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149Y1 - 키보드 엔 코더 - Google Patents

키보드 엔 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149Y1
KR860002149Y1 KR2019840009616U KR840009616U KR860002149Y1 KR 860002149 Y1 KR860002149 Y1 KR 860002149Y1 KR 2019840009616 U KR2019840009616 U KR 2019840009616U KR 840009616 U KR840009616 U KR 840009616U KR 860002149 Y1 KR860002149 Y1 KR 860002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microprocessor
matrix
en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008U (ko
Inventor
임종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09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149Y1/ko
Publication of KR860004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1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20Dynamic coding, i.e. by key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03Phantom keys detection and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보드 엔 코더
제 1 도는 본 고안의 엔코더 회로.
제 2 도는 종래의 키보드 엔코더 회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롤오버(Role over)방지부 R1-R4: 행렬전원(Vcc)인가용 저항
본 고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이용한 키보드에서 키에 의해 결정된 내용을 키스캔할 필요없이 직접 읽으면서도 두가지 이상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었을 때의 오동작을 없애도록 한 키보드 엔코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일 유니트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는 키보드에 의하여 결정된 내용을 키스캔 방식으로그 내용을 프로세서계의 필요정보를 얻어내고 있다.
일예로, 제 2 도는 종래의 키스캔 방식의 키보드로써 이는 하나의 키누름에 대응된 출력코드를 발생시킬때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그 내용을 찾아낸다.
즉, 키 X가 눌려졌을 때 Dø-D7의 값이 111ø11ø1이란 8비트 코드를 얻어 내는데 여기서 그 과정은
① Dø-D3 : ø111(w)
② D4-D7 : 1111(R)
③ Dø-D3 : 1ø11(w)
④ D4-D7 : 1111(R)
⑤ Dø-D3 : 11ø1(w)
⑥ D4-D7 : 1111(R)
⑦ Dø-D3 : 111ø(w)
⑧ D4-D7 : 11ø1(R)
w : write(쓰기), R : Read(읽기)
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행하여서 행의 4번째 타인이 ø가 됨을 검출하고, 이때의 D4-D7의 값이 11ø1임을 알게 되어 그 코드는 111ø11ø1이란 내용으로 읽혀지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으로는 키스캔을 위한 절차가 복잡하여 스캐닝 타임이 소요되어 신속한 정보처리가 요구되는 컴퓨터 시스템계의 신속성을 이루기 어려우며, 한번에 2개 이상의 키누름에 대처한 오동작 예비장치가 없고, 단지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 하므로써 MPU(Micro Processer Unit)가 불필요한 휴지 시간을 갖게 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불편을 없애고자 안출한 것인데, 이는 기존의 2라인 스위칭 방식을 접지점을 포함한 3라인 방식으로 하고, 2이상의 키조작을 동시에 행했을 때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회로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이러한 시스템에 유용히 이용될 수 있는 키보드엔코더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의 오열에 저항을 거쳐 전원(Vcc)이 연결되고 키(K) 메츄릭스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각키(K)에 접지점을 연결하고, 라이트(Write)라인인 행렬에 저항을 거쳐 전원(Vcc)을 연결하며, 리드 라인인 오열에 오어게이트(O1,O2)와 앤드게이트(A1,A1)의 각 2입력라인을 각기 연결하고, 이 앤드게이트(A1,A2)출력을 오어게이트(O3)를 거쳐 낸드게이트(N2)의 일방에 연결하며, 이 낸드게이트(N2)의 타측입력은 각 행렬을 입력으로 가지는 낸드게이트(N1)의 출력을 연결하여 롤오버(Role Over)방지부(A)를 구성하고, 이의 출력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인터럽트단자(INT)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K1은 편의상 부여된 부호키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소정의 키(K1)를 눌렀을 경우 그 읽혀지는 값이 111ø11ø1이 직접 검출되는 것이며, 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직접 키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다.
한편, 소정의 키를 K로 하였을 경우는 행렬의 Dø와 오열의 D4가 각기 출력 ø가 되므로 이 값은 ø111ø111이 검출되어 이에 의해 처리되야 할 내용을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때는 롤 오버방지부(A)의 오어게이트(O1,O2)와 앤드게이트(A1,A2)의 입력라인은 각기 선택된 키만 ø로 되는 것이고, 그외는 전부 1을 유지하므로써 낸드게이트(W2)의 입력논리레벨은 둘다 1이 되어 그 출력이 ø로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인터럼트 펄스를 보내게 되고,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인터럼트 요청시에 키입력을 처리할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입력정보를 읽어내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2 이상의 키가 동시 선택되었을 경우(즉, 일예로 K,K1)는 오어게이트(O,O2)출력은 1, 낸드게이트(A1,A2)출력은 ø, 오어게이트(O3)출력은 ø, 낸드게이트(N2)출력은 1이 되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인터럼트펄스를 가하지 않게 되어 키의 오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키보드에 있어서 키스캔과정을 없애므로써 하이크로 프로세서의 신속한 입력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2이상 동시 키조작이 행해졌을때는 이를 방지하는 조작을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게 되므로써 이러한 회로의 이용 가치를 현저히 증진시키게 되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라이트 및 리드 기능의 오와행렬디지트 라인을 구비하고 키 메츄릭스를 구성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행에 저항(R1-R4)으로 전원(Vcc)을 인가하고, 키(K)자체에 접지라인을 형성하며, 리드 기능인 행렬디지트 라인에 각기 2키동시 선택시 인터럼트 출력방지용 롤오버 방지부(A)의 논리구성을 하여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키보드엔코더에서 스캔타임을 없애면서 롤 오버 동작을 방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엔 코더.
KR2019840009616U 1984-09-29 1984-09-29 키보드 엔 코더 KR860002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616U KR860002149Y1 (ko) 1984-09-29 1984-09-29 키보드 엔 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616U KR860002149Y1 (ko) 1984-09-29 1984-09-29 키보드 엔 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008U KR860004008U (ko) 1986-04-25
KR860002149Y1 true KR860002149Y1 (ko) 1986-09-06

Family

ID=7016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616U KR860002149Y1 (ko) 1984-09-29 1984-09-29 키보드 엔 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1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008U (ko) 198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7962B2 (en) Keyboard enhancer
CA1073554A (en) Keyboard circuit
JPH051485B2 (ko)
EP0089646A2 (en) Input system using switch matrix
EP0129996A2 (en) Character inputting method
KR860002149Y1 (ko) 키보드 엔 코더
GB122349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onic accounting apparatus
US4988997A (en) Method for character code generation
JPH0313610B2 (ko)
JPH0376508B2 (ko)
KR950012358B1 (ko) 타 컴퓨터의 제어장치
KR100202611B1 (ko) 키이보드 스캔장치
JPS6319886B2 (ko)
JPS6242288B2 (ko)
JPH0650027Y2 (ja) キーボード
JPH0418038Y2 (ko)
JPS594056B2 (ja) キ−入力制御方式
JPS63184816A (ja) キ−押下検出回路
JPH0426129B2 (ko)
SU12821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JP2839304B2 (ja) キーボード装置
JPS6311691B2 (ko)
JPS6346852B2 (ko)
JPH0610425Y2 (ja) キ−ボ−ド・コントロ−ラ
KR900000112B1 (ko) 키보드의 키 입력 판독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