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517Y1 - 단열 새시틀 - Google Patents

단열 새시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17Y1
KR870001517Y1 KR2019810006607U KR810006607U KR870001517Y1 KR 870001517 Y1 KR870001517 Y1 KR 870001517Y1 KR 2019810006607 U KR2019810006607 U KR 2019810006607U KR 810006607 U KR810006607 U KR 810006607U KR 870001517 Y1 KR870001517 Y1 KR 870001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hassis
synthetic resin
inner me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6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829U (ko
Inventor
슈우이치 호소오카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0138490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141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8492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5761074U/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18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comprising only one metal frame member combined with an insulating fram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6Covering plastic frames with metal or plastic profil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열 새시틀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단열 새시틀을 사용한 단열 새이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단열 새시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창틀 (B) : 여닫이창
(C) : 붙박이 창 (D) : 몸체
(E): 외장재 (F) : 피막재
(a) : 위틀 (b) : 밑틀
(c) : 선틀 (h) : 윗막이대
(i) : 밑막이대 (j) : 선대
(1),( 20), (40), (60), (70), (80), (120) : 합성수지제 내측부재
(10), (30), (50), (90), (100), (110), (130) : 금속제 외측부재
이 고안은 창틀, 유리문, 덧문, 장짓문의 틀 등을 구성하는 단열 새시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종류의 단열 새시틀로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실내측 부재와 실외측 부재 사이에 단열성이 있는 연결부재를 끼워서 상기 실내측 부재와 실외측 부재를 각접적으로 연결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구조에 의하면 단열 새시틀 자체의 연결작업이 대단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연결강도가 약하여 내측 및 외측 부재가 서로 미동하기 쉬워서 안정된 연결강도를 얻을 수 없었으며, 또한 단열 새시틀의 조립작업도 복잡함과 동시에 틀 조립체의 강도도 약하게 되므로 안정된 조립상태를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내측부재와 외측부재를 각단히 연결할 수 있으며, 안정된 연결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안정하고 강고한 조립상태를 얻을 수 있고, 내후성(耐候性)이 양호한 단열 새시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창틀(A)은 위틀(a)과 밑틀(b)과 한쌍의 선틀(c)(c)을 장방형으로 조립한 것으로서, 창틀(A)의 안쪽으로는 여닫이 창(B)과 붙박이 창(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윗틀(a)은 단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와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외측부재(10)를 직접 연결시킨 형태로 되어 있으며, 밑틀(b)은 단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제 내측부재(20)와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외측부재(30)를 직접 연결시킨 형태로 되어 있고, 각각의 선틀(c)은 단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제 내측부재(40)와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외측부재(50)를 직접 연결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윗틀(a)과 밑틀(b)에 걸쳐 중각틀(d)이 설치되어서 여닫이 창용 창틀(G)과 붙박이창용 창틀(H)을 형성하며, 여닫이창용 창틀(G)에는 유리문(e)이 힌지(f)에 의하여 실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여닫이창(B)을 구성하고, 붙박이창용 창틀(H)에는 유리(g)가 붙박이로 부착되어서 붙박이창(C)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윗틀(a)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는 몸체(D)에 부착되어 있는 내측벽(2)과 윗벽(3)과 밑벽(4)과 외측벽(5)에 의해 대략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윗벽(3)에는 중간부에 계단부(8)을 형성시키고 외측단부에는 요부(凹部)(6)를 형성시켰으며, 이와 동시에 밑벽(4)의 외측단부에도 요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윗틀(a)을 구성하는 금속제 외측부재(10)는 윗벽(11)과 밑벽(12)과 외측벽(13)과 상기 윗벽(11) 및 밑벽(12)을 내측에서 연결하는 내측벽(14)에 의하여 대략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윗벽(11)에는 내측벽(14)보다 더욱 내측으로 돌출하는 연장부(18)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부(18)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윗벽(3)의 계단부(8)에 맞닿는 접촉부(1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중각위치에는 상기 요부(6)에 결합하는 걸림부(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밑벽(12)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요부(7)에 결합하는 걸림부(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와 금속제 외측부재(10)는 내측부재(1)의 외측변(5)과 외측부재(10)의 내측변(14)이 맞닿아서 각각의 윗벽(3)(11)이 서로 겹쳐져 있고, 각 걸림부(16)(17)가 각각의 요부(6)(7)에 끼워 맞추어 연결됨에 의하여 윗틀(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장재(外漿材)(E)의 두께는 각 윗벽(3)(11) 상호의 연결부(n) [즉, 윗벽(3)의 계단부(8)와 윗벽(11) 접촉부(15)와의 끼워맞춤부]를 지나 외측위치까지 뻗어있어 연결부(n)를 덮고 있다.
상기 밑틀(b)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20)는 몸체(D)에 부착되어 있는 내측벽(21)과 윗벽(22)과 밑벽(23)과 외측벽(24)에 의해 대략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밑벽(23)의 대략적인 중각부에는 계단부(27)를 형성시키고 외측단부에는 요부(26)를 형성시켰으며, 이와 동시에 윗벽(22)의 외측단부에도 요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틀(b)을 구성하는 금속제 외측부재(30)는 윗벽(31)과 밑벽(32)과 외측벽(33)과 상기 윗벽(31) 및 밑벽(32)을 내측에서 연결하는 내측벽(34)에 의하여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밑벽(32)에는 내측벽(34)보다 더욱 내측으로 돌출하는 연장부(38)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부(38)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계단부(27)에 맞닿는 접촉부(3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중간위치에는 상기 요부(25)에 끼워 맞춤되는 걸림부(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윗벽(31)의 내측단부에도 상기 요부(26)에 끼워맞춤되는 걸림부(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제 내측부재(20)와 금속정 외측부재(30)는 내측부재(20)의 외측벽(24)과 외측부재(30)의 내측벽(34)이 맞닿아서 각각의 밑벽(23)(32)이 서로 곁쳐져 있고, 각 걸림부(36)(37)가 각 요부(25)(26)에 끼워맞추어 연결됨에 의하여 밑틀(b)이 형성된다. 또한 외장재(E)의 두께는 각 밑벽(23)(32) 상호. 연결부(0) [즉, 밑벽(23)의 계단부(27)와 밑벽(32)의 접촉부(35)와의 끼워맞춤부]를 지나 외측 위치까지 뻗어있어 연결부(0)를 덮고 있다.
상기 각각의 선틀(c)(c)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40)(40)는 몸체(D)에 부착되어 있는 내측벽(41)과 외벽(42)과 내벽(43)과 외측벽(44)에 의해 대략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42)의 대략적인 중각부에는 계단부(47)를 형성시키고 외측단부에는 요부(45)를 형성시켰으며, 이와 동시에 내벽(43)의 외측단부에도 요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각의 선틀(c)(c)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40)는 상기 윗틀(a)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와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선틀(c)(c)을 구성하는 금속제 외측부재(50)(50)는 외벽(51)과 내벽(52)과 외측벽(53)과 상기 외벽(51) 및 내벽(52)을 내측에서 연결하는 내측벽(54)에 의하여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51)에는 내측벽(54)보다 더욱 내측으로 돌출하는 연장부(58)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부(58)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계단부(47)에 맞닿는 접촉부(5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중간위치에는 상기 요부(45)에 끼워 맞춤되는 걸림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벽(52)의 내측단부에는 사익 요부(46)에 끼워 맞춤되는 걸림부(5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틀(c)(c)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40)와 금속제 외측부재(50)는 내측부재(40)의 외측벽(44)과 외측부재(50)의 내측벽(54)이 맞닿아서 각각의 외벽(42)(51)이 서로 겹쳐져 있고, 각 걸림부(56)(57)가 각각의 요부(45)(46)에 끼워맞추어 연결되어서 선틀(c)(c)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외장재(E)의 두께는 각 외벽(42)(51) 상호의 연결부(p) [즉, 외벽(42)의 계단부(47)와 외벽(51)의 접촉부(55)와 끼워맞춤부]를 지나 외측위치까지 뻗어 연결부(p)를 덮고 있다.
또한 여닫이 창(B)을 구성하는 유리문(e)은 윗막이대(h), 밑막이대(i), 한쌍의 선대(j)(j)를 장방형으로 조립하고, 그 틀체내에 유리(g)를 부착한 것이다.
상술한 윗막이대(h), 밑막이대(i), 선대(j)도 단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제 내측부재(60)(70)(80)와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외측부재(90)(100)(110)를 직접 연결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60)(7)(80)의 양측 바깥쪽에 한쌍의 요부(61)(62)(71)(72)(81)(82)를 형성시키고, 각각의 금속제 외측부재(90)(100)(110)에는 상기 각 요부에 끼워 맞춤되는 한쌍의 걸림부(91)(92)(101)(102)(111)(112)를 각각 형성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상기 요부와 각각의 상기 걸림부를 끼워맞추어 연결시킨 것이며, 윗막이대(h )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60)와 선대(j)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80)는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중간틀(d)도 단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20)와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외측부재(130)를 직접 연결하여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20)의 양쪽으로는 요부(121)(122)가 형성되어 있고, 금속제 외측부재(130)에는 상기 요부(121)(122)에 끼워맞춤되는 한쌍의 걸림부(131)(1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윗틀(a), 밑틀(b), 선틀(c) 및 윗막이대(h), 밑막이대(i), 선대(j)는 단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제의 내측부재(1)(20)(40)(60)(70)(80)와 금속제의 외측부재(10)(30(50)(90)(100)(110)를 직접 연결시킨 구조이므로 틀의 조립이 각단하고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가 있으며, 또한 연결 강도가 강하고 안정된 연결상태를 갖는 틀을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의 윗틀(a), 밑틀(b), 선틀(c)을 사각형으로 조립한 창틀(A) 및 윗막이대(h), 밑막이대(i), 선대(j)를 사각형으로 조립한 창짝 조립체는 그 조립의 각단함과 동시에 조립강도가 강하여 안정된 조립상태를 얻을수가 있다.
또한 윗틀(a) 및 한쌍의 선틀(c)(c)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40)는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윗막이대(h) 및 한쌍의 선대(i)(j)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60)(80)도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생산성이 나븐 합성수지제의 내측부재는 2종류만 제조하여도 좋고, 부품의 가짓수가 작아서 재고관리등의 면에서 바람직함과 동시에 창틀 및 창짝 조립체를 능률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제 외측부재의 압출제조 속도는 대단히 빠르고 합성수지제 내측부재의 압출속도는 냉각등을 행하기 때문에 느리게 되어, 내측부재를 모두 다른 형태로 하면 다른 형태 각각에 대한 외측부재가 다량으로 생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형태 각각의 내측부재는 소량밖에 생산되지 않아서 내측부재가 부족하게 되므로 창틀 및 창짝 조립체의 단열새시틀을 연결 조립할 수 없어서 창틀 및 창짝 조립체를 조립하는 조립능률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내측부재를 동일한 형태로 하면 다른 형태 각각의 외측부재의 생산량과 내측부재의 생산량이 대략 일치하게 되어 내측부재가 부족하게 되는 일이 없으므로 창틀 및 창짝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능률적인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의 외부에 나타나는 면[바깥 공기에 노출되는 표면]에는 내기성(耐氣性)이 좋은 도료(에컨대 알킬수지나 우레탄수지성 도료) 등의 피막재(F)가 피막되어 있다.
즉, 윗틀(a)에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2)의 밑벽(4)과 금속제 외측부재(10)의 밑벽(12)의 일부분에 걸쳐서 내후성(耐候性)이 향호한 도료가 도포되어서 피막되어 있다.
이와같이 윗틀(a) 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2)의 외부에 나타나는 면이 내후성이 양호한 피막재(F)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합성수지의 외벽(4)이 햇빛 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후성이 양호한 윗틀(a)로 된다. 또한, 피막재(F)는 밑벽(4)과 밑벽(12)의 연결부(q) [바꾸어 말하면 내측 및 외측부재(1)(10)의 연결부]에도 침입하여 연결부(q)를 덮는 것이므로 연결부(q)로부터 빗물 등이 침입하지 않아서 밀폐효과가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밑틀(b)에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20)의 윗벽(22)과 금속제 외측부재(30)의 윗벽(31)의 일부분에 걸쳐서 피막재(F)가 피복되어 있으며, 선틀(c)에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40)의 내벽(43)과 금속제 외측부재(50)의 내벽(52)의 일부분에 걸쳐서 피막재(F)가 피복되어 있고, 윗막이대(h)에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60)의 내측벽(63), 윗벽(64) 및 금속제 외측부재(90)의 윗벽(93)의 일부분에 걸쳐서 피막재(F)가 피복되어 있으며, 밑막이대(i)에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70)의 내측벽(73), 밑벽(74) 및 금속제 외측부재(100)의 밑벽(103)의 일부분에 걸쳐서 피막재(F)가 피복되어 있고, 선대(j)에는 합성수지제 내측부재(80)의 내측벽(83), 외벽(84) 및 금속제 외측부재(110)의 외벽(113)의 일부분에 걸쳐서 피막재(F)가 피복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의 내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와 금속제 외측부재의 연결부(r)(s)(t)(u)(v)의 밀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틀(d)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20)에는 내측벽(123), 양쪽 측벽(124)(125) 및 금속제 외측부재(130)의 양쪽 측벽(133)(134)의 일부분에 걸쳐서 피막재(F)가 피복되어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20)의 내후성을 양호하게 하여줌과 동시에 연결부(w)(w)의 밀폐 효과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윗틀(a), 밀틀(b), 선틀(c)이 바깥으로 회전하는 쪽의 연결부(n)(o)(p)는 금속제 외측부재(10)(30)(50)의 연장부(18)(38)(58)를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20)(40)의 계단부(8)(27)(47)에 맞닿게 한곳으로 되어 있으며 연결부(n)(o)(p)는 몸체(D)에 근접한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외장재(E)의 두께가 대략 일정하게 되어서, 윗틀(a), 밑틀(b) 및 선틀(c)(c)의 폭이 넓게 되더라도 바깥으로 회전하는 쪽의 연결부(n)(o)(p)를 외장재(E)로 덮어줄 수가 있고, 연결부(n)(o)(p)로부터 빗물 등이 내부로 침입하는 일이 없어 수밀성(水密性)이 뛰어나게 된다.
다시말하면, 합성수지제 내측부재와 금속제 외측부재를 단지 단순하게 맞닿게 하여 연결시킨 구조로 하면 그 연결부가 몸체(D)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된다. 이때문에, 틀의 폭을 넓게 하면 연결부가 몸체(D)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위치로 되므로 외장재(E)의 두께가 일정하면 연결부를 외장재(E)로 덮어줄 수가 없어 빗물 등이 내부로 침입하므로 수밀성이 나빠지게 되어버린다.
또한 윗틀(a), 밑틀(b) 및 선틀(c)(c)을 연결하기 위하여서는 각각의 연장부(18)(38)(58)를 바깥쪽으로 벌어진 상태로 형성하고, 합성수지제 내측부재(1)(20)(40)와 금속제 외측부재(10)(30)(50)가 가연결(假連結)되었을 때 연장부(18)(38)(58)를 내측으로 조여준다.
이 고안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안정된 연결상태를 가진 단열 새시틀을 얻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강도가 강하여 안정된 조립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어도 3개측의 단열 새시틀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가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가짓수가 적어도 제조 원가를 낮추어 주고, 또한 작업의 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열성을 가진 합성수지제의 내측부재가 바깥공기에 접촉되는 표면에 피복된 내후성이 양호한 피막재는 변질되는 일이 없어 내후성이 뛰어난 단열 새시틀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새시틀 부착용의 몸체(D)에, 이 몸체(D)보다도 실외측으로 돌출하여 부착한 단열 새시틀에 있어서, 이 단열새시틀은 합성수지 등과 같이 단열성이 좋은 재료로 되어 있는 내측부재와 기계적 강도 및 내후성이 우수한 금속제의 외측부재로 구성되고, 그 내측부재와 외측부재를 해당 단열 새시틀의 예상 폭의 중앙보다도 실외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서로 끼워맞추어 연결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외측부재의 외주측에는 상기 끼워맞춤부보다도 내측부재측을 향해 돌출한 연장부를 가지고, 이 연장부가 상기 내측부재의 외측측면에 겹치고, 또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가 새시틀 부착용의 몸체 외측에 마무리된 외장재(E)의 외표면보다도 실내측으로 들어가 위치하는 치수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새시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새시틀을 구성하는 부재들중 적어도 3개의 합성수지제 내측부재가 동일한 단면형태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새시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내측부재에서 바깥쪽으로 나타나는 표면에 내후성이 뛰어난 피막재를 피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새시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재가 상기 내측부재와 외측부재의 연결부를 피복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새시틀.
KR2019810006607U 1980-09-29 1981-09-25 단열 새시틀 KR8700015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38492 1980-09-29
JP1980138490U JPS6111419Y2 (ko) 1980-09-29 1980-09-29
JP???55-138490 1980-09-29
JP13849280U JPS5761074U (ko) 1980-09-29 1980-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29U KR830001829U (ko) 1983-10-24
KR870001517Y1 true KR870001517Y1 (ko) 1987-04-20

Family

ID=2647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6607U KR870001517Y1 (ko) 1980-09-29 1981-09-25 단열 새시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049147B1 (ko)
KR (1) KR870001517Y1 (ko)
AU (1) AU530143B2 (ko)
CA (1) CA1177698A (ko)
DE (1) DE3173638D1 (ko)
HK (1) HK65388A (ko)
MY (1) MY8700742A (ko)
PH (1) PH23047A (ko)
SG (1) SG642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49523B (zh) * 2004-09-15 2010-10-06 付明生 内腔式双轨道多功能启闭门窗
CN1782319B (zh) * 2004-12-01 2010-10-06 付明生 内腔式单轨道节能多功能启闭门窗
CN107386882A (zh) * 2017-08-31 2017-11-24 雷少军 一种铝合金平开窗型材组件结构
CN107675999A (zh) * 2017-11-16 2018-02-09 姜广学 一种木制贴皮透气窗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23599A1 (de) * 1969-05-08 1970-12-03 Ritter Aluminium Gmbh Metallfensterrahmen,insbesondere Rahmen aus Leichtmetallprofilen
DE2045156A1 (en) * 1970-09-12 1972-03-16 VAW Leichtmetall-Werke GmbH, 5300 Bonn Aluminium window profile - joined to a thermoplastic profile
DE2801596A1 (de) * 1978-01-14 1979-07-19 Gretsch Unitas Gmbh Rahmenprofil fuer ein fenster, eine tuer o.dgl.
DE2806025A1 (de) * 1978-02-14 1979-08-16 Uhl Geb Gmbh & Co Kg Fenster- oder tuerrahmen
DE2842884A1 (de) * 1978-10-02 1980-04-17 Dynamit Nobel Ag Bausatz fuer vertikale oder horizontale schiebefenster
IE49164B1 (en) * 1979-02-23 1985-08-07 Weatherseal Windows Ltd Improvements to windows,doors and the like
DE2932812C2 (de) * 1979-08-13 1982-12-09 Fulguritwerke Seelze und Eichriede in Luthe bei Hannover Adolf Oesterheld GmbH & Co KG, 3050 Wunstorf Flügel- und Blendrahmen für Fenster oder verglaste Tü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49147A1 (en) 1982-04-07
PH23047A (en) 1989-03-10
MY8700742A (en) 1987-12-31
EP0049147B1 (en) 1986-01-29
DE3173638D1 (en) 1986-03-13
KR830001829U (ko) 1983-10-24
AU530143B2 (en) 1983-07-07
HK65388A (en) 1988-09-02
CA1177698A (en) 1984-11-13
SG64287G (en) 1987-11-13
AU7523481A (en) 198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9234A (en) Skylight assembly
KR870001517Y1 (ko) 단열 새시틀
GB2155087A (en) Frame component
JPS6345496Y2 (ko)
US5647179A (en) Aluminum frame member
JP7023153B2 (ja) 建具
CN214145166U (zh) 一种断桥型外开铝木门窗窗体
GB2143270A (en) Window or door frame
JPS6316461Y2 (ko)
JP2594964Y2 (ja) パネル定着用の外側部材
JP3190017B2 (ja) 複合窓枠の無目構造
JP4397167B2 (ja) 断熱ドア枠構造及び断熱ドア枠の組立方法
CN219492067U (zh) 一种幕墙开启窗
JPS6111419Y2 (ko)
CN210508831U (zh) 一种窗框型材及平开窗
JPS623514Y2 (ko)
JPH0122078Y2 (ko)
KR200283678Y1 (ko) 폐 스틸렌폼을 이용한 복합 창틀
CN114482781A (zh) 一种内外保温窗铝合金型材边框结构
JPH07111113B2 (ja) 建具用枠
JPS6224703Y2 (ko)
JPS624148Y2 (ko)
JPS6111418Y2 (ko)
JP2740905B2 (ja) 内動片引き窓の召合せ下部水密構造
JP2520697Y2 (ja) サッシ用枠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