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973Y1 - 활동 완구 - Google Patents
활동 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2973Y1 KR860002973Y1 KR2019840002085U KR840002085U KR860002973Y1 KR 860002973 Y1 KR860002973 Y1 KR 860002973Y1 KR 2019840002085 U KR2019840002085 U KR 2019840002085U KR 840002085 U KR840002085 U KR 840002085U KR 860002973 Y1 KR860002973 Y1 KR 86000297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toy body
- interlocking
- toy
- convers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 활동완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활동완구의 내부 기구를 표시하는 1측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 활동완구의 내부 기구를 표시하는 다른 측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동작기구 및 변환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변환기구의 일부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b-b선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2도는 완구체의 동작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구체 1a : 저부
1b : 안내홈 2 : 몸통체틀
3 : 머리체틀 4 : 부리체
4a : 윗부리체 4b : 아래부리체
5 : 눈알 6 : 긴홈
7 : 날개쪽지틀 7a : 기단부
8 : 기모외피체 9 : 날개쪽지체
10 : 기구틀 11 : 지지축
12 : 다리체 13 : 지지막대
14 : 안내홈 15 : 착상돌출부
16 : 크랭크축 17 : 크랭크아암
18 : 전지 19 : 수납케이스
20 : 개구레두리부 21 : 지지돌출편
21a, 21c : 지지부 21c : 둘레면부
22 : 스위치 23 : 덮개판
24 : 안내요부(凹部) 25 : 안내판
26 : 승강판 27 : 안내홈
28 : 축막대 29 : 연동홈
30 : 연결막대 31 : 상하운동막대
32 : 걸어맞춤핀 33 : 횡간
34 : 소리체 35 : 신축부
36 : 돌출편 37 : 기부
38 : 전동기 39 : 회동축
40 : 피니언 41 : 감속치차
42 : 회동축 43 : 구동변환기구
44 : 구동치차 45 : 변환작동치차
46 : 미끄럼동작치차 47 : 횡축
48 : 스페이서 49 : 변환치차
50 : 코일스프링 51 : 보스
52 : 압동돌기 53 : 걸어맞춤꼭지면
54 : 걸어맞춤경사면 55 : 걸어맞춤돌출편
56 : 걸어맞춤면 57 : 크랭크축
58 : 제1연동치차 59 : 제2연동치차
60 : 크랭크아암 61 : 연동편
62 : 걸어맞춤홈 63 : 갈고리형상부
64 : 연동축 65 : 제1중계치차
66 : 제2중계치차 67 : 보행치차
68 : 원반 69 : 연동막대
70 : 긴홈 71 : 장식대
본 고안은, 예를들어 집오리나 닭등의 조류를 모방하여 형성하고, 또 이 조류를 모방한 동작을 행하도록한 활동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활동완구, 예를들어 집오리를 모방하여 형성한 완구는 여러가지 구조의 것들이 제안 되었으나, 예를 들어서 완구체에 장식용의 좌우 다다리체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다리체와는 별도로 이동용 차륜을 설치하여 이 차륜을 완구체내에 설치한 구동 기구에 의하여 연동하여 구동하는 구조의 것에서는, 집오리는 단순하게 이동할 뿐이기 때문에 집오리의 독특한 보행 동작을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 하여 흥취성이 결핍되고 또한 액션적으로도 문제가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구매 의욕을 야기 시키는 데에는 어딘가 부족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완구체가 좌우의 다리체를 조금씩 앞뒤로 움직이면서 신체를 좌우로 요동함과 동시에 종종 걸음으로 전진 보행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일정한 시간 동안 나타내고, 또한 이 전진 보행 동작을 정지함과 동시에 좌우의 날개쭉지체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입을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완구체가 집오리와 같은 조류가 갖는 애교 있는 독특한 보행 동작을 나타내기도 하고, 커다란 액션으로 날개 쭉지를 움직이면서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기도 하여서, 매우 흥미롭고, 또한 그 독특한 동작에 의하여 구매 의욕을 야기시키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하는 조류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되고 기모 외피체로 피복된 완구체와, 이 완구체의 양측 하부에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굴대 지지되고 그 하단부에 발을 가지는 좌우의 다리체와, 이 좌우 다리체 사이의 후방부에 배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과 함께 상기 완구체를 지지하는 지지돌출편과, 상기 완구체의 양측부에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지지되며 세워진 좌우의 날개 쭉지체, 상기 완구체의 입개폐동작을 연동하는 소리체와, 상기 완구체에 내장되고 상기 좌우 발체를 교대로 앞뒤로 움직이도록 연동하는 보행 동작 기구와 상기 좌우 날개쭉지체 및 상기 소리체를 연동하는 작동 기구를 소정의 시간을 간격으로 변환 연동하는 구동변환 기구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변환 기구의 구동변환 작동에 의하여 독특한 애교 있는 액션을 행하고, 그 흥미로운 액션에 의하여 구매 의욕을 야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에서 (1)은 닭, 오리, 집오리 등의 조류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된 완구체로서, 이 완구체(1)는, 몸통체틀(2)에 연설된 머리체틀(3)의 전면부에는 조류의 부리를 모방한 고정된 윗부리체(4a)와 이것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아래 부리체(4b)로 되는 부리체(4)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눈알(5)이 부설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몸통체틀(2)의 양측부에는 회동 지지점으로 되는 긴홈(6)을 개재하여 날개 쭉지틀(7)이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끼워서 지지되며 세워져서, 전체적으로 조류를 모방하여 기모를 형성한 기모 외피체(8)에 의하여 피복되고, 또한 날개 쭉지틀(7)은 날개 쭉지체(9)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완구체(1) 내에는 기구틀(10)이 고정되고, 이 기구틀(10)의 중간부에 옆으로 세워진 지지축(11)의 양단부에 좌우 다리체(12)에서의 지지막대(13)의 상단부가 길다란 안내홈(14)을 개재하여 지지되며 세워지고, 이 좌우 다리체(12)에 상하 움직임이 가능 하게끔 부착되어 있는 물갈퀴 보다 하단부에 착상(着床) 돌출부(15)가 원호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좌우 다리체(12)는 완구체(1)의 저부(1a)에 형성된 길다란 홈 형상의 안내홈(1b)으로 부터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구틀(10)에, 상기 지지축(11)보다 하방부에 위치하고 보행동작 기구 로서의 크랭크축(16)이 회동이 자유롭게끔 옆으로 세워지고, 이 크랭크축(16)의 양단부의 크랭크 아암(17)에 상기의 좌우 다리체(12)의 지지막대(13)의 중간이 회동이 자유롭게끔 지지되어 세워져 있다.
동시에, 상기 기구틀(10)의 후측부에 전지(18)를 수납한 수납 케이스(19)가 고정 설치되고, 이 수납 케이스(19)의 개구 테두리부(20)가 상기 완구체(1)의 저부(1a)보다 하방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이 개구 테두리부(20)의 후측 테두리부가 상기 좌우 다리체(12)의 착상 돌출부(15)와 함께 완구체(1)를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21)으로서 구성되고, 또 상기 개구 테두리부(20)에는 스위치(22)를 가지는 덮개판(23)이 개폐가 자유롭게끔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구틀(10)의 한쪽 외부에 내측에 안내요부(凹部)(24)를 가지는 안내판(25)이 고정 설치되고, 이 안내판(25)의 안내요부(24) 내에 작동기구 로서의 승강판(26)이 오르내림이 자유롭게끔 끼워 넣어지고, 이 승강판(26)의 상방부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안내홈(27) 내에 이 승강판(26)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크기로 상기 기구틀(10)의 전방 상부에 옆으로 세워진 축막대(28)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끼워져 있다.
또, 이 승강판(26)의 상단부에 길다란 연동홈(29) 및 연결막대(30)가 형성되고, 이 길다란 연동홈(29) 내에는 상하 운동막대(31)의 후단부에 돌출한 걸어맞춤핀(32)이 이동이 자유롭게끔 삽입되며, 이 상하 운동막대(31)는 선단부에 상기 아래 부리체(4b)를 돌출되게 설치되고 있음과 동시에 그 중간이 횡간(33)에 의하여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지지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막대(30)에 소리체(34)의 신축부(35)에 돌출된 돌출편(36)이 걸리고, 이 소리체(34)의 기부(37)가 부착틀을 개재하여 상기 축막대(28)에 걸려있다.
다음에, 상기 기구틀(10)에 전동기(38)가 고정 설치되고, 이 전동기(38)의 회동축(39)에 끝단 설치한 피니언(40)에 감속치차(41)가 치차 맞춤되며, 이 감속치차(41)를 끝단 설치한 회동축(42)이 상기 기구틀(10)에 회동이 자유롭게끔 옆으로 세워져 있음과 동시에 이 회동축(42)의 중간부에는 구동변환 기구(43)의 옆으로 길다란 구동치차(44)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기(38)는, 상기 수납 케이스(19)내의 전지(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 상기 스위치(22)의 개폐에 의하여 작동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치차(44)에는, 구동 변환기구(43)의 변환 작동치차(45) 및 미끄럼 동작치차(46)가 치차 맞춤되고, 이 변환 작동치차(45)는 횡축(47)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미끄럼 동작치차(46)는 횡축(47)에 회동 및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지지되며 세워지고, 동시에 이 변환 작동치차(45)와 미끄럼 동작치차(46)는 이빨수를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횡축(47)에는 상기 미끄럼 동작치차(46)에 스페이서(48)를 개재하여 일체인 변환치차(49)가 회동 및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지지되며 세워지고, 이 변환치차(49)의 외단면과 상기 기구틀(10)과의 사이에 있어서 횡축(47)에 코일 스프링(50)이 감겨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50)에 의하여 미끄럼 동작치차(46)는 항상 변환 작동치차(45) 쪽으로 세력이 가해지고 있다.
상기 변환 작동치차(45)는, 내측면의 중심부에 보스(51)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이 보스(51)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압동돌기(52)가 상호간의 피치를 달리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이 각각의 압동돌기(52)는 걸어맞춤 꼭지면(53) 및 이 걸어맞춤 꼭지면(53)의 양쪽으로 연속되는 걸어맞춤 경사면(54)으로서 대략 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미끄럼 동작치차(46)는 외측면에, 즉 상기 압동 돌기(52)에 대응한 측면에 삼각형상의 걸어 맞춤 돌출편(55)이 직각에 가깝게 일체로 돌출하여 설치되며, 이 걸어맞춤 돌출편(55)은 회동에 의하여 상기 변환 작동치차(45)의 각각의 압동돌기(52) 및 이 각각의 압동돌기(52) 사이의 걸어 맞춤면(56)에 순차로 걸어 맞춤하고, 동시에 이 걸어 맞춤 돌출편(55)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50)에 대항하여 미끄럼 동작치차(46) 및 변환치차(49)가 축방향으로 진퇴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구틀(10)에 작동 기구로서의 크랭크축(57)이 회동이 자유롭게끔 옆으로 세워지고, 이 크랭크축(57)의 중간부에 상기 변환치차(49)가 선택적으로 치차 맞춤하는 고정 설치된 제1연동치차(58) 및 헐겁게 끼워진 제2연동치차(59)가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크랭크축(57)의 양단부의 크랭크 아암(60)에 연동편(61)의 일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끼워지고, 이 양측 연동편(61)의 타단부에 상기 날개쭉지틀(7)의 몸통체틀(2) 안쪽으로 돌출한 기단부(7a)가 상호 형성한 걸어 맞춤홈(62) 및 갈고리 형상부(63)를 개재하여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연계되어 있다.
그래서, 이 크랭크 아암(60)의 크랭크 운동에 의하여 연동편(61)을 개재하여 긴 홈(6)을 지지점으로 하여 날개 쭉지체(9)가 상하운동 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기구틀(10)에 연동축(64)이 회동이 자유롭게끔 옆으로 세워지고, 이 연동축(64)에는 상기 제1연동치차(58)에 치차 맞춤한 제1중계치차(65)가 고정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2연동치차(59)에 치차 맞춤한 제2중계치차(66)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헐겁게 끼워지고, 이 제2중계치차(66)에는 상기 다리 작동용의 크랭크 축(16)에 고정 설치된 보행치차(67)가 치차 맞춤되어 있다.
또, 상기 연동축(64)의 일단부에 원반(68)이 고정 설치되고, 이 원반(68)의 편심 위치에 돌출되게 설치한 연동막대(66)가 상기 승강판(26)의 하단부에 형성된 옆으로 길다란 홈(70)내에 회동이 자유롭게끔 끼워져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71)은 목둘레에 감아설치한 장식대 이다.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위치(22)를 온(ON)하면, 전동기(38)가 기동함과 동시에 이 피니언(40)에 치차 맞춤한 감속치차(41)가 연동되고, 또한 이 감속치차(41)와 같은 축의 구동치차(44)가 연동하여 구동된다. 이 구동치차(44)가 회동되면, 이것에 치차 맞춤한 상호간의 이빨수가 다른 변환 작동치차(45) 및 미끄럼 동작치차(46)가 동시에 회동된다.
그리하여, 이 변환작동치차(45)에 코일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하여 미끄럼 동작치차(46)가 근접한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미끄럼 동작치차(46)와 일체인 변환치차(49)가 제2연동치차(59)에 치차 맞춤하여 이것을 연동 회동함과 동시에, 이 제2연동치차(59)에 치차맞춤한 제2중계치차(66)를 개재하여 보행치차(67)가 연동하여 회동된다.
이 보행치차(67)가 회동됨과 동시에 이 크랭크 아암(17)의 크랭크 운동에 의하여 좌우 다리체(12)의 지지막대(13)가 그 길다란 안내홈(14)내에 삽입한 지지축(11)을 지지점으로 하여 교대로 조금씩 앞뒤로 움직이게 되어, 이 좌우 다리체(12)의 착상 돌출부(15)와 지지 돌출편(21)에 의하여 완구체(1)는 소위 종종 걸음으로 아장 아장 전진 보행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즉좌 우다리체(12)의 착상 돌출부(15)가 앞뒤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예를들어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우측 다리체(12)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좌측 다리체(12)가 그것보다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이 앞뒤 다리체(12)의 착상 돌출부(15)와 지지 돌출편(21)의 일단부 모서리의 지지부(21a)에 의하여 완구체(1)가 지지되고, 그뒤 후방에 위치한 좌측 다리체(12)가 전진되고 그도중에서 그 착상 돌출부(15)가 우측 다리체(12)의 착상 돌출부(15)에 좌우로 일치한 경우에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그 좌우의 착상 돌출부(15)와 지지 돌출편(21)의 둘레면부(21b)에 의하여 완구체(1)가 지지되며, 그후 좌측 다리체(12)가 계속 전진되어 우측 다리체(12)보다 전방에 돌출된 상태에서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앞뒤의 착상 돌출부(15)와 지지 돌출편(21)의 타단부 모서리의 지지부(21c)에 의하여 완구체(1)가 지지되는 것이므로, 그리하여 상기의 각 동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행하면서 완구체(1)는 전진 보행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따라서 완구체(1)는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신체를 좌우로 요동하면서 종종 걸음으로 전진 보행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며, 또 이 동작을 일정 시간 계속하는 것이다.
다음에, 구동치차(44)에 치차 맞춤한 변환 작동치차(45)와 미끄럼 동작치차(46)는 상호간의 이빨수가 다른 것에 의하여, 그 회동에 따라서 다음에 위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미끄럼 동작치차(46)의 걸어 맞춤 돌출편(55)의 선단부가 변환 작동치차(45)의 걸어맞춤면(56)을 미끄럼 동작하면서 압동돌기(52)의 한쪽 걸어맞춤 경사면(54)으로 부터 걸어 맞춤 꼭지면(53)으로 타고 올라간다.
이 경우, 미끄럼 동작치차(46)는 코일 스프링(50)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 동작되어 변환 작동치차(45)로 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이 미끄럼 동작치차(46)에 스페이서(48)를 개재하여 일체로 돌출한 변환치차(49)도 같은 모양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변환치차(49)는 제2연동치차(59)와의 치차 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이에 대신하여 제1연동치차(58)도 치차 맞춤된다. 이것에 의하여 완구체(1)의 보행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제1연동치차(58)의 연동 회전에 의하여 이 제1연동치차(58)에 치차 맞춤한 제1중계치차(65)를 개재하여 연동축(64) 및 원반(68)이 회동되고, 이 원반(68)의 연동막대(69)가 편심하여 회동된다. 그리고, 이 연결막대(69)의 회동에 의하여, 이것에 옆으로 길다란 홈(70)을 개재하여 연계된 승강판(26)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이 승강판(26)에 연결막대(30)를 개재하여 연결한 소리체(34)가 그 신축부(35)를 압동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소리를 내게 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판(26)에 걸어 맞춤핀(32)을 개재하여 연계된 상하운동 막대(31)가 횡간(33)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또 이 상하운동 막대(31)의 선단부에 부착된 아래 부리체(4b)가 윗 부리체(4a)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인다.
또한 이와함께, 상기 제1연동치차(58)의 연동 회동에 의하여 이 제1연동치차(58)를 고정 설치한 크랭크축(57)이 회동되고, 이 크랭크 아암(60)의 크랭크 운동에 의하여 연동편(61)을 개재하여 연계된 양 측 날개쭉지틀(7)이 완구체(1)의 몸통체틀(2)에 형성된 긴홈(6)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인다. 따라서 완구체(1)는 보행 동작을 정지한 상태로 부리체(4)를 개폐하면서 소리를 냄과 동시에 양측의 날개 쭉지체(6)를 상하로 움직여서 날개짓을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행하며, 또 이 동작을 일정시간 계속하는 것이다.
또한, 미끄럼 동작치차(46)가 변환작동 치차(45)에 대하여 회동되고, 그의 걸어 맞춤 돌출편(55)의 선단부가 압동돌기(52)의 걸어맞춤 꼭지면(53)으로 부터 미끄럼 동작에 의하여 이탈되어 다른쪽의 걸어 맞춤 경사면(54)에서 다음의 걸어 맞춤면(56)에 걸어 맞춤하는 것으로 되지만, 이 경우 코일 스프링(50)의 복귀력에 의하여 변환치차(49) 및 미끄럼 동작치차(46)가 변환작동 치차(45)쪽으로 미끄럼 동작되어, 결국에는 미끄럼 동작치차에(46)는 변환 작동치차(45)에 재차 근접하여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변환치차(49)는 제1연동치차(58)로 부터 이탈되며, 이에 대신하여 재차 제2연동치차(59)에 치차 맞춤한다.
따라서, 상기 양측의 날개 쭉지체(9)를 상하로 움직여서 날개짓 하면서 부리체(4)를 개폐함과 동시에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동작이 정지되며, 그후 재차 상기한 바와 같이, 완구체(1)는 신체를 좌우로 요동하면서 종종 걸음으로 전진 보행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이행하고, 또한 이 동작을 일정시간 계속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경우, 변환 작동 치차(45)의 각 압동 돌기(52)는 상호간의 피치가 다르기 때문에, 즉각 압동돌기(52) 사이의 걸어 맞춤면(56)의 폭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신체를 좌우로 요동하면서 전진보행 하는 것과 같은 동작에서의 다리체(12)의 걸음수는 변환될 때 마다 다르고, 따라서 이 전진 보행하는 동작과 이 동작을 정지한 후에 행하여지는 상기 부리체(4)를 개폐 하면서 소리를 냄과 동시에 양측의 날개 쭉지체(9)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날개짓을 하는 것 같은 동작과의 변환 간격은 불규칙적으로 행하여 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류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된 완구체는 착상 돌출부를 가지는 좌우의 다리체와 이 좌우 다리체 사이의 후방부에 배치하여 설치된 지지 돌출편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 좌우 다리체를 보행 작동기구를 개재하여 구동 변환 기구에 의하여 연동하여 구동함으로써, 이 좌우의 다리체가 교대로 앞뒤로 동작될 때마다 그의 좌우 착상 돌출부와 지지 돌출편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위치가 좌우로 변환되고, 따라서, 완구체의 전진 보행 동작시에는, 완구체는 좌우 다리체를 조금씩 앞뒤로 움직이면서 신체를 요동함과 동시에 종종 걸음으로 전진 보행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반복하여 나타내면서, 흡사 집오리와 같은 조류가 보행하는 것과 같은 동작상태를 확실하게 표현하여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완구체의 양측부에는 좌우 날개쭉지체를 상하움직임이 자유롭게끔 지지하여 세움과 동시에 이 완구체에는 입 개폐기구와 이 입 개폐기구에 연동되는 소리체를 설치하여 이 각각의 동작기구를 구동 변환 기구에 의하여 연동 구동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구동 변환 기구의 변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보행 동작이 정지됨과 동시에 이 구동 변환기구의 변환 동작에 의하여 완구체는 좌우의 날개 쭉지체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입을 벌림과 동시에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반복하여 나타내므로, 흡사 집오리 같은 조류가 서 있으면서 날개짓을 하면서 소리를 내는 것 같은 동작상태를 확실하게 표현하여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행하는 것 같은 동작과 소리를 내면서 날개짓을 하는 것 같은 동작과는 구동 변환기구의 변환 운동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간격 마다 반복하여 행하여 지는 것이기 때문에, 변화성도 풍부하고 그위에 물오리와 같은 조류의 생태 동작에 근사한 동작을 표현하여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완구체는 집오리와 같은 조류가 가지는 애교있는 독특한 보행 동작을 나타내기도 하고, 커다란 액션으로 날짓개을 하면서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서, 매우 흥미롭고 또한 그 독특한 동작과 형태에 의하여 구매 의욕을 야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원하는 조류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되고 기모 외피체(8)로 피복된 완구체(1)와, 이 완구체(1)의 양측 하부에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굴대 지지되고 그 하단부에 착상 돌출부(15)를 가지는 좌우의 다리체(12)와, 이 좌우 다리체(12)사이의 후방부에 배치하여 설치되고 그의 착상 돌출부(15)와 함께 상기 완구체(1)를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21)과, 상기 완구체(1)의 양측부에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지지되며 세워진 좌우의 날개 쭉지체(9)와, 상기 완구체(1)의 입 개폐 동작에 연동되는 소리체(34)와, 상기 완구체(1)에 내장 되고 상기 좌우의 다리체(12)를 교대로 앞뒤로 움직이도록 연동하는 보행동작 기구와 상기 좌우 날개 쭉지체(9) 및 상기 소리체(34)를 연동하는 작동 기구와를 소정의 시간간격 마다 변환하여 연동하는 구동 변환기구(4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83177352U JPS6083685U (ja) | 1983-11-16 | 1983-11-16 | 鳥活動玩具 |
JP???58-177352 | 1983-11-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3832U KR850003832U (ko) | 1985-07-08 |
KR860002973Y1 true KR860002973Y1 (ko) | 1986-10-31 |
Family
ID=3038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40002085U KR860002973Y1 (ko) | 1983-11-16 | 1984-03-12 | 활동 완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083685U (ko) |
KR (1) | KR860002973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2784Y2 (ko) * | 1986-12-12 | 1992-05-26 |
-
1983
- 1983-11-16 JP JP1983177352U patent/JPS6083685U/ja active Granted
-
1984
- 1984-03-12 KR KR2019840002085U patent/KR860002973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083685U (ja) | 1985-06-10 |
KR850003832U (ko) | 1985-07-08 |
JPS6317516Y2 (ko) | 1988-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60002946Y1 (ko) | 그네 완구 | |
JPH0315112Y2 (ko) | ||
US4389811A (en) | Bird action toy | |
KR200231472Y1 (ko) | 개구리 작동완구 | |
KR860002973Y1 (ko) | 활동 완구 | |
US4938481A (en) | Incrementally advancing toy apparatus | |
US6439949B1 (en) | Moving to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
GB2063691A (en) | Drummer doll | |
US3659379A (en) | Toy robots | |
GB2170114A (en) | Confined animation figure toy | |
US4547170A (en) | Moveable toy | |
JPH0737675Y2 (ja) | 走行玩具 | |
KR900007157Y1 (ko) | 공놀이를 하는 동물활동완구 | |
JPS6125515Y2 (ko) | ||
US2883793A (en) | Action toy | |
KR940002452B1 (ko) | 다중 코어의 가동 장식품 | |
JPS6121107Y2 (ko) | ||
KR860001667Y1 (ko) | 동물 활동 완구 | |
KR900001969Y1 (ko) | 동물활동 완구 | |
JPS6122631Y2 (ko) | ||
KR900004769Y1 (ko) | 고양이 완구 | |
KR870000304Y1 (ko) | 활동 동물 완구 | |
KR910004094Y1 (ko) | 완구의 입 개폐 장치 | |
CN214680018U (zh) | 一种音乐卡通玩具 | |
CN211298073U (zh) | 一种宠物逗趣玩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