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272Y1 -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 변조 장치 - Google Patents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 변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272Y1
KR870000272Y1 KR2019860015603U KR860015603U KR870000272Y1 KR 870000272 Y1 KR870000272 Y1 KR 870000272Y1 KR 2019860015603 U KR2019860015603 U KR 2019860015603U KR 860015603 U KR860015603 U KR 860015603U KR 870000272 Y1 KR870000272 Y1 KR 870000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or
output
input
pulse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5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배인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5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 H02P7/29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using puls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waveform of the supplied voltage or current
    • H02P2209/09PWM with fixed limited number of pulses per peri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12Pulse or frequency cou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 변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3도는 제3도 장치의 상세한 회로도.
제4도는 종래 장치의 예시도.
제5도는 종래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본 고안은 직류 전동기용 펄스폭 변조(PWM)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간 지연이 없는 직류 전동기용 PWM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직류 전동기에 가변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직류 전동기의 정·역 회전방향 제어를 하기 위하여 직류 전동기의 전원 회로로서는 브릿지 형태 접속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였고 브릿지 접속의 스위칭 소자들 중 정회전 방향용 스위칭 소자와 역회전 방향용 스위칭 소자가 동시에 도통될 시는 전원이 단락되어 스위칭 소자가 파손되므로 정방향 및 역방향용 스위칭 소자가 동시에 도통되지 않도록 시간 지연을 이용한 PWM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시간지연을 콘덴서와 저항의 시정수에 의하여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시간 지연의 정밀한 제어가 어렵게 되며 특히 논리소자(AND 게이트등)등으로 회로 구성을 하여야 하므로 그 회로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제조 원가가 매우 높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 장치의 구성을 극히 간단히 함과 동시에 콘덴서와 같은 용량 소자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어를 정밀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논리소자(AND 게이트등)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 제조원가를 매우 저렴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량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집적화가 극히 용이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비교기(3, 4)에는 소정 듀티의 삼각파(제5b도와 직류 모터(13)의 구동지령 전압(제5a도)이 가해지는 데 비교기(13)의 출력은 삼각파가 지령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될 때의 기간 동안에 펄스 파형(제5c도)를 발생하며, 비교기(4)의 출력은 삼각파가 지령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될 때의 기간 동안에 펄스파형(제5f도)을 발생한다.
이러한 펄스파형들은 각각 앤드(AND) 게이트(7, 8)에 입력되며 앤드게이트(5, 6)의 타측 입력에는 이러한 펄스파형이 저항과 콘덴서로 형성된 지연회로(5,6)에서 저항과 콘덴서의 시정수(ㄷ)만큼 지연된 펄스 파형이 입력되므로 앤드 게이트(7)에서의 출력은 제5e도와 같은 펄스가 발생되고 앤드 게이트(8)에서의 출력은 제5h도와 같은 펄스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제5e도의 펄스의 귀선과 제5h도의 펄스의 소인선 사이에는 시청수 (ㄷ)만큼의 휴지시간(TD)이 발생하게 된다.
앤드 게이트(7)에서의 출력펄스 기간동안에는 트랜지스터(9, 12)가 도통되고 앤드 게이트(8)에서의 출력펄스 기간동안에는 트랜지스터(10, 11)가 도통되어 부하인 직류모우터(13)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의 인가 방향이 바뀌게 되어 정·역 회전 방향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휴지시간(TD)을 정확히 제어하기가 어렵고 또한 논리소자의 사용이 불가피하므로 장치의 제조 원가가 높아질 뿐 아니라 그 회로가 복잡하고 특히 지연회로(5, 6)에서 콘덴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집적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면 제2b도와 같은 삼각파를 비교기(3)의 "+"입력 및 비교기(4)의 "-"입력에 인가하고, 소정 지령치를 "+"방향의 레벨변위기(16)를 통하여 비교기(3)의 "-"입력에 그리고 "-"방향의 레벨변위기(17)를 통하여 비교기(4)의 "+"입력에 연결하되 비교기(3)의 출력을 스위칭 소자(9,12)에 연결하며, 비교기(4)의 출력을 스위칭 소자(10, 11)에 연결하여된 것이다.
"+" 방향의 레벨변위기(16)의 출력은 제2a도의 C+가 되고 레벨변위(17)의 출력은 제2a도의 C-가 된다.
따라서 비교기(3)의 출력 까형은 제2c도와 같이 되며 비교기(4)의 출력 파형은 제d2도와 같이 되는 것이다.
제2c도와 제2d도의 출력파형 사이에는 휴지시간(TD)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제3도에서는 제1도의 상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레벨변위기(16, 17)의 구성이 단지 두 개의 저항(16R, 16R',17R, 17R')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 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직류 모터구동용 PWM 장치를 안전하게 구동시킴과 동시에 지연회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더우기 콘덴서와 같은 용량 소자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정밀 제어가 용이함과 동시에 제조 단가로 극히 저렴하게 되고 특히 집적화가 가능하게 되는 작용효과 가있다.

Claims (1)

  1. 삼각파를 비교기(3)의 +입력 및 비교기(4)의-입력에 인가하고, 소정지령치를 +방향의 레벨 변화기(16)를 통하여 비교기(3)의 -입력에 그리고 -방향의 레벨변위기(17)를 통하여 비교기(4)의 +압력에 연결하되 비교기(3)의 출력을 스위칭 소자(9,12)에 연결하며, 비교기(4)의 출력의 스위칭 소자(10,11)에 연결하여 된 직류전동기용 펄스 폭 변조 장치.
KR2019860015603U 1984-08-09 1986-10-13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 변조 장치 KR870000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603U KR870000272Y1 (ko) 1984-08-09 1986-10-13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 변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770A KR860002177A (ko) 1984-08-09 1984-08-09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변조장치
KR2019860015603U KR870000272Y1 (ko) 1984-08-09 1986-10-13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 변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770A Division KR860002177A (ko) 1984-08-09 1984-08-09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변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272Y1 true KR870000272Y1 (ko) 1987-02-11

Family

ID=266273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770A KR860002177A (ko) 1984-08-09 1984-08-09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변조장치
KR2019860015603U KR870000272Y1 (ko) 1984-08-09 1986-10-13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 변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770A KR860002177A (ko) 1984-08-09 1984-08-09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변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6000217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177A (ko) 1986-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2393A (en) Modulation scheme for PWM-type amplifiers or motors
EP0430044A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inverter
KR900015423A (ko) 스위치 모드 전환회로
US4523268A (en) Method and circuit for generating drive pulses for a DC control element
KR870000272Y1 (ko) 직류 전동기용 비지연 펄스폭 변조 장치
DE69311507D1 (de) Motorsteuerungsanordnung und Rasierapparat mit einer solchen Motorsteuerungsanordnung
EP0613237A1 (en) Bidirectional chopper transconductance amplifier
EP1035642B2 (de) Pulsweitenmodulation zum Betrieb eines Drehstromumrichters für Drehstrommotoren
US3984740A (en) Switching circuits using operational amplifiers
DE3639495A1 (de) Beschaltung der schalter von pulswechselrichtern und gleichstrom-halbleiterstellern fuer den mehrquadrantenbetrieb
GB2109184A (en) Controlling conduction of semiconductor device
US6201716B1 (en) Controller of power supplying apparatus with short circuit preventing means
GB2105122A (en) A DC voltage converter
KR19980074228A (ko) 직류모터의 전류제어 장치 및 방법
KR940003721Y1 (ko) 스텝모터 구동전류 제어회로
US5648896A (en) Inverter device using capacitance for controlling waveform slew during voltage polarity transitions
US6066942A (en) DC-to-DC converter
JPH0524415Y2 (ko)
KR830001119Y1 (ko) 펄스폭 변조 인버터를 이용한 전동기 구동장치
SU12823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шаговым двигателем
KR870000125B1 (ko) 직류 전동기용 pwm 구동장치
KR100292484B1 (ko) 에스알모터의구동회로
JP2783929B2 (ja) ステアリング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SU1658358A1 (ru) Многодвигательн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JPH08307230A (ja) ゲート信号発生回路と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