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177Y1 - 조명등의 자동 점소등 회로 - Google Patents

조명등의 자동 점소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177Y1
KR870000177Y1 KR2019840007164U KR840007164U KR870000177Y1 KR 870000177 Y1 KR870000177 Y1 KR 870000177Y1 KR 2019840007164 U KR2019840007164 U KR 2019840007164U KR 840007164 U KR840007164 U KR 840007164U KR 870000177 Y1 KR870000177 Y1 KR 870000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nand gate
cds
resistor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102U (ko
Inventor
김경창
연성흠
Original Assignee
중앙개발주식회사
이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개발주식회사, 이종규 filed Critical 중앙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7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177Y1/ko
Publication of KR860002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1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05Outdoor lighting of working places, building sites or the lik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명등의 자동 점소등 회로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감지부 2,2' : 채터링방지부
3,3' : 지연부 4 : 비교부
5 : 릴레이구동부 6,6' : 동작표시부
CdS1,CdS1' : 광저항소자 R1-R13,R1'-R5,R8'-R10' : 저항
VR1,VR1' : 가변저항 C1,C1' : 콘덴서
D1: 다이오드 N1-N5,N1-N4' : 낸드게이트
I1-I4,I1'-I2' : 인버터게이트
LED1-LED3,LED1'-LED2' : 발광다이오드
본 고안은 빌딩사무실등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사무실내의 조도가 기준조도이상일 때에는 조명등을 자동소등하고 기준조도 이하일 때에는 조명등의 자동점등시키도록한 조명등의 자동점소등회로에 대한 것이다.
각종 빌딩이나 일반사무실의 조명장치는 중앙제어반에 의해 주간근무시간에는 항시 그습관적으로 전 조명등을 점등시키도록 되어있으나, 이는 외부 태양광이 사무실내로 충분히 입사되어 실내조도가 필요한 기준조도(약 300-400룩스) 이상으로 유지되는 한낮에도 전조명등이 점등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폐단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광저항소자를 사용하여 실내등이나 또는 가로등등을 주위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점소등시키도록 한 광선식 점소등장치가 있으나, 광저항소자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신호를 처리함에 있어서, 전원노이즈 입력시나 주위조도가 급격히 변화할시 상기의 감지신호에 발생하는 채터링(chatter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점소등장치가 순간적으로 오동작을 하거나 또는 주위조도가 기설정된 기준조도와 비슷해지는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주위조도가 변화할 경우 이에 따라 실내등이 수시로 깜박거리게 되어 이 실내등의 열화를 촉진시키고 제품기능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위조도에 따라 변화되는 광저항소자의 감지신호에 발생할 수 있는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신호를 일정시간동안 지연시킨 상태에서 처리함으로써 기준조도부근에서 순간적으로 변화되는 실내조도에 의해 조명등이 수시로 깜박거리는 취약점을 해소시킨 상태에서 각종 빌딩이나 일반사무실의 조명장치를 주위의 조도에 따라 자동점소등시킬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은 사무실내에 2개의 센서를 설치한 경우에 대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저항(R1-R3)(R1'-R3'), 광저항소자(CdS1)(CdS1') 및 가변저항(VR1)(VR1')으로 된 각 감지부(1)(1')를 낸드게이트(N1-N2)(N1'-N2') 및 저항(R4)(R4')으로 된 채트링방지부(2)(2')를 통해 낸드게이트(N3-N4)(N3'-N4'), 저항(R5)(R5') 및 콘덴서(C1)(C1')로 된 지연부(3)(3')에 각각 연결하고, 각 지연부(3)(3')의 출력단을 저항(R8-R10)(R8'-R10'), 인받터게이트(I1-I2)(I1'-I2') 및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1'-LED2')로 된 동작표시부(6)(6')에 각각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6-R7)과 낸드게이트(N5)로 된 비교부(4)에 연결하며, 이 비교부(4)의 출력단을 저항(R11-R13), 인버터게이트(I3-I4), 발광다이오드(LED3), 트래지스터(Q1), 다이오드(D1) 및 릴레이(RY)로 된 릴레이구동부(5)에 연결하고, 릴레이(RY) 접점(S)을 통상의 마그네트스위치(MS)에 연결한 구성으로서, 미설명 부호중 Vcc는 직류전압 공급출력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로동작상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실내조도가 기준조도이하일 경우, 사무실내의 적정장소에 설치된 2개의 광저항소자(CdS1)(CdS1')가 모두 ‘오프’(즉 저항치가 커짐)되므로, Vcc전압이 각각 감지부(1)(1')내의 저항(R1-R2)(R1'-R2'), 광저항소자(CdS1)(CdS1')와 기준조도선택용 가변저항(VR1)(VR1')의 직열저항회로에 의해 분압되고 저항(R3)(R3')을 통과한 후의 전압은 각각 “LOW″레벨상태로 되어 채터링방지부(2)(2')로 입력된다. 이 때, 채터링 방지부(2)(2')내의 직렬연결된 낸드게이트(N1)(N2)는 각각 반성버퍼로 사용되며, 그 출력은 입력신호의 조건만을 전하고 전기적인 상호영향이 없게 됨으로써 전원노이즈입력에 따라 Vcc전원에 발생하는 노이즈나 외부조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각 광저항소자(CdS1)(CdS2)의 급격한 저항치변화에 의해 채터링 방지부(2)(2')로 입력되는 신호에 발생하는 채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다.
한편, 감지부(1)(1')내의 가변저항(VR1)(VR1')은 실내의 기준조도를 조명조건에 따라 약 200-500룩스 사이에서 적당히 가변하여 설정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조도선택용 가변저항이다.
이렇게 각 채터링방지부(2)(2')를 통해 각 지연부(3)(3')로 입력되는 “LOW″레벨상태의 각 입력신호는 지연부(3)(3')내의 각 낸드게이트(N3-N4)(N3'-N4')의 구성에 의해 모두“HIGH″레벨상태로 기억되나, 이때 가 지연부(3)(3')의 출력레벨은 각각의 저항(R5)(R5') 및 콘덴서 (C1)(C1')에 의한 시정수(약 3 초정도임) 만큼 지연된 상태에서 “HIGH″레벨로된 후 각각 비교부(4)내의 저항(R6)(R7)을 통해 낸드게이트(N5)로 각각 입력되며, 이와동시에 동작표시부(6)(6')내의 저항(R8)(R8'), 각각 직렬연결된 인버터게이트(I1-I2)(I1'-I2') 및 저항(R10)(R10')을 통해 각각 발광다이오드(LED2)(LED2')로 입력되어 이 발광다이오드(LED2)(LED2')를 발광시킴으로서 실내조도가 기준조도 이하임을 표시해 주게 된다. 한편 전술한 지연부(3)(3')를 설치하는 이유는 실날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조도와 비습해지는 시점에서 순간적인 실날조도의 변화로 인해 조명등이 깜박거리게 되는 과민동작을 방지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비교부(4)내의 낸드게이트(N5)의 입력이 모두“HIGH″레벨로 됨에 따라 이 낸드게이트(N5)의 출력은 “LOW″레벨로 되고, 릴레이구동부(5)내의 인버터게이트(I3)를 통해 다시“HIGH″레벨로 반전되어 릴레이 구동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3)를 발광시킴과 동시에, 저항(R11) 및 인버터게이트(I4)를 통해 역시“HIGH″레벨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됨으로써 이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어 릴레이(RY)가 구동되는데, 이에 의해 릴레이접점( S )이 ‘온’됨으로서 통상의 조명등 전원공급회로제어용 마그네트스위치(MS)를 ‘온’시켜 주게 되므로 이 마그네트스위치(MS)에 의해 AC구동전원을 공급받도록된 실내의 조명등이 동시에 점등되는 것이다.
둘째, 실내조도가 기준조도 이상일 경우.
실내에 설치된 2개의 광저항소자(CdS1)(CdS1')가 모두 ‘온’되어 그 저항치가 작아지므로, Vcc전압이 각 감지부(1)(1')내에서 분압되고, 채터링 방지부(2)(2')에서 채터링제거 된 출력전압은 각각“HIGH″레벨로 되어 각 지연부(3)(3')로 입력되는데, 이 “HIGH″레벨 전압은 다시 전술한 바와 동일한 회로동작에 의해 각 지연부(3)(3')내에서 일정시간동안 지연된 상태에서 비교부(4)내의 저항(R6)(R7)을 통해 낸드게이트(N5)로 입력됨과 동시에 동작표시부(6)(6')내의 저항(R8)(R8'), 인버터게이트(I1)(I1') 및 저항(R9)(R9')를 통해 각각 발광다사오드(LED1)(LED1')를 발광시킴으로서 실내조도가 기준조도이상임을 표시해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비교부(4)내의 낸드게이트(N5)의 입력이 모두“LOW″레벨상태로 됨으로써 이 낸드게이트(N5)의 출력은“HIGH″레벨로 되고, 다시 릴레이구동부(5)내의 인버터게이트(I4)를 통해“LOW″상태로 반전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오프’되며, 이에 의해 릴레이(RY)도 ‘오프’되어 결국 마그네트스위치(MS)를 ‘오프’시켜주게 되므로 실내의 조명등이 소등되는 것이다.
셋째, 실내조도가 기준조도와 비슷하여 실내에 설치된 2개의 광저항소자(CdS1)(CdS1')중에 어느 한개만이 ‘온’된 경우.
이 경우 감지부(1)(1')내의 광저항소자(CdS1)(CdS1')중 하나는 ‘온’상태로 다른 하나는 ‘오프’상태가 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한 회로동작에 의해 비교부(4)내의 낸드게이트(N5)의 일측입력이 “LOW″레벨로, 그리고 이 낸드게이트(N5)의 타측입력은 “HIGH″레벨로 됨으로써, 결국 낸드게이트(N5)의 출력은 “HIGH″레벨로 되어 실내조도가 기준조도 이상일 경우와 동일하게 됨으로서 실내의 조명등은 소등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빌딩사무실의 실내조명등을 기설정된 기준조도에 의해 자동으로 점소등시킴으로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사무실조건에 따라 설치방법의 변경이 용이한 것으로, 예를들어 전체조명등중에 일부만을 점소등시키도록 하거나, 조그만 사무실의 경우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광저항소자를 1개만을 설치사용하거나 또는 넓은 부무실의 경우에는 실내공간을 여러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여러개의 광저항소자를 분산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기설정되는 기준조도부근에서 순간적인 실내조도의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조명등의 깜박거림같은 과민반응을 제거시킨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실내조도에 따라 조명등을 자동으로 점소등하도록 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광저항소자(CdS1)(CdS1') 및 기준조도 설정용 가변저항(VR1)(VR1')으로 된 통상의 각 감지부(1)(1')를 각각 낸드게이트(N1-N2)(N1'-N2') 및 저항(R4)(R4')으로 된 각 채터링 방지부(2)(2')를 통해 낸드게이트(N3-N4)(N3'-N4'), 저항(R5)(R5') 및 콘덴서(C1)(C1')로 된 각 지연부(3)(3')에 차례로 연결하고 상기의 각 지연부(3)(3')의 출력단을 저항(R6)(R7)과 함께 비교부(4)를 구성하는 낸드게이트(N5)의 양측입력단에 연결하는 한편, 인버터게이트(I1-I2)(I1'-I2') 및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1'-LED2')로 된 각 동작표시부(6)(6')에 차례로 연결하며, 상기의 낸드게이트(N5)의 출력단을 인버터게이트(I3-I4), 발광다이오드(LED3), 트랜지스터(Q1) 및 그 접점이 마그네트스위치치(MS)에 연결된 릴레이(RY)로 구성된 통상의 릴레이구동부(5)에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의 자동점소등회로.
KR2019840007164U 1984-07-25 1984-07-25 조명등의 자동 점소등 회로 KR870000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164U KR870000177Y1 (ko) 1984-07-25 1984-07-25 조명등의 자동 점소등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164U KR870000177Y1 (ko) 1984-07-25 1984-07-25 조명등의 자동 점소등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102U KR860002102U (ko) 1986-03-15
KR870000177Y1 true KR870000177Y1 (ko) 1987-02-09

Family

ID=1923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164U KR870000177Y1 (ko) 1984-07-25 1984-07-25 조명등의 자동 점소등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1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102U (ko) 198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1405A (en) Photoelectrically controlled corner light system for a vehicle
KR870000177Y1 (ko) 조명등의 자동 점소등 회로
KR900001693B1 (ko) 형광등 자동 조광장치
JPH05152077A (ja) 自動調光システム
JPS6253255A (ja) 自動車のオ−トライトコントロ−ル装置
KR200163930Y1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0180312B1 (ko) 자동차의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910005254Y1 (ko) 자동 조명장치
JPH0123863Y2 (ko)
KR0153093B1 (ko) 조도적응식 제동램프 밝기제어회로
KR920004750Y1 (ko) 교통신호등 야간전력절약회로
KR970006508Y1 (ko) 자동판매기의 형광등 제어회로
KR100187418B1 (ko) 조도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포그램프의 스위칭회로
KR19980030022U (ko) 타이머와 선스위치를 사용한 야간조명 제어장치
KR920004450Y1 (ko) 카오디오의 자동조명 조절회로
CA1264351A (en) Controlling lighting elements in response to ambient light intensity
KR860002364Y1 (ko) 광전식 자동점멸기
KR0139449B1 (ko)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
KR200200366Y1 (ko) 전등 자동 점멸장치
KR870002638Y1 (ko) 광 제어형 자동스위치장치
KR0153094B1 (ko) 조도적응식 제동램프 밝기제어회로
KR890004624Y1 (ko) 자동차 전조등의 자동 점멸장치
KR0142322B1 (ko) 차속감응식 상향전조등 자동절환점등제어장치
JPH0366170B2 (ko)
GB2266141A (en) Hazard light control with hyster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