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869Y1 - 전자레인지의 콘트롤 박스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콘트롤 박스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869Y1
KR860002869Y1 KR2019840010516U KR840010516U KR860002869Y1 KR 860002869 Y1 KR860002869 Y1 KR 860002869Y1 KR 2019840010516 U KR2019840010516 U KR 2019840010516U KR 840010516 U KR840010516 U KR 840010516U KR 860002869 Y1 KR860002869 Y1 KR 860002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support frame
fitting
attach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066U (ko
Inventor
유은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0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869Y1/ko
Publication of KR860005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0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콘트롤 박스 착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 발췌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전자레인지의 일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콘트롤 박스 4,4' : 감착부
5 : 감착공 6,6' : 감착편
7,7' : 장공 8 : 고정판
11 : 지지틀 12,12' : 감삽편
13,13' : 고정편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의 착탈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트롤박스를 통상 전자레인지의 전면 우측부에 설치함에 있어, 박스의 내주면을 콘트롤부의 내부에서 브라켓트에 스크류로 부착한 다음 이들의 외부를 별도의 금속판으로 피복되게 복착하여 설치 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으로 콘트롤박스를 설치하게 되면 사용중 콘트롤 부분의 고장수리등을 해야될 경우, 외부에 피복한 금속판을 분리시킨 다음 내부에서 스크류를 나해하여 콘트롤박스를 본체에서 완전히 분리시켜야 되기 때문에 콘트롤박스의 조립과 분해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함은 물론 콘트롤박스를 완전히 분리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충격을 주게되어 콘트롤박스자체가 고장이 나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콘트롤박스는 도어만 열면 외부에서 착탈시킬 수 있도록하고 콘트롤박스를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 분리시킨 상태에서 전면으로 90도 회전시켜 콘트롤부 내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기기(1)의 전면 도어(2)측방에 콘트롤박스(3)를 설치함에 있어, 콘트롤박스(3)의 일측 내면에는 상하로 감착부(4)(4')를 요설하고 타측면에는 감착공(5)이 천공된 감착편(6)(6')을 상하로 연설하며, 저면에는 장공(7)(7')이 천공된 고정판(8)을 굴대(9)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착하고 콘트롤부(10)의 전면 지지틀(11)의 일측내면에는 감삽편(12)(12')을, 타측내면에는 고정편(13)(13')을 각각 내외측으로 연설하며, 저부에는 결착편(14)을 중간에 절곡 형성하여 콘트롤박스(3)를 지지틀(11)에 착탈자재토록하여서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3)를 지지틀(11)에 부착할 때에는 먼저 저면에 유착된 고정판(8)을 기기(1)의 콘트롤부(10)전면 지지틀(11)저부 중간에 절곡된 결착편(14)에 장공(7)(7')을 통해 스크류(a)를 나삽하여 제3(b)도와 같이 콘트롤박스(3)를 지지틀(11)에 착설되게한 후 콘트롤박스(3)를 세워서 지지틀(11)에 연설된 감삽편(12)(12')을 감착편(6)(6')에 천공된 감착공(5)에 각각 관착되게 콘트롤박스(3)를 도어(2)측에서 비스듬이 결합시킨 다음, 지지틀(11)에 연설된 고정편(13)(13')을 각각 콘트롤박스(3)에 요설된 감착부(4)(4')에 감착시킨후 도어(2)를 착설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2)측에서 스크류(b)를 나착하면 제4도와 같이 콘트롤박스(3)가 지지틀(11)에 완강히 결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결착하는 과정에서 콘트롤박스(3)의 저면에 유착된 고정판(8)이 굴대(9)에서 좌우로 이돌될 수 있도록 간격이 있으므로 콘트롤박스(3)를 고정판(8)으로 지지틀(11)의 결착편(14)에 부착한 상태에서 그 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콘트롤박스(3)를 지지틀(11)에 완전히 결합할 때 도어(2)측에서 비스듬이 끼워 넣을 수 있게되는 것이며, 또 완전히 조립되면 제3(a)도와 같이 장공(7)(7')에 의해 고정판(8)이 콘트롤부(10)측으로 밀려들어 간다.
이와같이 부착하는 본 고안은 콘트롤부(10)의 고장수리등을 하고져 할 때에는 도어(2)를 열고 스크류(b)만 나해하면 간단한 콘트롤박스(3)를 조립의 역순으로 지지틀(11)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시킨 다음 제3(b)도와 같이 콘트롤박스(3)를 분해하지 않고 전면으로 90도 전개시키면 콘트롤부(10)가 보이므로 콘트롤박스(3)를 완전히 분해하지 않아도 내부수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3)를 도어(2)만 열면 간단히 분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외부에 피복한 금속판을 분리시켜야 되던 폐단이 제거되는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콘트롤박스(3)의 내면 양측에는 상하로 감착부(4)(4')와 감착공(5)이 천공된 감착편(6)(6')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장공(7)(7')이 천공된 고정판(8)을 굴대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착하고, 지지틀(11)에는 감삽편(12)(12')과 고정편(13)(13')을 각각 내외측으로 연설라고 저부에는 결착편(14)을 절곡형성하여 콘트롤박스(3)를 지지틀(11)에 도어만 열고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콘트롤박스 착탈장치.
KR2019840010516U 1984-10-24 1984-10-24 전자레인지의 콘트롤 박스 착탈장치 KR860002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516U KR860002869Y1 (ko) 1984-10-24 1984-10-24 전자레인지의 콘트롤 박스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516U KR860002869Y1 (ko) 1984-10-24 1984-10-24 전자레인지의 콘트롤 박스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066U KR860005066U (ko) 1986-05-10
KR860002869Y1 true KR860002869Y1 (ko) 1986-10-20

Family

ID=7016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516U KR860002869Y1 (ko) 1984-10-24 1984-10-24 전자레인지의 콘트롤 박스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066U (ko) 198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869Y1 (ko) 전자레인지의 콘트롤 박스 착탈장치
FR2785038B1 (fr) Ensemble de panneau avant pour four a micro-ondes et procede d'assemblage de cet ensemble
KR200160515Y1 (ko)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고정되는 콘트롤박스를 갖는전자렌지
KR101817247B1 (ko) 디지털 도어락의 브래킷
CN216048386U (zh) 一种燃气热水器的底壳无外露螺钉装配结构
KR960003763Y1 (ko) 전동차의 라인플로우팬용 그릴아세이(Line flow Fan Grille)
KR200156252Y1 (ko) 차량의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착탈장치
JPS6137758Y2 (ko)
KR100208331B1 (ko) 전자렌지
KR100455981B1 (ko) 도어 클로저
KR19990030444A (ko) 설비함용 체결장치
KR100402465B1 (ko) 냉장고의 힌지장치
KR200170981Y1 (ko) 창문 교체 설치용 알미늄 샷시
KR0123082Y1 (ko) 간판의 문짝개방 및 삽탈구조
KR930007725Y1 (ko) 전자레인지의 하부힌지구조
KR900007640Y1 (ko) 버스용 측면 행선지 표시장치
KR960006474Y1 (ko) 엘리베이터의 원터치 조립형 터치버튼
KR910002108Y1 (ko) 전자레인지의 저판
KR940004129Y1 (ko) 전자부품 호환 결합구조
KR200288568Y1 (ko) 전화교환기의 알람모듈용 배터리 장착기구
KR0128110Y1 (ko)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KR930008275Y1 (ko) 가스레인지 덮개용 경첩
KR910009025Y1 (ko) 전자렌지용 커버
KR200205929Y1 (ko) 건구용 경첩
KR0136696Y1 (ko) 버스의 천정에어콘용 에어리턴그릴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