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746Y1 -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746Y1
KR860002746Y1 KR2019830006195U KR830006195U KR860002746Y1 KR 860002746 Y1 KR860002746 Y1 KR 860002746Y1 KR 2019830006195 U KR2019830006195 U KR 2019830006195U KR 830006195 U KR830006195 U KR 830006195U KR 860002746 Y1 KR860002746 Y1 KR 860002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tube
heating
stove
low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971U (ko
Inventor
사도루 다니모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산뽀오쇼오까이
사도루 다니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산뽀오쇼오까이, 사도루 다니모도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산뽀오쇼오까이
Priority to KR2019830006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746Y1/ko
Publication of KR850001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개략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마루 패널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가열관 등을 구비한 옥내 난방용 스토브의 부분 사시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석유스토브 2 : 가열관
3 : 저온수 저자탱크 4 : 환수관
5 : 송수관 6 : 순환펌프
7 : 마루패널
본 고안은 옥내 난방용 스토브의 여열을 이용하여 마루난방을 하도록 시도한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옥내 난방용 스토브로서는 석유스토브, 가스스토브 등 여러가지가 제안 실시되고 있으나, 이들 스토브에 대한 난방은 모두 연소장소 근방이 극부적으로 데워질 뿐이고, 가온된 공기는 곧 바로 상승해 천정 부근에 집합되므로서 상부는 따스하지만 발밑은 한랭하거나 또는 허리에 냉기를 받는 등의 현상이 생기므로서 쾌적한 난방 환경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마루난방을 행하는 것이 시도되었으나, 종래의 마루난방 장치는 어느 것이나 별개의 열에너지 원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또한 무진장한 태양에너지 등의 지연 열에너지원의 이용 장치도 고안되었으나, 설비 및 장치가 방대해지고 단가도 상승하므로 실용화가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석유스토브의 여열을 이용한 경제적인 난방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즉, 일본국 실개소 57-97806호에 따르면, 석유스토브의 연소통 윗쪽에 온수기를 배설하고, 이와 함께 이 온수기에 펌프를 개재하여 방열부를 접속하며, 상기 연소통과 온수기와의 사이에 자유로이 여닫을 수 있게 셔터를 설치한 난방장치이다.
그러나 이 난방장치에 있어서, 온수기는 밀폐된 용기를 사용한 것으로서 그 높이가 무시될 수 없고, 따라서 종래 석유 스토브에 부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별도로 설계된 높이의 스토브를 제작하지 않을 수 없으며, 전방에서 스토브를 한 경우, 온수기가 눈에 띄므로서 외관을 해치며, 온수기를 은폐하려면 천정판 전방을 크게 굴곡시킬 수 밖에 없는데 이것 역시 저항감을 느끼게 된다.
또, 용기 모양의 온수기이므로 열교환율이 낮다.
뿐만 아니라 이 난방장치의 온수기에서는 4개의 배관이 배설되어 있으므로 접속부위의 누수 우려와 제조단가 상승의 문제도 있어 불리하다. 더우기 이 난방장치에는 온수기외에 온수기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탱크를 갖추게 되어 구조를 복잡하게 만든다.
그리고 순환펌프는 방열부에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있어서 온수기에서 가열된 고온수가 펌프를 과열하게 되고 이 펌프의 온도상승을 일으킬 뿐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옥내난방용 스토브의 여열(餘熱)을 이용하여 극히 간단하고, 또한 경제적으로 마루난방을 행할 수 있는 온수식 마루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옥내난방용 스토브와 이 스토브의 천정판 바로 아래에 배치하여 상기 스토브의 여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관과 상기 가열관에 그 상측에서 저온수를 공급하는 저온수 저장탱크와 상기 저온수 저장탱크에 저온수를 공급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가열관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공급하고, 또한 저온수를 상기 순환 펌프로 순환시키는 마루 패널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가열관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되는 파이프와 그 위에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되는 핀을 갖춘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천정판의 바로 아래에 정면에서 보아서 은폐되도록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이며, 개략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마루패널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제 3 도는 가열관 등을 구비한 옥내난방용 스토브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 1 도에서(1)(제 3 도에는 이를 쇄선으로 표시하였음)은 종래부터 시판되고 있는 기존의 석유스토브로서 실내의 한쪽 구석에 설치한다. 그리하여 이 스토브(1)내의 연소통(11)의 상부이자, 천정판(12)의 바로 아래 부분에 가열관(2)을 배설한다.
이 가열관(2)은 제 3 도의 표시와 같이 서로 평행하는 복수개의 직선부(2A)와 이 직선부(2A)들을 연결하는 굴곡부(2B)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가열관(2)은 열전도성이 양호한 동파이프와 그 위에 반원상 또는 상기 동파이프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동판의 핀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열관(2)을 필요에 따라 코일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가열관(2)은 석유스토브의 천정판 바로 아래에 천정판(12)으로 부터 짧은 거리의 간격을 두고 상기 천정판(12)에 적당한 멈춤나사 등을 사용하여 매단다.
천정판(12)의 전면쪽은 상기 가열관(2)을 은폐할 정도로 절곡시켜 구성하므로서 정면에 서 본 경우 가열관(2)이 눈에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열관(2)의 한끝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온수 저장탱크(3)에 연결되고, 이와 함께 다른쪽 끝은 콕크(51)를 거쳐서 배수관(5)에 연결된다.
한편, 석유스토브(1)의 반사판(13)의 뒤쪽에는 판금제로 되고 또한 저온수 저장탱크(3)가 내장되며, 저온수 저장탱크(3)에는 내부의 수위를 개량하기 위한 수위계와 수은 계량을 위한 온도계가 삽입되고, 이와 함께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 상측면에서 파이프(2C)로 상기 가열관(2)에 연결되는 한편, 그 저면은 파이프(6A)로 스토브의 저면에 설치한 순환펌프(6)에 연결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온수 저장탱크(3)의 저면에는 배수용 드레인이 설치되는 한편 저온수 저장탱크의 상부에는 외부로 부터 물을 넣기 위한 적합한 장치가 마련 된다.
순환펌프(6)는 도면에서 원통형으로 표시되었으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사용에 편리한 형상이면 가하다.
순환펌프(6)는 콕크(41)를 거쳐서 환원판(4)에 연결되고, 또 스토브의 저부에 있는 저온수 저장탱크(3)의 바로 밑에 설치한다. 즉, 본 고안의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는 그 구성부품인 가열관(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브의 천정판(12)바로 아래에 배설되며, 또한 순환펌프(6)와 저온수 저장탱크 및 연료탱크는 반사판의 배면부에 배설된다.
여기서, 다시 제 1 도로 되돌아가 설명하면 상기 배수관(5)은 마루에 부설된 마루패널(7)의 배관(71)의 한끝에 접속되는 한편, 이 배관(71)의 다른 끝은 상기 환원관(4)에 접속된다.
여기서 마루 패널(7)은 금속판으로 된 상부판(72)과 이 상부판(72)하면에 열전도가 양호하게 되도록 배설한 배관(71)과 상기 상부판(72)과 마루(8)와의 공간에 채운 단열재(73)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배관(71)은 도시한 바와 같이 S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가열관으로 부터의 고온수를 균등한 온도분포가 되도록 공급받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저온수 저장탱크(3)내에는 소정량의 물을 주입하고 콕크(54),(41)는 폐쇄한다.
가열관(2)이 연소통(11)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온되면 상기 콕크(54),(41)를 개방한다.
한편, 상기 순환펌프(6)의 작동에 의하여 저온수 저장탱크 내의 저온수는 순차적으로 가열관(2)으로 도입되어 여기에서 가열되어 고온수로 되고, 배수관(5)을 통해서 상기 마루패널의 배관(71)으로 유도되어 마루를 적합한 온도로 가온하게 된다.
상기 배관(71)의 다른쪽 끝을 흐르는 온수는 마루 난방을 마친후 저온수로 되어서 환원관(4)으로 들어가고, 순환펌프(6)에 의해 다시 저온수 저장탱크(3)로 환원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가열관은 동판에 핀을 붙인 동파이프로 열교환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그 높이가 무시될 수 있는 낮은 높이이므로 종래 널리 쓰이고 있는 실내난방용 스토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천정판의 전방을 적게 구부려도 전방에서 봤을때 가열관이 보이지 않아 외관을 해치는 일이 없고, 또 사용자로 하여금 저항감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본 고안의 가열관은, 입.출력등 2개의 배관만 있어서 접속부위에서의 누수 우려가 없고 제조단가면에서도 대단히 유리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급수탱크가 없고 그 대신 저온수 저장탱크만이 있을 뿐이며, 이것은 오직 찬 물을 담아두는 것 뿐 아니라 마루 패널측에 고온수를 공급하는 한편 가열관측에 저온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저온수 저장탱크는 그 상측면에서 파이프(2C)로 가열관(2)에 연결되는 한편 그 저면은 파이프(6A)로 스토브의 밑판에 설치한 순환펌프(6)에 연결돼 있어서 온도가 높은 상측이 가열관으로 유입되므로 그 열효율이 좋아진다.
더우기 본 고안은 순환펌프는 방열부인 마루 패널에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마루 패널에서 방열된 저온수가 펌프를 통과하게 되므로 펌프의 온도상승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Claims (1)

  1. 통상의 옥내난방용 스토브(1)의 전방을 가열관(2)이 은폐될 정도로 절곡된 천정판(12)의 바로 아래에 등판의 핀(2A)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동파이프(2B)복수개를 직열로 연결하여 되는 가열관(2)을 매달고, 이 가열관(2)의 한쪽 끝은 반사판(13)의 상측면에서 파이프(2C)로 연결해 놓고 이 가열관(2)의 다른 쪽 끝은 콕크(51)를 개재하여 배수관(5)에 연결하며, 배수관(5)은 마루 패널의 배관(71)에 연결하는 한편, 반사판(13)의 배면에 둔 저온수 저장탱크(3)의 바로 밑에 스토브(1)의 바닥 위치에 내장되어 있는 순환펌프(6)의 상단은 파이프(6A)에서 저온수 저장탱크(3)의 저면으로 접속하고, 순환펌프(6)의 하단은 콕크(41)를 개재하여 환원관(4)을 통해 마루 패널의 배관(71)에 연결시켜서 되는 온수식 마루 난방 장치.
KR2019830006195U 1983-07-14 1983-07-14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 KR860002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195U KR860002746Y1 (ko) 1983-07-14 1983-07-14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195U KR860002746Y1 (ko) 1983-07-14 1983-07-14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971U KR850001971U (ko) 1985-04-15
KR860002746Y1 true KR860002746Y1 (ko) 1986-10-17

Family

ID=1923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195U KR860002746Y1 (ko) 1983-07-14 1983-07-14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7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971U (ko) 198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1046A1 (en) Boiler with an Adjacent Chamber and an Heliciodal Heat Exchanger
EP0248012B1 (en) A liquid-filled electric radiator
KR860002746Y1 (ko) 온수식 마루난방 장치
ATE195175T1 (de) Wandgasheizkessel mit kleinem brauchwasserspeicher
JPS6231823Y2 (ko)
KR100747120B1 (ko) 보일러의 가열시스템
KR900006506Y1 (ko) 증기 보일러
PL128122U1 (pl) Kompaktowy moduł hydrauliczny węzła wodno-grzewczego
RU2076284C1 (ru) Стальной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фермер"
CN207635630U (zh) 一种快速换热的电热水锅炉
JPS6039706Y2 (ja) 多槽式貯湯型給湯器
KR820000557Y1 (ko) 난로겸용 온수 보일러
CA1107702A (en) Heating unit for hot water room heating systems
JPS6142020Y2 (ko)
JPH0118332B2 (ko)
JP2869647B1 (ja) 温水供給装置
KR910000368Y1 (ko) 전기 보일러
JPS637790Y2 (ko)
KR100431074B1 (ko) 태양열 및 전열에너지를 이용한 온수난방장치
CN2233052Y (zh) 多功能水暖器
JP2647459B2 (ja) 給湯装置
KR910008498Y1 (ko) 보일러용 온수탱크의 열교환 촉진장치
KR900005063Y1 (ko) 강제대류형 석유스토브의 가열가습장치
KR910000232Y1 (ko) 보일러 온수순환용 온돌판
JPS59131833A (ja) 給湯・暖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