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545Y1 - 중절창(中折窓) - Google Patents
중절창(中折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70000545Y1 KR870000545Y1 KR2019860016971U KR860016971U KR870000545Y1 KR 870000545 Y1 KR870000545 Y1 KR 870000545Y1 KR 2019860016971 U KR2019860016971 U KR 2019860016971U KR 860016971 U KR860016971 U KR 860016971U KR 870000545 Y1 KR870000545 Y1 KR 8700005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frame
- window
- window frame
- connecting pie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006 fl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원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중절창을 나타내고,
제 1 도는 정면도.
제 2 도는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I-I'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 7 도는 제 4 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 8 도는 제 4 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 9 도는 제 4 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 10도는 샷시의 선대 상부의 사시도.
제 11도는 상측지지체 외통의 사시도.
제 12(a)도, 제 12(b)도는 제 2 위치결정재의 사시도.
제 13도는 상, 하측연결편과 연계편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14도는 상축과 접속편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윗틀 2 : 밑틀
3 : 선틀 1a,2a,3a : 돌연부
1a',2a',3a' : 홈 4 : 개구부
5 : 기밀재 6 : 윗막이대
7 : 밑막이대 8 : 선대
9 : 중간선대 10 : 유리
11 : 접속간 12 : 안내부
13 : 공간 14 : 받이틀
15,52,63,78 : 나사 16a : 제 1 전동편
16b : 제 2 전동편 18,18',19 : 돌출편
20,20',21 : 감합편 22 : 상측연결대
23,26 : 연결편 25 : 하측연결대
24,27 : 연결요홈 29,30 : 걸림편
31,32 : 걸림부시 35 : 연결간
38 : 핸들의 주축 39 : 기구틀
17,41,45a,45b : 핀 42 : 상측연결편
44a,44b : 종장장공 48 : 연계편
49 : 하측연결편 50 : 상측연결간
51 : 하측연결간 53 : 접속편
53b : 굴곡편 53c,68c : 익편
53',68' : 통공 57 : 상축
58 : 상측기지체 59,72 : 외통
60,73 : 내통 61 : 발침편
62' : 통공 65 : 고정간
66 : 걸이호차 67,79 : 안내레일
70 : 하축 71 : 하측지지체
76 : 기재 77 : 안내구
80 : 절결 81 : 횡장장공
82,82' : 제 1 위치결정재 84,84' : 제 2위치결정재
83 : 나사 85,85' : 계합공
A : 창틀 B : 창짝틀
C : 중앙잠금기구 D : 창짝개폐기구
본 고안은 기밀성이 우수하면서도 창의좌우 어느쪽이나 편리한대로 선택하여 원활하고도 용이하게 개방하도록 한 중절창에 관한 것이다. 상호 회전자재로 연결된 한쌍의 창짝을 창틀에 감합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절창은 공지인데, 종래의 중절창은 좌, 우의 열립상태가 특정되어 있고 유리창의 바깥면까지 청소하기란 극히 불면하게 되어 있었다.
본 원고은 일본 실개소 57-91980호, 57-91981호, 57-91982호 및 57-97081호를 개량하여 특히 그 중에 서도 윗틀과 밀틀의 양단에 걸이호차와 안내레일, 안내구와 안내레일이 각각 계합되어 창짝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며, 상축과 하축이 감탈하는 제 1 위치결정재와 제 2 위치결정재를 아울러 취부하여 개폐의 원활과 열림의 정도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창틀을 닫을 때에 선대내부에 윗틀 및 밑틀에 계합되는 상축 및 하축을 장착하고, 제 1 위치결정재와 제 2위치결정재를 취부하여 좌, 우선대의 열림상태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기밀성이 우수하면서도 보다 원활한 창짝의 개폐를 도모하고 이에 따른 환기 및 청소등이 용이하도록 한 중절창을 제공하고저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고저 한다.
본 고안 중절창은 제 1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창틀(A)과 이 창틀(A)에 감합되고 회전자재하게 끼워 맞춘 한쌍의 창짝틀(B)과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A)은 윗틀(1), 밑틀(2)및 좌우의 선틀(3)을 상호 결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제 3 도 내지 제 7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창틀(1)(2)(3)의 실내측에 안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연부(1a)(2a)(3a)에 의해 창개구부(4)를 구성시키고, 돌연부(1a)(2a)(3a)의 끝단 바깥쪽에 각가 홈(1a')(2a')(3a')을 형성하며, 이 홈에 상기 개구부(4)를 둘러싼 기밀재(5)를 끼워 붙인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창짝틀(B)은 윗막이대(6), 밑막이대(7), 선대(8), 중간선대(9)및 유리(10)를 조립 부착한 것으로 구성된다. 도번 11은 창짝틀(B)의 접속간으로서, 이 접속간(11)은 통상 압출된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운데가 빈 중체공로 구성되고 실외측의 중공부는 문막이역할을 겸하는 중앙잠금기구(C)의 안내부(12)로 되며, 실내측의 양측 부편은 횡단면상으로 불완전한 원형으로 굴곡한 접속부편(11a)으로 되는데, 상기 접속간(11)에는 중앙잠금기구(C)를 장착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7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간(11)에 의한 창짝의 개폐시에는 윗틀(1)및 밑틀(2)의 돌연부(1a)(2a)에 끼워 맞추어지는 실나측단부편(11b)의 종방향 중앙에 상기 안내부(12)에 연통되는 공간(13)을 형성하고, 이 공간(13)을 둘러싼 받이틀(14)을 나사(15)에 의해 상기 접속간(11)에 지착시키고, 이 받이틀(14)의 접속간(11)에 삽입한 부편(14a)에서 제 1전동편(16a)과 제 2 전동편(16b)이 핀(17)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조립지지되며, 제 1 전동편(16a)에는 제1, 제2의 각돌출편(18)(18')을, 제 2전동편(16b)에는 돌출편(19)을 각각 형성하고 각 돌출편(18)(18')(19)의 선단에는 원형상의 감합편(20)(20')및 (21)을 형성한다.
상기 감합편(20)은 상측연결대(22)의 연결편(23)에 형성된 연결요()홈(24)에, 또한 제 2 전동편(16b)의 감합편(21)은 하측연결대(25)의 연결편(26)에 형성된 연결요홈(27)에 각각 계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동편(16a)과 제 2 전동편(16b)은 제 2 전동편(16b)에 형성된 연결요홈(28)에 제 1 전동편(16a)의 제 2 돌출편(18')에 돌출된 감합편(20')을 계합하여 서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12)내에 배치한 각 연결대(22)(25)의 산단에 문막이겹용의 걸림편(29)(30)을 형성하는데, 걸림편(29)(30)이 계합하는 걸림부시(31)(32)를 창틀(A)의 윗틀(1)과 및틀(2)에 각각 취부하며, 또한 제 1 전동편(16a)에 연설하여 상기 받이틀(14)로부터 실내방향으로 돌출시켜서 핸들(33)을 구성하면 잠금기구(C)가 이루어진다.
제 5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간(11)의 안내부(12)를 구성하는 중공부(11c)는 상술한 개구부(4)의 세로폭 보다 길고, 윗틀(1)및 밑틀(2)의 돌연부(1a)(2a) 사이에 위치하며, 창짝틀(B)을 닫을 때에는 중간선대(9)의 사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중간선대(9)의 닫힘시에 있어서의 상대향면측 일단에 기밀재(5')를 중간선대(9)의 종방향에 연하여 취부하고, 이 기밀재(5')는 창짝틀(B)을 닫을 때에 형성되는 작은 틈새(34)를 메우기에 충분한 정도로 돌설한다. 또한 중간선대(9)의 실내측 단부에 원통형의 연결간(35)을 각각 돌설하고, 이 연결간(35)을 접속간(11)의 각 접속편(11a)에 회전자재로 계합하고, 양 창짝틀(B)은 접속간(11)을 통하여 상호 회전자재로 접속된다.
창짝틀(B)의 선대(8)에는 문막이 겸용의 창짝개폐기구 (D)를 장치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도번 36은 이 창짝개폐기구(D)의 조작핸들로서, 이 핸들(36)은 선대(8)의 종방향 중앙에 측면으로 회전자재하게 취부한다. 이 핸들(36)의 주측(38)은 제 8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선대(8)의 중공부(8')내에 고정 설치한 기구를(39)에 삽입하여 작동편(40)에 감착하고 작동편(40)의 배면측에 돌설된 핀(41)을 상측 연결편(42)에 형성한 횡장장공(43a)에 계합하고, 상기 연결편(42)에는 횡장장공(43a)의 바로 위에 종장장공(44a)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기구를 (39)에 돌설된 핀(45a)을 계합하며, 이 핀(45a)과 상기 연결편(42)에 형성한 돌출편(42a)의 사이에 스프링(46)을 삽입한다. 또한 상기 횡장장공(43a)의 근방에는 종장장공(44b)을 형성하고, 여기에 기구틀(39)에 돌설한 핀(45b)을 계합하여, 종장장공(44b)의 하측에는 횡장장공(43b)을 형성하고, 이 횡장공공(43b)에는 접속핀(47)에 의해 상측연결편(42)과 연계편(48)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고, 연계편(48)의 타단에는 접속핀(47')을 배치한다, 이 접속핀(47')은 하측연결편(49)의 상부에 있는 상측연결편(42)에 형성한 횡장장공(43')에 계합시켜 연계편(48)과 하측연결편(49)을 서로 연결하고, 상하측연결편(42)(49)에 연계편(48)을 끼워 상호 연계하며, 하측연결편(49)의 하방에는 상측 연결편(42)의 종장장공(44b)과 같은 종장장공(44')을 형성하고, 여기에 기구틀(39)에 돌설한 핀(45c)을 계합시킨다.
제 8 도에서와 같이 상, 하측 연결편(42)(49)의 각각에는 상측연결간(50) 및 하측 연결간(51)의 일단을 취부하며, 상측연결간(50)의 타단에는 선대(8)의 외부로부터 나사(52)로써 접속편(53)을 지착하고, 이 접속편(53)은 상단에 L형의 굴곡편(53b)을 연설하며, 이 굴곡편(53b)의 양측부를 굴곡하여 한쌍의 익편(翼片)(53c)을 연설하고 이익편(53c)에는 상하로 긴 통공(53')을 천공한다.
제 9 도에서와 같이 이 접속편(53)의 익편(53c)을 선대(8)의 부편(8a)에 천공한 통공(55)에서 선대(8)의 외부에 돌출하여 통공(53')에서 나사(56)로 문막이겸용의 상축(57)의 하단부를 취부하는데, 이상축(57)은 창짝틀(B)의 상측지지체(58)의 부재를 구성하고, 상측지지체(58)는 외통(59)에 내통 및 상기 상축(57)을 순차적으로 관삽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외통(59)의 종방향 중간위치에는 한쌍의 받침편(61)을 돌설하며, 이 받침편(61)을 선대(8)의 상기 부편(8a)에 천공한 한쌍의 통공(62)에 관통시켜 제10도에서와 같이 선대(8), 즉 창짝틀(B)의 상부를 받아 지지하고, 제1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외통(59)은 제 8 도의 나사(63)로 선대(8)에 이동가능하게 지착한다. (제 8 도에서 외통은 도시안됨)또한 하부에는 넛트(64)를 나합시켜 외통(59)으로부터 제 9 도에서와 같이 하측으로의 벗겨짐을 방지하도록 한 내통(60)의 상부에는 걸이호차용 고정간(65)을 취부한다. 이 걸이호차용 고정간(65)은 제 8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측편(65a)을 두고, 이 측편(65a)의 상부에 걸이호차(66)를 구름자재로 축지시키며, 상부 안내레일(67)의 끝단 절곡부(67a)사이에 위치결정을 위해 측편(65a)을 끼워 맞추고, 걸이호차(66)를 상기 윗틀(1)에 형성한 상부 안내레일(67)에 얹어 놓는다. 또한, 상측의 연결편과 같은 구조로써 하측연결간(51)이 접속편(68)의 일단(68a)에 연결되고 상측의 접속편(53)과 대략 똑같이 구성되는 이 접속편(68)의 타단부를 상측의 연결구성과 같이 선대(8)의 외부로 돌출시켜 문막이겸용의 하축(70)의 선단과 취부한다.
또한 이 하축(70)은 창짝틀(B)의 하측지지체(71)의 부재를 포함 구성하고, 이 하측지지체(71)는 외통(72)에 내통(73)및 상기 하축(70)을 순차적으로 관삽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외통(72)의 종방향 중간위치에 상측지지체(58)와 똑같이 한쌍의 받침편(61')을 돌설하고, 이 받침편(61')을 선대부편(8a)에 천공한 한쌍의 통공(62')에 관삽시킴으로써 창짝틀(B)의 하부를 받아 지지하게 된다. 이 외통(72)은 나사(63)로 선대(8)에 이동자재는 지착하며, 이 외통(72)에 감삽하여 나사(74)로 외통(72)에 지착시킨 내통(73)의 하단을 창짝틀 하부 안내부재(75)의 기재(76)에 관통시킴으로써 이 기재(76)를 내통(73)에 조립 부착케 하는데, 제 6 도, 제 8 도 및 제 9 도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기재(76)를 횡으로 길게 구성하여 길이방향의 양단 실내끝에 합성 수지재의 안내구(77)를 나사(78)에 의해 이동자재로 취부한다. 이 안내구(77)는 상기 밑틀(2)에 형성된 하부 안내레일(79)에 습동 지착되고, 이 하부 안내레일(79)의 끝단 상향절곡부(79')에 기재(76)의 실내측단부에 형성한 하향절곡편(76')을 보강용으로 계합시키며, 또한 하부 안내레일(79)의 끝단 절곡부(79')의 양단에는 상기 안내구(77)보다 큰폭으로 한 절결부(80)를 구성한다. 이와같이 걸이호차(66)및 안내구(77)는 상부 안내레일(67)과 하부 안내레일(79)에 각각 계합된다.
또한 제 3 도, 제 6 도 및 제 8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윗틀(1)과 밑틀(2)의 양단에는 제 1 위치결정재(82)(82')를 나사(83)로써 각각 고착하고, 이 제 1 위치결정재(82)(82')에는 창짝개폐를 규제하고 있는 상축(57)과 하축(70)이 감탐할 수 있도록 횡장장공(81)(81')을 각각 천공한다. 또한, 위틀(1)및 밑틀(2)중간의 적당한 위치에 제 2 위치결정재(84)(84')를 서로 대향하게 나사(83)로써 고착하며, 상측의 제 2위치결정재(84)에서는 점차 상항경사하고, 또한 하측의 제 2위치결정재(84')에서는 점차 하향경사하도록 하는 안내경사연(a)과 이 각 안내경사연(a)의 중앙에는 상축(57)및 하축(70)의 계합공(85)(85')을 형성시켜서 구성한다.
한편 제 9 도의 중간부위에서 도시한 도번 86,86'는 창짝개폐기구(D)의 상측 및 하측연결간(50)(51)의 각각에 취부한 안내편이고,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도번 87은 선틀(3)의 실외측에 취부한 걸림부재로써, 창짝틀(B)을 잡아 끌어 당길때 선대(8)의 실외측에 형성된 굴곡편(88)을 이 걸림부재(87)에 압접하여 선대(8)를 선틀(3)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위치결정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윗틀(1), 밑틀(2)의 양방에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면 그 어느 것이든 한쪽에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이하에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9 도의 상축(57)및 하축(70)의 단부에 위치하는 각 통공(53')(68')은 상축(57)및 하축(70)의 상하 움직임을 조정하는 것이고, 또한 각각 상, 하측 연결간에 평행한 선상에 위치하는 통공(55)(55')은 각 나사(56)(69)를 중심으로 하여 각 상. 하 접속편(53)(68)을 회전조작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그런데 창짝틀(B)을 닫을 때에, 제 3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금으로 단면을 표시한 상.하 결림편(29)(30)과 상. 하부시(31)(32)의 계합관계 및 선대 굴곡편(88)의 걸림부재(87)에 대한 압접관계에 따라서 창짝틀(B)의 윗막이대(6), 밑막이대(7), 및 선대(8)가 창틀(A)의 개구부(4)의 주연부에 취부한 기밀재(5)에 압접한다. 또한, 창짝틀(B)의 중간선대(9)에 설한 기밀재(5')가 접속간(11)에 압접되어 창짝틀(B)은 기밀상태에서 닫히게 되는데, 이때 제 7 도에서의 잠금핸들(33)을 조작하여 걸림편(29)(30)이 부시(31)(32)로 부터의 계합상태를 해방, 즉 잠금핸들(33)을 핀(17)을 중심으로 상향회전시키면 제 1 전동편(16a)에 둔 제 1 돌출편(18)의 감합편(20)은 연결편(23)의 연결요홈(24)에 계합되고 있으므로 이 계합관계에 의해 연결편(23)은 하강하고, 이 연결편(23)이 하강함에 따라 상측연결대(22)도 하강하여 걸림편(29)은 부시(31)로 부터 이탈된다.
한편, 제 1 전동편(16a)의 제 2 돌출편(18')에 돌출된 감합편(20')은 제 2 전동편(16b)의 연결요홈(28)에 계합되어 있으므로 제 2 전동편(16b)은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 2 전동편(16b)의 감합편(21)과 연결편(26)의 연결요홈(27)에 있어서의 계합관계에 의해 연결편(26)은 상승하므로 하측연결대(25)가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하측부시(32)로부터 이탈한다. 이와같이 하여 걸림편(29)(30)의 부시(31)(32)와의 계합상태를 해방하여 잠금핸들(33)을 실의 방향으로 누르면 각 선대(8)에 설치한 제 3 도에서의 상축(57)및 제 6 도에서의 하축(70)은 각각 제 1 위치결정재(82)(82')의 횡장장공(81)(81')을 따라 창짝의 중앙방향으로 이동하므로써 창짝틀(B)과 창틀(A)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틈새의 크기는 장공(81)(81')의 흠길이에 의한다)가 만들어질 수 있어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창짝틀(B)의 일방의 조작핸들(36)을 실내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편(40)에 취부한 핀(41)은 상측 연결편(42)을 강하시키고, 이 상측연결편(42)에 연결된 상측연결간(50)에 접속편(53)을 끼워 연결한 상축(57)도 하강하여 제 8 도 및 제 9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결정재(82)의 장공(81)으로부터 이탈하는 한편 상측연결편(42)의 하강에 따라 연계편(48)은 하측연결편(49)을 상승시키고, 이 하측연결편(49)의 상승에 따라 하측연결간(51)이 상승된다. 따라서 하축(70)은 제 1 위치결정재(82')의 장공(81')으로부터 이탈되고, 이 한쪽의 창짝틀 선대부는 상측 및 하측의 안내레일(67)(79)을 따라 회동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위치결정재(84)(84')에서 조작핸들(36)을 역방향으로 조작하여 상축(57)및 하축(70)을 위치 결정재(84)(84')에 계합시키면 창짝틀(B)의 중절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창짝틀(B)양쪽의 선대(8)에 설치된 각 상. 하축(57)(70)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위치결정재(84)(84')에 계합시키면 창틀(A)의 중간위치에서 중절상태를 얻고, 좌우 어느 한쪽의 조작핸들(36)을 상술한 바와같이 조작함에 따라 창틀(A)의 선틀(3)중 한쪽에서만의 중절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창틀(A)에 대한 창짝틀(B)을 들어내는 것은 나사(52)를 상하측 연결간(50)(51)으로 부터 해체하고 접속편(53)(68)과 상. 하측 연결간(50)(51)과의 결합관계를 해체하여, 나사(63)를 밖으로 풀어내고 상측지지체(58)와 선대(8)와의 결합관계를 창짝틀(B)을 집어 올리도록 하여 들어내면, 창짝틀(B)은 창틀(A)에서 밖으로 들어나게 되고 또한 이와같이 하여 창짝틀(B)을 창틀(A)로부터 들어낸 후 나사(78)를 풀어서 아낸구(77)을 기재(76)로부터 밖으로 들어내고 이 안내구(77)를 절결(80)을 거쳐 안내레일(79)에 습감시키고 나사(78)에 의해 기재(76)에 조립 부측하는 등 필요에 따라 안내구(77)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좌. 우 어느쪽이나 편리한 대로 선태하여 창을 개방 할 수가 있으므로 유리의 청소를 실내에서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콘트롤설비가 없는 빌딩등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1)
- 걸이호차(66)및 안내구(77)는 상부 안내레일(67)과 하부안내레일(79)에 각각 계합되고, 창짝개폐를 규제하고 있는 상축(57)과 하축(70)이 감탈하는 횡장장공(81)(81')이 있는 제 1 위치결정재(82)(82')는 윗틀(1)과 밑틀(2)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윗틀(1)및 밑틀(2)의 중간에 제 2위치결정재(84)(84')를 고정설치하되 이 위치결정재(84)(84')의 표면부를 경사지도록 하여 안내 경사연(a)이 형성된 통공(85)(85')을 천공하여 창짝을 중간위치에 순쉽게 중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절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6971U KR870000545Y1 (ko) | 1982-12-09 | 1986-11-01 | 중절창(中折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20005513A KR840002947A (ko) | 1982-12-09 | 1982-12-09 | 중절창(中折窓) |
KR2019860016971U KR870000545Y1 (ko) | 1982-12-09 | 1986-11-01 | 중절창(中折窓)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20005513A Division KR840002947A (ko) | 1982-12-09 | 1982-12-09 | 중절창(中折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0545Y1 true KR870000545Y1 (ko) | 1987-02-19 |
Family
ID=2662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16971U KR870000545Y1 (ko) | 1982-12-09 | 1986-11-01 | 중절창(中折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70000545Y1 (ko) |
-
1986
- 1986-11-01 KR KR2019860016971U patent/KR87000054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53420A (en) | Casement window | |
US5941021A (en) | Louver-type window and slat therefor | |
US3504456A (en) | Adjustable weather sealing rail for doors | |
US3318360A (en) | Window with blind | |
EP0510855B1 (en) | Sealing device for doors | |
US6293330B1 (en) | Universal head rail | |
US6506112B1 (en) | Ventilator for a glass block window and associated products | |
KR870000545Y1 (ko) | 중절창(中折窓) | |
US20030101653A1 (en) | Shutter with louvers pivoted by slotted pivot bar extending along an end of the louvers | |
KR870000546Y1 (ko) | 중절창(中折窓) | |
EP1195482B1 (en) | Device for operating a closing mechanism of a window | |
US5927365A (en) | Multi-directional window covering apparatus | |
GB2190414A (en) | Windows | |
JPH0138239Y2 (ko) | ||
JPH09273361A (ja) | 出入り口の開き扉 | |
JP3924139B2 (ja) | 上げ下げ窓 | |
JPH026231Y2 (ko) | ||
JPH11350837A (ja) | 連窓構造 | |
JPH0225914Y2 (ko) | ||
US2217248A (en) | Metallic window construction | |
KR960005636B1 (ko) | 창호 시스템 | |
US1201885A (en) | Window-screen. | |
US474122A (en) | Alexander godfrey | |
JPS6349500Y2 (ko) | ||
JPS6346620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40214 Year of fee payment: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