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427Y1 - 레코드 플레이어의 리니어트 랙킹암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레코드 플레이어의 리니어트 랙킹암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427Y1
KR870001427Y1 KR2019820005779U KR820005779U KR870001427Y1 KR 870001427 Y1 KR870001427 Y1 KR 870001427Y1 KR 2019820005779 U KR2019820005779 U KR 2019820005779U KR 820005779 U KR820005779 U KR 820005779U KR 870001427 Y1 KR870001427 Y1 KR 870001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arrier
linear tracking
guide rod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802U (ko
Inventor
데스로우 사까끼
나까 아끼라 야마
Original Assignee
니뽕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filed Critical 니뽕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0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08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 G11B3/085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using automatic means
    • G11B3/08503Control of drive of the head
    • G11B3/08519Control of drive of the head for pick-up arms moving parallel to itsel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08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 G11B3/085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using automatic means
    • G11B3/08535Driving the head
    • G11B3/08564Driving the head the head being driven by means independent of the record carrier driving means
    • G11B3/08587Driving the head the head being driven by means independent of the record carrier driving means for pick-up arm moving parallel to itsel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08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 G11B3/085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using automatic means
    • G11B3/08535Driving the head
    • G11B3/08564Driving the head the head being driven by means independent of the record carrier driving means
    • G11B3/08587Driving the head the head being driven by means independent of the record carrier driving means for pick-up arm moving parallel to itself
    • G11B3/0859Driving the head the head being driven by means independent of the record carrier driving means for pick-up arm moving parallel to itself driven by belt or analogous el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10Arranging, supporting, or driving of heads or of transducer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3/34Driving or guid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3/38Guiding, e.g. constructions or arrangements providing linear or other special tracking characteristic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코드 플레이어의 리니어트 랙킹암의 승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되는 레코드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리니어 트랙킹암의 승강장치의 한 실시예를 적용한 레코드 플레이어의 평면도.
제2도는 그 반송체 근방부의 확대 평면도.
제3도는 그 반송체의 우측면도.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요부의 사시도.
제5도는 본 실시예에 적용된 트랙킹 에러 각 보정기구의 개략도.
제6A도, 제6B도는 종래의 트래킹 에러 각 보정기구의 예를 도시하는 걔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코드 2 : 모터보드
3 : 반송체 3a : 돌편
3b : 고정축 3c : 인쇄배선판
4 : 가이드판 4a : 지승부
5 : 가이드봉 5a : 진홈
6 : 리니어 트랙킹 암 6a : 카트릿지
6b : 재생침 6c : 훅크
6d : 차광판 7 : 베어링부
7a : 수직축 7b : 누평축
8 : 견인로프 8a : 장력스프링
9,10 : 플리 11 : 전동모터
12,13,14 : 기어 15 : 감속기어기구
16 : 회전롤러 17 : 수평안정판
18 : 고정벽 18a :고정면
19a 내지 19e : 고정전극 20 : 인쇄배선판
21 : 탄성전극 21a : 갈고랑이부
22a,22b : 베어링 23 : 회전제어암
24 : 감합부 24a : 돌조
25 : 완부 26 : 고정기구
26a : 스프링 27 : 플런져 솔레노이드
28 : 플런져 28a : 복귀용 스프링
28b : 핀 28c :스프릿부
29 : 각도 교환캄 29a : 고정축
29b, 29c : 완편 30 : 회전암
31 : 감합부 31a : 돌조
32 : 완부 32a : 핀
40 : 포토인터럽터 41,44' : V홈
42,42' : 핀 43 : 승강전용판
44 : 보정판 45 : 가이드 테두리
45a : 동부 45b : 사형각부
45c : 절곡각부 45d : 홈부
46 : 부착판 46a : 핀
본 고안은 레코드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리니어 트랙킹 암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며 봉형태의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반송체에 재생침을 구비하는 리니어 트랙킹 암을 자동자유롭게 설치하여 되는 레코드 플레이어에 있어서 구동부하를 대폭 경감하고 콤팩트로써 간단한 구성이 될 수 있는 레코드 플레이어 있어서의 리니어 트랙킹 암의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부터 봉형태의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반송체에 재생침을 구비하는 리니어 트랙킹 암을 자동자유롭게 설치하고 레코드의 음구(홈)의 도입홈에 바늘끝이 이르렀을 때, 리니어 트랙킹 암을 하강시켜 바틀끝을 레코드의 도입홈에 맞추고, 또한 연주 종료후 음구의 도출홈에 이르렀을 때, 재생침을 상승시킬 수 있는 리니어 트랙킹 암의 승강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장치에 있어서는 반송체에 플런져 솔레노이드가 탑제되어 있고 이것을 가동시키므로서 리니어 트랙킹 암의 기체로서의 반송체에 대하여 승강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반송체를 가이드 부재에 따라서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플런져 솔레노이드가 반송체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그 구동력을 상당히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한 반송체 위의 플런져 솔레노이드는 리드선에 의해 반송체 외부의 소정개소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체를 슬라이딩시킬 때는 리드선에 의한 저항력이 반송체에 작용함으로 구동부하가 더욱 더 증대하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리니어 트랙킹 암의 하부에 핀을 설치하고, 이 핀의 이동방향에 설치된 한편 모터 보드 등에 힌지 결합된 요동판을 설치하고 이 요동판을 가동시킴으로서 핀을 거쳐 리니어 트랙킹 암을 승강시키는 것도 알려져 있으나 가이드 부재와 거이 평행으로 요동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코드 플레이어 내부의 스페이스를 크게 차지하고 구성도 복잡하게 되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결점을 제거한 것이며, 이하 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이 되는 레코드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리니어 트랙킹 암의 승강장치의 한 실시예를 레코드 플레이어에 적용한 레코드 플레이어의 평면도, 제2도는 그 반송체 근방부의 확대 평면도. 제3도는 그 반송체의 확대 우측면도. 제4도는 등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은 모터 보다(2)상의 턴테이블에 장치된 레코드이며 주지하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회전된다. (3)은 그 상면에 가이드판(4)이 고착된 반송체이고 가이드판(4)의 한쌍의 지승부(4a),(4b)에는 관형의 혹은 환봉형의 가이드봉(5)이 유감관통되어 있고, 반송체(3)는 가이드봉(5)에 매어달린 상태로 되어 있다. 반송체(3)의 한쪽에는 리니어 트랙킹 암(6)을 자유계수형으로 지승하고 베어링부(7)가 설치되고, 이 베어링부(7)에는 수직축(7a) 및 수평축(7b)이 설치되어 수평축(7b)의 둘레에 리니어 트랙킹 암(6)이 수직면상으로 회전되어 카트릿지(6a)의 재생침(6b)이 레코드(1)의 도입홈 또는 도출홈에 이르렀을 때에 레코드(1)에 대하여 재생침(6b)의 승강이 행하여지고 또한 수직축(7a)의 둘레에 리니어 트랙킹 암(6)이 수평면 상에서 약간 요동되어, 반송체(3)의 가이드봉(5)을 따른 슬라이딩을 수반하여, 재생침(6b)은 레코드(1)의 음구를 그 반경으로 주사한다.
(8)은 반송체(3)를 가이드봉(5)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견인 로프이고, 그 양중만은 장력 스프링(8a)에 접촉되어 있고, 풀리(9), (10)에 횡으로 가설되어 가이드봉(5)에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11)은 방송체(3)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동모터이고 그 구동력은 기어(12), (13), (14)를 두어 풀리(9)에 전달된다. 이들의 기어(12), (13), (14)는 감속기어기구(15)를 구성하고 있고 풀리(9)는 소정속도로 회전된다.
반송체(3)의 후부에는 회전롤러(16)가 회전 자유로히 지승되고 이 회전롤러(16)는 모터보드(2)에 고정되는 한편 가이드봉(5)과 평행인 수평안정판(17) 위를 반송체(3)의 이동에 수반하여 전동된다. 따라서 반송체(3)의 가이드봉(5)의 둘레의 회전은 이 회전롤러(16)에 의해 저지되어 있고 반송체(3)는 가이드봉(5)에 따른 이동 중에 있어서도 항상 레코드면상에 대해 일정 높이의 위치가 확보되어 있다. 수평안정판(17)의 길이방향에 걸친 축부에는 수직의로 일어선 고정벽(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벽(18)에는 수직방향으로 설립된 핀형의 복수의 고정전극(19a 내지 19e)이 줄지어 설치되고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기의 고정전극(19a 내지 19e)은 고정면(18a)보다 반송체(3)에 치우쳐 조금 노출하고 있다. 고정전극(19a)은 공칭의경 17cm 레코드의 도출홈에 고정전극(19b)은 공칭의경 25cm 및 30cm 레코드의 도출홈에, 고정전극(19c)은 공칭의경 17cm 레코드의 도입홈에, 고정전극(19d)은 공칭의경 25cm 레코드의 도입홈에,고정전극(19e)은 공칭의경 17cm 레코드의 도입홈에, 각기 리니어 트랙킹 암(6)의 재생칭(6b)의 바늘끝이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전극(19a 내지 19e)의 각기는 절연재에 의해 지지고정되어 있고, 수평 안정판(17)의 하면보다 각 일단부는 다소 돌출되어 있고, 이 수평 안정판(17)의 하면에 고정시킨 인쇄배선판(20)에 각 일단부가 감압 관통하여 있고, 소정의 동박(도시 않음)에 납땜되어 있다.
(21)은 반송체(3) 후부에서 돌출되어 반송체(3)의 슬라이딩에 수반하더 고정면(18a)에 슬라이딩하는 탄성적극이고, 그 노출 부분은 대략 ㄴ형태로 형성되어 스프링성이 있다. 탄성전극(21)의 일부는 감겨 회전되고 있고 그 권회부는 반송체(3) 후부의 고정축(3b)에 감합되어 탄성전극(21)을 위치결정하고, 또한 그 종단의 갈고리부(21a)는 반송체(3) 내에 수납된 인쇄 배선판(3c)의 전원용 동박 부분(도시 않음)에 납땜하여 접속되어 있다.
대기 상태일시 반송체(3) 즉 리니어 트랙킹 암(6)은 제1도시 우측에 와 있다. 예를들면 레코드(1)가 공칭의경 30cm 레코드의 경우 소정의 조작버튼 등으로 공칭의경 30cm의 레코드임을 설정하므로서 고정전극(19b) 및 (19e)가 인쇄 배선판(20)의 소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도 중 반송체(3)가 왼쪽으로 이동되면은 탄성전극(21)은 고정면(18a)을 슬라이딩하면서 고정전극(19e)에 탄접한다. 이로 인하여 인쇄배선판(3c)의 전원용 동박에서 전압이 탄성전극(21) 및 고정전극(19e)을 거쳐 인쇄배선판(20)에 인가되고 반송체(3)의 슬라이딩 정지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니어 트랙킹 암(6)의 하강이 행하여져 재생침(6b)은 레코드(1)의 도입홈에 내린다. 이 이후 리니어 트랙킹 암(6) 즉, 반송체(3)는 트랙킹에러 검출장치의 제어에 의해 가이드봉(5)을 따라서 좌측방향으로 서서히 이동된다. 이 사이 탄성전극(21)은 고정전극(19d),(19c)에 탄접하나 고정전극(19d),(19c)과 인쇄배선판(20)의 소정회로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반송체(3)는 그 위치에서 정지됨이 없이 통과한다. 탄성전극(21)이 고정전극(19b)에 탄접하면 인쇄배선판(3c)의 전원용 동박에서 전압이 탄선전극(21) 및 고정전극(19b)를 거쳐 인쇄배선판(20)에 인가되고 이로 인하여 반송체(3)의 슬라이딩이 정지됨과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은 리니어 트랙킹 암(6)의 재생침(6b)이 레코드(1)의 도출홈에서 상승되어 리니어 트랙킹 암(6)은 초기 위치에 와진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요부로 하는 곳을 설명한다.
가이드봉(5)의 양단은 베어링(22a),(22b)에 지승되어 있고 가이드봉(5)의 하부에는 제3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에 걸쳐 설치된 긴홈(5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봉(5)의 베어링(22a)측에는 회전제어암(23)이 연결되어 있다. 이 회전제어암은 대략 통형의 감합부(24)와 이 감합부(24)의 의주면에서 뻗어 있는 완부(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감합부(24)의 내주면에는 가이봉(5)의 긴홈(5a)에 감합하는 돌조(24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완부(25)의 중도상면에는, 크랭크 형의 고정기구(26)에 그 일간을 고정한 스프링(26a)이 탄접되어 있고, 완부(25)는 아래쪽에 작용되고 있다. (27)은 플런저 솔레노이드이고 플런저(28)에는 복귀용 스프링(28a)이 감겨지고 이것은 핀(28b)에 의해 구제되고 플런저(28)는 우측 방향으로 작용되고 있다. (29)는 고정축(29a)에 지지된 각도 변환 캠이고, 그 완편(29b)은 플런저(28)의 스프릿(28c)에 우감되어 그기에 설치된 핀(28b)에 지승되어 있다. 또한 다른 완편(29c)은 전술한 회전제어암(23)의 완부(25)의 단부 하면에 접촉하고 완부(25)가 스프링(26a)에 의해 아래쪽에 작용되어서 회전하는 것을 정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플런져 솔레노이드(27)에 통전되면은 플런저(28)는 복귀용 스프링(28a)의 작용력에 버티어 제4도 중 좌측방향으로 기동하고 이것에 연등하여 각도 변환캄(2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제어암(23)의 완부(25)는 완편(29c)에 의한 정지가 해제되어서 스프링(26a)의 작용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하고 가이드봉(5)은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통전이 그치면 복귀용 스프링(28a)의 작용력에 의해 플런저(28)는 우측방향으로 복귀하고 이것에 응동하여 완편(29c)이 가이드봉(5)을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스프링(26a)의 작용력에 버티어 완부(25)를 초기 위치까지 들어 올린다.
더구나 통전에 수반한 플런저 솔레노이드(27)의 응답은 가파르고 험준하므로 이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베어링(22a) 내의 저널부에는 점성 오일이 도착되어 있고 가이드봉(5)은 속력이 느린 한편 원활하게 회전한다.
한편, 반송체(3)의 상부에는 회전암(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암(30)은 대략 통형태의 감합부(31)와 이 감합부(31)의 의주면에서 뻗어난 완부(32)로 구성되어 있다. 감합부(31)의 내주면에는 가이드봉(5)의 긴홈(5a)에 유감하는 돌조(31a)가 형성되어 있고 감합부(31)는 가이드판(4)의 한쌍의 지승부(4a),(4a) 사이에 규정되어 있다. 완부(32)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리니어 트랙킹 암(6)에 지우친 측단에는 핀(32a)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리니어 트랙킹 암(6)의 중도상면에는 훅크(6c)이 고정되고, 그 하면에는 회전암(30)의 핀(32a)이 임하여 있고 그 핀(32a)과 훅크(6c)는 결합관계에 있다.
전술한 상태에 의해 가이드봉(5)이 제4도 중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되면은 긴홈(5a)과 돌조(31a)는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응동하여 회전암(30)도 화살표(A) 방향에 회전되어, 완부(32)는 아래쪽으로 내린다. 이때 핀(32a)에 의해 초기 위치에 정지되어 있던 리니어 트랙킹 암(6)은 핀(32a)의 변위에 추종하여 재생침(6b)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레코드(1)의 도입홈에 결합된다. 재생침(6b)이 레코드(1)에 접촉하였을 때, 더구나 회전암(30)은 회전하여 훅크(6c)의 하면에 대하여 핀(32a)이 불과 조금 이간토록 설정되어 잇다. 이런 후 트랙킹에러 검출장치의 제어를 하여 반송체(3)는 가이드봉(5)을 슬라이딩하면서 제4도 중 좌측방향으로 서서히 이동된다. 이상이 감합부(31)는 한쌍의 지승부(4a),(4a) 사이에 규제되는 한편 가이드봉(5)에 유감상태로 부착되어 잇기 때문에, 회전암(30)은 반송체(3)의 이동에 추종한다. 재생침(6b)이 레코드(1)의 도출홈에 이르면 전술한 상태에 의해 가이드봉(5)이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되고이로 인하여 회전암(30)도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되어 핀(32a)은 리니어 트랙킹 암(6)을 초기 위치까지 들어 올린다.
이와같이 회전암(30)은 가이드봉(5)에 지지되어 있고 반송체(3)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고 더우기 가이드봉(5)을 거쳐 회전암(30)을 회전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요동판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부품수가 적어서 레코드 플레이어의 내부 스페이스를 다른 용도에 이용할 수가 있고 또한 방송체(3)에는 플런져 솔레노이드의 탑제의 필요가 없으므로, 반송체의 하중 부하가 경감되어 구동 부하도 작아지고 또한 플런져 솔레노이드 구동용 배선 리드, 와이어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반송체 주변의 구조가 간소화된다. (40)은 반송체(3) 위에 설치된 포토인터럽터이고,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 포토인터럽터(40)는 발광소자와 수광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리니어 트랙킹 암(6)의 측면에 고착케 하고 돌출한 차광판(6d)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광로간에 진퇴하므로서 수광소자의 받는 광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레코드 연주중의 재생침)6b)의 트랙킹에러 각을 검출하는 것이며 이 검출수단은 전술한 트랙킹에러 검출장치에 포함되어 있다. 이 검출된 트랙킹 에러각에 따라 피드백이 걸리어 반송체(3)는 소정량 이동되어서 레코드(1)의 연주가 지장없이 행하여진다.
저생침(6b)이 레코드(1)의 도출홈에 이르렀을 때 전술한 상태에 의하여 리니어 트랙킹 암(6)은 초기 위치까지 들어올리게 되나 재생침(6b)이 도출홈에 안내된 때에 있어서는 필연적으로 트랙킹에러 각이 존재하기 때문에 즉 재생침(6b)은 트랙킹에러 각 분만큼 레코드(1)의 내주에 나아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변위량을 강화 이전의 위치에 보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이 보정을 행할 수단으로서는 제6도에 간략하게 도시된 것이 잇다. 이것은 반송체상에 플런져 솔레노이드가 탑제되어 이뤄지는 승강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고, 그 플런져의 선단의 V홈(41)이 형성되고 리니어 트랙킹 암 축에는 이 V홈(41)에 임하는 핀(42)이 고착되어 있고, 플런져의 기동에 의해 V홈을 상하 이동시 켜리니어 트랙킹 암을 승강케 하는 기능을 겸용하고 있다. 재생침이 도출홈에 이르렀을 때는 트랙킹에러 각이 있기 때문에 재생침에 대응한 핀(42)의 위치는 도시(a)점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트랙킹에러각 영의 위치보다 벗어나 있고 b점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V홈(41)이 상승하면 핀(42)은 그 경사면을 미끄러지면서 들어 올려져 (c)점에 이르나 그 경로(b),(c) 즉, 재생침의 경로는 경사해 있기 때문에 그 초기에 있어서, 재생침은 레코드의 음구측면을 문지르게 되어 재생침 및 음구에 손상임 발생하고 뮤팅 회로를 마련하지 않을 경우에는 불쾌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 점을 해소하는 방책으로서는 제6B도에 도시되는 것이 있다. 이것은 리니어 트랙킹 암을 들어돌리는 수단과 트랙킹에러 각 보정수단을 별도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것이고, 먼저 핀(42)을 승강전용판(43)의 상면에 의해(b)점으로부터 점(b')까지 수직으로 들어올린 후 보정판(44)을 상승시켜 그 V홈(41')에 의해 (b')점으로부터 c점에 이르게끔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재생침의 상승 때 그 초기에 있어서는 수직경로(b)(b')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좋지 않은 형편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승강전용판(43)과 보정판의 타이밍을 지장없이 행하게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고 또한 복잡한 기구를 반송체상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원가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이들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트랙킹에러 각 보정기구를 구성하였다.
반송체(3)의 전부 상면에는, 제4도,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가이드 테두리(45)가 고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테두리(45)에 있어서는 그 등부(45a)에 대하여 사형각부(45a)와 절곡각부(45c)가 두 갈래 형태로 배향되고, 동부(45a)의 내측에는 홈부(45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리니어 트랙킹 암(6)의 측부에는 핀(46a)이 설치되고 이 핀(46a)은 리니어 트랙킹 암(6)과 평행으로 배향되어 상기 가이드 테두리(45) 내에 감입되어 있다.
재생침(6b)이 도출홈에 있을 때 이에 대응하는 핀(46a)의 위치는 제5도에 도시되는 (b)점에 설정되어 있다. 리니어 트랙킹 암(6)이 전술한 상태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그 초기에 있어서 핀(46a)의 경로(재생침 6b의 경로에 대응한다)는 수직경로(b),(b')이고, 따라서 재생침(6b)은 레코드(1)의 음구 내측면에 접촉않고 전술한 바와 같은 좋지 않은 형편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렇게 해서 리니어 트랙킹 암(6)이 들어올려지면 핀(46a)의 사상각부(45a)의 내면에 접촉하고 핀(46a)은 그 내면을 미끄러지면서 안내되어 (b")점에 이르고 다시 핀(46a)은 위쪽에 가지고 와져서 홈부(45d) 내에 안내되어 원위치로 간직된다.
따라서 반송체(3) 측에는 가이드 테두리(45)를, 리니어 트랙킹 암(6) 측에는 핀(46a)을 배설하는 것만으로 트랙킹에러 각 보정기구를 간단하게 구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송체(3)에 탑재하는 부재가 적어도되고 그 결과 구동하는 힘이 작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같이 트랙킹에러 각 보정기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특히 가이드 테두리(45)를 반송체(3) 측에 설치한 수 있는 이유는, 원래 반송체(3) 위에 플런저 솔레노이드를 설치하지 않고, 가이드봉(5)을 거쳐 회전암(30)에 의해 리니어 트랙킹 암을 승강케 한 점에 있고 반송체(3) 위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는데 있다.
상술과 같이, 본 고안이 되는 레코드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리니어 트랙킹 암의 승강장치는 구동기구에 의해 가이드봉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반송체와, 해당 반송체에 지지되어 재생침을 구비하는 리니어 트랙킹 암과, 해당 가이드봉을 그 중심축의 둘레에 회전시키는 작동기구와, 해당 반송체와 함께 해당 가이드봉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한편 해당 가이드봉과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간으로 이뤄지고, 해당 작동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가이드봉을 거쳐서 해당 작용간을 회전케 하여 반송체를 회전케 함이 없이 애당 리니어 트랙킹 암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반송체상에 플런저 솔레노이드를 탑제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리드선을 끌고 다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동기구의 구동력을 대폭 경감할 수 있고 따라서 구동기구를 간소화 할 수 있어 이로 인하여 레코드 플레이어 내부의 스페이스를 타 목적에 이용할 수 있고 회전구동원을 멀리하므로서 리니어 트랙킹 암에 주는 충격도 제거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고 그 위에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저렴한 등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구동기구에 의해 가이드봉을 따라 슬리이딩되는 반송체와 그 반송체에 지지되어 재생침을 구비하는 리니어 트랙킹 암과, 가이드봉을 그 중심축의 둘레에 회전시키는 동작기구와 반송체와 함께 가이드봉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한편 가이드봉과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간으로 이뤄지고, 작동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가이드봉을 거쳐 작동간을 작동케 하여 반송체를 회전케 함이 없이 리니어 트랙킹 암만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한 레코드 플레이어의 리니어 트랙킹 암의 승강장치.
KR2019820005779U 1981-07-02 1982-07-20 레코드 플레이어의 리니어트 랙킹암의 승강장치 KR8700014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07589 1981-07-02
JP1981107589U JPS5814282U (ja) 1981-07-20 1981-07-20 レコ−ドプレ−ヤにおけるリニアトラツキングア−ムの昇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02U KR840000802U (ko) 1984-02-29
KR870001427Y1 true KR870001427Y1 (ko) 1987-04-13

Family

ID=1446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779U KR870001427Y1 (ko) 1981-07-02 1982-07-20 레코드 플레이어의 리니어트 랙킹암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70130A (ko)
JP (1) JPS5814282U (ko)
KR (1) KR870001427Y1 (ko)
DE (1) DE3227133A1 (ko)
GB (1) GB21034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9806B1 (en) * 2014-03-17 2015-04-28 Thomas Lloyd Bowden, Sr. Low friction linear tracking tone ar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1397A (en) * 1969-07-25 1972-05-09 Eg & G Inc Addressing mechanism
CA929470A (en) * 1969-12-15 1973-07-03 G. Norris Elwood Semi-automatic phonograph with radial arm
US3675932A (en) * 1970-03-16 1972-07-11 Jacob Rabinow Electrical lowering and lifting mechanism for phonograph tone arms
IT941150B (it) * 1971-11-15 1973-03-01 Pirelli Formatrice a elica
US3830505A (en) * 1971-11-22 1974-08-20 J Rabinow Vertical stabilizer for phonograph arms
US4171817A (en) * 1974-11-25 1979-10-23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pickup arm of record player or the like
US4166623A (en) * 1978-01-17 1979-09-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es Co., Ltd. Pickup needle cleaning device for record disc playback apparatus
US4356560A (en) * 1978-09-19 1982-10-26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Linear-tracking pick-up arm drive assembly for audio or video disc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03413A (en) 1983-02-16
US4470130A (en) 1984-09-04
DE3227133C2 (ko) 1987-04-23
DE3227133A1 (de) 1983-02-03
GB2103413B (en) 1985-05-01
JPS5814282U (ja) 1983-01-28
KR840000802U (ko) 198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5990B1 (en) Loading post driving device
GB2279490A (en) Disk playback apparatus
KR870001427Y1 (ko) 레코드 플레이어의 리니어트 랙킹암의 승강장치
KR850001455B1 (ko) 기록원반 재생장치
JPH08167162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3824603A (en) Solenoid actuated recording apparatus
US4445210A (en) Tone arm mechanism for a record player
KR100230270B1 (ko) 디스크플레이어
GB1574248A (en) Record players
JPS5928485Y2 (ja) リニアトラッキングア−ムのエレベ−ション機構
JPH0119207Y2 (ko)
KR950005958B1 (ko) 양면 연주용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틸팅장치
KR950004252Y1 (ko) 레이저 빔 프린터 카세트의 복사용지 받침대 승강장치
KR960011289B1 (ko) 더블데크형 광디스크 플레이어
KR950004265Y1 (ko) 디에이티의 카세트 트레이 개폐위치 검출장치
JPH04265553A (ja) テープ駆動装置
KR900001511Y1 (ko) 와이어를 이용한 디스크 로딩장치
KR960005009Y1 (ko) 미니디스크겸용 콤펙트디스크플레이어의 미니디스크위치 결정핀 승강장치
KR920007733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KR910001976B1 (ko) 광디스크 클램핑장치
KR200183615Y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로딩장치
KR900002509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 구동장치
KR960014655B1 (ko) 양면재생용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틸팅장치
JPS5830665B2 (ja) オ−トプレ−ヤに於けるレコ−ド盤の集中装置
KR950000898B1 (ko) 양면 재생용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처짐에 따른 편차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