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899Y1 - 활주 바아 버클 - Google Patents

활주 바아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899Y1
KR870000899Y1 KR2019850010703U KR850010703U KR870000899Y1 KR 870000899 Y1 KR870000899 Y1 KR 870000899Y1 KR 2019850010703 U KR2019850010703 U KR 2019850010703U KR 850010703 U KR850010703 U KR 850010703U KR 870000899 Y1 KR870000899 Y1 KR 870000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strap
bar
arm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미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filed Critical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19850010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활주 바아 버클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활주 바아 버클의 평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전면도.
제 3도는 제 2도의 배면도.
제 4도는 제 1도의 정면도.
제 5도는 제 1도의 측면도.
제 6도는 제 1도의 Ⅵ-Ⅵ선을 따른 단면도.
제 7도는 제 6도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 8도는 활주 바아 버클이 사용되는 방식이 도시된 단면도.
제 9도는 제 8도의 일부분의 확대 측면도.
제 10도는 종래의 활주 바아 버클이 도시된 제 9도의 유사도.
제 11도는 제 5도 및 제 6도와 함께 나타난, 제 1도에 도시된 활주 바아 버클의 일부분을 주조하는 주형의 부분적 단면이 도시된 부분 사시도.
제 1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 13도는 제 12도의 측면도.
제 14도는 제 12도의 XⅣ-XIV선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연결부 프레임 2,22 : 파지기부
3,23 : 다리 4,24 : 연결바아
6,26 : 끈지지 표면 9,29 : 장원형 슬로트
11,31 : 중앙 끈 결합부 13,33 : 끈 압압표면
12,32 : 아암 15,35 : 평탄 경사표면
16,36 : 평면 17 : 슬리이브부
18 : 주형 19 : 리세스
본 고안은 가방과 같은 것에서 그 끈이나 벨트의 단부들을 조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조절가능한 끈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마찰로 인해 끈 단부를 보지(保持)하도록 중공(中空) 사각 프레임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끈 보지 바아가 있는 활주 바아 버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가방에서 그 끈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여러가지 다양한 조절가능한 끈 파스너 혹은 버클들이 만들어져 왔다. 그러한 파스너들은 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져 하나의 주형 구조로 성형되는데, 일반적으로 이것은 한쌍의 횡간격진 다리, 다리 일단부에 있는 파지기부, 다리의 대향 단부에 있는 연결부, 그리고 파지 기부와 다리 사이를 가로지르는 연결부와의 사이에 있는 다수의 횡단 바아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시, 끈의 일단부는 일횡단 바아의 둘레에 감겨져 연결부의 밑을 지나 적당한 위치에서 리벳팅을 하거나 꿰매거나 해서 고정된다.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끈의 타단부는 다른 횡단 바아의 둘레에 감겨져 파지부 밑을 지나 횡단 바아와 파지부 사이에서, 끈의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마찰력에 의해 파지된다. 이렇게 마찰에 의해 파지되는 끈은 인장력을 받는 경우에는 느슨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파지 기부와 횡단 바아 사이의 간격이 좁을 수록 더 작아지지만, 이 간격을 통해 끈을 삽입하거나 통과시키는 것은 더 어렵게 된다.
상기 난점들을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는데, 이런 시도에서 끈 파스너는 사각형 연결 프레임과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상에 장착된 끈 보지 바아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파지기부와 한쌍의 횡간격진 다리를 갖고 있는데, 이 다리들은 파지기부로 부터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다리의 종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횡단 정렬된 장원형(長圓形) 슬로트를 갖고 있다. 끈 보지 바아는 활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각 장원형 슬로트에 느슨하게 수용되는 한쌍의 대향 아암을 갖고 있어 끈 보지 바아는 파지 기부로 부터 원근(遠近)운동을 한다. 사용시, 끈의 일단부는 중앙의 끈 연결부 둘레에 감기고, 그리고 나서 기부 밑으로 지나간다. 끈이 종방향으로 인장되었을때 끈 보지 바아는 기부쪽으로 이동하여 끈을 기부의 끈 지지표면에 압압한다. 이러는 동안 끈 보지 바아는 아암들이 슬로트에 느슨하게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들의 방향을 바꾸기 쉽다. 이러한 보지 바아의 각(角) 운동은 끈에 가하는 보지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중앙 끈 결합부가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일 경우와 중앙 끈 결합부가 아암과 동축(同軸)일 경우 더욱 크다. 아암의 단면이 직사각형일 경우 끈 보지 바아의 각 운동은 대각선상의 아암들의 대향 단부에서 아암들을 슬로트의 원주벽에 접촉시켜, 결과적으로 슬로트의 원주벽이 변형되거나 손상됨으로써 아암들은 슬로트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결점들을 실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조절가능한 끈 파스너를 만드는데 있다.
본 고안의 보다 특별한 목적은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는 주조된 활주 바아 버클을 만드는데 있다. 즉, 끈이 종방향으로 인장되었을때 끈 보지 바아는 회전을 야기시키지 않고 버클 프레임의 파지 기부쪽으로 직선 운동을 함으로써 끈이 움직이지 못하게 큰 보지력으로 끈을 보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가능한 끈 보지부가 있는 주조된 활주 바아 버클을 만드는데 있는데, 이 보지 바아는 끈에 큰 마찰 저항력을 가하게 함으로써 증가된 보지력으로 끈을 보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조된 활주 바아 버클은 파지 기부를 갖는 개방된 직사각형 연결부 프레임상에 활주 가능하도록 장착된 끈 보지 바아와, 그 보지 바아의 반대 측면상에 있는 연결 바아를 포함한다. 끈 보지 바아는 끈의 일단부를 감아 보지하기 위한 중앙 끈 결합부를 포함한다. 끈 결합부는 그 배면(背面)에 기부와 등져 있고, 연결부와 인접 배치된 상단부와 파지 기부와 인접 배치된 하단부를 갖고 있는 경사진 평탄 표면이 있는데, 상단부는 끈결합부의 두께 중심을 지나 연장된 평면에 놓여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끈이 그 일단부가 끈 결합부 둘레에 감겨진 채로 인장되었들때 인장력은 실제적으로 끈 보지 바아를 파지 기부쪽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평면에 작용하는 힘 또는 벡터로 변형된다. 끈 보지 바아가 회전하도록 끈 결합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한 성분은 실제로 무시해도 좋다. 그러므로 끈의 단부는 움직이지 못하게 단단히 보지된다.
제 1도는 내지 제 8도는 본 고안을 실현한 활주 바아 버클을 도시하고 있다. 활주 바아 버클은 직사각형 모양의 중공(中空)의 연결부 프레임(1)과 중공 연결부 프레임에 활주 가능하도록 장착된 끈 보지 바아(10)로 이루어져 있다. 중공 연결부 프레임(1)과 끈 보지 바아(10)는 합성수지로 주조된다.
중공 연결부 프레임(1)은 파지기부(2), 파지 기부(2)의 대향 단부들로 부터 일체로 연장되 한쌍의 평행 간격진 다리(3,3), 파지기부(2)와 멀리 떨어져 다리(3,3)의 단부들 사이에 연장된 연결 바아(4), 그리고 파지기부(2)보다 연결 바아(4)에 좀더 가까이 위치하여 다리(3,3) 사이에서 일체로 연장된 끈 연결부(5)가 한 몸체를 이루며 주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파지 기부(2)는 끈 연결부(5)와 나란히 마주하며 파지기부(2)의 바닥면을 이루는 평탄 끈 지지표면(6)을 갖고 있다. 파지 기부(2)는 또한 끈 지지표면(6)으로부터 돌출한 한 몸체의 파지 날개 즉, 탭(7)을 갖고 있다. 평행한 다수의 교합 고랑부(biting ridge)는 파지 기부(2)의 아래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끈 지지표면(6)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다리(3,3)에는 서로 횡단하여 정합되게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장원형 슬로트(9,9)가 있다. 제 6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 슬로트(6)의 종단부는 간격(11)만큼 끈 지지표면(6)과 떨어져 있다. 따라서 다리(3,3)에는 파지 기부(2)에 결합되는 실제적인 이음부분이 있다. 각 다리(3,3)는 파지 기부(2), 연결바아(4),그리고 끈 연결부(5)보다 더 두껍다.
제 1 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보지 바아(10)는 긴 중앙 끈 결합부(11)와, 중앙 끈 결합부(11)의 대향 단부들로 부터 일체로 연장된 한쌍의 정렬된 아암(12,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12,12)은 달걀 모양의 단면을 갖고 있어 각각의 장원형 슬로트(9,9)에 느슨하게 수용되고 거기에서 활주 운동을 하지만 회전운동은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제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끈 결합부(11)는 끈 지지표면(6)과 마주하여 연장된 평탄 끈 압압표면(13)과, 평탄 끈 압압표면으로 부터 연장하여 중앙 끈 결합부(11)의 둥근 면을 이루는 아치형 곡면(14)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끈 결합부(11)는 그 아래 측면을 제외하고는 입자처리와 같이 거치른 표면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 끈 결합부의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많은 잘디잔돌기들이 나 있다. 중앙 끈 결합부(11)는 아암(12,12)보다 더 두껍고, 평탄 끈 압압표면(13)은 아암으로 부터 적어도 간격(11)(제6도)만큼 횡단 간격져 있다. 아암(12,12)은 중앙 끈 결합부(11)와의 동축 정렬된 상태에서 끈 연결부(5) 쪽으로 약간 이동해 있다. 이러한 편심 결합에 있어서 파지 기부(2)와 다리(3,3) 사이의 강한 기계적 연결을 가져오는 간격(11)은 확대될 수 있다.
중앙 끈 결합부(11)는 그 배면상에 파지기부(2)쪽으로 하향 경사져 있고, 파지기부(2)의 끈 지지표면(6)에 인접히 위치하여 끈 결합부(11)의 평탄바닥면(제 7도의 11a)을 이루는 평탄 경사면(15)을 갖고 있다. 평탄 경사면(15)은 끈 연결부(5)에 인접 배치된 상단부(15a)와 파지기부(2)의 끈 지지표면(6)에 인접 배치된 하단부(15 b)를 갖고 있는데, 상단부(15a)는 중앙 끈 결합부(11)의 두께 중심을 지나 연장된 평면(16)에 놓여 있다. 아암(12,12)는 중앙 끈 결합부(11)와 같은 평면에 배치된다. 제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결합부(11)는 중앙의 평면(16)에 의해 대략 반원주형(半원주圓柱形) 상단부와 대략 쐐기 모양의 하단부로 나뉘는데, 끈 압압표면(13)은 실제로 중앙의 평면(16)으로부터 수직하향 연장되어 있다.
아암(12,12)은 중공 연결부 프레임(1)과 끈 보지바아(10)가 주조됨과 동시에, 한쌍의 주형을 사용하여 다리(3,3)에 있는 슬로트(9,9)내에 회전 불가능하고 느슨하게 각각 주조된다. 그러한 주형중 하나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주형은 (18)에 나타나 있다. 주형(18)은 리세스(19)가 있는 슬리이브부(17)로 이루어져 있다. 주조공정에서, 각 슬로트(9,9)는 슬리이브부(17)의 외부 원주표면에 의해 성형되는 반면 각 아암(12)은 리세스(19)의 내부 원주 표면에 의해 성형된다. 이러한 주형들은 중공 연결부 프레임(1)과 끈 보지 바아(10)를 동시에 주조하기 위한 전 주형 조립체(도시되지 않은)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시, 끈 단부(A)는 연결 바아(4)와 끈 연결부(5)사이에서 연결부(5)의 배면으로 부터 전면으로 꿰어 지고 나서 다시 끈 보지 바아(10)와 연결부(5)의 사이에서 연결부 프레임(1)의 전면으로 부터 배면으로 꿰어진다. 끈 단부(A)는 끈 연결부(5)에 감겨져 제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다. 끈의 타단부(B)는 끈 연결부(5)와 끈 보지 바아(10)사이에서 연결부 프레임(1)의 배면으로 부터 전면을 지나, 끈 보지 바아((10)와 파지기부(2) 사이에서 연결부 프레임(1)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꿰어진다. 끈 단부(B)는 끈 보지바아(10)의 둘레에 감겨져 교합 고랑부(8)와 맞대어져 마찰에 의해 보지된다.
그리고 나서 결합된 끈 단부(A,B)가 종방향으로 인장되었을때, 끈 보지 바아(10)는 파지기부(2) 쪽으로 이동하여 끈 압압표면(13)이 평탄 끈 지지표면(6)에 대해 평탄 끈 단부(B)를 압압하게 한다. 그때 교합고랑부(8) 단부의 모서리들은 끈 단부(B)와 물림 결합을 유지한다. 끈 단부(B)는 제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바아 버클로부터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끈 단부(B)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파지 탭(7)을 파지하여 연결바아(4)를 중심으로 연결부 프레임(1)을 거의 90°각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끈 지지표면(6)과 교합 고랑부(8)에 결합된 끈 단부(B)를 느슨하게 한다. 그러면 끈 단부(B)는 종방향으로 원하는 길이대로 조절된다.
이러한 상기 구조의 활주 바아 버클은 많은 장점이 있다. 즉, 중앙 끈 결합부(11)의 평탄 표면(15)이 경사져 있음으로 해서 끈이 종방향으로 인장되었을때 중앙 평면(16)의 수직방향으로 보지 바아(10)에 작용하여 보지 바아(10)가 제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인장력의 수직 성분은 무시된다. 끈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실제로 끈 보집 바아(10)가 파지기부(2)쪽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중앙 평면에 작용하는 힘또는 벡터(P)(제9도)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끈 단부(B)는 강한 보지력으로 활주 바아 버클에 단단히 보지된다. 반대로 끈 보지 바아(10)가 제 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걀 모양의 끈 결합부(11a)를 포함하며, 그 보지 바아가 경사진 평탄표면(15)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끈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주로 보지 바아(10)를 본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중앙표면(16)에 수직인 방향으로 끈 결합부(11a)에 작용하는 성분력으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끈 보지부(11a)는 기울어지고 파지기부(2)는 끈과의 접촉면적이 작아져 결구 파지기부와 보지부 사이에 끼인 끈에 대해 그 마찰 저항력이 작아진다. 이러한 경향은 인장력이 커짐에 따라 더욱 커진다. 끈 보지바아(10)의 각 운동은 아암(12)이 그 대각 대향단부에서 슬로트(9)의 원주벽에 접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원주벽은 변형되거나 손상됨으로 말미암아 슬로트내에서 아암이 회전하도록 한다.
끈 지지표면(6)과 끈 압압표면(13)은 평탄하고 서로 나란하며, 끈 지지표면(13)은 실제로 끈 결합부(11)의 중앙평면(16)의 아래쪽에 위치한 결과, 끈 단부(B)는 중앙평면(16) 아래의 이들 표면(6,13) 사이에서 파지된다. 그러한 파지기부는 보지바아(10)가 끈 결합부(11)의 중앙평면의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보지바아(10)가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다리(3,3)는 간격(12)(제 1도)만큼 서로 횡간격져 있고, 예를 들어서 그 너비는 0.3 내지 0.5mm만큼 사용되는 끈 너비보다 약간 좁다. 이러한 음의 간극(negative clearance)으로 말미암아 활주 바아 버클이 사용된 가방을 들고 다니지 않았을 때처럼 끈에 가해진 인장력이 제거될 때, 다리(3,3)와 끈의 축연부들 사이의 마찰 저항력이 생겨 끈 보지바아(10)가 풀리거나 느슨해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시 바아를 사용할 때마다 끈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간격(12)이 사용된 끈의 너비보다 넓을 경우 끈은 활주 바아 버클에서 떨어져 쉽게 느슨해진다. 즉, 끈에 가해진 인장력이 제거되었을때 버클은 끈과 상대적 운동을 하는 것이다.
끈 단부(A)가 상기 방식으로 연결바아(4)에 결합되었을 경우 끈 연결부(5)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바아 버클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활주 바아버클은 한쌍의 멜빵의 각각에 버클 조립체의 숫부재(male member)로 사용하기에 알맞다.
활주 바아 버클은 숫부재(20), 중공 연결부 프레임(21), 그리고 중공 연결부 프레임(21)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끈 보지 바아(30)로 구성된 일체로 주형된 구조를 포함한다. 숫부재(20), 연결부 프레임(21), 그리고 끈 보지 바아(30)는 모두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연결부프레임(21)은 기부(22), 기부(22)의 대향단부들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한쌍의 다리(23,23), 그리고 기부(22)로 부터 떨어져 다리의 말단부에서 다리(23,23) 사이에 일체로 연장된 연결 바아(24)로 구성되어 있다.
기부(22)는 연결 바아(24) 쪽으로 향한 평탄 끈 지지표면(26)을 갖고 있다. 기부(22)는 또한 대향 표면들상에 다수의 교합 고랑부(27,28)을 갖고 있는데, 교합고랑부(27,28)는 기부(22)의 끈 지지표면(26)으로부터 다리(23,23)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교합 고랑부(27,28)는 연결 바아(24)쪽을 향한 단부 표면들을 갖고 있다. 다리(23,23)는 서로 횡단 정합되는 한 쌍의 장원형 슬로트(29,29)를 갖고 있는데 이 슬로트(29,29)는 제12도,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지지표면(26)으로부터 간격(11)만큼 떨어진 단부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다리(23,23)와 기부(22) 사이의 한쌍의 결합은 기계적으로 강해진다.
끈 보지 바아(30)는 중앙 끈 결합부(31)와 실제로 그 단면이 달걀 모양인 한쌍의 동축 아암(32,32)으로 구성되는데 이 아암들은 중앙 끈 결합부(31)의 대향 단부들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아암들(32,32)은 활주 운동을 할수 있도록 장원형 슬로트(29,29)에 각각 느슨하게 수용되어 있다. 중앙 끈 결합부(31)는 끈 지지표면(26)과 마주하며 그것과 나란하게 놓여 있는 끈 압압표면(33)을 갖고 있다. 중앙 끈 결합부(31)는 입자처리된 것처럼 거친 표면을 갖고 있으며, 그 표면은 결합부의 바닥부분을 제외한 원주둘레에 퍼져 있다. 게다가 중앙끈 결합부(31)는, 그 아암(32,32)으로부터 적어도 간격(11)만큼 횡간격진 평탄 끈 지지표면(33)이 있는 아암(32,32)보다 두껍다(제13도). 아암(32,32)은 중앙 끈 결합부(31)와의 동축정렬된 상태에서 연결바아(24)쪽으로 약간 이동해 있다. 이러한 편심 배열은 간격(11)이 확대될 수도 있는데, 그 결과 기부(22)와 다리(23,23) 사이에서 한쌍의 기계적으로 강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중앙 끈 결합부(31)는 아래측면에 파지기부(22)쪽으로 하향 경사져 끈 결합부(31)의 평탄 바닥면을 이루는 평탄 경사표면(35)를 갖고 있다. 제 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진 평탄표면(35)은 연결 바아(24)에 인접 배치된 상단부(35a)와 끈 압압표면(33)에 인접 배치된 하단부(35b)를 갖고 있는데, 상단부(35a)는 끈 결합부(31)의 두께 중심을 지나 연장된 평면(36)내에 놓여 있다. 아암(32,32)과 끈 결합부(11)는 같은 평면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서로 편심적이다.
상기 활주 바아버클은 다음과 같이 사용될 것이다. 끈 단부(B)는 끈 보지 바아(30)와 연결 바아(24) 사이에서 연결부 프레임(21)의 배면으로부터 정면으로 꿰어진후 끈 보지 바아(30)와 기부(22) 사이에서 정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꿰어져서 결국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보지 바아(30)에 감겨진다. 숫부재(20)는 마찰에 의해 암부재(도시안됨)에 삽입된다. 끈이 종방향으로 인장되었을 때, 끈 보지 바아(30)는 기부(22)쪽으로 이동해 끈 압압 표면(33)에 의해 끈단부(B)가 끈 지지표면에 대해 압압된다. 동시에, 끈 보지바아(30)가 반시계방향(제14도)으로 회전하도록 끈 보지바아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성분은 실제로 무시될 수 있고, 그러므로 인장력은 실제로 보지바아(30)가 파지기부(22)쪽으로 직선운동하는 방향으로 평면(36)에 작용하는 힘으는 변형된다. 중앙평면(36)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끈 압압표면(33)은 보지바아(30)가 각 운동을 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끈 단부(B)는 연결부 프레임(21)로 부터 끈 단부(B)가 느슨해지도록 하는 힘에 반하여 교합 고랑부(28)(또는 만약 다른 측면으로부터 꿰어지면 고랑부(27))의 모서리에 의해 단단히 맞물린다. 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기부(22)를 파지하고 연결바아(24)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정도 돌려 교합 고랑부(28)에 의해 물려 있는 끈 단부(B)를 푼다. 그러면 끈 보지 바아(30)은 기부로부터 이동하고, 끈 단부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도 당겨질 수 있다.
다리(23,23)은 예를 들어 사용된 끈의 너비보다 0.3 내지 0.5mm만큼 약간 좁은 간격(12)으로 서로 횡간격져 있어서, 끈에 가해진 인장력이 제거될 때 끈은 다리(23,23)와의 가장자리를 따른 마찰력에 의해 맞물리다. 이러한 특성으로 말미암아 사용하지 않을때 끈이 뜻하지 않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끈 지지표면(6;26)을가진 파지기부(2;22), 상기 파지기부(2;22)의 대향 단부들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 상기 파지기부(2;22)로부터 간격(11)만큼 간격져 횡정렬된 한쌍의 장원형(長圓形) 슬로트(9,9;29,29)를 갖고 있는 한쌍의 간격진 다리(3,3;23,23), 그리고 상기 파지기부(2;22)로부터 떨어져 상기 다리(3,3;23,23) 사이에서 일체로 연장된 연결바아(4;24)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주조된 연결부 프레임(1;21) ; 그리고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끈 지지표면(6;26)에 대해 끈 단부(B)를 압압하는 끈 압압표면(13,33)을 가진 중앙 끈 결합부(11;31), 그리고 상기 중앙 끈 결합부(11;31)의 대향 단부들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장원형 슬로트(9;29)에 느슨하고 회전 불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된 한쌍의 아암(12,12;32,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암(12,12;32,32)은 상기 끈 중앙 결합부(11;31)와의 동축(同軸)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바아(4;24)쪽으로 벗어나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아암(12,12;32,32)은 상기 간격(11)만큼 상기 끈 압압표면(13;33)으로부터 횡간격진 활주 바아 버클에 있어서 : 상기 중앙 끈결합부(11;31)는 그 배면(背面)에 상기 끈 지지표면(6;26)쪽으로 하향 경사진 평탄 경사표면(15,35)을 갖고 있고, 상기 평탄 경사표면(15;35)은 상기 연결부(4;24)에 인접 배치된 상단부(15a;35a)와 상기 파지기부(2;22)에 인접 배치된 하단부(15b;35b)를 갖고 있으며, 상기 상단부(15a;35a)는 상기 중앙 끈 결합부(11;31)의 두께 중심을 지나 연장된 평면(16;36)내에 놓여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활주 바아 버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 지지표면(2;26)과 상기 끈 압압표면(13;33)은 서로 마주보고 나란히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끈 압압표면(13;33)은 사실상 상기 중앙 끈 결합부(11;31)의 상기 평면(16;36)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활주 바아 버클.
KR2019850010703U 1985-08-22 1985-08-22 활주 바아 버클 KR870000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703U KR870000899Y1 (ko) 1985-08-22 1985-08-22 활주 바아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703U KR870000899Y1 (ko) 1985-08-22 1985-08-22 활주 바아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99Y1 true KR870000899Y1 (ko) 1987-03-14

Family

ID=1924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703U KR870000899Y1 (ko) 1985-08-22 1985-08-22 활주 바아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8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54A (ko) * 2000-10-09 2002-04-17 조복현 지중매설관 연결용 밀봉패드 및 그를 이용한 지중매설관의연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54A (ko) * 2000-10-09 2002-04-17 조복현 지중매설관 연결용 밀봉패드 및 그를 이용한 지중매설관의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8735A (en) Sliding bar buckle
US4903378A (en) Strap adjustment assembly
US4463482A (en) Fastener
KR870002378Y1 (ko)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
US5320097A (en) Endotracheal tube holding and securing device
US3302648A (en) Clamping implement
JP4496099B2 (ja) 紐止め具
US4577377A (en) Buckle for straps
EP0904708B1 (en) Pull-tab connector for slide fastener slider
JPH09135709A (ja) ウェブの保持および調節方法と、保持および調節装置
KR860001416Y1 (ko) 조정가능한 스트랩 체결구
JPS6255401B2 (ko)
KR900008811Y1 (ko) 견인 탭 부착구
KR870000899Y1 (ko) 활주 바아 버클
KR900008809Y1 (ko) 버 클
EP0211988B1 (en) Sliding bar buckle
US2800697A (en) Belt buckle with slidable gripper element
US6112379A (en) Fastener device for strings
CA1271021A (en) Sliding bar buckle
US4606483A (en) Bootgripper
CA1051171A (en) Slide fastener
KR920003985Y1 (ko) 플라스틱제 버클
CN212754557U (zh) 一种新型皮带扣
JPH044564Y2 (ko)
CN115251542A (zh) 新型拉链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