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4107A - 내충격성 블렌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블렌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4107A
KR860004107A KR1019850008925A KR850008925A KR860004107A KR 860004107 A KR860004107 A KR 860004107A KR 1019850008925 A KR1019850008925 A KR 1019850008925A KR 850008925 A KR850008925 A KR 850008925A KR 860004107 A KR860004107 A KR 860004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
graft copolymer
mentioned
monomer
graf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697B1 (ko
Inventor
알. 무어 유진 (외 1)
Original Assignee
리챠드 지. 워터맨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7158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6000410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챠드 지. 워터맨,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filed Critical 리챠드 지. 워터맨
Publication of KR86000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10Dischargers used for production of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충격성 블렌드 조성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5)

  1. 매트릭스,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를 갖는 제1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를 갖는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블렌드 조성물에 있어서, (a) 언급된 매트릭스가,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1종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제1단량체 혼합물로 부터 중합된 인터폴리머로 이루어지고, (b) 언급된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가, 자체에 그래프트된 인터폴리머의 주로 연속 시쇄를 가지며, 언급된 인폴리머는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1종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제2 단량체 혼합물로 부터 중합된 것이고, 언급된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주쇄표면의 ㎠당 0 내지 7.0 ×10-7g미만의 지쇄를 가지며, (c) 언급된 제2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가, 자체에 그래프트 된 인터폴리머의 주로 연속지쇄를 가지며, 언급된 인터폴리머는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1종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제3단량체 혼합물로 부터 중합된 것이고, 언급된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주쇄표면의 ㎠당 0 내지 20.0 ×10-7g의 지쇄를 가지며,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은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과는 상이하고, 단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주쇄표면의 ㎠당 7.0 ×10-7g 내지 20.0 ×10-7g의 그래프트된 지쇄를 갖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1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주쇄 표면의 ㎠당 0 내지 0.7 ×10-7g미만의 그래프트된 지쇄를 가져야 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특정량의 지쇄를 갖는데, 그 특정량이 주쇄표면의 ㎠당 0 내지 7.0 ×10-7g미만이며, 언급된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이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과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언급된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특정량의 지쇄를 갖는데, 그 특정량이 주쇄표면의 ㎠당 7.0 ×10-7g미만이며, 이러한 양은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의 1.5배 이상이 되는 블렌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언급된 제1, 제2 및 제3단량체 혼합물중의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가 스티렌인 블렌드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언급된 제1, 제2 및 제3 단량체 혼합물이,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1종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언급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블렌드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언급된 제1및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가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 공액화 디올레핀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 부터 중합되는 블렌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언급된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가 스티렌이고, 언급된 공액화 디올레핀 단량체가 1,3-부타디엔이며, 언급된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가 아크릴로니트릴인 블랜드 조성물.
  8. (a)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1종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제 1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인터폴리머의 매트릭스를 제조하고, (b) 그래프트된 인터폴리머의 주로 연속지쇄를 갖는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로 이루어진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고[여기서, 언급된 인터폴리머는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1종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제2단량체 혼합물로 부터 중합되고, 언급된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주쇄표면의 ㎠당 내지 7.1×10-7g미만의 지쇄를 갖는다]:(c) 그래프트된 인터폴리머의 주로 연속 지쇄를 갖는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로 이루어진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여기서, 언급된 인터폴리머는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1종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제3 단량체 혼합물로 부터 중합되고, 언급된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주쇄표면의 ㎠당 내지 2.0×10-7g의 지쇄를 가지며,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은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과는 다르며, 단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주쇄표면의 ㎠당 7.0×10-7내지 2.0×10-7g의 그래프트된 지쇄를 갖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1 그래프트공중합체는 주쇄표면의 ㎠당 내지 7.1×10-7g 미만의 그래프트된 지쇄를 가져야 한다]:(d) 언급된 매트릭스, 제1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제2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블랜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블랜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단계(c)에서의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특정량의 지쇄를 갖는데, 그 특정량이 주쇄표면의 ㎠당 내지 7.1×10-7g이고, 언급된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이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과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언급된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특정량의 지쇄를 갖는데, 이 특정량이 주쇄표면이 ㎠당 내지 7.1×10-7g미만이고, 이러한 양은 제1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에 그래프트된 지쇄의 양의 1.5배 이상이 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단량체 혼합물중의 모노빌닐리덴 방향족 단량체가 스티렌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언급된 제1, 제2 및 제3 단량체 혼합물인, 스티렌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1종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언급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언급된 제1 및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성 고무 주쇄가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 공액화 디올레핀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 부터 중합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언급된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가 스티렌이고, 언급된 공액화 디올레핀 단량체가 1,3-부타디엔이며, 언급된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가 아크릴로니트릴인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언급된 블렌드 조성물을, 내충격성-부여량의 제1 및 제2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응집시키기에 충분한 기계적 전단력 및 온도(여기서, 응집된 입자는 5000 내지 100,000마이크론의 직경을 갖는다)에서 가공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50008925A 1984-11-30 1985-11-29 내충격성 블렌드 조성물 KR930007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675684A 1984-11-30 1984-11-30
US676,756 1984-11-30
US676756 1991-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07A true KR860004107A (ko) 1986-06-18
KR930007697B1 KR930007697B1 (ko) 1993-08-18

Family

ID=2471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925A KR930007697B1 (ko) 1984-11-30 1985-11-29 내충격성 블렌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186785B1 (ko)
JP (1) JPS61179253A (ko)
KR (1) KR930007697B1 (ko)
AU (1) AU584945B2 (ko)
DE (1) DE358393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4730A (en) * 1988-04-08 1990-02-27 The Dow Chemical Company Rubber-modified resin blends
AU3618489A (en) * 1988-07-26 1990-02-01 Dow Chemical Company, The Blend comprising epdm and acrylate rubbers having controlled graft levels
JPH076090B2 (ja) * 1988-09-26 1995-01-25 帝人株式会社 改質ポリエステル繊維
KR100217790B1 (ko) * 1991-03-18 1999-09-01 마쯔모또 에이찌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US5574099A (en) * 1991-03-18 1996-11-12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Rubber-reinforced styren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9238A (en) * 1966-03-21 1970-04-28 Monsanto Co Abs graft polyblends containing two graft polymers with different degrees of grafting
DE2420358B2 (de) * 1974-04-26 1980-02-07 Bayer Ag, 5090 Leverkusen Formma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84945B2 (en) 1989-06-08
JPS61179253A (ja) 1986-08-11
DE3583931D1 (de) 1991-10-02
EP0186785A1 (en) 1986-07-09
EP0186785B1 (en) 1991-08-28
KR930007697B1 (ko) 1993-08-18
AU5022985A (en) 198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541A (ko) 내충격 중합체
KR910018467A (ko) 열가소성 성형재료
KR860006506A (ko) 내충격성 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910016793A (ko) 그라프팅 베이스 및 그라프트 시쓰사이의 개선된 부착성을 갖는 미립자 그라프트 중합체
MX9601935A (es) Mezclas de copolimeros de injerto de poliolefina y policarbonato.
GB1476703A (en) Continuous mass polymerization process
KR840000598A (ko)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KR930008051A (ko) 폴리머 혼합물
KR860007639A (ko) 고무 분산 공중합 수지
KR910008079A (ko) 비닐-방향족 중합체를 주제로 한 혼합물
KR890010084A (ko)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GB1477696A (en) Polymeric polyblends
GB1354079A (en) Polyblends
PL342401A1 (en) Butadiene polymer latex
KR860004107A (ko) 내충격성 블렌드 조성물
ES8703902A1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copolimeros injertados a base de polibutadieno
GB1476702A (en) Continuous mass polymerization process
EP0356249A3 (en) Process for producing rubber-modified thermoplastic resin and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odified thermoplastic resin
TW328923B (en) Process for preparing synthetic resin powder having improved blocking resistance
GB1415334A (en) Terpolymers and transparent heat resistant gum plastic utilising them
ES430775A1 (es) Un procedimiento para preparar composiciones polimeras de nitrilo modificadas en sus propiedades de impacto.
KR860004084A (ko) 그래프트 공중합체 입자의 라텍스의 제조방법
KR860004108A (ko) 경-그라프트화 고무보강입자를 갖는 중합체 폴리블렌드 조성물
EP0390081A3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GB1532145A (en) Polymeric polybl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