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641Y1 - 플라이백트랜스 - Google Patents

플라이백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641Y1
KR860001641Y1 KR2019820005129U KR820005129U KR860001641Y1 KR 860001641 Y1 KR860001641 Y1 KR 860001641Y1 KR 2019820005129 U KR2019820005129 U KR 2019820005129U KR 820005129 U KR820005129 U KR 820005129U KR 860001641 Y1 KR860001641 Y1 KR 860001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terminal
flyback transformer
variable resistor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876U (ko
Inventor
켄지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가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8145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532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14811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0517U/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가오루 filed Critical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0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6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solid or vice versa
    • C09K5/063Materials absorbing or liberating heat during crystallisation; Heat storag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with several winding chambers separated by flanges, e.g.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01F2038/423Flyback transformers with adjusting potentio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이백트랜스
제1도는 종래예에 의한 플라이백트랜스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플라이백트랜스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예에 따라 가변저항기 유닛을 인입선에 연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플라이백트랜스의 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플라이백트랜스의 분해부분품 배열도
제6도는 제4도의 플라이백트랜스의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플라이백트랜스의 저면평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플라이백트랜스내에서 사용하는 가변저항기 유닛의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9도는 (a)(b)(c)는 제4도의 플라이백트랜스에 사용하는 가변저항기 유닛의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10도 (a)(b)는 본 고안의 플라이백트랜스에 사용되는 단자소켓의 측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제11도 (a)는 제10도(a)(b)의 단자소켓을 꽂는 덩의 상면도
제11도 (b)는 제11도(a)에 표시된 XIb-XIb선에 따라서 본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a)(b)의 단자소켓을 제11도(a)(b)의 멍속에 뚫려 있는 구멍속으로 밀어넣어 맞물리게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플라이백트랜스의 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플라이백트랜스의 저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플라이백트랜스에 사용된 가변저항기 유닛의 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가변저항기 유닛의 부분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 : 연결자 (26b) : 전도체
(30b)(34) : 1차개구부 (28) : 케이식
(52) : 1차단자수단 (40)(64) : 맞물림수단
(54)(56) : 전기통로 (31) : 코일수단
(60) : 하우징 (66) : 2차개구부
(69a)(92a) : 2차단자수단 (70) : 전기소자수단
본 고안은 트랜스, 더욱 상세히는, 플라이백트랜스가 가변저항기와 같은 전기부품과 함께 부착된 텔레비전수상기에서 사용하는 플라이백트랜스의 배치를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텔레비전수상기에서 사용하는 플라이백트랜스에는 대개 저압을 받아들이는 1차코일과 고압을 발생시키는 2차코일이 포함되어 있다. 2차코일에서 발생한 고압은 음극선관에 가하여져서 수평편향을 생기게한다.
최근의 플라이백트랜스에 의하면, 음극선관에 영상을 접속시키고, 음극선관의 스크리인 그리드에 퍼텐설을 가하는데 사용되는 예정전압을 발생시키는 2차코일 중간에 텝이 달려 있다. 영상을 접속시키는 전압(이하 접속전압이라 한다)과 스크리인 그리드에 퍼텐설을 가하기 위한 전압(이하 스크리인전압이라 한다)은 예정전압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텝에서 뻗어 있는 인입선이 1차 및 2차 가변저항기에 접속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1차 가변저항기는 접속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2차 가변저항기는 스크리인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달려 있다.
처음에는 이러한 가변저항기들이 플라이백트랜스와 분리되어 있었는데,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시킨다는 관점에서 가변저항기를 플라이백트랜스에 부착하는 방법이 여러가지로 모색되었다. 가변저항기가 부착된 재래식 플라이백트랜스의 일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가변저항기가 부착된 재래식 플라이백트랜스에는 케이싱(2), 내외보빈위에 있는 1차 및 2차 코일(제2도에서 2차 코일만을 숫자(4)로 표시함), 2차코일(4)의 중간탑(4a)에서 뻗어나온 인입선(6) 등이 포함된다. 2차코일(4)의 끝은 수평편향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입선(10)을 거쳐 음극선관(도면에는 표시되지 아니함)에 연결되어 있다. 0자모양의 페라이트코어(8)는 내측보빈을 통하여 뻗어있다.
재래식 플라이백트랜스에는 예를 들면, 고정나사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케이식( 2)에 당당히 고정된 가변 저항기 유닛(12)도 포함되어 있다. 제3도에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변저항기 유닛(12)에는 2개의 핀(12a)(12b)과 손잡이(12c)가 포함되어 있다. 핀(12a)은 케이싱(2)의 바닥에 뚫려 있는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케이식의 측벽을 따라 가변저항기 유닛(12)까지 뻗어 있는 인입선(6)을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12c)를 돌릴때 유닛(12)에 합체되어 있는 가변저항기(도면에서 표시되지 아니함)은 집속변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조정된다. 스크리인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케이식(2)위에도 이와 비슷한 가변저항기 유닛이 달려 있다.
위에서 설명한 재래식 트랜스에 의하면, 비교적 높은 압력을 운반하는 인입선 (6)이 케이싱밖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플라이백트랜스의 정비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플라이백트랜스의 부피가 매우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재래식 플라이백트랜스(도면에는 표시되지 아니함)는 가변 저항기 유닛이 케이싱 내부에 합체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플라이백트랜스에 의하면, 가변저항기 유닛에는 합성수지가 충전되어 있다. 그러므로, 합성수지가 케이싱안에서 단단히 굳어서 케이싱안에 있는 코일과 기타 부품을 고정시켜 버리면, 가변저항기 유닛에 접근할 방도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플라이백트랜스는 가변저항기를 교반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단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하였으며, 코일유닛을 케이식안에 부착하고, 가변저항기 유닛을 케이싱에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트랜스의 코일을 트랜스케이싱의 측면에 뻗어 있는 인입선을 사용함이 없이 가변저항기 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자가 달린 개량된 플라이백트랜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말한 트랜스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쉽게 제고할 수 있는 플라이백트랜스를 제공하는 것도 이 고안의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함에 있어서, 이 고안에 의한 플라이백트랜스에는 1차개구부가 뚫려 있는 케이싱, 1차 개구부내에 위치한 1차단자수단, 케이싱에 고정되어 있는 맞물림수단, 케이싱에 부착된 코일수단, 케이싱내부에 마련된 전선을 거쳐 1차단자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코일수단, 2차개구부가 뚫려 있는 하우징, 2차개구부내에 위치한 2차단자수단, 하우징내에 부착된 전기소자수단, 2차단자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기소자수단, 맞물림수단과 맞물리게 하여 하우징을 기계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케이싱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에 고정된 맞물림수단, U자 모양의 전기도체가 부착되어 있고, U자 모양의 도체의 1차끝을 1차개구부에 연결하는 한편, 2차 끝을 2차개구부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1차단자수단을 U자모양의 전기도체를 통하여 2차단자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자모양의 연결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실시예를 예로 한 다음의 설명에 의해 더 명백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숫자를 붙였다.
여기에서,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플라이백트랜스(20)는 코일유닛(22), 가변저항기유닛(24) 및 연결자(26)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유닛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일유닛(22)에는 합성수지로 만든 반원통형 케이싱(28)이 포함되어 있다. 케이싱(28)은 그 상면, 및 저면을 표시한 제9도 (a)(b)(c)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원통형 케이싱(28)의 하단은 트여있고, 그 상단은 상부판으로 막혀있다. 상부판(30)에는 3개의 둥근 구멍(30a)(30b)(30c)이 뚫려 있다. 상부판(30)의 기억 중앙에 자리하고 있는 둥근 구멍(30a)은 대개 0자모양으로 생긴 페라이트코어(32)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뚫려 있다. 구멍(30b)은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판의 상하수직으로 뻗어 있는 작은 원통형벽(34)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구멍(30b)은 트랜스의 코일과 연결자(26)를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전기적 연결을 시키기 위하여 뚫려 있다. 또다른 구멍(30c)도 원통형벽(36)으로 둘러싸여 있고, 인입선(38)(제6도)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뚫려 있다. 인입선(38)은 트랜스의 2차코일과 수평편향을 생기게 하기 위한 음극선과(도면에는 표시되지 아니함)을 연결한다 원통형벽(36)과 인입선(38) 및 2차코일 사이의 연결에 관한 세부사항은 1981년 3월 12일에 제출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242,986호에 공개되었다.
제9도(a)(b)(c)를 다시 참조하여 보면, 케이싱(28)은 서로 예정된 간격을 두고, 원통형벽(34)의 축과 평행으로 뻗어 있는 한쌍의 스템(42)(44)과 하단에서 스템( 42)(44)사이에 뻗어 있는 비임(46)에 의하여 한정되는 사실상 U자모임의 프레임(4 6)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임(46)의 저면은 케이싱(28)의 저면과 같은 평면이다. 스템( 42)(44)과 비임(46)에는 내면에 따라 긴홈(42a)(44a)(46a)이 피어 있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각 홈에는 U자 모양의 단면이 있고, 각 홈(42a)(44a)의 넓이는 하단쪽으로, 다시 말하면 비임(46)쪽으로 약간 좁아져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홈(42a)(44a)의 저면사이의 거리는 비임(46)쪽으로 좁아져 있다. 비임(46)에는 각 스텝(42)(44)가까이에 한쌍의 구멍(46b)(46c)이 뚫려 있으며, 이러한 구멍은 주형과정중에 만들고, 제14도에 관련하여 다음에 설명할 방법으로 단자다리를 끼우는데 사용된다.
제6도를 보면, 코일유닛(22)에는 내의보빈에 감겨 있는 제1 및 제2코일과 내보빈을 거쳐 뻗어 있는 페라이드코어(32)가 포함되어 있다. 제6도에는 제2코일(31)만 표시되어 있는데, 코일배치에 관하여는 미합중국 특허 제4,334,206호 및 앞에서 말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242,986호 상세히 공개되어 있다.
내보빈에 동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외보빈은 그 상단에 플랜지(48)가 달려 있다. 플랜지(48)에는 플랜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텅(50)이 달려 있다. 제11도(a) 및 (b)에 자세히 표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48)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명 (50)의 끝부분에는 위쪽으로 뻗어 있는 원형벽(50a)과 텅(50)내의 원형벽(50a) 중앙에 형성된 슬릿(50b)이 있다. 원형벽(50a)의 내경은 원통형벽(34)의 외경과 거의 같다. 텅(50)은 제10도(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소켓(52)을 받치기 위하여 달려 있다.
단자소켓(52)은 제10도(a)(b)에 상세히 표시된 바와 같이, 인청동과 같은 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지고, 관형상부분(52a)과 다리부분(52b)에 의하여 한정된다. 관형상부분(52a)은 4각형 인청동판을 관모양으로 구부리면서, 동시에 그 중앙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목부분을 한정함으로써 이를 형성한다. 따리부분(52b)은 길고 가느다란 인청동판을 두겹으로 겹쳐서 만든다. 단자소켓(52)을 텅(50)에 부착시키려면, 제1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리부분(52b)을 늘려서 슬릿(50b)속으로 밀어 넣는다. 그 결과, 다리부분(52b)의 하단부분은 원형벽(50a)에 의하여 형성된 측면과는 반대쪽에 있는 텅(50)의 측면에 아래쪽으로 뻗어 있게 된다.
제6도를 다시 참조하면, 다리부분(52b)은 예컨대,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인입선(54)에 접속되어 있고, 이 인입선은 축전지(56)와 접속된다. 축전지(56)는 트랜스 2차코일의 중앙탭과도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우드(도면에는 표시되지 아니함)는 축전지(56)와 중앙탭 사이에 또는 중앙탭과 중앙탭으로부터 어어드축 2차 코일부분 사이에 접속 하는 경우가 많다. 코일을 일단 케이싱(28) 속에 배열하였으면 단자소켓(52)을 원통형벽(34) 속에 집어넣는 동시에, 텅(50)의 원형벽(50a)을 원통형벽(34)과 단단히 맞물리게 한다. 그 다음에, 열경화성 에폭시수지와 같은 경화제(58)를 이용하여 코일내열을 케이싱(28)속에 고정시킨다.
가변저항기 유닛(24)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4각 접시모양으로 생긴 하우징(60)과 하우징에 고정된 회로판(70)이 포함되어 있다. 하우징(60)은 4각 오목상자 (62)(제5도)와 4각상자(62)의 3면, 다시 말하면 길게 대향한 양측면과 저면에서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플랜지(64)에 의하여 한정된다.
많이 이용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1이상의 돌출부(제5도에 표시된 예에서는 2개의 돌출구(64a)(64b)가 있다)가 4각 상자(62)의 긴 측면위에 있는 각 플랜지 (64)에 바깥쪽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4각 상자(62)의 긴 측면부위에 있는 각 플랜지(64)의 두께는 하단으로 내려가면서 점점 가늘게 되어 있다. 더구나, 긴 측면위에 있는 플랜지(64)의 자유로운 가장자리사이의 거리는 밑으로 가면서 약간 좁아진다.
4각상자의 상부면에는 각 원통형벽(66)(68)으로 둘러싸인 구멍이 2개 뚫려 있다. 이 구멍에는 위에서 제10도(a)(b)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단자소켓 (69a) 및 (69b)이 부착되어 있다. 4각 오목상자(62)내부에서, 단자소켓(69a)(69b)은 는음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회로판(70)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자소켓(69 a)(69b)에 같음하여, 각 원통형벽(66)(68)에 단자핀을 부착시킬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4각 상자(62)의 저면에는 단자핀(72)(74)을 부착시키기 위한 구멍이 2개 뚫려 있다. 단자핀(72)(74)은 부분적으로 입방체모양의 안전기(73)로 덮여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플라이백트랜스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평판(PL)(제6도)위에 있는 단자핀(72 )(74)을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다. 4각 상자(62)에는 조절손잡이(76)(78)를 부착시키기 위한 구멍이 2개 뚫려 있다.
많이 이용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소켓, 다시 말하면(69a)와 회로판(70)의 전곡사이는 단자소켓(69a)의 다리부분과회로판(70)의 전곡사이에 부착된 압축스프링 (80)(제6도)에 의하여 접속된다. 회로판(70)은 적당한고정부재에 의하여 4각 상자(6 2)안에 고정시킨 다음에, 상자(62)를 경화재(82)에 의하여 봉합한다.
회로판(70)에는 부전도성재료로 만든 기판과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회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예정된 모양으로 배치된 여러줄의 오음저항소자가 포함되어 있다. 하나의 예로서 제시된 제8도의 회로에는 단자(69a)(72)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소자( R1)(R2)와 단자(69b)에 접속된 저항소자(R3)가 포함되어 있다.
런너전극(84)은 저항소자(R3)로부터 저항소자(R1)에 인접된 위치에까지 뻗어 있으며, 다른 런너전극(86)은 단자(74)에서 저항소자(R2)에 인접된 위치에까지 뻗어 있다.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회전아암(76')은 손잡이(76)에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회전아암(78')은 손잡이(78)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76)가 회전하면 아암(76')의 한쪽끝이 저항소자(R1)위로 미끄러져가고, 그 다른 한쪽끝은 런너전극(8 4)의 추축위에 놓이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손잡이(78)가 회전하면, 아암(78)은 저항소자(R2)위로 미끄러져서 그 한쪽끝이 런너전극(86)에 접속된다.
위에서 설명한 가변저항기 유닛(24)은 코일유닛(22)의 케이싱(28)위에 분리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므로, 4각 상자(62) 위에 있는 플랜지(64)는 가변저항기 유닛(24)이 U자모양으로 된 프레임(40)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홈(42a )(44a)(46a)과 맞물리게 된다. 홈(42a)(44a)내부에는 돌출부(64a)(64b)와 맞물릴 수 있는 요부가 파여 있다. 이러한 맞물림은 가변저항기 유닛(24)을 케이싱(28)위에 있는 제자리에 있게 하는 동시에, 가변저항기 유닛(24)이 U자모양의 프레임(40)에 삽입된 후 떨어져 나가는 일이 없도록 방지한다.
제6도를 참조하여 보면, 연결자(26)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U자 모양의 몸통(26a)과 U자모양으로 된 몸통(26a)을 통하여 뻗어 있는 인입선(26b)이 달려 있다. U자 모양으로 된 몸통(26a)의 한쪽끝에는 내경이 원통형벽(34)의 외경과 거의 같은 원형벽(26c)이 형성되어 있다.
U자모양으로 된 몸통(26a)의 다른 한쪽끝에도 내경이 가변저항기 유닛(24)의 원통형벽(66)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원형벽(26b)이 달려 있다.
연결자(26)는 그 원형벽(26c)을 원통형벽(34)에 단단히 부착하는 한편, 인입선(26b)의 한쪽끝을 단자소켓(52) 속으로 밀어서 맞물리게 하는 방법으로 이를 부착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원형벽(26b)은 원통형벽(66)에 부착시키는 한편, 인입선(26b)의 한쪽끝을 단자소켓(69a)속으로 밀어넣어 맞물리게 한다.
위에서 말한 본 고안의 플라이백트랜스(20)는 사용함 때 인쇄회로(PL) 위에 부착한다. 1차 및 2차 코일이 여자된 때에는 가변저항기 유닛(24)의 단자(69a)는 코일유닛(22)의 단자소켓(52)으로부터 연결자(26)를 거쳐 예정고압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고압은 손잡이(76)로 조절하여 단자(69b)로부터 접속전압이 생기게 한다. 단자(69a)에 가하여진 전압은 손잡이(78)로 조절하여 단자(74)로부터 스크리인전압이 생기게 한다. 단자(72)는 땅에 접속시킨다.
어떤 사유로 인하여, 코일유닛(22) 또는 가변저항기 유닛(24)중 1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연결자(26)를 떼어내고, 유닛(22)(24)을 분리하기만 하면 이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유닛은 교체후 앞에서 말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제13도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플라이백트랜스(20')가 표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플라이백트랜스(20')에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이와 다른 가변저항기 유닛(24)이 달려 있다. 특히 단자편(72)(74)의 위치가 다르다. 제16도를 참조하여 보면, 각 단자핀(72)(74)(도면에는 단자핀(72)만 표시되어 있음)은 L자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 한쪽끝은 접착용 바이드(90)를 용착시켜서 회로판(70)의 전극과 접속시키고, 다른 한쪽끝은 하우징(60)의 저면에 뚫려 있는 구멍(73')(75')을 통하여 하우징(6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나가서 아래로 뻗어 있다.
제2실시예의 가변저항기 유닛(24)이 위에서 말한 방법으로 케이싱(28)위에 부착되는 때에는, 단자핀(72)(74)은 케이싱(28)으로부터 비임(46)내에 뚫려있는 구멍( 46b)(46c)을 거쳐 아래쪽으로 튀어나오게된다.
그러므로, 단자핀(72)(74)위에 앞에서 설명한 입방체모양의 보안기(73)(75)와 같은 온체블록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본 고안에 의한 플라이백트랜스에 의하면, 코일유닛(22)을 가변저항기 유닛(2 4)에 접속시키는 연결자(26)가 매우 짧고, 케이싱(28) 바로 위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이백트랜스 둘레에 위치한 여러가지 전기 부품은 연결자(26)를 통과하는 고압신호에 의하여 불리한 영향을 받지 하니한다. 그외에도, 본 고안의 플라이백트랜스를 부착하는데 필요한 범위를 줄일 수 있다. 더구나, 유닛(22)(24)은 연결자(26)를 탭에서 부착시키는 단계에서 쉽게 접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다.
제1도의 종래 플라이백트랜스와 비교하여 보면, 케이싱에서 뻗어나온 인입선( 6)이 없기 때문에, 본 고안의 플라이백트랜스의 정비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몇가지 많이 이용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경과 변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

1차 개구부(30b)(34)가 뚫려 있는 케이싱(28), 1차 개구부(30b)(34)내에 위치한 1차 단자수단(52), 케이싱에 부착되어 있는 맞물림수단(40), 케이싱(28')에 부착되고, 케이싱(28)내부에 마련된 전기통로(54)(56)를 거쳐 1차 단자수단(5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코일수단(31), 2차 개구부(66)가 뚫려 있는 하우징(60), 이러한 2차개구부(66)내에 자리하고 있는 2차 단자수단(92a), 하우징(60)내에 부착되어 있고, 2차 단자수단(69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기소자수단(70), 맞물림수단 (40)과 맞물릴 수 있도록 하우징(60)위에 부착되어 있고, 기계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하우징(60)을 케이싱(28)에 접속시키는 맞물림수단(64), 전도체(26b)가 부착되어 있고, 연결자(26)의 1차 끝은 1차 개구부(30b)(34)에 접속할 수 있으며, 연결자(26)의 2차 끝은 2차 개구부(66)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1차 단자수단(52)이 전도체(26b)를 통하여 2차 단자수단(69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자(26)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트랜스.
KR2019820005129U 1981-06-30 1982-06-30 플라이백트랜스 KR86000164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4581U JPS585322U (ja) 1981-06-30 1981-06-30 高圧可変抵抗器付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JP56-98145 1981-06-30
JP56-114811 1981-07-31
JP11481181U JPS5820517U (ja) 1981-07-31 1981-07-31 高圧可変抵抗器付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76U KR840000876U (ko) 1984-02-29
KR860001641Y1 true KR860001641Y1 (ko) 1986-07-23

Family

ID=2643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129U KR860001641Y1 (ko) 1981-06-30 1982-06-30 플라이백트랜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99522A (ko)
EP (1) EP0068494B1 (ko)
KR (1) KR860001641Y1 (ko)
CA (1) CA1188819A (ko)
DE (1) DE3278666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330A (ko) * 1999-07-02 1999-10-05 홍성덕 흙벽돌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1259B1 (fr) * 1983-08-25 1985-11-08 Siemens Sa Transformateur haute tension
FR2591794B1 (fr) * 1985-12-13 1989-01-13 Orega Electro Mecanique Transformateur haute tension sans cables de sortie haute tension et a bloc potentiometrique amovible, en particulier pour un tube cathodique trichrome
DE3640732A1 (de) * 1986-11-28 1988-06-09 Standard Elektrik Lorenz Ag Zeilentransformator
JPH0713932B2 (ja) * 1987-01-30 1995-02-15 北村機電株式会社 鉄心試験装置
JPH07118404B2 (ja) * 1990-08-13 1995-1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9201994U1 (ko) * 1992-02-17 1992-05-14 Nokia (Deutschland) Gmbh, 7530 Pforzheim, De
DE9214928U1 (ko) * 1992-11-03 1992-12-17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aend. Stiftung & Co Kg, 8510 Fuerth, De
JP3319664B2 (ja) * 1994-10-31 2002-09-0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装置
JPH08236376A (ja) * 1995-02-28 1996-09-13 Murata Mfg Co Ltd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DE19508695B4 (de) * 1995-03-02 2004-03-2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Trafoklemme
US5731959A (en) * 1995-03-21 1998-03-24 Lg Electronics Inc. Resistor-printed board built in a flyback transformer for a video display appliance
FR2771212B1 (fr) * 1997-11-18 2000-02-11 Thomson Television Components Transformateur a potentiometre integre ameliore
KR100562197B1 (ko) * 1997-12-12 2006-06-21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메디아 일렉트로닉스 플라이백트랜스
US6329896B1 (en) * 1999-01-27 2001-12-11 Darfon Electronics Corp. Low-voltage bobbin for preventing sockets from displacing
US6373367B1 (en) * 1999-12-27 2002-04-16 Darfon Electronics Corp. Flyback transformer with core grounded
JP3743320B2 (ja) * 2001-07-23 2006-0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76966A (en) * 1973-12-19 1977-06-16 Indesit High voltage device
US3959760A (en) * 1974-04-08 1976-05-25 General Electric Company Dry type instrument transformer with potential tap and connector therefor
JPS5938027Y2 (ja) * 1979-05-02 1984-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JPS608412Y2 (ja) * 1980-03-12 1985-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DE3122588A1 (de) * 1981-06-06 1983-04-14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Zeilentransformator fuer fernsehgerae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330A (ko) * 1999-07-02 1999-10-05 홍성덕 흙벽돌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76U (ko) 1984-02-29
EP0068494A2 (en) 1983-01-05
CA1188819A (en) 1985-06-11
DE3278666D1 (en) 1988-07-14
US4499522A (en) 1985-02-12
EP0068494B1 (en) 1988-06-08
EP0068494A3 (en) 198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641Y1 (ko) 플라이백트랜스
US4314221A (en) Inductance device
EP0314107A1 (en) Power Transformer for HI-FI Equipment
JPH0481322B2 (ko)
US3528047A (en) Miniaturized high-frequency transformer
JPS6011615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JPH0240822A (ja) スイッチ
KR20190085715A (ko) 누설 자속을 최소로 하는 인덕터
US3101463A (en) Shielded electrical coil assembly
KR20000002552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JPH0127321Y2 (ko)
US6172594B1 (en) Focus unit of fly back transformer
US3201730A (en) High voltage transformer and rectifier tube with direct connection therebetween
JP3512758B2 (ja) 小型トランス
JP2621397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S5812554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JPS6223069Y2 (ko)
KR2001761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보빈과 포커스 팩의 전기적 접속 구조
JPH0214670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トランス
KR20014578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190085828A (ko)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KR910006289Y1 (ko) 전류 감지기
JPH03241713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H0214671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トランス
JP2006332489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