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944Y1 -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944Y1
KR860001944Y1 KR2019840003737U KR840003737U KR860001944Y1 KR 860001944 Y1 KR860001944 Y1 KR 860001944Y1 KR 2019840003737 U KR2019840003737 U KR 2019840003737U KR 840003737 U KR840003737 U KR 840003737U KR 860001944 Y1 KR860001944 Y1 KR 860001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tube
rubber
outer end
penc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3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636U (ko
Inventor
박봉훈
Original Assignee
박봉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훈 filed Critical 박봉훈
Priority to KR2019840003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944Y1/ko
Publication of KR850008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6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a도는 제 1 도의 결합 사시도.
제 2b도는 제 2a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실시 사시도.
본 고안은 볼펜 또는 연필등의 필구선단에 삽착하여 사용하는 필기구용 파지구의 수납기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볼펜이나 연필등의 필기구는 사용시 손으로 잡는 부분이 미끄러워서 손으로 잡을 때 힘을 주어 잡게되며, 이런 상태로 오래 사용하다보면 손가락에 큰 부담을 주게되어 손가락의 변형 및 신경통 등 여러가지의 폐단이 발생된다.
이러한 폐단을 없이하도록 고무재질의 볼펜용 파지구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것은 고무재질의 원통관으로 된 파지구가 길기때문에 사용자가 볼펜에 끼울 때 극히 어렵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하므로 실용성이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볼펜 등의 필기구의 손잡이 부위에 고무관을 직접 끼우지 않기 위하여 고무관의 직경을 필기구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그 보다 약간 작게하여 중첩되게 말아서 고무링의 형태로 하고 이 고무링을 모자 형태의 외측 단관에 끼우고, 이 단관의 직경보다 작은 모자형태의 내측 단관을 외측 단관에 끼워서 된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일정 길이의 원통형 고무관(3)을 말아서 고무(4)형태로 된 것을 턱(1)이 형성된 외측단관(2)에 끼워서 내측단관(5)을 외측단관(2)에 끼워서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7 : 필기구이다.
제 2a도에서는 외측단관(2)에 고무링(4)과 내측단관(5)이 끼워진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2b도에서는 제 2a도의 단면도가 도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외측단관 (2)에 고무링(4)과 턱(6)이 형성된 내측단관(5)의 결합 상태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있다.
제 3 도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를 필기구(7)에 끼울때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외측단관(2)의 내경은 필기구(7)의 직경보다 작고 필기구의 가늘게된 끝부분의 직경과 같다.
필기구에 고무관(3)을 끼울때에는 내측단관(5)을 제거하고 외측단관(2)을 필기구(7)의 가늘게되어 있는 끝부분에 끼운 다음 고무링(4) 형태로 말려있는 원통형 고무관(3)을 화살표 방향으로 굴리면 원통형 고무관(3)은 필기구를 감싸게 된다.
원통형 고무관(3)을 필기구(7)에서 제거할때에는 위의 설명과정을 반대로 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손으로 잡는 필기구의 부위가 완전히 고무막으로 둘러 쌓이게 되므로, 필기구를 사용할때 필기구가 손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됨과 동시에 그 사용 촉감이 좋고 장시간필기구를 사용하여도 손가락에 부담이 많이가지 않으며, 또한 그 구성이 간단하여 경제적이고 필기구에 끼우고 빼기가 극히 수월함 등 그 효과가 다대한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원통 고무관(3)을 말아서된 고무링(4)을 턱(1)이 형성된 외측단관(2) 상에 끼우고, 턱(6)이 형성된 내측단관(5)을 외극단관(2)에 끼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
KR2019840003737U 1984-04-23 1984-04-23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 KR860001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737U KR860001944Y1 (ko) 1984-04-23 1984-04-23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737U KR860001944Y1 (ko) 1984-04-23 1984-04-23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636U KR850008636U (ko) 1985-11-20
KR860001944Y1 true KR860001944Y1 (ko) 1986-08-18

Family

ID=1923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3737U KR860001944Y1 (ko) 1984-04-23 1984-04-23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9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636U (ko) 198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6710A (en) Apparatus for aiding in learning correct penmanship
DK0686017T3 (da) Låsesamling til at fastlåse en spids i et tandlægeinstrumentgreb
US6343885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hand grip
US4302121A (en) Ball-point pen having three sides and complementary cap
US5318372A (en) Combination pen and pencil writing instrument
US2845047A (en) Writing instrument
KR860006235A (ko) 치간 칫솔
US9333796B2 (en) Fingertip mountable writing instrument
KR860001944Y1 (ko) 필기구용 파지구 수납기
JPH02141295A (ja) 筆記具被覆体および被覆体の移動止め構造
JP2854084B2 (ja) 筆記具被覆体
US2563309A (en) Blackboard compass
JPH0528069Y2 (ko)
ES255406U (es) Pluma de escritura perfeccionada.
KR890004160Y1 (ko) 필기구용 홀더
JPH0529914Y2 (ko)
JPS6134148Y2 (ko)
KR870000876Y1 (ko) 필기구
GB2061832A (en) Writing implements
JP2606762Y2 (ja) 筆記具の滑り止め
JPH0717185A (ja) 幼児及び子供用の太芯シャープペンシル
KR200399092Y1 (ko) 필기자세교정장치
JPH0529912Y2 (ko)
JPH08300878A (ja) 筆記具用把持具
KR20110007763A (ko) 필기구용 파지 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