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482Y1 - 전등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전등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482Y1
KR860003482Y1 KR2019820009609U KR820009609U KR860003482Y1 KR 860003482 Y1 KR860003482 Y1 KR 860003482Y1 KR 2019820009609 U KR2019820009609 U KR 2019820009609U KR 820009609 U KR820009609 U KR 820009609U KR 860003482 Y1 KR860003482 Y1 KR 860003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lamp
casing
straight portion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434U (ko
Inventor
다까시 시까마
도모유끼 야마모도
아쓰오 요꼬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820009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3482Y1/ko
Publication of KR840003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5Holders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등 보호장치
제 1 도는 일반적인 전등보호 회로의 전기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등보호장치에 사용되는 중계 소켓의 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중계소켓의 주요 부품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분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중계소켓의 전채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제 5 도는 제 2 도에서의 Ⅴ-Ⅴ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 6 도는 제 2 도에서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 7 도는 제 4 도의 중계소켓을 개조한 것을 보여주는 분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중계소켓을 제 2 도에서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제 9 도는 제 7 도의 중계소켓을 제 2 도에서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제10도는 제 4 도의 중계소켓을 다시 한번 더 개조한 것을 보여주는 분해도.
제11도는 제10도의 분기소켓을 제 2 도에서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중계소켓을 제 2 도에서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본 고안은 백열등(이후 “전등”이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술하면 점등 개시시의 돌입전류(突入電流)로 부터 전등을 보호하기 위한 전등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등을 점등할 경우에 정격 전류보다 큰 돌입전류가 점화되기 시작하는 전등의 필라멘트에 흐르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전등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될 때와 사용되지 않을 때 사이의 저항값에 극히 큰 차이(약 1 : 10)가 있기 때문에 점등 개시시의 돌입전류는 터무니없이 큰 값에 달하므로, 전등의 필라멘트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른 필라멘트의 열피로로 인해 램프의 수명이 짧아진다.
따라서 전등(2)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부온도계수(NTC) 더어미스터(3)를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1)과 전동(2) 사이에 직렬로 연결시키는 것이 관례적으로 제안되어 왔다.
즉, 다시 말하면 스위치(4)가 폐쇄되는 순간 전등(2)은 작은 저항값(정격치의 약 10%)을 가지므로 만약 NTC 더어미스터(3)가 장착되지 않는다면 큰 돌입전류가 전(2)등의 필라멘트로 흘러 들어갈 것이다.
그러나,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NTC 더어미스터(3)가 장착될 때에는 점등 개시시의 큰 돌입 전류는 작은 값으로 제한되고, 자기 가열로 인해 NTC 더어미스터(3)의 저항이 낮아지는 미리 예정된 시간이 지난 후 전등(2)은 실질적으로 안정된 밝기에 도달한다.
상기와 같이 돌입전류가 전등(2)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게 할 때에는 필라멘트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지 않으므로 필라멘트는 열피로를 덜 받게 되고, 그로 인해 전등(2)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NTC 더어미스터는 전기가 전등에만 공급되는 경우에는 회로중에 설비될 수 있으나, 다른 전기 부품들이 전등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설비될 수 없으므로, 상기의 NTC 더어미스터는 전등에 대한 유용성이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전등에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본질적인 목적은 종래의 전등 보호장치의 고유의 단점들을 제거함과 동시에 전등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이상 전류로 인한 전동의 손상을 막기 위해 어떠한 부수적인 배선작업 또는 특별한 작업을 요하지 않는 전등 보호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실제 사용에 있어서 신뢰도가 높고 낮은 가격으로 대량 생산하기에 적당한 상기 형의 개량된 전등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목적들을 완수함에 있어 소켓에 나사 맞추는 나사부와 전등이 나사 맞추는 소켓부분으로 구성된 중계(中繼)소켓을 포함하는 개량된 전등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중계소켓의 나사부에는 소켓의 중심전극에 연결되는 첫번째 스프링단자, 전등의 중심전극에 연결되는 두번째 스프링단자, 그리고 첫번째와 두번째 스프링 단자들에 연결되는 NTC 더어미스터가 설비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전등의 수명은 배선구조 또는 전등과 소켓의 단면을 변경할 필요없이 중계소켓에 장치된 NTC 더어미스터의 사용에 의해 현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과 특징들은 별첨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다음에 기술된 사항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기술을 진행하기 전에 각 부품들은 별첨의 도면들을 통한 참고번호들에 의해 지적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제 2 도 내지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등 보호장치에 사용되는 중계소켓(11)을 나타내고 있다.
중계소켓(11)은 축방향에 따라 2개로 나누어지는 케이싱(11a)과 케이싱(11b)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1a)과 (11b)는 내열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나사부(13)가 소켓부(15)에 나사 맞추어지도록 외부나사(12)를 가진 나사부재(13)와 내부나사(14)를 가진 소켓부(15)로 되어 있다.
케이싱(11a)에는 이후 기술될 각종 단자들과 NTC 더어미스터(16)가 있고, 케이싱(11b)은 이들 부품들을 덮도록 케이싱(11a) 위에 장착된다.
제 3 도와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싱(11a)은 케이싱(11b)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고 있고, 편평한 접촉면은 실질적으로 나사부재(13)의 직사각형 표면(S1)과 소켓부(15)의 한쌍의 대응된 연장면(S2) 및 (S2')로 되어 있다.
케이싱(11a)은 나사부재(13)로 부터 멀리 떨어질 소켓부(15)의 한쪽측 끝에 인접되도록 대응된 연장면(S2)와 (S2')에 각각 설치된 원통형 돌기(17)와 (17')를 가지고 있다.
케이싱(11a)은 케이싱(11b)의 편평한 접촉면 위에 돌기(17),(17')와 대응되게 형성한 작은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돌기(17),(17')를 끼워 맞춤으로써 케이싱(11b)에 의해 덮히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케이싱(11a)과 케이싱(11b)은 각각 나사부재(13)와 소켓부(15)의 경계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8)과 관통구멍(19)을 일직선상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케이싱(11a)은, 관통구멍(18)과 (19)에 작은 나사(20)를 끼워저 조임으로써 케이싱(11b)에 고정된다.
작은 나사(20)가 자동 래핑나사이면 편리하지만, 케이싱(11a)은 작은 나사와 너트에 의해 케이싱(11b)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 3 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장면(S2)에는 나사부재(13)가 인접되어 그의 한쪽 끝에 형성된 홈(23)과 돌기(17)에 인접되어 형성된 위치결정홀(27)이 있으며, 한편 연장면(S2')에도 상기와 같은 홈(23')과 홈(27')이 있다.
표면(S1)은 주변모서리 부분들이 케이싱(11b)과 접촉되도록 내면(43)과 함께 마련되며 내면(43)에는 대략 중앙부분에 직사각형 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S1)은 소켓부(15)로 부터 멀리 떨어진 한쪽끝에 형성된 홈(38)과 위치결정홈(44)(제 6 도)의 반대쪽에 맞물림 홈(25) 및 (25')가 마련되어 있고, 소켓부(15)에 인접된 다른 한쪽끝에 홈(41)이 마련되어 있다.
직사각형 돌출부(29)와 (30)은 홈(28)의 양측에서 내면(43)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자(21), 지지판(31)에 의해 고정되는 NTC 더어미스터(16)은 실질적으로 U-형인 금구(金具)(34), 스프링단자(37)와 스프링단자(40)는 케이싱(11a) 내에 수용되고, 이하는 제 3 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될 것이다.
접속단자(21)는 밴드형의 판과 같은 기다란 금속판을 구부려 만들어지고, 직선부분(21A), 직선부분(21B) 및 직선부분(21A)와 (21B)를 연결하는 중앙의 구부러진 부분(22)으로 되어 있다.
구부러진 부분(22)은 직선부분(21A)에 대해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직선부분(21B)은 구부러진 부분(22)과는 직각을 이루고 직선부분(21A)과는 평행을 이루고 있다.
직선부분(21A)에는 구부러진 부분(22)과는 반대방향으로 둔각을 이루며, 연장된 구부러진 단부(26)가 있다. 한편, 직선부분(21B)에는 구부러진 부분(22)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직선부분(21B)의 한쪽 끝에 U-형의 단부(24)가 형성되어 있다.
홈(23)과 (23'), 맞물림홈(25)와 (25') 및 위치결정홈(27)과 (27')이 케이싱(11b)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직사각형의 NTC 더어미스터(16)는 직사각형의 지지판(31)에 의해 주위 부분에서 고정된다.
지지판(31)은 미카와 같은 내열성 무기물질 또는 내열성 유기물질로 만들어지며, 직사각형 틀의 형태를 이룬다.
지지판(31)의 각 4변에는 중심부분에서 내부로 연장된 반원형의 돌출부(33)가 형성되어서 그 크기에 있어 큰 변화가 있는 NTC 더어미스터(16)가 지지판(31) 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제 6 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NTC 더어미스터(16)는 양쪽에 전극(16A)와 (16B)을 가지고 있다.
실질적으로 U-형인 금구(34)는 스테인레스 스티일과 같은 낮은 전기 전도율을 가진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평면부분(34A), 중앙부분(34B) 및 주름진부분(34C)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분(34A)과 주름진부분(34C)은 중앙부분(34B)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U형금구(34)은 개구부(35)와 주위 모서리부분(36)으로 형성되어 변칙적으로 큰 전류에 대해 퓨우즈의 역활을 한다.
스프링단자(37)는 기다란 금속판을 구부려 만들어지며, 접속부분(39), 중앙부분(37A) 및 V-형부분(37B)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부러진 단부(39A)를 가지고 있는 접속부분(39)은 중앙부분(37A)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고, V-형부분(37B)은 접속부분(39)의 반대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단자(40)도 또한 기다란 금속판을 구부려 만들어지며, 적속부분(42), 중앙부분(40A) 및 구부러진 부분(4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분(42)은 중앙부분(40A)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며, 구부러진 부분(40B)은 중앙부분(40A)과 예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있는 접속부분(42)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다.
케이싱(11a)와 (11b)의 각종 단자들 및 NTC 더어미스터(16) 등에 대하여 앞서 기술하였으므로 그것들의 조립과 기능에 대하여는 제 2 도 내지 제 6 도를 참고로 하여 이후에 기술될 것이다.
각각의 소켓과 전등은 중앙 전극과 주위 전극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두개의 접속단자(21)들은 케이싱(11a) 위에 설치된다.
한개의 접속단자(21)는 구부러진 부분(22)을 홈(23)에 끼워 넣음으로써 케이싱(11a) 위에 설치되어 적선부분(21B)과 직선부분(21A)이 각각 나사부(13)의 외부와 소켓부(15)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직선부분(21B)에 U-형의 단부(24)를 맞물림홈(25)에 끼워넣고, 직선부분(21A)의 구부러진 단부(26)는 위치결정홈(27)에 끼워 넣는다.
이와같이 다른 접속단자(21)도 홈(23')과 맞물림홈(25') 및 위치결정홈(27')을 통해 케이싱(11a) 위에 설치한다.
그리고, 두개의 접속단자(21)들을 올바른 위치에서 케이싱(11a) 위에 설치하여 직선부분(21A)와 (21B)가 각각 전등과 소켓의 주위 전극들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단자(21)는 직선부분(21A)와 (21B)로 구성되지만, 직선부분(21A)과 (21B)는 각각 전등과 소켓의 나사의 피치를 따라 주름진 측면속에 형성되던가, 또는 각각의 전등과 소켓의 나사의 피치를 따라 돌출부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NTC 더어미스터(16)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판(31)이 홈(28) 속에 삽입될 때, 지지판(31)의 모서리가 홈(32) 속에 끼워 넣어져 NTC 더어미스터(16)가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실질적으로 U-형인 금구(34)는 직사각형 돌출부(29) 주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주름진 부분(34C)이 NTC 더어미스터(16)의 전극(16A)과 접촉될 수 있다.
가정용 전등을 제외한 전기다리미, 전기청소기 등과 같은 높은 부하들이 부주위로 NTC 더어미스터(16)에 연결될 때에는 NTC 더어미스터(16)는 비정상적인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들면, 켜런트오우버(3A)가 금구(34)로 흘러들어갈 때 주위 모서리부분(36)이 녹게 되어 있어, 이에 따라 NTC 더어미스터(16)는 과전류로 부터 보호된다.
스프링단자(37)는 제 4 도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5)로 부터 멀리 떨어진 나사부재(13)의 한쪽 끝에 설치되고, 중앙부분(37A)과 구부러진 단부(39A)를 각각 홈(38)과 위치결정홈(44)에 끼워 넣음으로서 자리를 잡게 되어 접속부분(39)은 나사부재(13)의 외부에 배치되게 되고, 이에 따라 접속부분(39)은 소켓의 중앙전극을 위한 단자의 역할을 하게 되며, V-형 부분(38B)은 금구(34)의 평면부분(34A)과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스프링단자(40)는 중앙부분(40A)이 표면(S1) 위에 형성된 홈(41)에 끼워맞추어서 돌출부(30)와 NTC 더어미스터(16) 사이에 설치되며, 이에 의해 구부러진 부분(40B)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NTC 더어미스터(16)의 전극(16B)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소켓부(15) 내로 돌출된 접촉부분(42)은 전등의 중앙전극을 위한 단자의 역할을 한다.
한편, 중계소켓(11)을 위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케이싱이 이상과 같이 기술되었지만, 그것은 하나의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NTC 더어미스터(16)가 상기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것은 원형등과 같은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스프링단자(40)는 NTC 더어미스터(16)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소켓부(15)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구(34)의 경위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스티일과 같은 염에 대한 내성이 큰 물질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접속단자(21)들, NTC 더어미스터(16)와 스프링단자(37) 및 (40)이 케이싱(11a) 위에 설치될 때에는 케이싱(11b)은 케이싱(11a) 위에 놓여지고, 케이싱(11b)은 작은 나사(20)를 사용하여 케이싱(11a)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등이 중계소켓(11)을 통해 소켓에 나사 맞추어질 때 두개의 접속단자(21)의 각각의 직선부분(21A)와 (21B)는 각각 전등과 소켓의 주의 전극들과 접촉하게 되고 소켓과 전등의 중앙전극들은 스프링단자(37), 금구(34), NTC 더어미스터(16)와 스프링단자(40)를 통해 서로 접촉되어 필라멘트의 열을 감소시키기위해 NTC 더어미스터(16)는 전등을 점등개시시의 돌입전류를 작은 값으로 제한하고 필라멘트의 온도의 현저한 점진적인 상승을 야기시킨다.
또한, 과전류가 중계소켓(11)으로 흘러들어 간다면, 금구(34)의 주위 모서리부분(36)은 과전류로 부터 NTC 더어미스터(16)를 보호하기 위하여 퓨우즈의 역할을 한다. 주위 모서리부분(36)이 녹았을 때에는 중계소켓(11)은 단지 녹은 금구(34)를 새로운 금구(34)로 교환하여 줌으로써 다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단자(21)의 직선부분(21A)와 (21B)을 각각 좀더 능동적으로 전등과 소켓의 주위 전극들과 접속시키기 위해 직선부분(21B)는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나사(51)와 외부나사(52)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캡(50)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직선부분(21A)와 (21B)을 제10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나사(61)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캡(60)과 원통형 캡(50)으로 각각 교체하여 배열할 수 있다.
제 7 도 내지 제 9 도를 참조하면, 중계소켓(11)의 첫번째 개량에 따른 중계소켓(11')은 접속단자(21')들과 캡(50)을 포함한다.
접속단자(21')는 구부러진 단부(23')를 가지고 있는 직선부분(21'A), 직선부분(21'B) 및 중심의 구부러진 부분(22')으로 되어 있다.
접속단자(21)와 비교하면 직선부분(21'A)과 구부러진 부분(22')은 직선부분(21A)과 구부러진 부분(22)과 꼭같지만 직선부분(21'B)은 길이에 있어서 직선부분(21B)보다 상당히 짧다.
캡(50)에는 캡의 방사상 방향으로 내부로 약간 연장된 좁은 끝부분(53)이 있다.
접속단자(21')들을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11a)을 작은 나사(20)를 사용하여 케이싱(11b)에 고정시킨 후 나사부재(13)를 캡의 단부(53)가 나사부재(13)의 어깨부와 접촉될 때까지 캡(50)속에 돌려 넣어서 나사부재(13)에 부착된 캡(50)이 소켓속으로 나사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단부(53)가 나사부재(13)의 어깨부와 접촉되도록 캡(50)을 나사부재(13)에 부착시켰을 때, 단부(53)로 부터 멀리 떨어진 캡(50)의 한쪽 끝이 접속단자(21')의 직선부분(21'B)주위에 고정되도록 하여 캡(50)이 접속단자(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캡(50)의 외부주변 전체 위에 형성된 외부나사(52)는 소켓과 접촉된 표면의 작은 폭을 가진 직선부분(21B)보다 매우 크므로, 나사부재(13)에 부착된 캡(50)은 직선부분(21B)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소켓의 주의 전극에 접속되어 전등은 중계소켓(11)을 통할 때보다 중계소켓(11')을 통할 때가 더욱 적극적으로 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중계소켓(11)의 맞물림홈(25)와 (25')은 중계소켓(11')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중계소켓(11')의 다른 장치들은 중계소켓(11)의 장치들과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제10도 내지 제12도를 참고로 하면 중계소켓(11)의 두번째 개량에 따른 중계소켓(11")은 원통형 캡(50)과 내부나사(61)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캡(50)을 포함한다.
캡(60)은 내부나사(61)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부분(60A) 두개의 직선부분(63), 두개의 구부러진 부분(62)과 두개의 직선부분(60B)으로 구성되어 있어 직선부분(63)은 케이싱(11a)의 홈(23)과 (23')에 끼워 맞추어진다.
구부러진 부분(62)과 직선부분(60B)은 중계소켓(11')의 구부러진 부분(22')과 직선부분(21'B)에 대응된다. 직선부분(63)을 홈(23)과 (23')에 끼워넣어 캡(60)을 케이싱(11a) 위에 설치한 다음에, 케이싱(11b)을 작은 나사(20)를 이용하여 케이싱(11a)에 고정시키고 나서, 나사부재(13)를 캡(50)의 단부(53)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나사부재(13)의 어깨부와 접촉될 때까지 캡(50)내로 나사맞추어진다.
나사부재(13)가 캡(50)내로 완전히 나사맞추어질 때에는 단부(53)로 부터 멀리 떨어진 캡(50)의 한쪽끝은 직선부분(60B)의 주위에 고정되어 캡(50)은 캡(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중계소켓(11)의 내부나사(14), 맞물림 홈(25) 및 (25')들과 위치결정홈(27) 및 (27')들은 중계소켓(11")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캡(60)의 내부 주변 전체에 걸쳐 형성된 내부나사(61)는 전등의 베이스와의 접촉면에 있어서 작은 쪽을 가진 직선부분(21'A)보다 매우 크므로, 전등은 중계소켓(11')을 통할 때보다 중계소켓(11")을 통할 때가 더욱 적극적으로 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중계소켓(11")의 다른 장치들은 중계소켓(11)의 그것들과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앞의 기술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등보호장치에 있어서 소켓의 중앙전극에 접속될 첫번째 스프링단자, 전등의 중앙전극에 접속될 두번째 스프링단자, 그리고 첫번째 스프링단자와 두번째 스프링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부온도계수(NTC) 더어미스터는 전등을 소켓에 부착시키기 위한 중계소켓이 기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라 NTC 더어미스터는 배선 또는 전등과 소켓의 단면을 변경할 필요없이 전원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등의 수명은 중계소켓에 수용된 NTC 더어미스터의 사용으로 현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첫번째 스프링단자가 퓨우즈 부분과 함께 설치되는 경우에는 NTC 더어미스터는 과전류로 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더어미스터의 내구성은 상당히 향상된다.
본 고안은 별첨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의 형식으로 충분히 기술되었지만 본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게는각종 변경과 개조가 명백하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만약 그러한 변경들이나 개조들이 본 고안의 분야와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면, 그것들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정정) 중앙전극과 주위전극을 가진 전등(2)과 중앙전극과 주위전극을 가진 소켓 및 전등(2)을 소켓에 부착하도록 나사부재(13)와 소켓부(15)를 마런한 케이싱을 가진 중계소켓(11)을 구성하여 나사부재(13)는 소켓에 나사 맞추어지고, 전등(2)의 나사부는 소켓부(15)에 나사 맞추어지는 램프보호장치에 있어서, 중간부에서 일단은, 외부나사(12)의 외면에 위치하고, 또 타단은 소켓부(15)의 내면에 위치하는 접속단자(21)와 중계소켓(11)의 외부나사(12)를 나사맞추어질 때 이 소켓의 중앙전극과 접촉되는 스프링단자(37)와 전등의 나사부가 소켓부(15)에 나사 맞추어질 때 전등의 중앙전극과 접촉되는 스프링단자(40) 및 스프링단자(37)과 (40)의 사이에 접속된 부온도계수더어미스터(16)로 구성되었으며, 이 스프링단자(37)과 (40) 및 부온도계수 더어미스터(16)는 나사부재(13) 내에 설치되고, 전등이 중계소켓을 거쳐서 소켓에 나사 맞추어지면, 소켓의 중앙전극이 스프링단자(37)와 부온도계수더어미스터(16) 및 스프링단자(40)를 통해 전등의 중앙전극이 접속되고, 전등의 주위 전극과 소켓의 주위전극의 접속단자(21)에 접속되는 전등보호장치.
  2.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단자(37)와 부온도계수더어미스터(16) 사이에는 부온도계수더어미스터(16)를 과전류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퓨우즈 역할을 하는 금부(34)를 설치하는 전등보호장치.
  3.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단자(37)는 과전류로 부터 부온도계수더어미스터(16)를 보호하기 위한 금구(34)의 평면부분(34A)과 접속되는 전등보회장치.
  4.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중계소켓(11)은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케이싱(11a)과 케이싱(11b)으로 되어 있는 전등보호장치.
  5.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중계소켓(11)은 하나의 케이싱으로 되어 있는 전등보호장치.
  6.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부온도계수더어미스터(16)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전등보호장치.
  7.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부온도계수더어미스터(16)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전등보호장치.
  8.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단자(21)가 전등의 주위전규과 접촉되는 나사부(13)와 소켓부(15)에 각각 접촉되어지는 직선부분(21A),(21B)들로 구성되는 전등보호장치.
  9. (정정) 제 8 항에 있어서, 접속단자(21)가 상기 전등의 주위전규와 소켓의 주위전규에 각각 접촉되어지는 부분들로 구성되는 전등보호장치.
  10. (정정) 제 8 항에 있어서, 접속단자(21)는 전등의 주위전극과 소켓의 주위전극에 각각 접촉되어지는 직선부분(21A),(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직선부분(21A),(21B)들이 각각 전등과 소켓의 나사들의 피치들과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는 전등보호장치.
  11. (정정) 제 4 항에 있어서, 케이싱(11a)가 자동태칭나사의 사용에 의해 케이싱(11b)에 고정되는 전등보호장치.
  12. (정정) 제 4 항에 있어서, 케이싱(11a)이 작은 나사와 니트의 사용에 의해 케이싱(11b)에 고정되는 전등보호장치.
  13.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단자(21)는 2부분으로 된 구조이고, 소켓부(15) 내부로 연장된 직선부분(21B)과 나사부재(13)의 외부로 연장된 직선부분(21A)으로 구성되며, 직선부분(21B)이 직선부분(21A)와 연결되어 있고, 직선부분(21A)은 전등의 주위전극과 접촉되는 직선부를 포함하며, 직선부분(21B)은 원통형으로 되어 소켓에 나사 맞추어지도록 외부주위에 외부나사(12)와 내부주위에 내부나사를 형성한 소켓부(15)를 가지는 전등보호장치.
  14.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단자(21)가 2부분으로 되어, 소켓부분(15) 내부로 연장된 직선부분(21A)과 외부나사(12)의 외부로 연장된 직선부분(21B)으로 구성되며, 직선부분(21A)와 (21B)가 연결되어 있고, 직선부분(21A)은 그것의 내부 주위에 형성된 내부나사를 가진 실린더형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등의 베이스를 나사맞출 수 있으며, 직선부분(21B)은,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소켓에 나사맞추어지고, 이 직선부분(21B)가 소켓에 나사맞추도록 외부 주위에 형성된 외부나사를 가지는 전등보호장치.
KR2019820009609U 1982-12-01 1982-12-01 전등 보호장치 KR860003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609U KR860003482Y1 (ko) 1982-12-01 1982-12-01 전등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609U KR860003482Y1 (ko) 1982-12-01 1982-12-01 전등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434U KR840003434U (ko) 1984-07-25
KR860003482Y1 true KR860003482Y1 (ko) 1986-12-06

Family

ID=7214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609U KR860003482Y1 (ko) 1982-12-01 1982-12-01 전등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34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434U (ko) 198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6054A (en) Lamp protection arrangement
US4533851A (en) High-pressure electric discharge lamp with interfitting socket and support
US4227228A (en) Miniature socketed fuse for a decorative string of series-connected miniature incandescent lamps
EP0233136A2 (en) Water heater heating element assembly
CA1187059A (en) Variably positional lamp holder assembly
KR860003482Y1 (ko) 전등 보호장치
US7341469B2 (en) Adapter for a recessed lamp
US4644453A (en) Portable fluorescent light unit
KR100988409B1 (ko)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US4888678A (en) Electric socket adapter
US3882450A (en) Lamp
US1476036A (en) Electrical receptacle
GB2052178A (en) Lampsockets
KR200393122Y1 (ko) 형광등기구
US7119481B2 (en) Reflector lamp having a plastic reflector supporting lugs coupled by barbs
JP2678041B2 (ja) 電球口金形蛍光灯
KR960007701Y1 (ko) 고휘도램프 어셈블리
KR840001047Y1 (ko) 전구용 소켓
KR940004488Y1 (ko) 퓨우즈
CA2147531C (en) Lampsocket with means to reject incorrectly dimensioned lamps
JPH0311799Y2 (ko)
KR910001086B1 (ko) 절약형 지시등
KR950001287Y1 (ko) 로타리 스위치의 회전축 절연장치
KR0158664B1 (ko) 장식램프의 홀더장치
USRE22560E (en) Operating mechanism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