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799B1 - 가동경 장치 - Google Patents

가동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799B1
KR870000799B1 KR1019830006006A KR830006006A KR870000799B1 KR 870000799 B1 KR870000799 B1 KR 870000799B1 KR 1019830006006 A KR1019830006006 A KR 1019830006006A KR 830006006 A KR830006006 A KR 830006006A KR 870000799 B1 KR870000799 B1 KR 87000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oil
fixed
support membe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840A (ko
Inventor
다쯔오 고또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마쯔모또 오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마쯔모또 오사무 filed Critical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3000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799B1/ko
Publication of KR85000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799B1/ko

Links

Ima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동경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가동경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각기 제1도의 Ⅱ-Ⅱ선,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미러
3 : 점탄성 지지부재 5 : 영구자석
6 : 요크 7 : 유도판
8 : 보빈 레스코일
본 발명은 예를들면 광학적 정보기억 재생장치에 사용하는 가동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적 정보기억 재생장치는 그 정보의 기억 및 재생에 있어 기록매체상의 소정의 위치에 광비임을 조사하는 것으로 그 때문에 광비임을 편광(반사)시키는 반사경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반사경장치는 영구자석과 요크 및 유도판으로 구성된 자기회로를 가지는 기대에 점탄성을 가지는 지지부재를 통하여 미러를 지지하고 이 미러에 코일을 고정하여 이 코일에 통전하므로서 그 미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미러의 이동특성은 상기 점탄성 지지부재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점탄성 지지부재는 통상고부로서 구성하는 것이나 상기 미러의 이동특성을 열화시키는 요인의 하나로서 동작중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이 점탄성 지지부재의 특성 열화가 지적되고 있다.
즉, 종래의 이 종류장치에서는 코일을 권회하기 위하여 보빈을 필요로 하고 있고 이 보빌을 필요로 하는 것과 비도전성의 것의 쌍방을 생각할 수 있으나, 도전성의 것은 코일에의 통전중 보빈내에 생기는 와전류 때문에 열이 발생한다. 또 자기회로의 유도판에서도 와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지지부재에의 열전달이 있다. 이들의 열은 지지부재의 손실계수의 온도변화를 생기게 하고 그 결과 지지부재의 이동특성의 열 열화에서 미러의 이동특성의 불안정화의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또 보빈을 가지는 코일이 미러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동부분 전체의 중량이 크게 되고 이 때문에 전류에 대한 감도와 주파수 특성에서의 고역 특성도 나빠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미러의 점탄성 지지부재의 이동특성의 열 열화가 생기기 어렵고 또한 가동부분의 중량도 작은 가동경장치를 목적으로 된 것이며, 미러에 고정되는 코일로서 보빈레스 코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1)은 기대, (2)는 광비임을 반사하는 미러이며 이 미러(2)는 점탄성 지지부재(3)에 의하여 기대(1)에 지지되어 있다. 점탄성 지지부재(3)는 종장이며, 그 기대(1) 측단면은 그 기대에 형성한 감착 요부(4)에 직접 고정되어, 그 반대면이 미러(2)에 고정되어 있다.
기대(1)에는 영구자석(5)과 이 영구자석의 양단에 후부가 고정되고 전 부분이 미러(2)의 양측근방에 퍼지는 요크(6),(6)와 기대(1)의 미러측단면에 고정된 유도판(7)으로서 이루어진 자기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서, 미러(2)에 전단부를 고정한 코일(8)은 보빈 레스(공심)코일이며 이 보빈레스코일(8)의 후부는 요크(6),(6)와 유도판(7) 외주사이의 공간에 퍼져 있다. 보빈레스 코일(8)이란 문자그대로 도전성, 비도전성을 불문하고 코일을 감아야 할 보빈(심)을 가지지 않은 코일을 말하는 것이며 선경 권선수등의 요소는 적당히 정한다. (9)는 이 보빈레스코일(8)의 인출선, (10)은 이 인출선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터미날이다.
상기 구성의 본장치는 터미날(10)을 통하여 코일(8)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그 코일(8)은 영구자석(5), 요크(6), (6) 및 유도판(7)으로서 되는 자기회로중에 해당되므로 코일(8)에 자계중에서의 반발력과 흡인력이 역할하여 그 결과 미터(2)가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미소한 각도 회전한다. 이 때문에 미터(2)에 입사하는 광비임의 반사방향을 코일(8)에 흐르게 하는 전류의 대소로 제어하고 바람직한 위치에 광비임을 조사할 수가 있다.
입력전류에 대한 미러의 진각(振角)의 응답성은 지지부재(3)의 형태 및 재질, 미러(2), 점탄성 지지부재(3) 및 코일(8)로서 이루어진 가동부의 중심의 위치,가동부의 중량, 및 가동부, 특히 지지부재(3)의 온도 상승등에 의해 변화한다. 본 발명은 이중 가동부의 중량 저감 및 온도 상승의 억제를 통하여 응답성의 향상에 기억하는 것이며 즉, 가동부의 중량에 대해서는 코일(8)을 보빈 레스 코일로 한 것에 의하여 보빈을 가지는 종래 장치에 비하여 20 내지 30%의 경량화가 실현되며 전류에 대한 감도와 주파수 특성에서의 광역특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 보빈레스 코일(8)은 알루미늄등의 도전성 재료로서 이루어지는 보빈을 가지는 코일과 같이 와전류에 의하여 발열한다는 일은 없으므로 보빈 온도의 상승에 기인하는 가동부의 이동특성의 열화를 방지하고 그 분량만 이동특성을 안정화할 수가 있다. 또 유도판(7)에도 와전류에 의한 열이 발생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재(3)에의 열전달도 최소로 할 수가 있다. 이러므로 지지부재(3)의 이동특성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가 있고 또 지지부재(3)를 접착제에 의하여 감착요부(4)에 고정하고 있을 경우에도 접착강도의 온도에 대한 신뢰성을 상실하는 일은 없다.
이상 요컨데 본 발명은 가동경장치의 가동미러에 고정하는 코일을 보빈 레스 코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가동부분의 중량을 저감하고 또한 보빈내에 와전류에 의한 발열이 당초에 생기지 않도록 하여 미러지지부재의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미러의 응답성을 높이고 주파수 특성등의 이동특성을 안정화하기 위해 유효한 것이다.

Claims (1)

  1. 자기회로를 가지는 기대에 점탄성 지지부재를 통하여 미러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 미러에 코일을 고정하여 코일에 통전하므로서 상기 자기 회로와의 협동작용으로 상기 미러를 회동시키도록 한 가동경장치에서, 상기 코일을 보빈 레스 코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경장치.
KR1019830006006A 1983-12-19 1983-12-19 가동경 장치 KR87000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6006A KR870000799B1 (ko) 1983-12-19 1983-12-19 가동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6006A KR870000799B1 (ko) 1983-12-19 1983-12-19 가동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840A KR850004840A (ko) 1985-07-27
KR870000799B1 true KR870000799B1 (ko) 1987-04-18

Family

ID=1923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006A KR870000799B1 (ko) 1983-12-19 1983-12-19 가동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7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840A (ko) 198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3163A (en) Electromechanical torsional oscillator with resonant frequency and amplitude control
US4664476A (en) Magnetic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with pivot
KR960019134A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NL8304068A (nl) Twee-assige lineaire motor.
US3889139A (en) Linear motor actuator
EP0486275B1 (en) Objective lens driver
KR870000799B1 (ko) 가동경 장치
JPS59221839A (ja) 光デイスクプレ−ヤの対物レンズ保持装置
WO1988004821A1 (en) Flexure supported read/write head
KR900010680A (ko) 광픽업 장치
KR940024695A (ko) 광학 디스크드라이브에 대한 전자기 렌즈 액추에이터
US4678276A (en) Objective lens drive/support mechanism in an optical disc player
KR870000796B1 (ko) 가동경장치
KR850004839A (ko) 전자 광학장치
KR870000795B1 (ko) 가동 경장치
WO2006096156A1 (en) Moving mirror optical scanner and associated methods
JPH0480452B2 (ko)
US5022022A (en) Support structure for an optical pickup electrically adjustable in two directions
SU17447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магнитооптической записи информации
JPH09171630A (ja) 光学ピックアップの対物レンズ支持装置
JPH02230522A (ja) 光ディスク装置の対物レンズ保持装置
JP364022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20050128545A1 (en) Moving mirror optical scanner and associated methods
JPS6057571B2 (ja) 可動鏡装置におけるミラ−支持構造
JPS63123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