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546Y1 - 중절창(中折窓) - Google Patents

중절창(中折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546Y1
KR870000546Y1 KR2019860016970U KR860016970U KR870000546Y1 KR 870000546 Y1 KR870000546 Y1 KR 870000546Y1 KR 2019860016970 U KR2019860016970 U KR 2019860016970U KR 860016970 U KR860016970 U KR 860016970U KR 870000546 Y1 KR870000546 Y1 KR 870000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rame
window
pieces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무 야마니시
다쓰히꼬 이에나가
Original Assignee
후지샷시 가부시끼 가이샤
호리 고미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20005512A external-priority patent/KR840002946A/ko
Application filed by 후지샷시 가부시끼 가이샤, 호리 고미 도시오 filed Critical 후지샷시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60016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5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절창(中折窓)
본원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중절창을 나타내고,
제 1 도는 정면도.
제 2 도는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I-I'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 7 도는 제 4 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 8 도는 제 4 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 9 도는 제 4 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 10도는 샷시의 선대 상부의 사시도.
제 11도는 상측지지체 외통의 사시도.
제 12(a)도, 제 12(b)도는 제 2 위치 결정재의 사시도.
제 13도는 상, 하측 연결편과 연계편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14도는 상축과 접속편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윗틀 2 : 밑틀
3 : 선틀 1a,2a,3a : 돌연부
1a',2a',3a' : 홈 4 : 개구부
5 : 기밀재 6 : 윗막이대
7 : 밑막이대 8 : 선대
9 : 중간선대 10 : 유리
11 : 접속간 12 : 안내부
13 : 공간 14 : 받이틀
15,52,63,78 : 나사 16a : 제 1 전동편
16b : 제 2 전동편 18,18',19 : 돌출편
20,20',21 : 감합편 22 : 상측연결대
23,26 : 연결편 25 : 하측연결대
24,27 : 연결요홈 29,30 : 걸림편
31,32 : 걸림부시 35 : 연결간
38 : 핸들의 주축 39 : 기구틀
17,41,45a,45b : 핀 42 : 상측연결편
44a,44b : 종장장공 48 : 연계편
49 : 하측연결편 50 : 상측연결간
51 : 하측연결간 53 : 접속편
53b : 굴곡편 53c,68c : 익편
53',68' : 통공 57 : 상축
58 : 상측기지체 59,72 : 외통
60,73 : 내통 61 : 받침편
62' : 통공 65 : 고정간
66 : 걸이호차 67,79 : 안내레일
70 : 하축 71 : 하측지지체
76 : 기재 77 : 안내구
80 : 절결 81 : 횡장장공
82,82' : 제 1 위치결정재 84,84' : 제 2위치결정재
83 : 나사 85,85' : 계합공
A : 창틀 B : 창짝틀
C : 중앙잠금기구 D : 창짝개폐기구
본 고안은 창짝틀과 창틀사이 및 창짝틀 사이의 기밀성을 보지하면서 일층 핸들링에 편리하도록 한 잠금 기구를 가진 중절창에 관한 것이다. 상호 회전자재로 연결된 한쌍의 창짝을 창짝틀에 감합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절창은 공지이다. 그런데 종래의 중절창은 창짝틀과 창틀사이 또는 창짝틀 사이의 틈서리로 부터 비바람이 침입하는 문제점이 있어 본 출원인은 일본 실개소 57-91980호, 57-91981호, 57-91982호 및 57-97081호로 비바람의 침입염려가 없는 중절창을 고안한 바 있다. 그러나, 위 고안에 의하여 외부로 부터의 습기, 비바람등의 침입은 방지할 수 있었으나 부피도 크고 단순한 개폐기능을 가진 잠금기구에 의하여 충분한 기밀 및 양호한 중절상태를 얻지 못하고 일부 직업상의 취급, 핸들링상의 불편한 점이 있었던 것이다.
다시말해, 종래의 잠금기구는 통상 회전식 작동에 의해서 개폐가 되도록 되어 있어 핸들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서 창짝의 윗틀과 밀틀과 각각 계합되는 걸림편을 이탈시킴으로써 창의 중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중앙잠금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여 있을때 만이 창이 중절되므로 중절을 하였을때 핸들로 인하여 창의 중절범위가 좁아지고 무의식중에 갑작스런 중절을 함으로써 중앙잠금핸들로 인하여 창이 파손될 우려마져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핸들을 회전시켜 놓은 후, 약간의 중절을 행하여 걸림편이 각 상하틀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 다시 핸들을 원상태인 수직으로 위치하여 중절을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유리의 파손이나 중점범위가 좁아지는 등의 폐단을 없앨 수가 있으나 이는 작업이 번거로울뿐 아니라 중절된 상태에서 창을 닫을시에도 중앙 잠금핸들을 다시 회동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재반 문제점에 착안한 본 고안은 중앙잠금 핸들의 작용이 상, 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핸들을 상측으로 올리면 각 상, 하걸림편이 상, 하틀로 부터 이탈하여 중간 선대의 내부로 삽입되고 창을 자유로이 중절할 수 있으며 중앙잠금핸들로 인한 중절의 범위에 지장이 전혀 없게 되고, 종래와 같이 회전식이 아닌 수직작동이 가능하므로 중앙부의 중간선대의 폭이 줄어드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고저 한다.
본 고안 중절창은 제 1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A)과 이 창틀(A)에 감합되고 서로 회전자재하게 끼워 맞춘 한쌍의 창짝틀(B)과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A)은 윗틀(1), 밑틀(2) 및 좌우의 선틀(3)을 상호 결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제 3 도 내지 제 7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각 창틀(1)(2)(3)의 실내측에 안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연부(1a)(2a)(3a)에 의해 창개구분(4)를 구성시키고, 돌연부(1a)(2a)(3a)의 끝단 바깥쪽에 각각 홈(1a')(2a')(3a')을 형성하며, 이 홈에 상기 개구부(4)를 둘러싼 기밀재(5)를 끼워 붙인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창짝틀(B)은 윗막이대(6), 밑막이대(7), 선대(8), 중간선대(9) 및 유리 (10)를 조립 부착한 것으로 구성된다.
도번 11은 창짝틀(B)의 접속간으로서, 이 접속간(11)은 통상 압출된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운데가 빈 중공체로 구성되고 실외측의 중공부는 문막이 역할을 겸하는 중앙잠금기구(C)의 안내부(12)로 되며, 실내측의 양측 부편은 횡단면상으로 불완전한 원형으로 굴곡한 접속부편(11a)으로 되는데 상기 접속간(11)에는 중앙잠금기구(C)를 장착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7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간(11)에 의한 창짝의 개폐시에는 윗틀(1) 및 밑틀(2)의 돌연부(1a)(2a)에 끼워 맞추어지는 실내측 단부편(11b)의 종방향 중앙에 상기 안내부(12)에 연통되는 공간(13)을 형성하고 이 공간(13)을 둘러싼 받이틀(14)을 나사(15)에 의해 상기 접속간(11)에 지착시착시키고, 이 받이틀(14)의 접속간(11)에 삽입한 부편(14a)에서 제 1 전동펴(16a)과 제 2 전동편(16b)이 핀(17)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조립 지지되며, 제 1 전동편(16a)에는 제 1, 제 2의 각 돌출편(18)(18')을, 제 2 전동편(16b)에는 돌출편(19)을 각각 형성하고 각 돌출편(18)(18')(19)의 산단에는 원형상의 감합편(20)(20')및 (21)을 형성한다.
상기 감합편(20)은 상측 연결대(22)의 연결편(23)에 형성된 연결 요 (t-1) 홈(24)에, 또한 제 2 전동편(16b)의 감합편(21)은 하측연결대(25)의 연결편(26)에 형성된 연결요홈(27)에 각각 계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동편(16a)과 제 2 전동편(16b)은 제 2 전동편(16b)에 형성된 연결요홈(28)에 제 1 전동편(16a)의 제 2 돌출편(18')에 돌출된 감함편(20')을 계합하여 서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12) 내에 배치한 각 연결대(22)(25)의 선단에 문막이 겸용의 걸림편(29)(30)을 형성하는데, 이 걸림편(29)(30)이 계합하는 걸림부시(31)(32)를 창틀(A) 윗틀(1)과 밑틀(2)에 각각 취부하며, 또한 제 1전동편(16a)에 연설하여 상기 받이틀(14)로 부터 실내방향으로 돌출시켜서 핸들(33)을 구성하면 잠금기구(C)가 이루어진다.
제 5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간(11)의 안내부(12)를 구성하는 중공부(11c)는 상술한 개구부(4)의 세로폭 보다 길고, 윗틀(1) 및 밑틀(2)의 돌연부(1a)(2a) 사이에 위치하며, 창짝틀을 닫을 때에는 중간선대 (9)의 사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중간선대(9)의 닫힘시에 있어서의 상대향면측 일단에 기밀재(5')를 중간선대(9)의 종방향에 연하여 취부하고, 이 기밀재(5')는 창짝틀(B)을 닫을 때에 형성되는 작은 틈새(34)를 메우기에 충분할 정도로 돌설한다.
또한 중간선대(9)의 실내측 단부에 원통형의 연결간(35)을 각각 돌설하고, 이 연결간(35)을 접속간(11)의 각 접속편(11a)에 회전자재로 계합하고, 양 창짝틀(B)은 접속간(11)을 통하여 상호 회전 자재로 접속된다. 창짝틀(B)의 선대(8)에는 문막이겸용의 창짝 개폐기구(D)를 장치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도번 36은 이 창짝 개폐기구(D)의 조작핸들로서, 이 핸들(36)은 선대(8)의 종방향 중앙에 측면으로 회전자재하게 취부한다. 이 핸들(36)의 주축(38)은 제 8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선대(8)의 중공부(8') 내에 고정 설치한 기구틀(39)에 삽입하여 작동편(40)에 감착하고 작동편(40)의 배면측에 돌설된 핀(41)을 상측연결편(42)에 형성한 횡장장공(43a)에 계합하고, 상기 연결편(42)에는 횡장장공(43a)의 바로 위에 종장장공(44a)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기구틀 (39)에 돌설된 핀(45a)을 계합하며, 이 핀(45a)과 상기 연결편(42)에 형성한 돌출편(42a)의 사이에 스프링(46)을 삽입한다.
또한 상기 횡장장공(43a)의 근방에는 종장장공(44b)을 형성하고, 여기에 기구틀(39)에 돌설한 핀(45b)을 계합하며, 종장장공(44b)의 하측에는 횡장장공(43b)을 형성하고, 이 횡장장공(43b)에는 접속핀(47)에 의해상측연결편(42)과 연계편(48)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고, 연계편(48)의 타단에는 접속핀(47')을 배치한다. 이 접속핀(47')은 하측연결편(49)의 상부에 있는 상측연결편(42)에 형성한 횡장장공(43')에 계합시켜 연계편(48)과 하측연결편(49)을 서로 연결하고, 상, 하측연결편(42)(49)에 연계편(48)을 끼워 상호 연계하며, 하측연결편(49)의 하방에는 상측연결편(42)의 종장장공(44b)과 같은 종장장공(44')을 형성하고, 여기에 기구틀(39)에 돌설한 핀(45c)을 계합시킨다.
제 8 도에서와 같이 상, 하측연결편(42)(49)의 각각에는 상측연결간(50) 및 하측연결간(51)의 일단을 취부하며, 상측연결간(50)의 타단에는 선대(8)의 외부로부터 나사(52)로써 접속편(53)을 지착하고, 이 접속편(53)은 상단에 L형의 굴곡편(53b)을 연설하며, 이 굴곡편(53b)의 양측부를 굴곡하여 한쌍의 익편(翼片)(53c)을 연설하고, 이 익편(53c)에는 상하로 긴 통공(53')을 천공한다.
제 9 도에서와 같이 이 접속편(53)의 익편(53c)을 선대(8)의 부편(8a)에 천공한 통공(55)에서 선대(8)의 외부에 돌출하여 통공(53')에서 나사(56)로 문막이경용의 상축(57)의 하단부를 취부하는데, 이 상축(57)은 창짝를(B)의 상측지지체(58)의 부재를 구성하고, 상측지지체(58)는 외통(59)에 내통 및 상기 상축(57)을 순차적으로 관삽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외통(59)의 종방향 중간위치에는 한쌍의 받침편(61)을 돌설하며, 이 받침편(61)을 선대(8)의 상기 부편(8a)에 천공한 한쌍의 통공(62)에 관통시켜 제 10 도에서와 같이 선대(8), 즉 창짝틀(B)의 상부를 받아 지지하고, 제 1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외통(59)은 제 8 도의 나사(63)로 선대(8)에 이동가능하게 지착한다(제 8 도에서 외통은 도시안됨). 또한 하부에는 넛트(64)를 나합시켜 외통(59)으로 부터 제 9 도에서와 같이 하측으로의 벗겨짐을 방지하도록 한 내통(60)의 상부에는 걸이호차용 고정간(65)을 취부한다. 이 걸이호차용 고정간(65)은 제 8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측편(65a)을 두고, 이 측편(65a)의 상부에 걸이호차(66)를 구름자재로 축지시키며, 상부안내 레일(67)의 끝단 절곡부(67a) 사이에 위치결정을 위해 측편(65a)을 끼워맞추고 걸이호자(66)를 상기 윗틀(1)에 형성한 상부 안내레일(67)에 얹어 놓는다. 또한 상측의 연결편과 같은 구조로써 하측연결간(51)이 접속편(68)의 일단(68a)에 연결되고 상측의 접속편(53)과 대략 똑같이 구성되는 이 접속편(68)의 타단부를 상측의 연결구성과 같이 선대(8)의 외부로 돌출시켜 문막이겸용의 하축(70)의 선단과 취부한다. 또한 이 하축(70)은 창짝틀(B)의 하측지지체(71)의 부재를 포함 구성하고, 이 하측지지체(71)는 외통(72)에 내통 (73) 및 상기하축(70)을 순차적으로 관삽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외통(72)의 종방향 중간위치에 상측지지체(58)와 똑같이 한쌍의 받침편(61')을 돌설하고,이 받침편(61')을 선대부편(8a)에 천공한 한상의 통공(62')에 관삽시킴으로써 창짝틀(B)의 하부를 받아 지지하게 된다. 이 외통은 나사(63)로 선데(8)에 이동자재로 지착하며, 이 외통(72)에 감삽하여 나사(74)로 외통(72)에 지착시킨 내통(73)의 하단을 창짝틀 하부 안내부재(75)의 기재(76)에 관통시킴으로써 이 기재(76)를 내통(73)에 조립 부착케하는데, 제 6 도, 제 8 도 및 제 9 도 우측도면에서와 같이 기재(76)를 횡으로 길게 구성하여 길이방향의 양단 실내끝에 합성수지재의 안내구(77)를 나사(78)에 의해 이동자재로 취부한다 이 안내구(77)는 상기 밑틀(2)에 형성된 하부 안내레일(79)에 습동 지착되고, 이 하부 안내레일(79)의 끝단상향절곡부(79')에 기재(76)의 실내측단부에 형성한 하향절곡편(76')을 보강용으로 계합시키며, 또한 하부 안내레일의 끝단 절곡부(79')의 양단에는 상기 안내구(77)보다 큰 폭으로 한 절곡부(8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걸이호차(66) 및 안내구(77)는 상부안내레일(67)과 하부 안내레일(79)에 각각 계합된다. 또한 제 3 도, 제 6 도 및 제 8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윗틀(1)과 밑틀(2)의 양단에는 제 1 위치결정재(82)(82')를 나사(83)로써 각각 고착하고, 이 제 1 위치결정재(82)(82')에는 창짝개폐를 규제하고 있는 상축(57)과 하축(70)이 감탈할 수 있도록 횡장장공(81)(81')을 각각 천공한다. 또한, 윗틀(1) 및 밑틀(2) 중간의 적당한 위치에 제 2 위치결정재(84)(84')를 서로 대향하게 나사(83)로써 고착하며, 상측의 제 2 위치결정재(84)에서는 점차 상향경사하고, 또한 하측의 제 2 위치결정재(84')에서는 점차 하향경사하도록 하는 안내경사연(a)과 이 각 안내 경사연(a)의 중앙에는 상축(57) 및 하축(70)의 계합공(85)(85')을 형성시켜서 구성한다.
한편, 제 9 도의 중간부위에서 도시한 도번 86,86'는 창짝개폐기구(D)의 상측 및 하측연결간(50)(51)의 각각에 취부한 안내편이고, 제 4 도및 제 5 도에 도시된 도번 87은 선틀(3)의 실외측에 취부한 걸리부재로써 창짝틀(B)을 잡아 끌어 당길때 선대(8)의 실외측에 형성된 굴곡편(88)을 이 걸림부재(87)에 압접하여 선대(8)를 선틀(3)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위치결정재는 상술한 바와같이 윗틀(1), 밑틀(2)의 양방에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면 그 어느 것이든 한쪽에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이하에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9 도의 상축(57) 및 하축(70)의 단부에 위치하는 각 통공(53')(68')은 상축(57) 및 하축(70)의 상하 움직임을 조정하는 것이고, 또한 각각 상, 하측연결간(50)(51)에 평행한 선상에 위치하는 통공(55)(55')은 각 나사(56)(69)를 중심으로 하여 각 상, 하 접속편(53)(68)을 회전조작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그런데 창짱틀(B)을 닫을때에 제 3 도 내지 제 6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빗금으로 단면을 표시한 상, 하측 걸림편(29)(30)과 상, 하부시(31)(32)의 계합관계 및 선대굴곡편(88)의 걸림부재(87)에 대한 압접관계에 따라서 창짝틀(B)의 윗막이대(6), 밑막이대(7) 및 선대(8)가 창틀(A)의 개구부(4)의 주연부에 취부한 기밀재(5)에 압접한다. 또한, 창짝틀(B)의 중간선대(9)에 설한 기밀재(5')가 접속간(11)에 압접되어 창짝틀(B)기밀상태에서 닫히게 되는데, 이때 제 7 도에서의 잠금핸들(33)을 조작하여 걸림편(29)(30)이 부시(31)(32)로 부터의 계합상태를 해방, 즉 자금핸들(33)을 핀(17)을 중심으로 상향회전시키면 제 1 전동편(16a)에 둔 제 1 돌출편(18)의 감합편(20)은 연결편(23)의 연결요홈(24)에 계합되고 있으므로 이 계합관계에 의해 연결편(23)은 하강하고, 이 연결편(23)의 하강함에 따라 상측연결대(22)도 하강하여 걸림편(29)은 부시(31)로 부터 이탈된다.
한편, 제 1 전동편(16a)의 제 2 돌출편(18')에 돌출된 감함편(20')은 제 2 전동편(16b)의 연결요홈(28)에 계합되어 있으므로 제 2 전동편(16b)은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 2 전동편(16b)의 감합편(21)과 연결편(26)의 연결요홈(27)에 있어서의 계합관계에 의해 연결편(26)은 상상하므로 하측연결대(25)가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하측걸림편(30)은 하측부시(32)로 부터 이탈한다. 이와같이 하여 걸림편(29)(30)의 부시(31)(32)와의 계합상태를 해방하여 잠금핸들(33)을 실외방향으로 누르면 각 선대(8)에 설치한 제 3 도에서의 상축(57) 및 제 6 도에서의 하축(70)은 각각 제 1 위치결정재(82)(82')의 횡장장공(81)(81')을 따라 창짝의 중앙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창짝틀(B)과 창틀(A)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틈새의 크기는 장공(81)(81')의 홈 길이에 의한다)가 만들어질 수 있어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창짝틀(B)의 일방의 조작핸들(36)을 실내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8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편(40)에 취부한 핀(41)은 상측연결핀(42)을 강하시키고, 이 상측연결핀(42)에 연결된 상측연결간(50)에 접속편(53)을 끼워 연결한 상축(57)도 하강하여 제 8 도 및 제 9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위치결정재 (82)의 장공(81)으로 부터 이탈하는 한편 상측 연결편(42)의 하강에 따라 연계편(48)은 하측연결편(49)을 상승시키고, 이 하측연결편(49)의 상승에 따라 하측연결간(51)이 상승된다.
따라서 하축(70)은 제 1 위치결정재(82')의 장공(81')으로 부터 이탈되고, 이 한쪽의 창짝틀 선대부는 상측 및 하측의 안내레일(67)(79)을 따라 회동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되고,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 2위치결정재(84)(84')에서 조작핸들(36)을 역방향으로 조작하여 상축(57) 및 하축(70)을 이 위치결정재(84)(84')에 계합시키면 창짝틀(B)의 중절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창짝틀(B)양쪽의 선대(8)에 설치된 각 상, 하축(57)(70)을 상술한 바와같이 제 2 위치결정재(84)(84')에 계합시키면 창틀(A)의 중간위치에서 중절상태를 얻고, 좌, 우 어느 한쪽의 조작핸들(36)을 상술한 바와같이 조작함에 따라 창틀(A)의 선틀(3)중 한쪽에서 만의 중절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창틀(A)에 대한 창짝틀(B)을 들어내는 것은 나사(52)를 상, 하측연결간(50)(51)으로 부터 해체하고 접속편(53)(68)과 상, 하측연결간(50)(51)과의 결합관계를 해체하여, 나사(63)를 밖으로 풀어내고 상측 지지체(58)와 선대(8)와의 결합관계를 밖으로 하여 받침편(61)과 통공(62)과의 결합관계를 창짝틀(B)을 집어 올리도록 하여 들어내면, 창짝틀(B)은 창틀(A)에서 밖으로 들어나게 되고 또한 이와같이 하여 창짝틀(B)을 창틀(A)로부터 들어낸 후 나사(78)를 풀어서 안내구(77)를 기재(76)로 부터 밖으로 들어내고 이 안내구(77)를 절결(80)을 거쳐 안내레일(79)에 습감시키고 나사(78)에 의해 기재(76)에 조립 부착하는동 필요에 따라 안내구(77)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좌, 우 어느쪽이나 편리한 대로 선택하여 창을 개방할 수가 있으므로 유리의 청소를 실내에서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콘트롤설비가 없는 빌딩등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받이틀(14)을 지착한 접속간(11)에 부편(14a)을 삽입하고, 이 부편(14a)에서 제 1 전동편(16a)과 제 2 전동편(16b)이 핀(17)으로 회전자재하게 조립지지되며, 상기 제 1 전동편(16a)에는 제 1, 제 2의 각 돌출편(18)(18')을 돌설하고 제 2 전동편(16b)에도 별도의 돌출편(19)을 돌설하여 상기 각 돌출편(18)(18')(19)의 선단에는 원형상의 감합편(20)(20')(21)을 형성하고, 이중 감합편(20)(21)은 상측 및 하측연결편(23)(26)에 형성된 각 연결요홈(24)(27)에 계합하고, 감함편(20')은 제 2 전동편(16b)에 형성된 연결요홈(28)에 계합하여서 상, 하 수직으로 작동되는 중앙잠금기구(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절창.
KR2019860016970U 1982-12-09 1986-11-01 중절창(中折窓) KR870000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970U KR870000546Y1 (ko) 1982-12-09 1986-11-01 중절창(中折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20005512A KR840002946A (ko) 1982-12-09 1982-12-09 중절창(中折窓)
KR2019860016970U KR870000546Y1 (ko) 1982-12-09 1986-11-01 중절창(中折窓)
JP82-5512 1986-11-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5512A Division KR840002946A (ko) 1982-12-09 1982-12-09 중절창(中折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546Y1 true KR870000546Y1 (ko) 1987-02-19

Family

ID=2662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970U KR870000546Y1 (ko) 1982-12-09 1986-11-01 중절창(中折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5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4201A (en) Full-opening window linkage assembly
EP0141000A2 (en) Reversible window structure
US4537237A (en) Louvering overhead sectional door
US5140769A (en) Sliding center-pivoted window
US4337597A (en) Sliding window construction having pivotal characteristic to facilitate cleaning both sides of the window
KR870000546Y1 (ko) 중절창(中折窓)
EP1419306B1 (en) A reversible window, use thereof and a guide device for a reversible window
KR870000545Y1 (ko) 중절창(中折窓)
US2076194A (en) Window
US5542215A (en) Sash supporting structure of hinged swinging window
KR200402489Y1 (ko) 여닫이 겸용 미닫이 창문
JPH0138238Y2 (ko)
JPS6116379Y2 (ko)
US2666963A (en) Combination window and storm window construction
JPS6141905Y2 (ko)
KR960005636B1 (ko) 창호 시스템
JP4176415B2 (ja) 引き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US2217248A (en) Metallic window construction
KR890004582Y1 (ko)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JP2003003757A (ja) 引き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GB2160580A (en) Sliding window
JP2001164836A (ja) シャッター付サッシ
GB2203784A (en) Two-way opening window
JPH0420130Y2 (ko)
US951442A (en)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21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