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514B1 - 페타이어의 건류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페타이어의 건류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514B1
KR860001514B1 KR8202995A KR820002995A KR860001514B1 KR 860001514 B1 KR860001514 B1 KR 860001514B1 KR 8202995 A KR8202995 A KR 8202995A KR 820002995 A KR820002995 A KR 820002995A KR 860001514 B1 KR860001514 B1 KR 860001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tire
distillation
gas
t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632A (ko
Inventor
히로시 고우노
하루히고 아사오
유기노브 사고
Original Assignee
기무라 다게시
오나하마 세이렌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121429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38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6143806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45279A/ja
Application filed by 기무라 다게시, 오나하마 세이렌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기무라 다게시
Publication of KR84000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타이어의 건류방법과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페타이어의 건류장치의 정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페타이어의 건류장치의 건류잔사 발출 분별장치의 개략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부분 단면도로서, 건류가스로 부터 오일과 탄소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의 상세도.
제4도는 제3도의 분리장치의 평단면도.
제5(a)도-제5(f)도는 본 발명의 전류도에 있어서 로하부의 여러가지 형상을 표시하는 정단면도.
제6(a)도-제6(d)도는 건류도의 로하부체의 두부분에서 본 여러 형상의 수평단면도.
본 발명은 페타이어의 건류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페타이어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원할이 건류하여 연소용 기체 및 액체를 회수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모타리제숀(motorization)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마모한 페타이어를 발생량도 비약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이들중 일부는 재생 타이어로서 재사용되나, 대부분은 폐기처분 하게 된다.
그러나 타이어의 형상 그대로 매립 처리할 수도 없는 것이며, 일시는 합법적으로 매립하기 위하여 일부러 적당한 싸이즈로 절단하여 그 후 매립 처분하고 있다. 또 이들 페타이어를 처리하는 별도의 방법으로 연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소규모로는 농업에 있어 서리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노천에서 연소시키고 있으나, 이 경우 고무의 연소 가스는 독특한 악취가 나고 이와같은, 말하자면 비상시 이외에는 도저히 노천에서 연소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또 이와같이 사용되는 페타이어의 량도 페타이어 발생량의 2-3%에 불과하다.
한편 열에너지 코스트의 계기로 가열물로서의 페타이어의 이용이 갑작이 주목되고 있다.
이것은 페타이어의 약 8,000/kg라는 발열량이 있는 것에서도 당연한 것으로 지금에는 페타이어의 재생을 재외한 거의 대부분은 대체연료 용도로서 이용되기 시작되었다.
그러나 페타이어는 그 고유의 형상이나, 철선(와이야), 조합된 구성요소로 인하여 직접 연소에 있어서도 절단등의 전처리가 연소후의 철선의 제동등의 후처리를 수반한다.
더욱이 고무의 특성으로 표면밀도가 높아 연소공기와의 접촉이 작아 불완전연소하여 검은 연기와 악취를 발생하기 쉽고, 대량으로 연소시키기 위하여는 연소대가 상당히 긴 대형로가 아니면 사실상 곤한하다. 한편 고무는 비교적 저온에서 건류하므로서 가열기체와 액체연료가 발생하므로 일단 기체와 액체연료를 체취한 후 별도의 연소로에서 연소시킴도 가능한 것이다.
이경우 철선등는 잔류 분리되고 건류로와 연소로를 격리 설치하더라도 기체와 액체연료의 이송 배관을 연결한 것으로 연속가동이 가는하게 되어 유효하게 이용하기 쉽다.
따라서 종래 타이어 건류기술도 수다하게 공개되어 있다. 예로서 일본 특허공보 소 53-25874호 및 소 53-27752호 에서는 수직형의 예열로와 건류로를 기밀되게 연결하고 각 로에 페타이어를 수평으로 쌍아올려 예열, 건류를 행하므로 페타이어의 장입 및 잔사의 인축에 있어 페타이어를 1개씩 수평으로 취급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로내에서 처리하는 페타이어는 언제나 수평으로 유지된체로 한개씩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예열건류가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불휘발성 잔사를 취출하는 조업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로에서는 로저 가까이 설치한 포오크형 타이어 받이가 가동 로스골 로서의 타이어 지지기구로 되어 로내의 타이어 지지정열을 유지한다. 특히 일본 특허공보 소 53-27752호 에서는 건류로에는 지지포오크의 하방에 나비형 로스롤을 별도로 설치하여 로내에 장입된 페타이어 지지 및 건류잔사의 취출에 이용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들 장치는 장시간 조업한 경우 잔사의 취출에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별도의 기구로서 로경을 상부에서는 타이어경보다 크게하고 하루는 타이어경보다 작게하여 이 형소부에서 실질적인 기능을 행하도록 하고 장입 페타이어의 지지를 하는 로구조도 고려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로내공간에는 로스골등의 지지체가 없으므로 잔사나 로고열부에서 발생한 반용융체등이 부착할 기회가 없이 조업은 비교적 호조건이 기대되나 건류 종료후의 철선이나, 실제조업에 있어 가끔 발생하는 건류의 불완전한 잔타이어등은 도리어 로경은 협소하게 한 때문에 취출 곤란한 결점이 있으며, 특히 연속조업의 경우는 장시간 운전이 되므로 장입물 전체의 중량을 최하부에서 받기때문에 더욱 잔사의 취출이 곤란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페타이어 건류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중에는 카아본으로 되는 다량의 분진(이하 카아본이라함)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이 카아본에는 건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일분이 부착되므로 껍진껍진한 카아본이 기기의 내벽 또는 장치의 만곡된 복잡한 부분이나 가스통로등에 부착하여 통로를 폐쇄하는 등 여러가지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사고도 빳치조업(Barch operayion)인 경우는 그때마다, 즉 사고발생시마다 부착물을 제거작업을 행할 수는 있다. 전기한 바 페타이어에는 철선이 있어 이 철선의 제기작업도 종래의 건류장치의 기구로서는 연속적으로 취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량 축적될 때마다 장치를 정치하고 철선의 취출을 손작업으로 행하고 있으나, 이때 카아본의 제거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카아본의 부착물의 제거작업, 철선의 취출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여 건류능력을 저하시키고 또한 장치의 수명을 단축하는 등의 문제점이 많은 것이다.
또한 페타이어 건류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건류로내의 조업조건, 즉 로내온도, 로내압력, 로내가스 조성 등의 변동을 여하히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안정한 로내분위기를 유지하느냐에 달려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같이 빳티조업에서는 로내가 안정되려고 하는 시점으로 부터 카아본의 부착이 많아지고 또한 철선도 축적되므로 카아본의 제거와 철선의 취출을 하여야 하므로 조업을 정지하게 되어 안정한 로내분위기에서의 조업을 행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예를 감안하여 장기적으로 안정된 로내분위기에서 연속적으로 조업을 행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고온에 도달하는 로내에는, 장입물의 낙하 또는 하방이동에 대하여 장해물로 되는 기구는 가급적 설치하지 아니하며,
(2) 연속조업이 원칙이므로 조업개시 또는 정지시만 장입물 지지기구나 장사취출 기구를 생략하고 통상의 연속조업시에 가장 조업이 용이하고 능률이 좋은 연속 조업용의 기구로 하며,
(3) 타이어 장입의 용이화 및 로내에서의 열분포의 균등화를 의하여 로내장입 타이어는 방향이 랜덤(random), 즉 난피적으로 될것.
이상을 전제로 하여 검토한 결과 정상조업중에는 장입 페타이어 및 그 잔사등은 로내에서 자연히 조합되어 적당한 통기로를 형성하면서 상부 장입물을 유지하므로 특히 로스롤을 필요로 하진 아니할 뿐 아니라 조합된 기구가 시시각각 변화하므로 도리어 로항의 안전화에 기여함이 판명되었다. 더욱이 건류잔사는 철선을 주제로 하고 있으므로 대단히 부피가 커지고 로내에 어떤 장해물이 있으면 대단히 걸리기 쉬워 잔사의 취출에 장해를 야기하기 쉬우므로 잔사의 취출조업은 로하방의 단면적이 향하여 확대될수록 좋으며, 적어도 상방의 로경보다 필요성은 전혀 없고, 만약 로경보다 작으면 잔사의 취출에 고장이 빈발하는 등이 확인되었다.
더욱이 이와같이 종단면이 직통형 또는 하방으로 확대하는 형상으로 하면 장입물은 자연낙하 또는 하방이동의 도중에서 걸리어 매달리는 소위 록잼잉(log Jamming)현상을 방지하는 외에 장입물이 건류와 연소에 의한 침하하는 도중에서 자동적으로 다시 괴적되어 반응이 균일히 행하여지기 쉽게 되고 자체 로스톨(장입 타이어 자체가 로스톨 작용케 되는 )의 구성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 효과는 폐타이어를 한개씩 수평 장입하는 방식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장치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대별하면, 건류로(1), 건류가스 분리장치(2) 및 건류잔사 발출 분별장치(3)로 구성된다.
건류로(1)의 동체(4)는 그 횡단면이 예로서 제6고에서와 같이 원형, 각형, 다각형, 장방형, 타원형등의 통상을 가지며, 내면은 내화물로 라이닝되고 로동체(4)의 종단면이 건류를 행하는 위치 또는바람직하기는 산화연소를 행하는 위치 이하의 로하부체(4a)가 직통형 또는 하방으로 확개된 형상으로 되고 그럼에도 로저내에는 타이어를 지지하는 로스톨상의 것을 전혀 설치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며, 로하부체(4a)는 물탱크로된 수봉장치(5)에 침지되고 로동체(4)의 정상부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같이 타이어를 수입하도록 적당히 형성되고 외부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로동체(4)의 상부를 기밀히 밀폐하기 위한 누출 실링댐퍼(leak-age-sealing)(6)가 장설되었다. 이 댐퍼(6)는 가동장치(6a)에 의하여 조작된다.
로동체(4)의 상부의 중간층에 한쌍의 제1도 수평 게이트댐퍼(7)(7)가 이 레벨에서 동체의 전횡단면을 상호 협동하여 닫히도록 장설되고 제 1 게이트 댐퍼(7)(7)와 같은 한쌍의 제 2 수평 게이트댐퍼(8)(8)가 로동체(4)의 하부 레벨에 장설되었다.
이들 게이트댐퍼(6)(6)과 (7)(7)은 상기한 누출 실링댐퍼(6)와 마찬가지로 적당한 동력 가동장치(7a)와 (8a)에 의하여 또는 수동으로 각기 개폐를 작동시키도록 되었다.
그러므로 로동체(4)의 내부는 댐퍼(6)(6)과 (7)(7)간에 상부실 A, 댐퍼(7)(7)과 (8)(8)간에 중간실 B 및 하부반응실 C로 이들 댐퍼들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구분된다.
로동체(4)는 반응실 C주벽에 바람주입구(tuyere)(9)를 가지며, 송풍기(10)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케 하며, 일군의 버너(11)들이 각기 바람공급구(9)와 같은 레벨에 수평주면에 장설되어 타이어의 연소 초기에 연료공급원으로 부터 연료가 공급된다. 또 냉각자켓(12)이 로주벽에 장설되어 연소대의 로벽을 보호하며, 또한 용융된 타이어 물질이 로벽에 의하여 냉각되어 응고되는 경향때문에 로내벽에 용융 타이어 물질이 부착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가스배출구(13)는 연소실 C의 윗부분에서 로벽을 관통 장설되고 이하 설명하는 건류가스 분리장치(2)에 연결되었다.
콤베어(14)가 로동체(5)의 하단 하부에 위치한 상기한 수봉장치(5)에서 일단이 침지되고, 타단은 완만하게 경사되어 수봉장치(5)의 외부로 연장되어 잔사 발출 분열장치(3)의 카아본 잔사홈바(15)(16)상의 그리즈리(17)의 일단상에 위치케 한다.
그리즈리(17)의 선단 하부에는 진동발생기(18)을 설치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19)을 계합하였고, 전기 그리즈리(17)의 후방 상부에 설치한 가대(20)상면에 레일(21)이 가설되어 레일상에 대차(22)가 주행한다. 대차(22)는 전후에 와이야(23)를 취부하고 전동기(24)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주행케 하는 작동기구에 의하여 작동한다.
대차(22)에는 포오크(25)가 재치도어 시린더(26)의 전후진에 의하여 상, 하 회동한다.
전기 건류잔사홉바(26)에 인접하여 철선홉바(27)가 설치되었다. 또 상기한 건류가스 분리장치(2)는 가스배출구(13)와 연결된 분리기(28)(본 실시예에서는 싸이크론)와 카아본 분말을 분리하기 위한 홉바(29) 및 싸이크론(28) 중심의 인출관(28')의 상부에 연결된 가스배출로(30)와 연결된 열교환기(31)로서 구성되었다.
열교환기(31)는 배출구(31a)를 가지며, 분리기(28)에서 카아본을 분리하고 난 가스를 냉각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것이다. 또한 분리기(28)는 실린더(32)의 작동롯드(32a)에 의하여 작동되는 카아본 제거기(33) 실린더(34)의 작동롯드(34a)(34b)(34c)에 의하여 작동하는 싸이크론(28)내에 장치된 환상 카아본 제거기(35)와 중심 인출관(28')내에 장설된 카아본 제거기(36) 및 가스배출로(30)내에 장설되어 실린더(37)의 작동롯드(37a)에 의하여 작동하는 카아본 제거기(38)등을 가진다.
이들 카아본 제거기들은 그들이 각기 장설된 내벽의 카아본 부착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 방법은 이상 설명한 장치들에 의하여 다음 방법으로 조업이 실시된다. 완전 형상의 타이어 또는 절단된 타이어는 건류로(1)의 정상에 콤베어(39)와 같은 공급장치에 의하여 장입된다. 실링댐퍼(6)를 개방하므로서 수송된 타이어는 제 1 게이트 댐퍼(7)(7)상에 랜돔(random)상태로 낙하되어 설정량의 패타이어가 공급되면 자동적으로 공급장치(39)의 작동은 정지하고 가스누출 실링댐퍼(6)는 닫는다.
이후 제 1 게이트 댐퍼(7)(7)를 개방하여 상부실 A의 장입물을 전부 중간실 B에 낙하시킨후 제 1 댐퍼(7)(7)을 닫는다.
다음으로 로내의 건류반응이 진행하고 하부반응실 C의 전에 공급된 장입물의 용적이 감소되면 제 2 게이크 댐퍼(8)(8)를 개방하여 중간실 B 내의 장입물을 전량 반응실 C로 이동시키나, 반응실 C내에서는 반응의 진행에 따라 장입물의 충진 적재 사항이 시시각각 변화하므로 중간실 B의 장입물이 전부 반응실 C내에 낙하하지 않고 일부 잔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제 2 댐퍼(8)(8)는 장입물에 끼어 완전히 폐쇄되지 않으므로 이런 상태에서 제 1 댐퍼(7)(7)를 개방하면 위험하므로 제 2 댐퍼(8)(8)는 완전히 폐쇄가 완료되기까지 여러번 개폐를 반복 조작하여 완전히 폐쇄되지 않으면 제 1 댐퍼97)(7)가 개방하지 않는 등의 안전기구도 필요하다.
이와 같이하여 2단의 댐퍼의 개폐에 의하여 낙하 장입된 타이어는 반응실 C 내에서는 란돔상태로 적재되어 타이어 고유의 형상으로 극히 양호한 자체 로스톨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로벽면의 바람 공급구(9)로부터 적당한 공기를 송풍하면서 건류를 하는 바 건류 개시때에 버너(11)로 착화하고 이 부분을 연소대로 하여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연소대에서는 타이어의 연소가 개시되면 버너(11)를 정지하고 연소에 필요한 만큼의 공기를 공급하므로서 자체연소를 계속한다. 이 연소로 발생한 연소가스는 연소에 의하여 산소가 소비되므로 산소 함유량이 폭발한계 이하로 저하시켜야 한다.
이 연소가스가 로내를 상승하는 동안에 타이어를 가열, 건류하는 건류대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조성은 가연휘발분이 약 50%, 첨가제로서의 탄소분이나 아연화등의 고형분이 40%이고 나머지는 철선등으로 된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연성 휘발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불휘발성의 카아본의 연소열로 보충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로내의 반응도 이 목적에 따라 조업을 행하고 있다.
즉, 건류대에서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하여 휘발분을 기화시키고 폐타이어는 자연 낙하에 의하여 순차 연소대에 이동하고 잔류된 탄소는 이 연소대에서 공기취입에 의하여 연소시켜서 연소가스를 발생케 하는 연료로 사용되며, 휘발분 이외의 가연성물을 연소시켜 건류에 필요한 에너지를 발생케 하는 소위 자체에너지 보상의 형식을 취하는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이렇기 의하여는 로내에서 연소대와 건류대가 공존하고 서로 설정된 조건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연소공기의 공급은 공기공급구(9)로부터 행하고 그 량은 장입물중의 탄소를 연소기킴에 필요한 산소량으로 하며, 휘발성 가연물을 연소기키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이 연소대만이 고온으로 되므로 이 부분의 외벽에 냉각자켓(12)을 설치하는 것으로 로체의 보호상 유효하다.
로내에서는 상기 연소대의 상부에 건류대가 형성되므로 하부로부터 상승하여 오는 연소가스에 의하여 장입물이 가열되어 휘발성 가연물은 기화하여 로상부에 설치한 가스배출구(13)로부터 로외로 도출된다. 도출된 가스는 건류가스 분리장치(2)의 분리기(싸이크폰)(28)에 도입되어 카아본 등 고형물은 침강하여 홉바(29)로 낙하 분리 제거되고 카아본을 분리한 가스는 중심인출관(28')의 상부에 연결된 배출로(30)을 통하여 열교환기(31)에 도입되어 가스중의 유분은 냉각 채취 회수하여 연료로 사용된다.
물론 건류로(1)에서 도출된 가스는 그대로 별도 로의 연료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단 냉각하여 중질분을 칼(tar)로서 제거하고 다시 상온에서 경질분 및 수분을 기액 분리하여 각각 연료로 사용하는 등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활용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연소대에서의 연소잔사는 소량의 불연 첨가물등을 함유하는 금속선이며, 그대로 로저로 부터 배출시켜 콤베어(14)로 그리즈리(17)상에 반출되면 대차(22)상의 포오크(25)는 시린더(26)등의 작동으로 화살방향으로 회동하여 그리즈리(17)상면까지 강하하여 건류 잔사중에 포오크(25)를 넣은 상태로 대차(22)를 후퇴 한도까지 이동시킨다.
이 이동중에 그리즈리(17)에 계합된 진동발생기(18)와 스프링(19)과의 진동에 의하여 홉바(15)(16)에 카아본 잔사가 낙하하고 나머지 철선은 철선홉바(27)내에 반출되어 분별된다.
물론 로내반응은 산소부족의 건류 로저부에는 수봉장치(5)를 설치하며, 또 로내는 "프라스"분위기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 로내반응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기화가능의 가연성분을 극력 로내에서 연소시키지 않고, 기화한 상태로 로외로 도출하고, 그리고 탄소분을 가급적 로내에서 연소시키지 위하여는 페타이어의 장입 및 견류연소후의 잔사의 취출을 순조롭게 행함이 필요하다. 이러기 위하여는 예로서 로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신호에 따라 배출콤베어와 장입콤베어의 시동, 정지를 지시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즉 장입물의 침강이 정제된 상태로 공기의 송풍을 계속하면, 연소대가 점차 상방으로 확대하여 기화시킬 성분까지 연소하게 된다.
따라서 연소대의 상부온도를 검출하고 그 지시에 의하여 장입시키기 위하여 하부의 배출콤베어(14)을 가동시켜 연소잔사를 취출후 전술한 작동을 행하여 새로운 장입물, 즉 페타이어를 장입하므로서 조업의 조절이 실시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대량의 페타이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기체 및 액체연료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한편 페타이어중의 강선등을 금속설로서 회수함을 가능케 한 것으로 산업발달에 기여함이 극히 큰 것이다.
[실시예 1]
상단직경 1.3m, 하단직경 1.8m, 전장 10m의 원통상 로체의 상방으로 부터 2.5m위치에 제 1 댐퍼, 제 1 댐퍼로 부터 1.5m에 제 2 댐퍼를 설치하고 로하단에서 1.3m위치에 공기취입구 및 착화버너구를 설치하고, 다시 제 2 댐퍼의 하부 1m의 곡에 가스도출구를 설치하였다. 로체 하단은 0.3m수침하고 이 수조 저부에 잔사취출용 경사된 발출 콤베어를 설치하고 로정에는 장입 콤베어를 설치하였다. 페타이어 또는 파쇄타이어를 장입 콤베어(39)로 로내에 장입하되 전술한 제 1 댐퍼(7)(7) 및 제 2 댐퍼(8)(8)을 교호로 개폐하여 약 10개씩 분할하여 로내에 장입 반응실 C 이 거의 충입된 상태에서 정지하고 공기공급구(9)로 송풍과 동시에 버너를 정지하고 이후 공기만을 송입하여 연소를 계속시켰다.
연소 가스는 장입한 타이어층을 통과하는 사이에 건류가 행하여지고 휘발성 가연물이 기화하여 연소가스와 같이 가스배출구(13)를 통하여 로외로 도출하여 통상방법에 따라 수반된 고형물을 분리장치(2)의 싸이크론(28)으로 제거하고 그대로 연소시설에 연료로서 연소하였다. 페타이어의 장입은 콤베어(17)를 90초마다 단속 운전하고 B 실내의 장입물을 낙하시켜 반은실 C 에 충전하고 다음으로 B 실에 A실 장입물을 송입하여 A실에는 취출잔사에 대응한 장입량을 다시 장입하였다.
본 발명 장치를 250시간 운전한 결과 기화 회수한 연료는 장입량의 중량비 약 40%로 되고 포집한 부유고형물은 약 40%, 와이야등의 연소 잔사는 약 10%이었다.
또 운전개시때에 로저에 있던 미연소물을 반복 장입하므로서 각별한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었다.
[실시예 2]
건류로(1)에서 건류에 의하여 기화된 휘발성 가연물을 가스배출구(13)를 통하여 제 1,3,4도에 표시한 것과 동일 구조로 된 분리장치(2)의 싸이크론 분리기(28)에 공급하여 가스로 부터 카아본을 분리하고 난 가스는 열교환기(31)에 통과시켜 가스로 부터 오일을 분리 채취하였다.
이 분리조업중 가스배출구(13), 싸이크론(28) 및 배출로(30)의 각 내벽에 부착된 카아본은 각기 카아본제거기(33)(35)(36) 및 (38)로서 청소하였다. 이들 카아본 제거기는 간발적 즉 5분 간격으로 가동하였다.
종래는 시동으로 부터 정지까지 72시간 정동가 한도였으나, 본 장치는600시간 경과후에도 이상없이 운전이 계속되고 더욱 이카아본의 제거 능률이 극히 양호하여 장기적 조업이 가능함이 실증되었다.
[실시예 3]
건류로(1)의 건류잔사는 로저로 부터 반출하여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건류잔사 분리기(3)에 의하여 건류잔사의 배출량에 따라 간헐적 또는 연속 운전으로 자동적으로 카아본 잔사의 와이어야를 분별하였다.
연속 건류하기 위하여는 페타이어의 잔사 및 와이야를 여하히 효율좋게 빠르게 발출함이 불가결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잔사분리기(3)는 종래에 비하여 건류조업을 조해함이 없이 그리고 인력을 호하지 않고 잔사를 자동적으로 효율좋게 발출 분별할 수 있어 연속전류에 그 효과가 대단히 큰것임이 판명되었다.

Claims (12)

  1. 페타이어를 로내에 장입하여 로동체 하부에서 산화연소 시키며, 이때 발생한 연소 가스로 로동체내의 타이어를 건류하여 기체 또는 액체 연료를 포집하는 타이어 건류로에 있어서 로동체의 형상을 건류를 행하는 위치 이하의 부분에서 종단면이 직통 또는 하방으로 확대하는 형상으로 하고 로체의 타이어 및 페타이어 잔사가 자체 로스톨을 형성하므로 하방에 이동하여 기체 또는 액체 연료를 연속적으로 포집함을 특징으로한 페타이어 건류 방법.
  2. 상기 로체의 형상을 염화 연소시키는 위치이하의 부분에서 종단면이 직통 또는 하방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1항 기재의 페타이어의 건류방법.
  3. 페타이어의 건류장치가 로동체의 로정부 장입구에 폐타이어를 장입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설치하고 이 공급장치에 근접시켜 가스누설 실링댐퍼를 설치하여 이 하부에는 폐타이어를 유입하여 저류함과 동시에 로내에 장입하기 위한 게이트 댐퍼를 설치하고 이 댐퍼로 부터 장입된 페타이어를 건류하는 반응실은 직통 또는 하방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하고 그 상부분에는 건류가스 배출구를 설치하고 그 하부의 연소대에는 공기송입용 공기공급구와 연소용 버너를 설치함과 동시에 연소대 부근의 로벽은 보호하기 위한 쟈켓트를 설치하여 로저에는 로내와 외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수봉장치를 설치하고 이 수봉 장치내에는 연소잔사를 로외로 발출하기 위한 발출장치를 설치하여서된 페타이어 건류장치.
  4. 제 1 게이트 댐페로부터 하부에 제 2 게이트 댐퍼가 설치되어 이들 댐퍼간에 중간실이 형성되며, 제 2 게이트 댐퍼가 폐쇄된 상태에서 반응실로 부터 중간실을 기밀히 함을 특징으로 한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폐타이어 건류장치.
  5. 연소대 부근의 로벽을 부호하기 위한 냉각쟈켓을 설치한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의 폐타이어 건류장치.
  6. 전기 제 2 게이트 댐퍼 하부에서 공기 공급구와 버너간의 레벨에서 상기한 로하부체가 시작됨을 특징으로 한 청구범위 제 4 항 개재의 폐타이어 건류장치.
  7. 건류로에서 건류된 건류 가스로 부터 카아본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를 가지며, 이 분리장치는 건류로의 반응실의 배출구에 바람직하기는 직선 파이프로 연결되고, 분리장치는 상기 직선파이프와 유입구에 연결되어 건류가스로 부터 카아본 입자를 분리하며, 분리된 카아본을 포집 분리하기 위한 홉바가 분리장치 하부에 연결되었으며, 카아본이 분리된 건류가스는 배출로를 통하여 배출되며, 가스 배출구와 분리 장치의 내벽에 부착된 카아본을 제거하기 위한 각 작동롯드들에 의하여 작동되는 카아본 제거기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한 청구범위 제 3,4,5,6항의 어느 하나에 개재된 폐타이어 건류장치.
  8. 상기 분리 장치의 가스 배출로에 연결된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건류 가스로 부터 오일을 분리케 하며, 가스 배출로의 내벽으로 부터 제거하기 위한 작동롯드에 의하여 작동하는 카아본 제거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청구범위 제 7 항 기재의 폐타이어 건류장치.
  9. 건류로의 하부에서 종단면이 하방으로 확대된 형상으로 된 청구범위 제 3,4,5,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폐타이어 건류장치.
  10. 수봉 장치가 물을 수용한 탱크로 되고 건류로의 하단이 이에 잠겨지며, 공급장치와 잔사 발출 장치가 각각 콤베어로 되고, 잔사 발출콤베어의 일단은 로체의 하단 하부 위치에 간격을 두고 탱크의 물에 잠겨 있고 타단은 물 외부로 나오도록 됨을 특징으로한 청구범위 제 3,4,5,6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폐타이어 건류장치.
  11. 분리장치가 싸이크론 분리기로 된 청구범위 제 7 항의 폐타이어 건류장치.
  12. 건류잔사 분별장치는 건류로체의 저부에 설치된 잔사 발출 콤베어의 외출단에 인접시켜 그리즈리와 이 하부에 잔사홉바 및 와이야 홉바를 설치하고 그리즈리 하단 상부의 기대에 레일을 설치하여 실린더에 의하여 상, 하 작동하는 포오크를 재치한 대차를 설치하며, 전기 대체에는 잔사발출 콤베어에 의하여 배출되는 잔류잔사에 대응하여 전후동시키는 작동기구를 연설하여서 된 청구범위 제 3,4,5,6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폐타이어 건류장치.
KR8202995A 1981-08-04 1982-07-06 페타이어의 건류방법과 그 장치 KR860001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21429A JPS5823883A (ja) 1981-08-04 1981-08-04 廃タイヤの乾溜方法及装置
JP121429 1981-08-04
JP56143806A JPS5845279A (ja) 1981-09-14 1981-09-14 廃タイヤの乾溜装置
JP143806 1981-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32A KR840000632A (ko) 1984-02-25
KR860001514B1 true KR860001514B1 (ko) 1986-09-30

Family

ID=5720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995A KR860001514B1 (ko) 1981-08-04 1982-07-06 페타이어의 건류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5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32A (ko) 198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2387B1 (en) Apparatus for dry distillation of discarded rubber tires
US3996044A (en) Electro-pyrolytic upright shaft type solid refuse disposal and conversion process
US4264060A (en) Apparatus for treating metallic scrap in the recovery of metal therefrom
RU208863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и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EP0451323B1 (en) Method for preheating scrap iron by pyrolysis of resinous residues contained therein, with total recovery of their energy content and improvement of the steelmaking cycle
US5205225A (en) Apparatus for allowing thermal dimensional changes of metal parts in a retort mechanism
US4774895A (en) Waste pyrolysis method and apparatus
US37071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ing of refuse
IE44683B1 (en) Method of pyrolyzing refuse
US5782188A (en) Pyrolytic combustion apparatus and method
US5224432A (en) Method for retorting organic matter
US3862887A (en) Method for processing heat-decomposable non-gaseous materials
US494965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cineration
JPH10246416A (ja) 火格子燃焼設備に由来するフライダストを熱的に処理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AU2009311787A1 (en) Pyrolytic rendering of organic material
US5220873A (en) Apparatus for retorting organic matter
KR860001514B1 (ko) 페타이어의 건류방법과 그 장치
JPS5823883A (ja) 廃タイヤの乾溜方法及装置
CN206771369U (zh) 焚烧炉装置
EP0670983B1 (en) Method for retorting organic matter
JPS5845279A (ja) 廃タイヤの乾溜装置
JPS6152877B2 (ko)
SU88788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безвреживани отходов
CA1239786A (en) Apparatus for drying metal turnings or scrap
JP2629117B2 (ja) 廃棄物の溶融炉