon
US3143819A (en) Magazine for pistol
EP0123798B1 (en) Drum magazine for a gun
US5054365A (en) Propellant igniter magazine for a wedge-type breechblock
KR870001686B1 (ko)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EP0054089B1 (en) Drum magazine for a gun
KR870001688B1 (ko) 기관총의 드럼식 탄창
CA1181620A (en) Drum magazine for a gun
US4453329A (en) Firearms with rotary magazines
US5092069A (en) Firea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