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604B1 - 성형금속판의 절곡방법 - Google Patents

성형금속판의 절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604B1
KR870000604B1 KR1019810001407A KR810001407A KR870000604B1 KR 870000604 B1 KR870000604 B1 KR 870000604B1 KR 1019810001407 A KR1019810001407 A KR 1019810001407A KR 810001407 A KR810001407 A KR 810001407A KR 870000604 B1 KR870000604 B1 KR 87000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late
punch
metal shee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902A (ko
Inventor
어베르그 세아드
Original Assignee
그로코 마스킨 압
어베르그 세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코 마스킨 압, 어베르그 세아드 filed Critical 그로코 마스킨 압
Priority to KR101981000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604B1/ko
Publication of KR83000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902A/ko
Priority to KR1019840005854A priority patent/KR870000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성형금속판의 절곡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 및 가압 프레임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Ⅲ-Ⅲ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Ⅳ-Ⅳ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 Ⅴ-Ⅴ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6도, 제6a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공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초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가압프레임의 양측면에 배치된 스트리퍼의 단부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Ⅸ-Ⅸ에 따른 도시도.
제10도는 펠릿용 절곡 시이트를 절곡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프레임이 설치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설비에 있어서의 이송테이블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XII-XII에 따른 단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상기 장치의 배출 또는 이송테이블의 평면도와 측면도.
제15a-d도는 누름판을 제1형태의 펠릿으로 절곡시키는 절곡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제16a-d도는 주름판을 제2형태의 펠릿으로 절곡시키는 절곡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성형금속판을 절곡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성형금속판은 교대로 형성된 세로 방향의 리지 및 요부와, 축 주위에 상기 리지 및 요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금속판의 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리지의 측부를 구성하고 있는 측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성형금속판, 플레이트, 스트립 및 그와 유사한 금속을 성형부의 세로 방향에 수직을 이루고 판의 평면에 평행하게 축주위로 연장되도록 절곡시키기 위해서, 주름의 상부가 상기 축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고 그 축방향의 스트립 성형 돌출부는 금속판의 한 동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주름을 형성시켰는데, 이러한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돌출부는 최소한 각각의 주름 측방부분과 중간부분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돌출부는 판이 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기 보다는 더욱 가깝게 수축되는 형상으로 된다. 이렇게 주름의 측방부분과 중간부분 사이의 변이영역에서 성형금속판을 절곡시키는 방법은 표면 피복 코팅된 성형금속판을 어느 측면에서든지 코팅을 손상시키지 않고는 절곡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절곡부분의 재료의 약화를 가져오는 재료축적이 일어난다. 약 750mm보다 적은 직경의 성형판을 절곡시키는 이러한 공지의 방법으로 재료 약화를 막는 것은 불가능하며 결국 이것은 절곡방법의 사용에 제한을 준다. 더우기, 성형부의 종방향에 수직하며 판의 평면에 평행하게 축주위에서 연장되어 있는
Figure kpo00001
의 비교적 적은 절곡각이 각각의 절곡작업 즉, 한번의 프레스 작업에서 이루어지며, 연속적인 6번의 절곡 작업에 의해서 총 절곡각인 90
Figure kpo00002
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하여 모든 형태의 성형금속판에 사용될 수 있고, 한번의 절곡 공정으로 이러한 성형금속판을 최소한 90
Figure kpo00003
까지 절곡시킬 수 있으며, 또한 판을 조심스럽게 다루어 절곡부와 그 주위에서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판을 약화시키지 않는 절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곡방법이 제시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그 특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다른 방법을 실시한 주름진 금속판을 절곡시키기 위한 장치는 스탠드(2)를 구성하며 절곡공구(3)가 내장된 절곡 또는 가압 프레임(1)을 갖고 있다. 이러한 공구는 몇개의 부품, 즉 스크류 또는 볼트 조인트(4)에 의해서 상부의 수직이동 공구 고정구(5)상에 교환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펀치(3a)와 3개의 다이(3b, 3c)로 조립되는데, 다이(3b)는 스크류 또는 볼트 조인트(6)에 의해서 판(7)에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앤빌 또는 돌리(dolly)로서 스탠드(2)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반면에 나머지
Figure kpo00004
내지 50
Figure kpo00005
사이이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되듯이 특히 약 30
Figure kpo00006
가 좋다.
상부의 공구 고정구(5)는 공구 지지판(11)이며 그 하부 모서리에는 펀치(3a)가 해체 가능하게 부착되고 스탠드의 단부벽(1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벽에는 공구 지지판(11)이 그 단부에 부착된 슬라이드 스트립(13)에 의해서 평행한 안내스트립(15) 사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며, 상기의 평행한 안내스트립은 단부벽(12)에 연결되며 단부벽(12)에 부착된 바아(17)속에 제공된 고정나사(16)에 의해서 조절 가능하다. 공구 지지판(11)이 단부벽(12) 사이에서 그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은 각각의 단부에 안내 스트립(15)과 함께 작동하는 안내 로울러(180)를 구비하고 있다.
공구 지지판(11)은 2개의 이격된 링크(18)에 현수되어 있는데, 이들 링크 각각은 2개의 평행한 부품으로 구성되며 이들 부분의 각각은 그 축(19)에 의해서 각기 공구 지지판(11)에 연결된다. 각각의 축(19)은 각각의 링크 부품 사이에 위치된 베어링(20)에 의해 공구 지지판(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각의 링크(18)는 그 다른 단부가 축(21)에 연결되며, 이 축은 각각의 링크의 부품과 함께 위치되는 베어링(23)을 통하여 요동아암(2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2개의 요동아암의 축(21)은 2개의 평행한 부품으로 구성되는 평행한 안내봉(24)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축(19)은 그 각각의 단부에 와셔(25) 및 체결링(26)을 구비하며, 이들은 축이 축방
각각의 요동아암(22)은 편심축(27)에 회전 가능하게 현수되고 편심축은 축 저어널(28)에 의해서 스탠드의 상부측벽(31)에 나사에 의해서 고정된 베어링 지지구(30)를 갖는 베어링(2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요동아암(22)중 하나는 그 단부에 정지 견부(32)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정지견부는 그 부품 사이의 연결 링크(18)에 설치된 스터드(33)와 함께 작동하여 요동아암이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며, 요동아암의 다른 단부는 피스톤 실린더 장치(35)를 위한 체결러그(34)를 갖도록 형성되고 피스톤 실린더 장치(35)는 요동아암(22)을 요동시키기 위해 상기의 체결러그와 스탠드(2) 사이에서 작동한다. 피스톤-실린더 장치의 피스톤 로드(36)가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 돌출하면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요동아암(22)은 편심축의 중앙점(37) 주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다른 요동아암도 평행안내봉(24)에 의해서 상응한 정도로 편심축 주위로 회전하여서 펀치(3a)를 갖고 있는 공구 지지판(11)이 상부 및 하부 공구 부품 사이에 비교적 큰 틈새를 얻기 위하여 절곡의 준비 위치로부터 상부의 시동 위치로 상승된다. 따라서, 공구 지지판(11)과 하부의 공구 부품을 준비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피스톤 실린더 장치의 피스톤 로드(36)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정지견부(32)가 스터드(38)와 맞물릴때까지 요동아암(2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의 준비위치로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피스톤 실린더 장치(35)가 하나의 요동아암(22) 위에 직접 작동되기 때문에 공구 지지판(11)과 펀치(3a)의 상승 및 하강이 시동위치와 준비 위치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펀치(3a)와 공구 지지판(11)을 준비위치에서 절곡위치로 하강시키고 펀치(3a)와 다이(3b) 사이에 삽입되는 주름진 금속판을 절곡시키도록 필요한 절곡 또는 가압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피스톤 실린더 장치(38)가 제공된다. 이러한 장치는 한 단부가 스탠드(2)에 힌지되게 부착되며 그 피스톤 로드(39)가 저어널(40)과 베어링(41)에 의해서 회전러그(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러그는 하나의 편심축(27)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축에는 별개의 회전러그(43)가 체결되며 이러한 회전러그는 연결봉(45)을 통하여 다른 편심축(27)에 설치되는 상응한 회전러그(44)에 연결되며, 연결봉은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것이 좋고 그 단부가 저어널(46)과 베어링(47)에 의해서 각각의 회전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봉(45)에 의해서 편심축들이 각각의 회전축(48) 주위로 같은 정도로 동시에 회전된다.
피스톤 실린더 장치의 피스톤 로드(39)가 제1도에 도시된 준비위치로 돌출하면, 2개의 편심축들은 각각의 회전축(48) 주위로 동시에 회전되어서 그들의 편심축을 통하여 요동아암(22), 링크(18) 및 공구 고정구(5)가 런치 및 고정다이(3b)와 함께 작동하여 판을 예정된 경사각으로 절곡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으로 절곡 위치인 하부로 이동된다.
절곡단계에서 즉 펀치(3a)가 절곡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중에 피스톤 실린더 장치(35)는 유동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 피스톤 로드(36)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다이(3c)를 이동시키는 각각의 하부의 공구 고정판(9)은 스탠드의 하부부분(50)에 각기 동일하게 위치되며 스탠드의 단부벽(12)의 구멍(51)을 통하여
판으로 형성된 각각의 공구 고정판(9)은 2개의 간격진 링크(60)를 갖으며, 이들 링크의 각각은 스터드(61)와 베어링(62)에 의해서 판(9)에 힌지되게 연결되고 또한 그 다음 단부는 편심축(63)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편심축은 그 축 저어널(64)에 의해서 스탠드의 측벽(67)의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는 베어링 고정구(66)의 베어링(65) 속에 설치된다. 2개의 편심축(63)은 회전러그(68)를 각기 구비하며, 축(63)에 견고하게 연결된 이러한 러그(68)는 2개의 축(63)의 동시 회전을 이루기 위해서 연결봉(69)에 의해서 연결된다. 또한, 하나의 상기 축은 별개의 회전러그(70)를 구비하며, 이 회전러그에는 스탠드(2)에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 피스톤 실린더 장치(72)의 피스톤 로드가 스터드(70a)에 의해서 힌지되게 부착된다. 편심축(63)은 그 회전 중심부(73) 주위로 회전시키고 상부의 공구 고정판(9)의 절곡 위치로의 이동에 상응하게 공구 고정판(9)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서 2개의 공구 고정판(9)의 피스톤 실린더 장치(72)가 서로 동시에 작동되고 따라서 공구 고정판과 다이(3c)의 절
제1 내지 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피스톤 실린더 장치는 피스톤 로드(71)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가 실린더 설치부(74)에 연결되며 실린더 설치부는 축(75) 위에 위치된다. 상기 축(75)은 보다 큰 축(96) 속에 편심되게 위치되며, 이 축은 스탠드에 부착된 브래킷(77)에 설치된다. 브래킷(77) 사이의 축(76)에는 그 축에 회전하지 못하게 연결된 회전러그(78)가 설치되며 나선 조절봉(80)이 고정되는 나선 구멍을 지니는 스터드(79)를 회전가능하게 이송한다. 상기 조절봉이 스탠드벽(67)을 통하여 연장되며 그 외측에는 휘일(81)이 설치되고 상기 봉은 벽(67)에 베어링 부싱(8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조절봉(80)을 회전시키면 회전러그(78)가 축(76)을 회전시키며, 따라서 그 속에 편심되게 위치된 축(75)과 상기 실린더 설치부(74)는 조절봉이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한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서 다이(3c)의 절곡위치, 즉 그 상단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편심축(63)에 연결된 회전러그(68)를 필요한 각 위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단부 위치는 수직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며 결국 이렇게 상단 위치를 변경시켜서 금속판이 절곡되는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한 절곡 경사각이 클수록 상단위치가 높게 위치된다.
가동 다이의 단부 위치는 예를들어 고정 안내부재(84, 85)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아암(86, 87)은 하나의 편심축의 축 저어널(64)에 서로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도시된 상단 위치에서
상기에 언급되듯이 공구(3)는 3개의 하향의 돌출부(90, 91)를 갖는 상부의 펀치(3a)를 갖으며 이러한 돌출부는 스트립 형상으로 펀치의 전 길이와 절곡되는 판의 전체폭으로 연장된다. 중앙 돌출부(90)는 펀치의 수직 이동 평면에 위치되며 나머지 2개의 돌출부(91)는 중앙 돌출부에 대하여 각지게 위치되며, 이러한 경사각은 매 경우마다 변경될 수 있으나 다이 및 펀치의 이동 평면(10) 사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야 한다. 더우기, 공구는 다이(3b, 2c)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최소한 펀치(3a)와 같은 길이를 지니며 그 사이의 지지부재 또는 치차(92) 및 요부를 도시하는데 이들은 절곡되는 성형판의 리지와 요부 또는 주름에 상응하고 교대로 구성된다. 사다리꼴판을 위하여, 지지부재(92)는 제6a도에 도시된 횡단형, 즉 리지와 요부의 단면형에 적합한 형을 지닌다. 다이 지지부재의 단면형태는 제6 및 7도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절곡방법은 2개의 연속 과정에서 수행된다. 제1의 과정에서, 펀치(3a)는 준비 위치로부터 제6도에 도시된 절곡위치로 이동되며, 2개의 외부 돌출부(91)보다 길게 돌출되는 중앙 돌출부(90)를 갖는 펀치는 펀치(3a)와 그에 대향하는 다이(3b, 3c) 사이에 삽입되는 판(A)의 이러한 부분을 프레스 가공한다. 상기의 프레스 가공은 지지부재(92)의 돌출부(93)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돌
따라서 판(A)은 부분적으로 절곡된다. 제2의 절곡 과정에서는 가동 측방 다이(3c)가 펀치의 외부 돌출부(91)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게 되나, 우선 펀치(3a)가 이동 행정을 끝내고 판을 다이(3b)에 대해 고정시킨 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다이(3c)는 핀(A)을 펀치의 돌출부(91) 주위로 절곡시켜 절곡각이 90
Figure kpo00007
가 되는 제7도에 도시된 필요한 각으로 판을 절곡시키는 것을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되듯이 다이(3c)의 상단 위치를 변화시켜서 다른 절곡각이 얻어질 수 있다.
펀치가 준비 위치로 되돌아 이동할 때 절곡된 판은 펀치(3a)와 함께 따라온다. 판을 펀치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제8 및 9도에 도시되듯이, 장치는 펀치 각각의 측면에 스트립퍼(95)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이러한 스트립퍼는 스탠드의 단부벽(12) 사이로 연장되는 이송 비임(96)을 구비하며, 이송 비임의 단부는 요동아암(97)에 부착되며 요동아암은 아암(98)에 각기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아암(98)은 각각의 단부벽(12)에 나사에 의해서 고정된 브래킷(99)에 부착된다. 이송비임(96)에는 돌리로서 작용하는 다수의 보우기 휘일(100)이 설치대(101)에 의해서 현수되며, 설치대에는 보우기 휘일이 자유롭게 피봇 가능하다. 외부 보우기 휘일의 설치대(101)에는 회전판 고정구(102)가 설치되며 모터(103)에 의해서 회전된다. 이송비임(96)은 스탠드의 상부측벽(31)에 힌지 가능하게 부착되는 피스톤 실린더 장치(104) 위에 지지되며 피스톤 실린더 장치에 의해서 이송비임(96)이 요동아암(97)의 요동 중심부(105) 주위
절곡 작업에 있어서, 판은 가동 다이(3c)에 의해서 상부로 피봇되어서 보우기 휘일(100)과 접촉되며 보우기 휘일은 이후에 판(A)을 조절한다. 따라서, 모터(103)는 판고정구(102)를 판의 모서리 아래로 피봇시키며 판(A)을 보우기 휘일(10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판은 스트립퍼(95) 속에 고정되며 상부 펀치(3a)가 준비 위치로 귀환할때는 판은 펀치(3a)로부터 자동적으로 배출된다. 피스톤 실린더 장치(104)에 의해서 판은 하부로 피봇되고 절곡 프레임을 통하여 전진되도록 컨베이어(제8 및 9도에는 도시안됨) 위에 놓여진다. 그 후에는 스트립퍼가 다음의 판을 처리하기 위해서 제8도에 도시된 시동위치로 자동적으로 귀환한다.
제10도에는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적당한 길이로 절단된 주름진 금속판의 블랭크 및 사다리꼴의 주름진 금속판이 절곡된다. 상기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 프레임(110)에 덧붙여 금속판 블랭크(112), 이송 테이블(113) 및 배출 테이블(114)에 맞추어 절단된 공급물을 갖는 공급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에는 이러한 공급물로부터 하나의 판블랭크가 자기 상승장치(116)에 의해서 얻어지며, 자기 상승장치는 안내장치(115)를 따라 이동 가능한데 판블랭크를 이송 테이블에 이송시키고 그 후에는 상승장치가 다음의 판블랭크를 이송시키기 위해서 귀환한다. 이송 테이블 위에는 판블랭크가 로울러 컨베이어(117) 위로 이송되며 로울러(118)가 설치된 안내 바아(119)에 의해서 안내되고 돌리개 부재(120)에 의해서 전진되며 횡단봉(121)에 의해서 구동장치로 작동하는 소위 오리가형 실린더(origa
제13 및 14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배출 테이블(114)은 축(126)과 탄성 연결부(127)를 통하여 워엄기어 모터(125)에 의해서 구동되는 2개의 컨베이어 벨트(128)를 갖고 있다.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128)는 공기압 실린더와 오리가형 실린더와 같은 실린더(133)에 의해서 다른 위치로 이동되고, 다른 위치로 조절 가능한 가동판 정지부재(132)와 판을 안내하기 위한 로울러(130)를 구비한 안내바아(131)와 벨트 인장기(129)를 갖는다. 상기 실린더(133)는 설치판(135)을 지니는 실린더 스탠드(134) 위에 지지되고 그 후에 스탠드는 축(136)에 의해서 테이블 프레임에 힌지되게 부착된 링크(137) 위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링크는 베어링 부싱(138) 속에 설치된 축(139)에 의해서 실린더 스탠드의 설치판(133)에 힌지되게 부착된다. 테이블 프레임과 실린더 스탠드(134) 사이에는 공기압 또는 유압의 피스톤 실린더 장치(140)가 실린더 스탠드(134)와 정지부재(141)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설치되며, 정지부재는 절곡 프레임(110)과 대향하는 스탠드 단부에 위치된다. 가동 정지 부재(132)의 여러 위치에 대한 다수의 체결공구(142)와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도시안됨)가 설치된다.
판블랭크(112)가 절곡프레임(10) 속으로 이송될때 블랭크는 배출 테이블 위에서 정지부재(141)에 의해서 정지된다. 따라서, 절곡 프레임은 시동되고 판을 90
Figure kpo00008
로 절곡시키기 위해 상기에 기술된 방법으로 절곡작업을 수행한다. 판블랭크(112)는 1차
Figure kpo00009
로 2차로 절곡시키는 절곡 작업을 수행한다. 그 후에는 가동 정지부재(132)는 후단 위치로 이동하고 판블랭크(112)는 상기 정지부재에 의해서 전진하게 되고 판블랭크는 제15c도의 부호(146)로 도시된 것처럼 다른 단부가 90
Figure kpo00010
로 절곡된다. 그 후에는 판블랭크는 정지부재(132)에 의해서 새로운 위치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판블랭크는 제15d도의 부호(147)로 도시되듯이 마지막으로 시행되는 절곡부(146)의 내측으로 90
Figure kpo00011
로 절곡되어서 판블랭크는 4번 절곡되어 펠릿으로 성형된다.
펠릿은 절곡 프레임(1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펀치(3a)는 상기 시동위치로 상승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승은 피스톤 실린더 장치(35)에 의해서 시행된다.
제16a-e도에는 15a-d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절곡 순서가 도시되나, 제15a-d도에서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태의 펠릿, 즉 지지부로서 작용하는 내부로 접철된 모서리부분(150)을 지니는 펠릿을 생산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판블랭크는 제16a도의 부호(151)로 도시된 것처럼 1차로 90
Figure kpo00012
로 절곡되고 다른 과정으로 전진되어서 제16b도의 부호(152)로 도시되듯이 45
Figure kpo00013
로 절곡
Figure kpo00014
로 절곡되며 그 후에 제16d도의 부호(154)로 도시되듯이 그 다른 모서리를 45
Figure kpo00015
로 절곡시키는 긴 과정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 후에는 판블랭크는 절곡 프레임으로부터 배출되며 모서리부분(150)은 제16e도에 도시된 위치로 축주위로 피봇 가능하도록 가압바아(160)에 의해서 내부를 접철된다. 모서리부분(150)의 내부 접철부에서는 펠릿이 제16e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 같이 지지부(161)에 접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고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받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영역속에서 여러가지 많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

  1. 절곡위치에서 금속판 블랭크 내측의 리지를 가로 방향으로 절곡시키므로서 동시에 리지의 측벽인 측벽을 포함하면서 세로의 리지 및 요부를 가진 성형 금속판을 절곡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곡 공정이 두개의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제1절곡 공정에서는 양측부에서 부가의 주름으로 형성될 인접 벽부위와 중앙 주름이 동시에 형성되며, 제1공정과 연속되는 제2절곡 공정에서는 상기 금속판 블랭크가 중앙 주름 양측부상의 부가로 형성된 주름 바닥부 및 다른 벽을 형성시키므로서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절곡각으로 절곡되어 이 공정 동안에 형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속판의 절곡방법.
KR1019810001407A 1981-04-23 1981-04-23 성형금속판의 절곡방법 KR87000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407A KR870000604B1 (ko) 1981-04-23 1981-04-23 성형금속판의 절곡방법
KR1019840005854A KR870000618B1 (ko) 1981-04-23 1984-09-24 성형금속판의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407A KR870000604B1 (ko) 1981-04-23 1981-04-23 성형금속판의 절곡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854A Division KR870000618B1 (ko) 1981-04-23 1984-09-24 성형금속판의 절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902A KR830004902A (ko) 1983-07-20
KR870000604B1 true KR870000604B1 (ko) 1987-03-25

Family

ID=192207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407A KR870000604B1 (ko) 1981-04-23 1981-04-23 성형금속판의 절곡방법
KR1019840005854A KR870000618B1 (ko) 1981-04-23 1984-09-24 성형금속판의 절곡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854A KR870000618B1 (ko) 1981-04-23 1984-09-24 성형금속판의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700006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734A (ko) 1985-05-15
KR870000618B1 (ko) 1987-03-26
KR830004902A (ko) 198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5658A (en) Shaping machine for cylindrically bending a plate
US5784916A (en) Thin sheet forming die assembly including a lower die having plural parallel rotating cylindrical members
GB20407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eamed tube
JPH04288932A (ja) 曲げ成形機械とその曲げ方法
EP07334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notching a hollow pipe
EP0035483A2 (en) A method of bending shaped metal sheet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870000604B1 (ko) 성형금속판의 절곡방법
CZ186093A3 (en) Plate-bending machine
US3388625A (en) Sheet-forming and post-forming trim method and apparatus
US4875356A (en) Material fabricating mechanism
EP0569536B1 (en) Apparatus for bending beams
EP0669174B1 (en) Machine for bending sheets of metal
US4628721A (en) Method of roll forming cylindrical pipe
CN109277444B (zh) 一种调平压筋机及其使用方法和风管生产线
CN112845709A (zh) 一种桥架折弯装置及生产线
EP1149643A1 (en) Device for forming a profiled edge on one end of a tubular member
EP0260361A2 (en) Leveling apparatus
KR100239943B1 (ko) 컷팅 블레이드 절곡홈 가공장치
CN114378151B (zh) 一种高强度具有防撞保护的卷板机
JPS59101236A (ja) 薄板の縁部分を曲げ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工具
SU72574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гибки кромок изделий из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JP3645993B2 (ja) 板金の曲げ加工機
SU75723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и арматурных каркасов 1
JPH0890084A (ja) 折曲機
SU763043A1 (ru) Ножницы дл резки лист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