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541Y1 - 화장품용 부러쉬 - Google Patents

화장품용 부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41Y1
KR870001541Y1 KR2019850001910U KR850001910U KR870001541Y1 KR 870001541 Y1 KR870001541 Y1 KR 870001541Y1 KR 2019850001910 U KR2019850001910 U KR 2019850001910U KR 850001910 U KR850001910 U KR 850001910U KR 870001541 Y1 KR870001541 Y1 KR 870001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ap
cosmetic
cosmetic brush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309U (ko
Inventor
장원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영
장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영, 장원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영
Priority to KR2019850001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541Y1/ko
Publication of KR860010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장품용 부러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화장품용 부러쉬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 2 : 협지구
3 : 화장솔보전구 4 : 만곡부
5 : 몸체 6 : 부라쉬봉
7 : 스프링 9 : 가이드홈
10 : 가이드
본 고안은 화장용구로 사용되는 부러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하는 화장품용 부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용 부러쉬는 부러쉬봉 선단에 화장솔이 단순히 부착되어 있어 사용을 하고난 후에 케이스에 보관하지 않으면 화장솔에 묻어있는 화장품으로 인하여 주위가 지전분하여지고, 화장솔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코자 제안된 것이 화장솔을 감싸는 캡을 씌우거나, 화장솔이 부착되는 부라쉬봉에 가이드를 돌출시켜 용기에 수용시키는데 있어 용기에 형성된 나선홈을 타고 가이드가 상승함에 따라 사용시에 화장솔만이 외부로 나오게 하는 방식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식을 또한 사용이 불편하고 화장솔이 쉽게 훼손되는 점등에 있어서는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는데 있어 충족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화장품용 부러쉬를 제공코자함이 그 목적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1)과 협지구(2) 및 화장솔보전구(3)이 순차결합되어 화장품용 부러쉬가 형성된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1)에 협지구(2)가 삽입설치되고, 화장솔 보전구(3)이 삽입되는데 있어 협지구(2)의 하단이 캡(1)의“V”부분에 압입되어 고정되며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만곡부(4)에 의해 화장솔 보전구(3)이 압지된다.
제3도는 화장솔 보전구(3)의 종단면도로서, 몸체(5)의 내부에는 부라쉬봉(6)이 스프링(7)에 의해 탄지된다.
전기한 몸체(5)는 선단에 개구되며, 내부에 내향플랜지(8)이 형성되어 스프링(7)의 일측이 걸리고 의주일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9)에는 가이드(10)의 외부로 돌출되어 계지되며 하부에는 마개(11)이 압압되는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2는 화장솔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캡(1)이 화장솔 보존구(3)에 끼워져 있을 때가 사용치 않을 때로서 화장솔(12)가 몸체(5)내에 위치하는 것은 스프링(7)의 탄성에 의해 부라쉬봉(6)이 하방향으로 밀려지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상태의 화장품용 부러쉬를 사용코자 할때에는 캡(1)을 분리시킨후, 이것을 다시 화장솔보전구(3)의 하방향에서 끼운다. 그러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1)이 끼워지면서 부라쉬봉(6)에 수직설치되어 있는 가이드(10)을 밀어 가이드홈(9)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같은 작용으로 인하여 부라쉬봉(6)이 밀려올라감에 따라 화장솔(12)가 몸체(5)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스프링(7)의 압출력으로 인하여 캡(1)이 가이드(10)에 의해 하방향으로 힘을 받게되나, 캡(1)에 압지되어 있는 협지구(2)에 다수개의 만곡부(4)가 내향 돌출되어 몸체(5)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져 있으므로 빠지지 않고 화장솔(12)이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이 끝나면, 캡(1)을 뽑아 제3도에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 화장솔보전구(3)의 상방향에서 캡(1)을 끼우면, 스프링(7)에 의해 부라쉬봉(6)은 밀려내려가 화장솔(12)는 몸체(5)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용 부라쉬는 사용시에 캡의 위치만 변경하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후에 다시 캡의 위치만 변경하면 청결하게 보전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화장솔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향 돌출되는 다수개의 만곡부(4)를 갖는 협지구(2)가 캡(1)에 압입설치되며, 스프링(7)에 의해 탄지되는 부라쉬봉(6)이 화장솔보전구(3) 내에 수용되고 몸체(5)에 뚫려진 가이드홈(9)로 가이드(10)의 외향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부러쉬.
KR2019850001910U 1985-02-26 1985-02-26 화장품용 부러쉬 KR870001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910U KR870001541Y1 (ko) 1985-02-26 1985-02-26 화장품용 부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910U KR870001541Y1 (ko) 1985-02-26 1985-02-26 화장품용 부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309U KR860010309U (ko) 1986-09-05
KR870001541Y1 true KR870001541Y1 (ko) 1987-04-22

Family

ID=1924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910U KR870001541Y1 (ko) 1985-02-26 1985-02-26 화장품용 부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5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309U (ko) 198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00543A1 (en) Cosmetic container
JPS5815810A (ja) 化粧装置
NO922648L (no) Interproksimal boerste
ATE68676T1 (de)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fluessigen erzeugnisses, insbesondere zum auftragen von nagellack.
DE224395T1 (de)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behandlungsproduktes auf haare, wobei das auftragen straehne fuer straehne geschieht.
US2872034A (en) Lipstick container
US2168689A (en) Dental cleaning compact
KR860006235A (ko) 치간 칫솔
KR870001541Y1 (ko) 화장품용 부러쉬
ES2155502T3 (es) Aplicador de productos cosmeticos con dispositivo de bloqueo de guiado.
US2790441A (en) Interdental massage device
US1362975A (en) Container
US2417874A (en) Toothbrush and dentifrice container
JPS60173226U (ja) 棒状化粧料容器
KR200417701Y1 (ko) 치간칫솔
KR920006603Y1 (ko) 화장용 아이펜슬
EP0209361A2 (en) Material applicator
ATE20637T1 (de) Zahnbuerste mit unterteiltem stiel.
KR930001144Y1 (ko) 휴대용 화장브러쉬
KR930003023Y1 (ko) 솔대가 내장된 립스틱 용기
US4147174A (en) Self-cleaning retractable comb
US2503898A (en) Shaving kit
US1581711A (en) Toothbrush holder
JPS5917801Y2 (ja) 開口装置付液体容器
KR820001981Y1 (ko) 필 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