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372Y1 - 엘리베이터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372Y1
KR870001372Y1 KR2019840002548U KR840002548U KR870001372Y1 KR 870001372 Y1 KR870001372 Y1 KR 870001372Y1 KR 2019840002548 U KR2019840002548 U KR 2019840002548U KR 840002548 U KR840002548 U KR 840002548U KR 870001372 Y1 KR870001372 Y1 KR 870001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late
rubber
resin layer
back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96U (ko
Inventor
가쯔히꼬 스즈끼
미네오 세이리까
가즈미 야마모도
요시오 니시모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 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412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982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41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982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87280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92086U/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 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40006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카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카를 표시한 계략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카의 벽파넬의 이면도.
제3도는 제2도 III-III선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파넬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파넬의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파넬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카 (6) : 벽파넬
(8) : 표판 (9) : 보강부재
(10)(10')(10") : 합성수지층 (10a)(10'a)(10"a) : 유리섬유
본 고안은 벽파넬을 계량한 엘리베이터카에 관한 것이다. 우선,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하여 종래 엘리베이터카를 설명한다. 제1도중 (1)은 엘리베이터카인데, 이 엘리베이터가(1)은 실바닥(2), 도시하지않은 천정 및 딜의 사이에 설치된 실벽(3)을 구비하고 있다.
실벽(3)은 출입구(4)와 대향하고 있는 정면벽, 측면벽 및 출입구주(出入口柱)(5)와 측면벽과의 사이에 있는 부설벽으로 되어 있고, 이들은 벽파넬(6)로 구성되었으며, 상기 정면벽 및 측면벽은 각각 복수개의 벽파넬(6)이 폭방향으로 결합된 것이다.
제1도중, (7)은 출입구(4)를 개폐하는 문이다. 상기 벽파넬(6)은 제2도,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강판등의 금속판을 양측부가 이면측(裏面側)으로 직각되게 굴곡시켜 굴곡부의 선단에서 폭방향 중앙측으로 다시 직각으로 굴곡시키고 수평 횡단면 형상으로 성형시킨 표판(8)의 이면에, 금속판을 사다리꼴, 장방형, 정방형등의 凹凸부를 가진 수평횡단면 형상으로 성형한 부강부재(9)가 고착되어 있다. 즉 보강부재(9)를 폭방향의 일부가 표판(8)의 이면에 밀접되고, 밀접부(9)(9a)가 접착 또는 스포트 용접에 의하여 표판(8)에 고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 엘리베이터카는 벽파넬(6)의 중량이 무거워 두 사람의 작업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또 엘리베이터 장치전체의 소형, 경량화를 기하기 위해서 벽파넬중량의 경량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벽파넬(6)을 경량화하기 위해서 표판(8)의 판두께를 엷게하면, 고층주거용 엘리베이터 등에서는 가구를 반출입할 때 충돌하든지, 수화물을 닿게 한다든지, 자전거를 타고 충돌하게되므로 이들의 충격력에 의해 표판(8)이 움푹 들어가게 되고 또 사용시 소진등 및 이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결점 등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제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벽파넬의 표며판이면에 고착한 보강부재의 밀접부 이외의 표면판이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경량화를 위한 표판의 두께를 엷게 하여도 물품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에 견디어 표판이 움푹패어 들어가지 않게 되며 또 표판이 용이하게 진동하지 않는 벽파넬을 가진 엘리베티어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카는 벽파넬의 표면이면에 凹凸단면을 가진 판으로된 보강부재를 일부 밀접시켜 고착함과 동시에 상기 표판이면의 밀접부 이외의 부분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을 고착시켰다. 이로 인하여 표판의 두께를 엷게하여도 그 이면에 보강부재 또는 고무 및 합성수지층이 밀접되어 있어 표판만으로 된 부분이 없음으로써 가구, 수화물, 자전거등의 물품의 통상 사용환경에서의 충격력에 견디어 표판이 움푹패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표판을 엷게하여도 그 진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다시 표판과 보강부재가 직접 고착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견고하게 고착할 수 있고 고무 또는 합성수지의 사용량을 적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카는 벽파넬의 표판이면의 전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을 개재시켜 凹凸단면을 가진판으로된 보강부재를 고착시키고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표판의 이면을 피복 도포한 유리섬유를 넣은 합성수지층에 의하여 보강재를 표판에 접착하였으므로 유리섬유에 의해 합성수지층이 응고시 수축이 적어져 휘어지는 것을 해소시킬 수 있다.
제4도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중, 제3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10)은 표판(8)의 이면에 고착된 경질(경도 90°~100°)의 고무 또는 나일론등 어느 정도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층이고 이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은 표판(8)이면의 보강부재(9)와의 밀접부 이외의 부분(8a)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벽파넬(6)을 제조하려면, 표판(8)이면의 보강부재(9)와의 밀접부 이외의 부분(8a)에만 미리 시이트상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접착하여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을 형성한 후, 이층(10)이외의 표판(8) 이면에 보강부재(9)의 폭방향의 일부를 밀접시키고, 이 밀접부(9a)를 적의한 방법으로 표판(8)에 고착시킨다.
또 표판(8) 이면에 미리 보강부재(9)를 종래의 것과 동일하게 고착시킨 후, 표판(8) 이면에 액 혹은 페이스트상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10)를 표판(8)과 보강부재(9)의 밀접부 이외의 부분에 형성시킨다.
또 이 실시예의 상수한 이외의 구성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종래의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표판(8)의 굴곡부 및 이선단에서 다시 굴곡 시킨 부분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을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본 고안은 상기 굴곡부 및 이들을 다시 굴곡시킨 부분의 이면에도 일연적으로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을 형성하여도 된다.
다음에 제5도에 의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도중, 제3도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10')은 표판(8)의 이면에 고착된 경질(경도 90°~100°)의 고무 또는 나일론등 어느 정도의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층이고 이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의 이면에 보강부재(9)가 고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벽파넬(6)을 제조하려면, 표판(8)의 이면에 시이트상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접착시켜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을 형성하고 이층(10')위에 보강부재(9)의 폭방향의 일부를 밀접시켜, 이 밀접부(9a)를 접착시킨다.
또 표판(8)의 이면에 액 혹은 페이스트상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유입시켜 교화시켜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을 형성하고, 이층(10')위에 보강부재(9)를 접착시킨다.
또 이 실시예의 상술한 이외의 구성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종래의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합성수지 층에 있어서, 합성수지층(10)(10')는 응고할 때 수축이 크므로 표판인 파넬(8)이 휘어져 제작이 곤란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점을 해소한 것으로써 보강제의 접착과 표판의 국부변형방지를 위한 합성수지층을 사용하는 데 있으며 휘어짐이 없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파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6도에 의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도중, 제1도 내지 제3도의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10")는 유리섬유(10"a)을 넣은 합성수지층이다. 즉 표판(8) 이면에 유리섬유(10"a)를 시설한 후 합성수지제가 도포되고 유리섬유(10"a)를 넣은 합성수지층(10")가 형성된 보강제(9)가 고착된다.
이 때문에 유리섬유(10"a)에 의해 합성수지층(10")의 수축이 적어져 파넬(8)의 휘어짐을 해소시키고 경량이며 국부변형, 진동에 대하여 안정되고 더구나 강성이 높은 파넬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가(1)를 형성하는 벽파넬(6)에 있어서, 상기벽파넬(6)의 표판(8) 이면에 凹凸단면을 가진 판으로 된 보강부재(9)의 일부를 밀접시켜 고착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표판(8) 이면의 보강부재(9)의 밀접부(9a) 이외의 부분(8a)에 경도가 90°~100°이며 소정의 탄력성을 가진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10')(10")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표판(8)은 그 길이방향 양측부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굴곡부에도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10')(10")가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카.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10')(10")은 상기 표판(8)의 이면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카.
  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10')(10")은 시이트상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표판(8) 이면에 접착함으로써 형성된 엘리베이터카.
  5.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또는 합성수지층(10)(10')(10")는 페이스트상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상기 표판(8) 이면에 유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엘리베이터카.
  6.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10)(10')(10")은 응고시에 경질화하고 유리섬유(10a)(10'a)(10"a)를 내포한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엘리베이터카.
KR2019840002548U 1983-04-25 1984-03-23 엘리베이터카 KR8700013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41283A JPS59198282A (ja) 1983-04-25 1983-04-25 エレベ−タのかご室
JP83-72412 1983-04-25
JP7241383A JPS59198283A (ja) 1983-04-25 1983-04-25 エレベ−タのかご室
JP83-72413 1983-04-25
JP8728083U JPS59192086U (ja) 1983-06-08 1983-06-08 エレベ−タ用パネル
JP83-87280 1983-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96U KR840006196U (ko) 1984-11-30
KR870001372Y1 true KR870001372Y1 (ko) 1987-04-08

Family

ID=2730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548U KR870001372Y1 (ko) 1983-04-25 1984-03-23 엘리베이터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3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96U (ko) 1984-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8843A3 (en) Honeycomb reinforcing sheet for the reinforcement of panels and method of reinforcing panels
JPH0424010Y2 (ko)
US6138435A (en) Profile sections for plate-like composite elements
JPH08324917A (ja) エレベータを案内するガイド構造
KR870001372Y1 (ko) 엘리베이터카
JPH04252754A (ja) ハイブリッドバンパービーム
JPS59198283A (ja) エレベ−タのかご室
JPS634056Y2 (ko)
JPH09144725A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クロスメンバ締結用リベットの構造
JPS59198282A (ja) エレベ−タのかご室
US5685230A (en) Rail vehicle
JPS60203759A (ja) パネル
CN218815476U (zh) 一种用于轨道交通的钢结构玻璃罩棚
CN216111875U (zh) 一种高强度刹车片钢背
JP4465842B2 (ja) 床支持横架材の支持構造
JPS5931656Y2 (ja) エレベ−タのかご室
JPH035176Y2 (ko)
KR200163083Y1 (ko) 알루미늄 범퍼구조
JPH08284120A (ja) 樹脂壁板付き防護壁
JPS63691Y2 (ko)
JP2604552Y2 (ja) 車両用ルーフラックの取付け部
JPS5834397B2 (ja) エレベ−タの敷居構造
JP3506849B2 (ja) エレベータ意匠品の保護装置
JP3326311B2 (ja) トンネル内装板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NZ232636A (en) Metal panel clad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0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